[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6659B1 -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659B1
KR100356659B1 KR1020000027765A KR20000027765A KR100356659B1 KR 100356659 B1 KR100356659 B1 KR 100356659B1 KR 1020000027765 A KR1020000027765 A KR 1020000027765A KR 20000027765 A KR20000027765 A KR 20000027765A KR 100356659 B1 KR100356659 B1 KR 10035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haft
fixing
locking jaw
batter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801A (ko
Inventor
전찬웅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659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6Supplying batteries to, or removing batteries from,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하도록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 하기 위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양쪽 하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배터리의 걸림턱에 대응하여, 한 쪽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수평하게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축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ㅎ여성되어 있는 배터리 받침대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배터리의 양쪽 걸림턱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상부에 제공되어 축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므로써, 상기 걸림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나비형 너트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 상에 놓여지는 배터리 받침판 및 상기 축에 인접한 부근의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과 배터리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어리 받침판의 일측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Structure for securing battery of car to body}
본 발명은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쉽게 탈착 가능한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는 차체에 부착된 받침대(20)에 놓여진 후, 차체에 형성된 배터리 체결공(도시생략)에 클램프 볼트(30)의 고리(31)를 걸고, 이 클램프 볼트 고리(31)의 대응단부를 클램프(40)를 관통하여, 배터리(10)의 상부의 클램프(40) 상부의 너트(50)로 조임으로서 클램프가 배터리(10)을 가압하여, 배터리(10)가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있어서, 배터리를 고정할 때, 클램프 볼트의 고리를 차체의 체결공에 거는 구조이므로, 배터리를 배터리 받침대에 안착 후, 비좁은 엔진 룸 내에서, 체결공을 찾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그래서, 배터리 교환 후 능숙하게 배터리를 고정하기는 숙련가가 아니면 상당히 작업이 더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리 부분을 체결공에 걸고 클램프에 체결한 후, 2 개의 너트를 가 체결한 후, 별도의 너트 조임 공구를 사용해 체결하는 구조이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 속도가 빠르며, 고정 방법도 간단하여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자동차 배터리를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전 구조물의 측면도.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를 고정한 후의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배터리 110, 111 : 걸림턱
120 : 배터리 받침대 121 : 돌출부
130 : 걸림구 140: 나비형 너트
150 : 축 160 : 스프링
170 : 배터리 받침판 200 : 차체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양쪽 하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배터리의 걸림턱에 대응하여, 한 쪽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수평하게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축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ㅎ여성되어 있는 배터리 받침대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배터리의 양쪽 걸림턱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상부에 제공되어 축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므로써, 상기 걸림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나비형 너트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 상에 놓여지는 배터리 받침판 및 상기 축에 인접한 부근의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과 배터리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어리 받침판의 일측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를 고정하기 전의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양 방향에는 걸림턱(110, 111)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100)가 제공되며, 차체(200)에 부착된 배터리 받침대(120)는한쪽은 하나의 걸림턱(111)을 걸 수 있도록, 안쪽으로 돌출 된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은 외부로 나사산이 형성되며, 나사산을 따라 나선운동을 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고, 나머지 걸림턱(110)을 걸 수 있도록 걸림구(130)가 제공되고, 나사산을 따라 나선운동될 수 있는 나비형 너트(140)가 구비되어 있는 축(150)이 상부로 부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한쪽면은 걸림턱(110)이 있는 면에 놓여지고, 다른 면은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160)에 지지되는 배터리 받침판(170)이 제공된다. 따라서, 배터리(10)가 고정되지 않았을 때의 배터리 받침판(170)의 위치는 한쪽면은 돌출부상에서 위치되고, 다른면은 스프링(160)에 의해 지지되어서 경사진 형태로 위치된다.
배터리(10)를 고정할 때는, 경사진 배터리 받침판(170) 위에 배터리(100)의 한쪽의 걸림턱(111)을 배터리 받침대(120)의 돌출부(121) 사이에 삽입 한 후, 간단히, 스프링(160)의 탄성력 이상으로 배터리(100)를 가압하여, 배터리 받침판(170)이 배터리 받침대(120) 바닥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다른 쪽 배터리 걸림턱(110)을 상부에서 걸어서 지지하도록 걸림구(130)를 위치시킨 후,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축(150)의 상부에 제공된 나비형 너트(140)를 간단히 돌려서 걸림구(130)가 배터리 걸림턱(110)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완전히 고정시킨다.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를 고정한 후의 배터리 고정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가 고정되면, 스프링(160)은 압축되어, 배터리 받침판(170)과 배터리 받침대(120)의 하부면은 밀착되어 수평으로 유지되며, 배터리의 한쪽 걸림턱(111)은 돌출부(121) 사이에 놓여져 배터리 한쪽면의 이탈이 방지되며, 다른쪽 걸림턱(110)은 축(150)의 나사산을 따라 나비형 너트(140)가 조여져 걸림구(130)가 상부에서 가압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걸림턱(110, 111)이 돌출부(121)와 걸림구(130)로 견고히 지지되므로, 배터리(100)는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배터리 고정 구조물에서는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배터리를 배터리 받침대의 돌출부에 한쪽을 걸고, 배터리 상단을 가압하여 배터리 받침판을 배터리 받침대 하부면에 밀착시킨 다음, 다른쪽은 걸림구로 걸림턱을 걸고 나비형 너트로 조여서 배터리를 간단히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좁은 엔진룸에서 배터리를 고정하는 로드의 체결공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고, 누구나 손쉽게 배터리 탈착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기술적 범위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다.

Claims (1)

  1. 길이 방향으로 양쪽 하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상기 배터리의 걸림턱에 대응하여, 한 쪽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하게 이격된 위치의 측면으로부터 바닥면을 따라 수평하게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축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ㅎ여성되어 있는 배터리 받침대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에 형성된 축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부와 함께 배터리의 양쪽 걸림턱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걸림구와;
    상기 걸림구의 상부에 제공되어 축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므로써, 상기 걸림구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나비형 너트와;
    상기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 상에 놓여지는 배터리 받침판; 및
    상기 축에 인접한 부근의 배터리 받침대의 바닥면과 배터리 받침판 사이에 개재되어 배어리 받침판의 일측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KR1020000027765A 2000-05-23 2000-05-23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KR10035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65A KR10035665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765A KR10035665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01A KR20010106801A (ko) 2001-12-07
KR100356659B1 true KR100356659B1 (ko) 2002-10-18

Family

ID=1966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765A KR100356659B1 (ko) 2000-05-23 2000-05-23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0592B2 (ja) * 2014-09-29 2016-10-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搭載物の取付構造
WO2020166182A1 (ja) * 2019-02-12 2020-08-20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801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6161A (en) Retainer clip
JP2001097253A (ja) スペアタイヤの留め構造
KR100356659B1 (ko) 자동차 배터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US6021532A (en) Sink mounting lock
JP2000045376A (ja) グレーチングと受枠部材との取付構造
JPH0562712U (ja) 器具取付け構造
KR100325752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JP2589274Y2 (ja) ボルト締結具
KR100325753B1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JP2000346039A5 (ko)
JPH0679862U (ja) 水栓の取付け構造
JPS6042489Y2 (ja) ロツドアンテナの取付具
JP2002250324A (ja) ナット
JPH0518543Y2 (ko)
JP2590411Y2 (ja) 照明器具の取付け具
KR200313243Y1 (ko) 배터리체결구조
JP2844434B2 (ja) がいし等の取り付け構造
JPH0246522Y2 (ko)
JPH0712600Y2 (ja) 肘壺への扉取付構造
JP2577073Y2 (ja) 配管支持具固定部の構造
JP3013636U (ja) 自動車用荷台装置
JPH0536085Y2 (ko)
JPS6231483Y2 (ko)
KR950002632Y1 (ko) 세면용구대의 설치장치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