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5613B1 -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5613B1
KR100355613B1 KR1020010032627A KR20010032627A KR100355613B1 KR 100355613 B1 KR100355613 B1 KR 100355613B1 KR 1020010032627 A KR1020010032627 A KR 1020010032627A KR 20010032627 A KR20010032627 A KR 20010032627A KR 100355613 B1 KR100355613 B1 KR 10035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flower
oil
weight
seaweed
safflower s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830A (ko
Inventor
윤승갑
Original Assignee
윤승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승갑 filed Critical 윤승갑
Priority to KR1020010032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6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6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y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화씨를 볶은 다음 착유 및 분쇄하여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0.5~20중량%로 첨가하여 식용유와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원료김에 상기 홍화씨 분말을 식염 중량의 0.5~20%로 첨가하여 식염과 혼합한 것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조미된 김을 275~290℃에서 9~14초간 굽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하면 영양적 효능이 뛰어난 홍화씨 및 홍화유를 조미김에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A dried laver seasoned with safflower-seed oil and/or powd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미김에 홍화씨 분말과 홍화유를 각각 또는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홍화씨의 영양적 효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홍화의 꽃잎은 옛부터 여성들의 통경약이나 어혈을 푸는 약재로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신라시대 이전부터 노란색과 빨간색의 물감 원료로 널리 가꾸어져 왔다. 조선시대까지 흔한 식물이던 황화가 사라져 볼 수없었던 것은 일제시대에 밀어닥친 광물성 물감 때문이며 이 때문에 홍화를 이용한 질병 치료도 자연히 사라지게 되었다. 80년대부터 다시 관심을 받기 시작한 홍화는 골다공증, 접골, 골절 등 뼈와 관련된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홍화씨에는 유기백금, 리놀산, 뼈의 성분인 칼슘, 마그네슘, 칼륨이 다량으로 들어 있는데, 유기백금은 부서진 뼈를 이어주고 뼈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뼈의 골절이나 접골, 나이가 들며 약해진 뼈, 여성의 골다공증, 뼈가 약한 어린이, 임산부의 산후조리 등에 큰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토종 홍화씨에 들어 있는 유기백금과 칼슘(뼈의 주성분), 구리(뼈세포 연결작용) 등은 골절을 치유하는 성분이며 또한 리놀산은 고혈압과 동맥경화에 효과가 있으며 체내의 지방질을 분해하여 비만해소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이와 같은 홍화씨의 주성분과 영양소는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다.
한편 김은 풍부한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6, 비타민 B12등 비타민 B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미네랄, 섬유질,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육상식물에는 없는 요오드(I)도 일부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매우 유익한 영양성분을 제공한다.
김은 재래김, 돌김 등으로 크게 나누는데 재래김은 일명 '조선김'이라고도 하며 장이 약간 크고 김을 엷게 떠서 구멍이 많기는 하지만 부드러운 맛이 좋아서이를 즐기는 소비자가 많으며 충남 서해안 지방에서 많이 제조된다.
돌김에는 온돌김과 반돌김이 있으며 온돌김은 순수 돌김포자를 사용하여 생산되지만 너무 거칠고 선호도가 낮고 거의 생산을 하지 않는다. 반돌김은 돌김포자와 재래김의 포자를 섞어서 생산하는 형태의 김으로 구이용, 김밥김 등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조미김 제조방법은 식염과 식용유를 일정 비율로 첨가하여 구이기계를 통해 굽는 방식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김을 기능성 식품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인 경우가 거의 없다.
또한 홍화씨의 경우 뛰어난 영양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홍화씨 분말이 거칠고 먹기 어려워 대중적으로 통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료김에 홍화유 공급장치를 통해 홍화유를 도포시키고 홍화씨 분말 도포장치를 통해 홍화씨 분말을 식염과 함께 도포한 후 구워내는 방법으로 조미김을 제조함으로써 홍화씨의 영양적 효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의 영양적 효능을 조미김에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은 홍화씨를 알맞게 볶은 다음 착유 및 분쇄하여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상기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0.5~20중량%로 첨가하여 식용유와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상기 홍화유가 도포된 원료김에 상기 홍화씨 분말을 식염 중량의 0.5~20%로 첨가하여 식염과 혼합한 것을 도포하는 공정과,상기 조미된 김을 275~290℃에서 9~14초간 굽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이와같은 방법에 의하면 영양적 효능이 뛰어난 홍화씨 및 홍화유를 조미김에 첨가함으로써 조미김의 부가가치를 더욱 높이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 제조 공정
홍화씨를 골고루 볶은 다음 유착기로 착유하여 홍화유를 제조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역시 홍화씨를 골고루 볶은 다음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홍화씨 분말을 제조한다.
(2) 홍화유 혼합 및 도포 공정
식용유에 미리 제조한 홍화유를 혼합하되,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0.5~20중량%로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로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한다.
홍화유 첨가량이 0.5중량% 이하일 경우 이용 효과가 미약하며 20중량% 이상첨가할 경우 맛과 향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료김은 종류에 상관없이 가능하지만 돌김, 반돌김, 파래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홍화씨 분말 혼합 및 도포 공정
식염에 미리 제조한 홍화씨 분말을 혼합하되, 홍화씨 분말을 죽염 중량의 0.5~20중량%로 첨가하며,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로 첨가하여 혼합한 것을 상기 홍화유가 도포된 원료김에 도포한다.
홍화씨 분말 첨가량이 0.5중량% 이하일 경우 첨가 효과가 미약하며 20중량% 이상 첨가할 경우 홍화씨 고유의 향미가 너무 강하게 나와 조미김의 향미를 해치게 되므로 상기 범위내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구이 공정
상기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이 첨가되어 조미된 원료김을 275~290℃에서 9~14초간 구운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조미김을 제조한다.
굽는 온도가 275℃보다 낮은 경우 김이 잘 구워지지 않고 굽는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며, 290℃보다 높은 온도에서 구울 경우 원료김이 타는 결과가 발생하므로 상기 온도에서 굽는 것이 바람직하다.
굽는 시간도 상기 범위를 벗어나 시간이 짧거나 길 경우 김이 충분히 구워지지 않아 맛과 향이 살아나지 않거나 타 버리게 되므로 상기 범위의 시간내에 굽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에서는 돌김, 반돌김, 파래김을 사용하였다.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
[실시예 1]
홍화씨를 적당히 볶아서 착유 및 분쇄하여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제조한 다음, 상기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15중량%로 첨가하여 식용유와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한 후, 상기 홍화씨 분말을 죽염 중량의 10중량%로 첨가하여 죽염과 혼합한 것을 도포한 다음, 280℃에서 11초간 구워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15중량%, 홍화씨 분말 0.5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15중량%, 홍화씨 분말 15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15중량%, 홍화씨 분말 2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0.5중량%, 홍화씨 분말 1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10중량%, 홍화씨 분말 1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20중량%, 홍화씨 분말 1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홍화유만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
[실시예 8]
홍화씨를 적당히 볶아서 착유하여 홍화유를 제조한 다음, 상기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15중량%로 첨가하여 식용유와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한 후 죽염을 적당량 도포한 다음, 280℃에서 11초간 구워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0.5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1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20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21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유 23중량%를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홍화씨 분말만을 첨가한 조미김의 제조>
[실시예 12]
홍화씨를 적당히 볶아서 미세한 분말로 분쇄하여 홍화씨 분말을 제조한 다음, 식용유 또는 참기름을 적당량 원료김에 도포한 후, 상기 홍화씨 분말을 죽염 중량의 10중량%로 첨가하여 죽염과 혼합한 것을 도포한 다음, 280℃에서 11초간 구워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다.
[실시예 13]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씨 분말을 0.5중량%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씨 분말을 15중량%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씨 분말을 20중량%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씨 분말을 21중량%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홍화씨 분말을 23중량%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홍화유 첨가량 결정 실험
상기 실시예 8, 9, 10, 11과 비교예 1,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김을 시료로 하여 15인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법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홍화유 배합비율이 0.5~15중량%의 범위일 때 맛, 향, 색의 항목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으며, 배합 비율이 21중량% 이상일 경우 기호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화유의 첨가비율이 0.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여, 특히 0.5~15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험예 2] 홍화씨 분말 첨가량 결정 실험
홍화씨 분말의 첨가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2, 13, 14, 15와 비교예 3,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김을 시료로 하여 15인의 패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법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의 결과와 같이 홍화씨 분말의 첨가 비율도 0.5~15중량%일 때 맛, 향, 색의 항목에서 가장 좋은 결과가 나왔으며, 배합 비율이 21중량% 이상이 경우첨가량이 늘어날 수록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홍화씨 분말을 0.5~20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0.5~15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실험예 3] 홍화유와 홍화씨 분말을 함께 사용했을 때 기호도 평가
또한 상기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결과에 따라 결정된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의 첨가량을 바탕으로 홍화유와 홍화씨 분말을 함께 사용했을 때 기호도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2, 3, 4, 5, 6,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김을 시료로 하여 패널 15인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예 1과 실험예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해진 첨가량의 범위내에서 홍화유와 홍화씨 분말을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기 때문에 상기 범위내에서는 전체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상기 범위내로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는 것은 맛, 향, 색의 모든 항목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4] 구이 온도 및 시간 결정 실험
홍화유와 홍화씨 분말을 첨가한 조미김의 적정 구이 온도 및 구이 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굽는 온도와 굽는 시간을 달리하여 조미김을 제조하였고, 15인의 패널에게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표 6과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보듯이 굽는 온도는 275~290℃에서 잘 구워졌다는 평가가 나왔으며,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돌김과 반돌김의 경우 잘 굽히지 않았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타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굽는 시간의 경우 상기 표 7의 결과와 같이 9~14초의 범위내에서 가장 잘 구워졌으며 8초 이하에서는 제대로 구워지지 않았고 15초 이상에서는 탄 것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범위내의 온도 및 시간 내에서 굽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홍화유 및 홍화씨를 각각 또는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한 조미김은 맛과 향의 저하가 없고 영양적 효능도 우수한 조미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홍화유 및 홍화씨 분말을 각각 또는 동시에 첨가하여 조미김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홍화씨의 영양적 효능이 부가되어 기능성 건강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홍화유의 용도를 확대시킴으로써 재배 농가의 경제적 상승 효과를 유발하여 지역경제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6)

  1. 홍화씨를 알맞게 볶은 다음 착유하여 홍화유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홍화유를 식용유 중량의 0.5~20중량%로 첨가하여 식용유와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홍화유가 도포된 원료김에 미세하게 분쇄된 홍화씨 분말을 식염 중량의 0.5∼20%로 첨가하여 죽염과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조미된 김을 275~290℃에서 9~14초간 굽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2. 삭제
  3. 홍화씨를 볶은 다음 분쇄하여 홍화씨 분말을 제조하는 공정과,
    식용유를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식용유가 도포된 원료김에 상기 홍화씨 분말을 식염 중량의 0.5~20%로 첨가하여 식염과 혼합한 것을 원료김에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조미된 김을 275~290℃에서 9~14초간 굽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4. 제 1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5. 삭제
  6. 제 3항 기재의 방법으로 제조된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KR1020010032627A 2000-07-06 2001-06-11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5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627A KR100355613B1 (ko) 2000-07-06 2001-06-11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720 2000-07-06
KR20000038720 2000-07-06
KR1020010032627A KR100355613B1 (ko) 2000-07-06 2001-06-11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830A KR20010070830A (ko) 2001-07-27
KR100355613B1 true KR100355613B1 (ko) 2002-10-11

Family

ID=2663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6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5613B1 (ko) 2000-07-06 2001-06-11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90B1 (ko) * 2012-12-10 2014-12-30 농업회사법인 문경미소 주식회사 오미자 오일과 분말이 포함된 조미김 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63A (ko) * 2002-01-30 2002-03-29 강희원 김과 잡곡으로 형성된 과일형상의 음식물, 그 제조방법 및장치
KR100448418B1 (ko) * 2002-04-24 2004-09-13 임복남 잣 김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7684A (ko) * 2003-07-11 2005-01-21 이정두 기능성 구이김의 제조방법
KR102232162B1 (ko) * 2020-10-12 2021-03-24 박미영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90B1 (ko) * 2012-12-10 2014-12-30 농업회사법인 문경미소 주식회사 오미자 오일과 분말이 포함된 조미김 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830A (ko)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40912B (zh) 一种辣椒调味料及其制备方法
CN104855950B (zh) 一种苏麻鸭肉复合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100891276B1 (ko) 녹차, 감식초와 죽염을 이용한 초고추장양념소스 및 그의제조방법
CN110800989A (zh) 一种红油剁椒酱及其制备方法
CN106579103A (zh) 一种即食盐地碱蓬凉菜及其制作方法
KR20130061462A (ko) 육류대체 조리용 콩고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04923B1 (ko) 양념 및 양념육의 제조방법
KR100714845B1 (ko) 조미김용 기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0355613B1 (ko) 홍화씨를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9897A (ko) 곤달비의 영양성분 및 향이 살아 있는 곤달비 나물밥 제조방법
CN103637099A (zh) 一种营养酱豇豆及其制备方法
KR20130061463A (ko) 콩고기 육포 및 그 제조방법
Kamble et al. Process development of instant Moringa pod soup powder supplemented with herbs
CN103610001A (zh) 一种金桔特色酱菜及其制备方法
CN106690260A (zh) 辣椒酱的加工方法
KR20050021404A (ko) 떡갈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067632A (ko) 항산화 야채를 포함하는 김치 소스 및 그를 이용한 만두
KR20090006524A (ko) 새싹채소를 이용한 김치제조방법
KR102582078B1 (ko) 게걸무를 이용한 만두 제조방법
KR102157292B1 (ko) 황태구이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황태양념구이
JPWO2006067906A1 (ja) 蓮からの抽出エキスを含有してなる組成物
KR100484293B1 (ko) 건강에 유익한 양파 즙을 이용한 굴비 마늘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517484B1 (ko) 크릴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JPH1189545A (ja) ルウの製造方法およびハーブソース
WO2021145833A1 (en) Cigkofte with high nutrional value enriched in vitamin and miner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6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