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3122B1 -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122B1
KR100353122B1 KR1020000049514A KR20000049514A KR100353122B1 KR 100353122 B1 KR100353122 B1 KR 100353122B1 KR 1020000049514 A KR1020000049514 A KR 1020000049514A KR 20000049514 A KR20000049514 A KR 20000049514A KR 100353122 B1 KR100353122 B1 KR 100353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bellows member
outer blade
blade membe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273A (ko
Inventor
강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엠
Priority to KR102000004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12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1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2Tubes being 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고, 속이 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우즈부재(10)와;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최외측으로 밸로우즈부재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고, 압축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는 적게 변형되며, 인장력에 대해서는 신축성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둔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내측으로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며, 인장력에 대해서 모션을 적게 제어할 수 있도록 예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사이에 삽입되는 메쉬 링(40)(mesh ring)과;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고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벨로우즈부재(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용캡(50)과 ;
상기 고정용캡(50)의 외측부로 끼워진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20)(30)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 아우터브래이드부재(20)의 외경에 끼워져 위치되는 고정용 벨트(60)로 구성되어 둔각()을 갖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예각()을 가지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로 구성된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가 흡수할 수 없는 과도한 외력 즉, 인장 및 압축력의 변위가 벨로우즈부재(10)로 작용되는 경우 상기 벨로우즈부재(10)를 탄성영역 이내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 사이에 메쉬 링(40)을 삽입하므로서, 두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 및 벨로우즈부재(10)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단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제어기능과 배기관의 구조상 설치공간이 협소하고 불리한 장착 환경에서도 엔진진동 및 노면진동으로 부터 발생되는 밴딩 및 진동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댐핑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Exhaust decoupler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벨로우즈(bellows)의 외측으로 각각 다른 편조각을 갖는 아우터 브래이드 사이에 매쉬링을 삽입하여 벨로우즈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벨로우즈로 가해지는 과도한 외력 및 변위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머플러를 구비한 배기관이 연결되는 데, 그 연결부위에는 진동변위나 충격하중, 열변형등을 흡수하고 완충시키기 위하여, 연결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배기관에 연결되는 연결구는 엔진진동 및 노면 진동으로부터 배기계의 움직임을 따라서 발생되는 진동 및 변위를 흡수하여야 하는데 인장압축, 굽힘 및 비틀림등 각 방향에서 발생되는 과도한 변위가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의 핵심 역학인 기밀유지 및 진동변위 흡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속제 벨로우즈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류의 연결구로는 여러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비교적 소형구조의 연결구로써 미국특허 제 5145215호가 활용되고 있다.
이 미국특허 배기관 연결구의 구조에 의하면, 엔진측과 배기관측에 각각 연결되는 속이 빈 원통형의 내외측 슬리브(sleeve)들의 끝단을 대향지게 절곡시켜 림을 형성하고, 이 내외측 슬리브의 중첩되는 위치인 림의 사이에 완충부재를 위치 시킨다.
그리고, 배기가스의 누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길이 방향에 대한 변위를 흡수 하도록 신축가능한 벨로우즈를 상기 슬리브들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이 슬리브와 벨로우즈가 고정되는 양단에는 외측으로 마감캡이 부착되기도 하며, 용도에 따라 벨로우즈의 외부로는 직조형태로 된 브래이드(braid)가 감싸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벨로우즈부재의 외부를 브래이드부재로 감싸지게 한 상태에서 이들의 양단은 캡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압착한 후 스폿 용접함으로써 마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분리된 슬리브의 중첩되는 대략 중간 위치에서 굴곡 및 신축이 가능한 하나의 변위부가 형성되어, 엔진의 진동이나 주행중 발생되는 충격으로 부터 길이방향의 신축변위 및 배기관 연결구의 전후의 중심축 각도가 교차되는 상태의 굽힘변위에 대하여 림의 사이에 위치된 완충부재와 외부를 감싸는 벨로우즈등이 흡수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의 핵심역할은 기밀유지 및 진동변위 흡수능력이 좋은 금속제 벨로우즈가 주로 맡게 되는데, 벨로우즈 자체만으로는 과도한 변위에 커다란 응력을 받고 스스로 변위 또는 하중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벨로우즈에 대한 각방향의 탄성영역에서 높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통상 아우터 브래이드가 상기 벨로우즈 외측부로 장착된다.
그러나, 현재 널리 사용되는 1겹의 아웃터 브래이드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와이어로 편조된 망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벨로우즈의 외측에 밀착시키지 않는 한, 신축특성에 있어서, 인장 및 압축방향으로 과도한 힘이나 변위에 대한 제한 수단으로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래이드를 벨로우즈에 밀착시킬 경우에는 인장력에 대해서는 제어가 가능하지만, 압축변위에 대해서는 제한의 능력이 없고, 밀착에 따라서 벨로우즈가 마모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한 벨로우즈를 보호하는 아우터블래이드의 구조와 결합이 매우 중요하게 되므로, 본 출원의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 99-0000768호에서는 과도한 외력을 받을 경우 벨로우즈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두겹의 아우터브래이드가 조립되는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커플링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출원의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 99 - 0000768호에서와 같이 아우터 브래이드가 둔각을 갖고 편조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와 예각을 갖고 편조되는 내측 아우터브래이드로 조립되어 벨로우즈를 감싸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가 흡수할 수 있는 이상의 과도한 압축력을 받는다면 아우터브래이드가 변형되어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의 내구 수명을 저하 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전단방향으로 특별한 변위 제어 기능이 없어 전단방향으로 발생하는 모든 외력이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에서 흡수되므로, 결국 내구성이 저하되고, 자동차의 진동 흡수 및 소음저감 효과마저 감소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배기관 연결구가 쉽게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로우즈의 외측으로 각각 다른 편조각을 갖는 아우터 브래이드 사이에 매쉬링(mesh ring)을 삽입하여 상기 아우터 브래이드로 흡수할 수 없는 과도한 인장 및 압축방향으로의 과도한 힘이나 변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쉬 링을 삽입함으로써 전단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제어기능과 배기관의 구조상 설치공간이 협소하고 불리한 장착 환경에서도 엔진진동 및 노면진동으로 부터 발생되는 밴딩 및 진동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댐핑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를 나타낸 반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1의 기본 구조에서 메쉬 링의 양 끝단이 고정용캡과 벨트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3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용 커버부재를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5 ∼ 도 8은 벨로우즈 내측에 구비되는 가스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벨로우즈부재 20 -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
30 -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 40 - 메쉬 링
50 - 고정용캡 60 - 고정용 벨트
70 - 보호용 커버부재 100- 가스안내수단
110 - 인너브래이드부재 111 - 인너브래이드 고정용 벨트
120 - 인터록부재 121 - 인터록 고정용 인너 슬리브
130 - 가스안내용 인너 슬리브부재 140 - 댐핑링
140 - 댐핑링 고정용 슬리브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고, 속이 빈 원통형으로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우즈부재(10)와;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최외측으로 밸로우즈부재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고, 압축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는 적게 변형되며, 인장력에 대해서는 신축성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둔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내측으로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며, 인장력에 대해서 모션을 적게 제어할 수 있도록 예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사이에 삽입되는 메쉬 링(40)(mesh ring)과;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고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벨로우즈부재(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용캡(50)과 ;
상기 고정용캡(50)의 외측부로 끼워진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20)(30)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외경에 끼워져 위치되는 고정용 벨트(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 다른 편조각을 갖는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가 흡수할 수 없는 외력 즉, 인장 및 압축력의 변위가 벨로우즈부재(10)로 작용되는 경우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20)(30)사이에 삽입된 메쉬 링(40)에 의해 흡수되어 전체허용가능외력을 더욱 증가 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단방향으로 발생되는 모든 외력도 두겹의 아우터브래이드와 메쉬 링(40)이 동시에 흡수하므로 전단방향으로도 변위제어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도로서 구조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메쉬 링의 양 끝단을 고정용 캡과 벨트사이에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외측 아우터브래이드의 일측에 보호용 커버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의 양측단에 보호용 커버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인너브래이드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인터록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가스안내용 슬리브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본구조에서 댐핑링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속이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벨로우즈부재(10)는 주름진 관형상으로 축방향 내지 굴곡방향에 대하여 그 변위를 흡수한 후 외력이 제거될 때 복원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 즉, 최외측부로는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고, 압축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는 적게 변형되며, 인장력에 대해서는 신축성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둔각()을 갖고 편조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가 위치된다.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가 비교적 각도가 큰 둔각()으로 편조되는 이유는 벨로우즈부재(10)로 가해지는 커다란 외력, 즉, 압축력에 의한 변위가 발생될 경우, 압축력에 대한 모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서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면서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내측으로는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며, 인장력에 대해서 모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예각()을 갖고 편조되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가 위치된다.
상기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는 공간부(21)가 형성되도록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쪽에 위치하면서, 자동차의 배기계에서 발생되는 인장 및 압축과 같은 커다란 외력중 과도한 인장력으로부터벨로우즈부재(10)의 모션을 소량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21)에는 어느 방향으로도 압축된 후 다시 복원하려는 탄성을 반영구적으로 갖는 특성을 가지며, 통상적으로 가는 철사로 직조된 망체를 압축하여 링형상으로 성형된 메쉬 링(40)이 삽입된다.
따라서, 외측과 내측에 각각 2겹의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를 위치시키므로, 연결구의 공진점에서 댐핑효과가 커지므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연결구에 수반되는 배기계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도 향상되어, 벨로우즈부재(10)의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 사이에 메쉬 링(40)이 삽입되어지므로 외력 즉, 인장 및 압축력의 변위가 벨로우즈부재(10)로 작용되는 경우 상기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20)(30)와 동시에 외력을 흡수하여 전체허용 가능외력을 더욱 증가시켜 줄 수 있으며, 전단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을 흡수하여 전단방향으로의 변위 제어기능을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도한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부터 벨로우즈부재(10)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쉬 링(40)은 상기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사이의 접촉면과 밴딩시 마찰이 수없이 반복되므로 원할한 운동과 미끄럼시 마찰음 저감, 마모의 방지를 위하여 적절한 흑연 코팅이나 인슐레이션 코팅등 적당한 표면처리수단등으로 윤활 코팅처리하는 것도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벨로우즈부재(10)의 단부에는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용캡(50)이 위치된다.
상기 고정용캡(50)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위치된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몸체 외부에서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매개체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캡(50)의 외측부로는 벨로우즈부재(10)에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가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벨트(6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용 벨트(60)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외경에 끼워져 장착된 후 용접에 의해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각각의 브래이드부재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견고히 위치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용캡(50)이 벨로우즈부재(10)에 끼워진 후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의 내경으로 끼워져,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각각의 브래이드부재를 지지한 후, 원주방향으로 조임기능을 갖는 고정용 벨트(60)를 이용하여,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외경에서 밀착시켜, 최종적으로 용접에 의해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로 각각의 브래이드부재를 고정시킬 수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쉬 링(40)의 양 끝단은 고정용캡(50)과 고정용 벨트(60)사이에 고정되어, 두 겹으로 이루어진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에 가해지는 인장 및 압축변위를 균일하게 흡수하도록 하여, 아우터 브래이드의 양끝단에서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가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용 커버부재(70)를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를 감싸도록 한쪽에 고정시킬수도 있으며, 혹은 양측단에 보호용 커버부재(70)를 고정시키고, 두개의 보호용 커버부재(70)가 중앙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결합시켜 조립한다.
한편,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부로는 선택적으로 신축, 휨등의 변형을 동시에 흡수하면서 벨로우즈부재(10)의 탄성한도 내에서 변위를 제어하며, 배기가스의 안내관으로써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고온의 배기가스로부터 벨로우즈부재(10)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스안내수단(10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 인너브래이드부재(110) 및 인터록부재(120), 인너 슬리브부재(130) 또는 댐핑링(14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너브래이드부재(1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와이어 재질로 편조된 망체를 사용하며,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으로 인너브래이드 고정용 벨트(111)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설치된다.
즉, 상기 인너 브래이드부재(110)는 축 또는 굽힘 변위를 받을 때, 양단 고정일 경우에는 2 겹의 와이어 편조망 사이에 마찰이 생겨 댐핑효과를 발생시키며, 한단 또는 양단 고정일 경우에는 상기 벨로우즈부재(10) 내부에 속이 빈 관형상으로 장착되어 배기가스가 통과될 때 주름진 벨로우즈부재(10)에 의해 배기저항이 발생되거나 배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벨로우즈부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인터록부재(12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부로 소정의 갭(gap)이 유지된 상태로 위치되며, 나선형으로 감겨져 주로 길이 방향 및 굽힘방향 변형을 흡수 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로는 외력에 의한 변위를 흡수 또는 제어하기 위하여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 사이에 메쉬 링(40)이 삽입되고, 다시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으로는 길이 방향 및 굽힘방향 변형을 흡수시키는 인터록부재(12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 증대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터록부재(120)는 링형상의 인터록 고정용 슬리브(121)를 매개체로 상호 연결되어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인터록 고정용 슬리브(121)의 타단은 인터록부재(120)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게 성형된 상태에서 일부 중첩시켜 스폿 용접을 수곳에 행하는 것에 의해 벨로우즈부재(10)와 인터록부재(120) 사이를 상호 완전하게 결합토록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는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로우즈부재(10)를 보호하며, 고온의 배기가스가 내부로 통과되도록 접속되는 관형상의 가스안내용 인너 슬리브부재(13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스안내용 인너 슬리브부재(130)는 몸체 일측부를 절곡되게 성형한후 벨로우즈부재(10)의 단부와 일부 중첩시켜 스폿 용접에 의해 고정시켜 사용하므로, 벨로우즈부재(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과대한 압축 및 전단력에 대한 조절기능과 진동변위를 흡수하는 댐핑기능을 수행하는 댐핑링(140)을 구비할 수 도 있다.
상기 댐핑링(140)은 상기 벨로우즈부재(10) 내측에 양끝단을 댐핑링 고정용 슬리브(141)로 고정시키므로서 설치되어, 상기 댐핑링 고정용 슬리브(141)에 의해서 배기가스가 안내되며, 댐핑링(140)은 상기에서 언급한 기능을 수행하여 벨로우즈를 보호하게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둔각()을 갖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예각()을 가지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로 구성된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가 흡수할 수 없는 과도한 외력 즉, 인장 및 압축력의 변위가 벨로우즈부재(10)로 작용되는 경우 상기 벨로우즈부재(10)를 탄성영역 이내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두겹의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 사이에 메쉬 링(40)을 삽입하므로서, 벨로우즈부재(10)의 변형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단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제어기능과 배기관의 구조상 설치공간이 협소하고 불리한 장착 환경에서도 엔진진동 및 노면진동으로 부터 발생되는 밴딩 및 진동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댐핑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고, 속이 빈 원통형으로 파형의 주름이 반복 성형되는 금속재의 벨로우즈부재(10)와;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최외측으로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고, 압축방향으로의 변위에 대해서는 적게 변형되며, 인장력에 대해서는 신축성있게 변형될 수 있도록, 둔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와;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내측으로 벨로우즈부재(10)의 표면과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며 감싸지게 위치되며, 인장력에 대해서 모션을 적게 제어할 수 있도록 예각()을 가지고 편조되는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 사이에 삽입되는 메쉬 링(40)(mesh ring)과;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30)가 벨로우즈부재(10)의 외측부에 고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내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30)와 벨로우즈부재(10)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용캡(50)과 ;
    상기 고정용캡(50)의 외측부로 끼워진 상기 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20)(30)를 용접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외경에 끼워져 위치되는 고정용 벨트(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링(40)의 양 끝단은 고정용캡(50)과 고정용 벨트(60)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보호용 커버부재(70)를 고정시켜 이 외측 아우터 브래이드부재(20)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우즈부재(10)의 내측부로는 선택적으로 신축, 휨등의 변형을 동시에 흡수하면서 벨로우즈부재(10)의 탄성한도 내에서 변위를 제어하며, 배기가스의 안내관으로써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고온의 배기가스로 부터 벨로우즈부재(10)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스안내수단(10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5.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는 인너 브래이드부재(110)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6.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는 인터록부재(120)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7.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는 가스안내용 인너 슬리브부재(130)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8. 청구항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안내수단(100)으로는 댐핑링(140)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1020000049514A 2000-08-25 2000-08-25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514A KR100353122B1 (ko) 2000-08-25 2000-08-25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514A KR100353122B1 (ko) 2000-08-25 2000-08-25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273A KR20020016273A (ko) 2002-03-04
KR100353122B1 true KR100353122B1 (ko) 2002-09-16

Family

ID=1968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5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122B1 (ko) 2000-08-25 2000-08-25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447B1 (ko) * 2002-06-29 2005-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보차저의 구조전달음 감쇄장치
CN110645430A (zh) * 2019-10-28 2020-01-03 安徽欣景隆轨道车辆装备有限公司 一种管道连接装置
CN110617376A (zh) * 2019-10-28 2019-12-27 安徽欣景隆轨道车辆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管道的膨胀应力吸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421A (ja) * 1989-07-14 1991-02-28 Tanaka Pipe:Kk 排気マフラのインナパイプ製作方法
JPH051532A (ja) * 1991-06-25 1993-01-08 Toyota Motor Corp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装置
JPH10331630A (ja) * 1997-04-10 1998-12-15 Senior Eng Investments Ag 排気マニホルド取り付け装置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H11264317A (ja) * 1997-12-05 1999-09-28 Senior Eng Investments Ag デカップラ装置のための一体型フランジ・メッシュ・リング組立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421A (ja) * 1989-07-14 1991-02-28 Tanaka Pipe:Kk 排気マフラのインナパイプ製作方法
JPH051532A (ja) * 1991-06-25 1993-01-08 Toyota Motor Corp 排気管用フレキシブルパイプ装置
JPH10331630A (ja) * 1997-04-10 1998-12-15 Senior Eng Investments Ag 排気マニホルド取り付け装置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JPH11264317A (ja) * 1997-12-05 1999-09-28 Senior Eng Investments Ag デカップラ装置のための一体型フランジ・メッシュ・リング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273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3123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101570921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US6164703A (en) Exhaust coupler
KR100294471B1 (ko) 자동차배기관용플랙시블튜브
GB2278901A (en) Engine exhaust joint with bellows and damping cushion
KR101480355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KR20010049258A (ko) 플렉시블 커플러 장치
KR100602770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US6047993A (en) Arrangement for connection pipe piec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53122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EP1431538A1 (en) Flexible coupling member for exhaust lines
KR200184089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연결구
KR100457210B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200313051Y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200240736Y1 (ko) 자동차용 플렉시블 커플링
KR100492081B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튜브
KR100393395B1 (ko) 자동차용 플랙시블 튜브
KR200243764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랙시블 커플링
KR0119591Y1 (ko) 배기관용 연결구
KR200216150Y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100537959B1 (ko) 엔진 배기관용 디커플러
KR200150355Y1 (ko) 자동차 배기관용 디커플러
KR0154369B1 (ko) 배기관용 연결구
KR200280298Y1 (ko) 자동차 배기관용 연결구
KR200324882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죠인트의 인너브레이드의 지지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