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3098B1 - 디지탈데이타샘플링위상변환회로및변환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탈데이타샘플링위상변환회로및변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098B1
KR100353098B1 KR1019950024770A KR19950024770A KR100353098B1 KR 100353098 B1 KR100353098 B1 KR 100353098B1 KR 1019950024770 A KR1019950024770 A KR 1019950024770A KR 19950024770 A KR19950024770 A KR 19950024770A KR 100353098 B1 KR100353098 B1 KR 100353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data
period
digital data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791A (ko
Inventor
도미따요시노리
세누마도시따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08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0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6Non-recursive filters
    • H03H17/0621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 H03H17/0628Non-recursive filters with input-sampling frequency and output-delivery frequency which differ, e.g. extrapolation; Anti-aliasing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being derived from two separate clocks, i.e. 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목적] 디지탈 데이타의 샘플링 위상을 변환한다.
[구성] 제 1 클럭 CK 에 동기한 제 1 디지탈 데이타 DIN 를, 제 1 클럭 CK 과 비동기적인 제 2 클럭 XCK 에 동기한 제 2 디지탈 데이타 DOUT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를 대상으로 한다.
제 1 클럭 CK 의 1 주기를 N개(N≥2)의 기간으로 분할한다. 이 각각의 분할기간마다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 KA, KB 를 정한다. 이 분할기간마다의 제 1 및 제 2 보간 계수 KA, KB중 제 2 클럭 XCK 이 위치하는 분할기간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 KA, KB 를 사용하여, 제 1 의 디지탈 데이타 DIN 중, 어느 한 클럭 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기간의 데이타로부터, 제 2 디지탈 데이타 DOUT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회로 및 변환 방법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디지탈 데이타의 샘플링 위상의 변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VTR, 예컨대 8 밀리 비디오에 있어선, 기록시 제 6도에 도시하듯이, 휘도 신호가 FM 신호 SY 로 변환되며, 반송 색신호 SC 가 FM 휘도 신호 SY 의 저역측에 주파수 변환되고, 오디오 신호가 신호 SC 와 신호 SY 사이 대역의 FM 신호 SA 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들 신호 SY, SC, SA 의 트래킹 서보용의 파일롯 신호 SP 와의 주파수 다중화 신호 SF 가 회전 자기 헤드에 의해서 1 필드기간의 신호 SF 가 경사의 1개의 자기 트랙으로 되게 자기 테이프에 기록된다.
따라서, 그 재생계는 예컨대 제 7도에 도시하듯이 수성할 수 있다. 즉, 회전 자기 헤드 11A, 11B 에 의해 자기 테이프(1)로부터 주파수 다중화 신호 SF 가 연속해서 재생되며, 이 재생된 신호 SF 가 재생 앰프(12)를 통해서 서보 회로(41)에 공급되고, 신호 SF 에 포함되는 파일롯 신호 SP 에 의해 테이프(1)의 트랙에 대한 헤드(11A, 11B)의 트래킹 서보가 행해진다.
또, 앰프(12)로부터의 신호 SF 가 대역 필터(13)에 공급되어 FM 휘도 신호 SY 가 꺼내어지며, 이 신호 SY 가 A/D 변환기(14)에 공급되어, 예컨대, 샘플링 주파수가 색부반송 주파수 fsc (약 3.58MHz)의 8배로, 1 샘플이 8 비트의 디지탈 신호 SY 로 A/D 변환된다. 그리고, 이 신호 SY 가 처리 회로(15)에 공급되어 FM 복조, 디엠파시스등의 처리가 행해져, 이 처리된 신호 SY 가 D/A 변환기(16)에 공급되어 원래의 기저대의 휘도 신호 Y 로 D/A 변환되고, 이 신호 Y 가 단자(17)에 꺼내어진다.
또한, 앰프(12)로부터의 신호 SF 가 대역 필터(21)에 공급되어 반송 색 색호 SC 가 꺼내어지며, 이 신호 SC 가 A/D 변환기(22)에 공급되며, 예컨대, 샘플링 주파수가 색부반송 주파수 fsc 의 4 배이고, 1 샘플이 8 비트인 디지탈 신호 SC 로 A/D 변환된다.
그리고, 이 신호 SC 가 처리 회로(23)에 공급되어서 APC, 트랙간 크로스토크 성분의 제거등의 처리가 행해지는 동시에, 기저대의 적색 및 청색의 색차 신호(R-Y), (B-Y)로 색복조되고, 이들 색차 신호(R-Y), (B-Y)가 후술하는 변환 회로(24)를 통해서 NTSC 인코더(25)에 공급되고, 색복조 반송 주파수가 주파수 fsc 의 반송 색 차 신호 SS 에 인코딩되고, 이 신호 SS 가 D/A 변환기(26)에 공급되어서 원래 반송 색 신호(SS)로 D/A 변환되고, 이 신호 SS 가 단자(27)에 꺼내어진다.
또, 이때, D/A 변환기(16)로부터의 휘도 신호 Y 와 D/A 변환기(26)로부터의 반송 색 신호 SS 가 가산 회로(18)에 공급되어서 NTSC 칼라 합성 신호가 합성되고, 이 신호가 단자(19)에 꺼내어진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런데, 상술한 재생계에 있어서, 재생된 FM 휘도 신호 SY 및 반송 색 신호 SC 는 지터(jitter)등의 시간측 변동을 갖고 있다. 또, 변속 재생시에도, 시간축이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처리 회로(15, 23)에 있어서, 각종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경우, 그 클럭은 재생 FM 휘도 신호 SY 에 포함되는 수평 등기 신호로 형성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 결과, 처리 회로(15, 23)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 Y 와처리 회로(33)로부터 출력되고 색차 신호(R-Y), (B-Y)사이에 있어서, 샘플링 위상(데이터가 얻어지는 시점의 위상)에 변동을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처리 회로(23)로부터의 색차 신호(R-Y), (B-Y)의 샘플링 위상의 안정화 및 위상 맞춤을 행하는 회로가 변환 회로(24)이다. 즉, 회로(24)는 처리 회로(23)와 인코더(25)가 비동기에서 동작하고 있어도, 처리 회로(23)로부터의 색차 신호(디지탈 데이타)의 샘플링 위상을 인코더(25)의 클럭 위상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또, 제 7도는 재생계의 경우인데, 기록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반송 색 신호의 디지탈 처리부에 샘플링 위상의 안정화 및 위상 맞춤을 행하는 변환 회로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디지탈 데이타의 샘플링 위상의 변환 회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우수한 특성의 변환 회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선 각부의 참조부호를 후술의 실시예에 대응시키면, 제 1 클럭 CK 에 동기한 디지탈 데이타 DIN 는 제 1 클럭 CK 과는 비동기의 제 2 클럭 XCK 에 동기한 제 2 디지탈-데이타 DOUT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에 있어서,
제 1 클럭 CK 의 1 주기 τ를 N개 (N≥2)의 기간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기간의 각각마다에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 KA, KB 를 정하고, 이 분할기간마다 제 1 및 2 의 보간 계수 KA, KB 중, 제 2 클럭 XCK 이 위치하는 분할기간에 있어서의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 KA, KB 를 사용하고, 제 1 의 디지탈 데이타 DIN 중, 어느 클럭기간의 데이타(n+1)와, 다음의 클럭 기간의 데이타(n+2)로부터, 제 2 디지탈 데이타 DOUT를 생성하게 이뤄진다.
(작 용)
제 1 디지탈 데이타가 등가적으로 N개의 샘플링 주파수의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되는 동시에, 그중의 제 2 의 블럭 위치의 데이타가 변환 출력으로서 꺼내어진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1 예를 도시하는 계통도.
제 2도는 제 1도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3도는 보간용 계수익 1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계통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게통도.
제 6도는 주파수 스펙트럼의 1 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7도는 VTR 의 재생계의 1 예를 도시하는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변환 회로 52A, 52B : D 플립플롭 회로
53A, 53B : 승산 회로 54 : 가산 회로
55 : D 플립플롭 회로 62 : T 플립플롭 회로
64, 68 : D 플립플롭 회로 65 : 지연 회로
69 : 보간 계수 형성 회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 데이타 DIN 의 샘플링 위상을 변환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특히 이 변환 회로(50)에 의하면, 입력 데이타 DIN 를, 예컨대 4배의 클럭으로 샘플링하고 샘플링 위상을 변환하고 있는 것과 등가로 된다. 따라서, 출력용의 클럭 XCK 과 입력 데이타 DIN 의 샘플링 점과의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하고 있어도, 그 위상차는 작은 범위에 수용되는 것으로 되며, 클럭 XCK 이 클럭 CK 에 대해서 앞지르거나 늦어지거나 해도 출력 데이타 DOUT에 생기는 왜곡을 작게할 수 있다.
또, 예컨대 4배의 샘플링 주파수로 필터링할 수 있으므로, 입력 데이타 DIN 의 대역폭에 대해서 샘플링 주파수에 여유가 있으며, 탭수가 적은 필터로도 주파수 특성을 열화를 적게한다.
(실시예)
제 1도에 있어서, 50 은 디지탈 데이타의 샘플링 위상의 변환 회로의 1 예를 도시하며, 이것은 예컨대 제 6도의 변환 회로(24)에 있어서, 색차 신호(R-Y) 또는 (B-Y)를 변환하는 변환 회로에 대응한다. 그리고, 변환되어야 할 디지탈 데이타 DIN 가 단자(51)를 통해서 플립플롭 회로(52A, 52B)의 D 입력에 공급된다.
이 경우, 데이타 DIN 는 1 샘플이 예컨대 8 비트의 병렬 데이타로 되며, 따라서, 플립플롭 회로(52A, 52B)도 각각 8 비트의 입출력의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예컨대, 제 2도 A에 도시하듯이, 데이타 DIN 의 1 샘플기간(1 클럭기간)을 값 τ 로 하는 동시에, 데이타 DIN 의 샘플번호를 n, n+1, n+2, .... 로 한다.
또, 단자(61)에는 클럭 CK 이 공급된다. 이 클럭 CK 은 예컨대, 제 6도의 재생계이면, 수평 동기 펄스가 PLL 에 공급되어 형성된 펄스이며, 제 2도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 DI 에 동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 클럭 CK 이 단자(61)를 통해서 T 플립플롭 회로(62)에 공급되며, 제 2도 C, D에 도시하듯이 1 샘플기간 τ 마다 반전하고, 또한 서로 역상인 펄스 Q62, Q62! 가 꺼내어지고, 이들 펄스 Q62, Q62! 가 플립플롭 회로(52A, 52B)에 그 클럭으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플립플롭 회로(52A)로부터는, 제 2도 E에 도시하듯이, 데이타 DIN중 예컨대 짝수번째 샘플의 데이타 DA 가 기간 2τ의 주기로 꺼내어지며, 플립플롭 회로(52B)로부터는 제 2도 F에 도시하듯이 데이타 DIN중 홀수번째의 샘플 데이타 DB 가 기간 2τ의 주기로, 또한 데이타 DA 보다 기간 τ만큼 지연되어서 꺼내어진다.
또한, 플립플롭 회로(62)로부터의 펄스 Q62 가 D 플립플롭 회로(63)의 D 입력에 공급되는 동시에, 단자(61)로부터의 클럭 CK 이 인버터(63)에 공급되어서 제 2도 G에 도시하듯이 위상이 반전된 펄스 Q63 로 되며, 이 펄스 Q63 가 플립플롭 회로(64)에 그 클럭으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플립플롭 회로(64)로부터는, 제 2도 H에 도시하듯이, 데이타 DIN 의 각 샘플의 중앙의 시점마다 반전하는 펄스 Q64 가 꺼내어진다.
또, 인버터(63)로부터의 펄스 Q63 가 지연 회로(65)에 공급되어서 제 2도 I에 도시하듯이 펄스 Q63 보다 기간 /4τ만큼 지연된 펄스 Q65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펄스 Q65 가 논리곱 회로(66)에 공급되는 동시에, 플립플롭 회로(64)로부터의 펄스 Q64 가 논리곱 회로(66)에 공급되며 논리곱 회로(66)로부터는 제 2도 J에 도시하듯이 짝수번째의 데이타 DA 의 중앙의 1/2τ기간에 상승하고 있는 펄스 Q66 가 꺼내어진다. 그리고 이 펄스 Q66 가 보간 계수 형성 회로(69)에 공급된다.
더우기, 지연 회로(65)로부터 펄스 Q65 가, 논리곱 회로(67)에 공급됨과 동시에, 플립플롭 회로(64)로부터의 펄스 Q64 가 논리곱 회로(67)의 부논리 입력에 공급되며, 논리곱 회로(67)로부터는 제 2도 K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짝수번째의 데이타 DB 의 중앙의 1/2τ기간에 서 있는 펄스 Q67 가 꺼내어진다. 그리고, 이 펄스 Q67 는, 보간 계산 형성 회로(69)에 공급된다.
또, 논리곱 회로(66)로부터의 펄스 Q66 가 D 플립플롭 회로(68)의 D 입력에 공급되는 동시에, 단자(61)로부터의 클럭 CK 이 플립플롭 회로(68)에 그 클럭으로서 공급되며, 플립플롭 회로(68)로부터는 제 2도 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DA, DB 의 변환시점마다 반전하는 펄스 Q68 가 꺼내어진다.
그리고, 이 펄스 Q68 가 형성 회로(69)에 공급된다. 더우기, 인버터(63)로부터의 펄스 Q63 도 형성 회로(69)에 공급된다.
따라서, 형성 회로(69)에는, 펄스 Q68, Q66, Q69, Q63 이 공급되는데, 이들 펄스 Q68-Q63 를 조합했을 때 주기는, 제 2도로도 분명하듯이, 기간 2τ이다. 따라서, 제 2도 M에 도시하듯이, 8 등분하고 그 분할기간을 차례로 기간 T1-T8 으로 한다.
그리고, 이 예에 있어선, 입력 데이타 DIN 에 대해서 선형 보간을 행하여 목적으로 하는 출력 데이타 DOUT를 얻는 경우이다. 이 때문에, 형성 회로(69)로부터는 기간 T1-T8 에, 예컨대, 제 3도에 도시하듯이, 1/4τ기간마다 값이 1/4씩, 또한 서로 상보적으로 변환하는 보간 계수 KA, KB 가 꺼내어진다.
그리고, 플립플롭 회로(53A, 53B)로부터의 데이타 DA, DB 가 승산 회로(53A, 53B)에 공급되는 동시에, 형성 회로(69)로부터의 계수 KA, KB 가 승산 회로(53A, 53B)에 공급되어서 데이타 DA, DB 에 승산되고, 승산 회로(54)로부터는 제 2도 N에 도시하듯이 D54=KA·DA+KB·DB 로 나타내어지는 데이타 D54 가 꺼내어진다.
따라서, 각 클럭기간 τ의 데이타 D54 는 데이타 DIN 중의 앞의 샘플이 차지하는 비율이 1/4τ기간마다 차차로 감소되는 동시에, 다음의 샘플이 자리하는 비율이 1/4τ기간마다 차차로 증가해가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예컨대 제 2도 O에 실선으로 나타내듯이 (이것은, D/A 변환했을 때 파형), 데이타 D54 는 데이타 DIN 가 직선 보간되고, 1/4τ기간마다 변화하는 파형으로 된다.
그리고, 이 데이타 D54 가 D 플립플롭 회로(55)의 D 입력에 공급되는 동시에, 제 2도 P에 도시하듯이 샘플링 위상의 변환후에 있어서의 클럭 XCK 이 단자(56)로부터의 플립플롭 회로(53)에 그 클럭으로서 공급된다. 이 클럭 XCK 은 예컨대, 제 6도의 재생계의 경우이면, 수정 발진 회로에서 형성된 안정된 주파수 및 위상의 신호이다.
이렇게 해서 플립플롭 회로(55)에 있어서 제 2도 Q에 도시하듯이 데이타 Q54 가 클럭 XCK 마다 래치되고 이 래치 결과의 데이타 DOUT가 단자(57)에 꺼내어진다.
그러면, 이 경우, 입력 데이타 DIN 을 보간에 의해 4배의 샘플링 주파수의 데이타 D54 로 변환하고, 이 데이타 D54중 클럭 XCK 의 시점의 샘플을 데이타 DOUT로서 꺼낸 것이므로, 이 데이타 DOUT는 입력 데이타 DIN 의 샘플링 위상을 클럭 XCK 의 위상으로 변환한 데이타 밖의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변환 회로(50)에 의하면 입력 데이타 DIN 의 샘플링 위상을 변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특히, 이 변환 회로(50)에 의하면 입력 데이타 DIN 는 그 4배의 클럭으로 샘플링 하고 샘플링 위상을 변환하고 있는 것과 등가로 된다. 따라서, 출력용의 클럭 XCK 과 입력 데이타 DIN 의 샘플링점 사이에 위상차를 발생하고 있어도, 그 위상차는 작은 범위에 수용되게 되며, 클럭 XCK 이 클럭 CK 에 대해서 앞지르거나 늦어지거나 해도 출력 데이타 DOUT에 생기는 왜곡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4배의 샘플링 주파수로 필러링할 수 있으므로, 입력 데이타 DIN 의 대역폭에 대해서 샘플링 주파수에 여유가 있고, 탭수가 적은 필터로도, 주파수 특성의열화를 적게하는 제 1도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선, 가산 회로(54)에 있어서 합성된 데이타 D54중, 클럭 XCK 시점의 데이타를 D 플립플롭 회로(55)에 있어서 래치하므로서 출력 데이타 DOUT를 얻은 경우인데, 제 4도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선, 합성되기 전에 각 데이타를 래치하므로서 출력 데이타 DOUT를 얻게 한 경우이다.
즉, 제 4도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선, D 플립플롭 회로(53A, 53B)로부터의 데이타 DA, DB 가 D 플립플롭 회로(71A, 71B)에 공급되는 동시에, 클럭 XCK 이 D 플립플롭 회로(71A, 71B)에 그 클럭 입력으로서 공급되며, 데이타 DA, DB 중, 클럭 XCK 의 상승 시점의 데이타가 그 클럭기간, D 플립플롭 회로(71A, 71B)에 래치되며, 이 래치된 데이타 DA, DB 가 승산 회로(53A, 53B)에 공급된다.
또, 펄스 Q68, Q66, Q67, Q63 가 D 플립플롭 회로(72-75)를 통해서 형성 회로(69)에 공급되는 동시에, 클럭 XCK 이 D 플립플롭 회로(72-75)에 공급되며, 클럭 XCK 의 상승 시점, 즉, 기간 T1-T8 중에서 클럭 XCK 의 상승이 위치하는 기간의 계수 KA, KB 가 그 클럭기간, 승산 회로(53A, 53B)에 공급된다.
따라서, 가산 회로(54)로부터는 샘플링 위상이 클럭 XCK 의 시점으로 변환된 데이타 DOUT가 출력되는 것으로 되며, 이것이 단자(57)에 꺼내어진다.
또, 제 5도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선, 클럭 XCK 의 상승 시점에 있어서의 펄스 Q68, Q66, Q67, Q63 가 D 플립플롭 회로(72-75)에 있어서, 다음의 클럭 XCK 의 상승까지 래치된다. 그리고, 그 래치 결과가 위상 판정 회로(76)에 공급되며 그 펄스 Q68, Q66, Q67, Q63 가 기간(T1-T8)중의 어느 기간의 것이냐가 판정되는 동시에, 그 판정 결과가 클럭 XCK 의 기간 유지된다.
그리고, 그 판정 결과가 형성 회로(69)에 공급되며, 기간 T1~T8 중의 판정된 기간에 대응하는 계수 KA, KB 가 꺼내어지며, 이 계수 KA, KB 가 승산 회로(53A, 53B)에 각각 공급된다. 따라서, 가산 회로(54)로부터는 샘플링 위상이 클럭 XCK 의 시점으로 변환된 데이타 DOUT가 출력되는 것으로 되며 이것이 단자(57)에 꺼내어진다.
또한, 상술에 있어선, 형성 회로(69)에 있어서 데이타 DA, DB 를 직선 보간하는 계수 KA, KB 를 형성했을 때 다른 함수에 의한 보간의 계수로 할 수도 있다. 또, 기간 T4, T5 및 T8, T1 에 데이타 DA, DB 의 레벨이 안정되고 있지 않는 경우엔 예컨대 하나 앞의 샘플로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지연 회로(65)는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하거나 가운터를 사용해서 디지탈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7)

  1. 제 1 클럭에 동기한 제 1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제 1 클럭과 비동기의 제 2 클럭에 동기한 제 2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의 1 주기를 N개 (N≥2)의 기간으로 분할하는 분할 회로와;
    상기 각각의 분할기간마다 제 1 및 제 2 보간 계수를 정하는 계수 설정 회로와;
    상기 분할기간마다의 제 1 및 제 2 보간 계수중, 상기 제 2 클럭이 위치하는 분할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보간 계수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기간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생성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간마다, 그 분할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의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기간의 데이타로부터 N배의 클럭 주파수의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디지탈 데이타중, 상기 제 2 클럭이 위치하는 상기 분할기간의 데이타를 꺼낸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간중, 상기 제 2 클럭이 위치하는 분할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꺼내고,
    상기 꺼낸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 기간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회로.
  4. 제 1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회로.
  5. 제 1 의 클럭에 동기한 제 1 디지탈 데이타를 상기 제 1 클럭과 비동기의 제 2 클럭에 동기한 제 2 의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는 변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럭의 1 주기를 N개(N≥2)의 기간으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분할기간마다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정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기간마다의 제 1 및 제 2 의 보간계수중, 상기 제 2 의 클럭이 위치하는 분할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의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기간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간마다. 그 분할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사용하고, 상기 제 1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기간의 데이타로부터 N배의 클럭 주파수의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디지탈 데이타중, 상기 제 2 클럭이 위치하는 상기 분할기간의 데이타를 꺼내어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 샘플링 위상 변환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기간중, 상기 제 2 의 클럭이 위치하는 분할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꺼내고,
    상기 꺼낸 제 1 및 제 2 의 보간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디지탈 데이타중, 어느 한 클럭기간의 데이타와 그 다음 클럭 기간의 데이타로부터 상기 제 2 디지탈 데이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타샘플링 위상 변환 방법.
KR1019950024770A 1994-08-12 1995-08-11 디지탈데이타샘플링위상변환회로및변환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0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12107 1994-08-12
JP21210794A JP3528868B2 (ja) 1994-08-12 1994-08-12 デジタルデータのサンプリング位相の変換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791A KR960008791A (ko) 1996-03-22
KR100353098B1 true KR100353098B1 (ko) 2003-01-06

Family

ID=16617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7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3098B1 (ko) 1994-08-12 1995-08-11 디지탈데이타샘플링위상변환회로및변환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70038A (ko)
EP (1) EP0699005B1 (ko)
JP (1) JP3528868B2 (ko)
KR (1) KR100353098B1 (ko)
DE (1) DE695152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3635B4 (de) * 1996-04-04 2005-03-17 Hitachi, Ltd. Videokameravorrichtung vom digitalen Aufzeichnungstyp
KR100541053B1 (ko) * 2003-02-11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들간의 출력 동기가 보정된 다중 프로세스 a/d컨버터
US6809664B1 (en) * 2003-06-26 2004-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 width data bus, single rate to single width data bus, double rate converter circuit
AU2006327848A1 (en) * 2005-07-08 2007-06-28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ete Gmbh CMOS full wave rectifier
US8248141B2 (en) 2005-07-08 2012-08-21 Med-El Elekromedizinische Geraete Gmbh Data and power system based on CMOS brid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92108B1 (en) * 1987-04-10 1994-12-28 Sony Corporation Time base correctors for image signals
JP2731151B2 (ja) * 1987-09-18 1998-03-25 株式会社東芝 位相情報検出回路
US5301196A (en) * 1992-03-16 1994-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alf-speed clock recovery and demultiplexer circuit
US5774080A (en) * 1994-12-15 1998-06-30 Analog Devices, Incorporated Reduced transistor-count data storage and multiplex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99005A3 (en) 1997-04-16
DE69515234T2 (de) 2000-07-13
EP0699005B1 (en) 2000-03-01
EP0699005A2 (en) 1996-02-28
DE69515234D1 (de) 2000-04-06
US5870038A (en) 1999-02-09
KR960008791A (ko) 1996-03-22
JPH0856369A (ja) 1996-02-27
JP3528868B2 (ja)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9670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olor video signal
KR100353098B1 (ko) 디지탈데이타샘플링위상변환회로및변환방법
KR930010690B1 (ko) 시간축 보정 장치의 서입 클럭 발생회로
KR970002147B1 (ko) 컬러 성분 신호 변환 장치
EP0145376B1 (en) Carrier chrominance signal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745492A (en) Video signal digital processing system using lower sampling frequency for chroma signal data decimation
JPS6386980A (ja) 周期ノイズ除去装置
US4805034A (en) Color video signal transmission system
EP0213207B1 (en) Video signal processor
JP3063480B2 (ja) ディジタル色信号処理方法
JPH05199543A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処理回路
JPS60187195A (ja) 映像信号の記録再生装置
US48856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ly recording and reproducing a color video signal for a SECAM system
JP3509204B2 (ja) カラー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H0319094Y2 (ko)
JP2602533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648041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666771B2 (ja) 位相同期回路
JPS63226192A (ja) 色信号処理装置
JPS62140557A (ja) 映像信号再生装置における信号分離回路
JPH0722416B2 (ja) Vtrの時間軸補正装置
JPH034158B2 (ko)
JPH06311482A (ja) 映像信号再生方法及び映像信号のa/d変換方法
JPS62140572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S6245293A (ja) 画像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8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