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50422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422B1
KR100350422B1 KR1020000083364A KR20000083364A KR100350422B1 KR 100350422 B1 KR100350422 B1 KR 100350422B1 KR 1020000083364 A KR1020000083364 A KR 1020000083364A KR 20000083364 A KR20000083364 A KR 20000083364A KR 100350422 B1 KR100350422 B1 KR 10035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cover
external signal
signal input
front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3655A (ko
Inventor
김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3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22B1/ko
Priority to US09/986,418 priority patent/US6678152B2/en
Publication of KR2002005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53Mounting and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방 둘레영역을 둘러싸는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외부신호입력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방커버의 판면에 형성되는 수용개구와, 상기 수용개구의 내측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수용부와; 상기 수용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방커버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을 줄여 제작비 및 작업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설치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란 영상을 소정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서, 크게 CRT모니터와 LCD모니터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 중,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장치 자체에 외부로부터 화상 또는 음성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는 마이크로카메라, 마이크로폰부 등의 외부신호입력장치를 내장시켜서 영상출력과 함께 영상 및 음성입력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갖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외부신호입력장치가 내장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케이싱(101)과, 커버케이싱(101)내에 수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LCD패널(103)과, 커버케이싱(101) 하부를 지지하는 스탠딩부재(105)를 갖는다.
커버케이싱(101)은 전방커버(111)와, 전방커버(111)의 후방에 결합되어 전방커버(111)와 함께 LCD패널(10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13)로 이루어져 있다.전방커버(111)에는 LCD패널(103)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10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커버(113)에는 외부의 공기가 커버케이싱(10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슬롯(미도시)과, 각종 주변기기 및 연결배선이 통과하는 단자수용부(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커버(111)의 상단부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개구(121)와, 수용개구(121)를 차단하는 커버부재(1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수용개구(121)의 내측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외부신호입력장치로서 마이크로폰부(140)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재(131)는 수용개구(1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수용개구(121)를 차단하도록 전방커버(111)에 부작된다. 이 커버부재(131)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신호통과공(137)이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부(140)은 마이크케이싱(141)과 마이크케이싱(141)내에 수용되는 마이크로폰(143)를 갖는다. 마이크케이싱(141)의 전면부는 전방커버(111) 내측에서 수용개구(121)의 둘레에 본딩(Bonding)된다. 이때, 커버부재(131)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통과공(137)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부를 전방커버에 일일이 본딩(Bonding)작업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폰부가 완벽하게 접착될 때까지 소정의 시간동안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마이크로폰부의 위치가 부정확하게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개구의 내측연부에 마이크로폰부를 지지하는 마이크지지부재를 마련하고, 이 마이크지지부재를 전방커버에 스크류로 결합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도 7의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마이크로폰부을 결합하기 위해 작업자가 스크류를 체결해야 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이크지지부재와 스크류 등의 부품이 추가되기 때문에, 제작비 상승과 작업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을 줄여 제작비 및 작업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마이크로폰부 설치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마이크로폰부 설치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6는 도 5의 마이크로폰부 설치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마이크로폰부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케이싱 3 : LCD패널
11 : 전방커버 20 : 입력장치수용부
21 : 수용개구 23 : 지지리브
30 : 입력장치고정커버 31 : 커버부
35 : 후크 37 : 신호통과공
33 : 유동방지리브 39 : 요홈
40 : 마이크로폰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방 둘레영역을 둘러싸는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외부신호입력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의 판면에 형성되는 수용개구와, 상기 수용개구의 내측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수용부와; 상기 수용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방커버에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리브는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와 형상 맞춤되도록 하는 것이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유동방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고정커버는 상기 전방커버에 후크 결합되는 것이 조립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는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음성신호가 통과하도록 신호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케이싱(1)과, 커버케이싱(1)내에 수용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LCD패널(3)과, 커버케이싱(1) 하부를 지지하는 스탠딩부재(5)를 갖는다.
커버케이싱(1)은 전방커버(11)와, 전방커버(11)의 후방에 결합되어 전방커버(111)와 함께 LCD패널(3)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방커버(13)로 이루어져 있다.전방커버(11)에는 LCD패널(3)에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개구(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커버(13)에는 외부의 공기가 커버케이싱(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슬롯(미도시)과, 각종 주변기기 및 연결배선이 통과하는 단자수용부(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커버(11)의 상단부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수용부(20)와, 입력장치수용부(20)를 차단하는 입력장치고정커버(3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장치수용부(20)내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외부신호입력장치인 마이크로폰부(40)이 설치되어 있다.
입력장치수용부(20)는 전방커버(11)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용개구(21)와, 수용개구(21)의 내측 연부에 형성되어 마이크로폰부(40)을 지지하는 지지리브(23)를 갖는다.수용개구(21)는 전방커버(11)의 상단부 모서리영역의 전면과 상부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리브(23)는 수용개구(21)의 하부 연부면으로부터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후방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입력장치고정커버(30)는 수용개구(21)에 대응하도록 전면과 상면을 갖는 역ㄱ자 형상의 커버부(31)와, 커버부(31)의 내측에 형성되어 마이크로폰부(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33)를 갖는다.
커버부(31)의 폭방향 양측 및 후단부에는 수용개구(21) 및 지지리브(23)의 단부에 걸리는 후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부(31)의 전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음성신호가 통과할 수 있도록 신호통과공(3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동방지리브(33)는 마이크로폰부(40)의 전후좌우 외관이 형상 맞춤되는 요홈(39)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동방지리브(33)는 지지리브(23)에 지지되는 마이크로폰부(40)의 외관에 접촉되어 마이크로폰부(40)의 유동을 방지한다.
마이크로폰부(40)은 마이크케이싱(41)과, 마이크케이싱(41)내에 수용되는 마이크(43)를 가지고 지지리브(23)에 지지된다. 또한, 마이크로폰부(40)은 입력장치고정커버(30)의 유동방지리브(33)에 의해 설치위치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마이크로폰부(40)을 설치할 때는, 먼저 입력장치수용부(20)의 지지리브(23)에 마이크로폰부(40)을 지지시킨다. 이때, 마이크로폰부(40)은 마이크로폰(43)이 입력장치고정커버(30)의 신호통과공(37)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입력장치고정커버(30)를 수용개구(21) 상부에 배치한 후 하향 가압한다. 그러면, 마이크로폰부(40)의 외측부가 유동방지리브(33)의 요홈(39)에 형상 맞춤되도록 삽입되며, 입력장치고정커버(30)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35)가 수용개구(21)에 탄성적으로 걸린다. 이에 의해, 마이크로폰부(40)의 설치가 간단히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전방커버에 형성된 수용개구의 내측 연부에 마이크로폰부을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형성하고, 수용개구를 차단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폰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입력장치고정커버를 마련함으로써, 마이크로폰부의 조립작업을 빠른 시간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고정커버를 분리하면 마이크로폰부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으므로, 분해 교체가 용이하다.
그리고, 마이크로폰부이 유동방지리브에 형상맞춤되어 마이크로폰부가 정확한 위치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결합부품을 마련하지 않아도 마이크로폰부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부품절감에 따른 제작비 및 작업공정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LCD패널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CRT모니터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외부입력장치는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마이크로폰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외부입력장치는 마이크로카메라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부품을 줄여 제작비 및 작업공정을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방 둘레영역을 둘러싸는 전방커버와, 상기 전방커버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화상 또는 음성 신호를 전달받는 외부신호입력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의 판면에 형성되는 수용개구와, 상기 수용개구의 내측 연부에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수용부와;
    상기 수용개구를 차단하도록 상기 전방커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를 갖는 입력장치고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리브는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와 형상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고정커버는 상기 전방커버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신호입력장치는 상기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음성신호가 통과하도록 신호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00083364A 2000-12-27 2000-12-27 디스플레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5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64A KR100350422B1 (ko) 2000-12-27 2000-12-27 디스플레이장치
US09/986,418 US6678152B2 (en) 2000-12-27 2001-11-08 Assembly in a displa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364A KR100350422B1 (ko) 2000-12-27 2000-12-27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655A KR20020053655A (ko) 2002-07-05
KR100350422B1 true KR100350422B1 (ko) 2002-08-28

Family

ID=1970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3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50422B1 (ko) 2000-12-27 2000-12-27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78152B2 (ko)
KR (1) KR100350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880B1 (ko) * 2003-11-05 2008-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TWM252222U (en) * 2004-02-18 2004-12-01 Shao-Chieh Ting Video structure
US7808563B2 (en) * 2004-03-15 2010-10-05 Steve Sanchez Flat panel TV screen frame system
NO328311B1 (no) * 2004-10-01 2010-01-25 Tandberg Telecom As Skrivebordterminalfot og skrivebordsystem
KR101108386B1 (ko) * 2005-03-18 2012-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품 체결부 및 이를 사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KR101135889B1 (ko) * 2006-01-23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40603B1 (ko) * 2007-11-15 2013-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USD627823S1 (en) * 2010-01-19 2010-11-23 Ligouri Thomas A Message board
CN103179814A (zh) * 2011-12-24 2013-06-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GB2505458B (en) * 2012-08-30 2015-01-14 Draeger Safety Uk Ltd Mounting assembly
US9430002B2 (en) * 2013-01-2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160076181A (ko)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282900A1 (en) * 2015-03-24 2016-09-29 T1V, Inc. Frame having components integrated therei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0558A (en) * 1970-08-28 1971-12-28 Bell Telephone Labor Inc Quick-mounting hardware
JPS61199794A (ja) 1985-03-04 1986-09-04 Ajinomoto Co Inc 発酵法によるl−トリプトフアンの製造法
JPH1056681A (ja) 1996-08-08 1998-02-24 Sony Corp マイクロフォン内蔵の電子機器
KR200142516Y1 (ko) * 1996-12-30 1999-06-01 윤종용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JPH10222244A (ja) * 1997-02-07 1998-08-21 Hitachi Ltd デスクトップ型コンピュータ
US5801919A (en) * 1997-04-04 1998-09-01 Gateway 2000, Inc. Adjustably mounted camera assembly for portable computers
JP3736022B2 (ja) 1997-04-17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機構
KR100228013B1 (ko) 1997-08-30 1999-11-01 서정욱 전파 측정용 다채널 송신 장치
US6535380B1 (en) * 2000-08-10 2003-03-18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computer with an unlatching member mov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directions to permit opening of a computer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80566A1 (en) 2002-06-27
KR20020053655A (ko) 2002-07-05
US6678152B2 (en)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422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5201964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38178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7106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369821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05079236A (ja) 基板固定装置
US2002017178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having simplified assembly process
KR20080038888A (ko) 패널형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202817A (ja) 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電子機器
KR19980072829A (ko) 휴대용 컴퓨터의 액정표시패널 장착장치
EP4539620A1 (en) Integrated fasten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060008751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패널 프론트 장착구조
KR10180109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628121B1 (ko) 영상표시장치용 외장형 스피커 어셈블리
KR10049214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62557B1 (ko) 디스플레이패널 장착구조
JP451772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336024Y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221125Y1 (ko) 백카바를 이용하여 마이커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
KR2004002061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172452Y1 (ko) 카바체결구에 의해 장착되는 악세사리바를 가진 디스플레이장치
KR100542366B1 (ko) Lcd 모듈 유동방지수단을 갖는 전자기기
JP4513828B2 (ja) スピーカ取り付け構造及び薄型表示装置
KR100651299B1 (ko) 영상표시기기를 위한 백커버 정렬구조
KR200500601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 캐비넷과 백커버의체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