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9403B1 - Video screen editor - Google Patents

Video screen ed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403B1
KR100349403B1 KR1019990050839A KR19990050839A KR100349403B1 KR 100349403 B1 KR100349403 B1 KR 100349403B1 KR 1019990050839 A KR1019990050839 A KR 1019990050839A KR 19990050839 A KR19990050839 A KR 19990050839A KR 100349403 B1 KR100349403 B1 KR 10034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diting
video
edit point
time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0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46881A (en
Inventor
이만규
정병희
김경수
이종권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1999005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403B1/en
Publication of KR2001004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68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40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입력부(1)와, 하드웨어(H/W) 코덱부(2), 저장부(3), 편집부(4) 및 비디오 출력부(5)로 구성된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3)는 입력 장면 전환 검색부(31)와 데이터 저장부(32)로 구성하고, 상기 편집부(4)는 타임라인 편집부(41)와 효과부(42) 및 트림 편집부(43)로 구성하되, 상기 트림 편집부(43)는 소프트웨어(S/W) 코덱부(431)와,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 및 편집점 트리밍부(434)로 구성하여 편집점(cut point) 즉, 경계점 앞뒤의 여러 화면들을 펼쳐 보여주므로써, 작업자가 내용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하고 원하는 편집점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고, 또 작업자가 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해주고 이를 예상 편집점으로 볼 수 있어 일일이 장면 전환 위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신속한 편집이 필요한 뉴스 같은 프로그램 제작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editing apparatus, and in particular, a video composed of a video input unit (1), a hardware (H / W) codec unit (2), a storage unit (3), an editing unit (4), and a video output unit (5). In the editing apparatus, the storage unit 3 comprises an input scene change search unit 31 and a data storage unit 32, and the editing unit 4 comprises a timeline editing unit 41, an effect unit 42, The trim editor 43 includes a software (S / W) codec unit 431, an extension unit 432 around an edit point, an automatic scene change unit 433, and an edit point trim. Composed of the section 434 by showing the cut point, that is, the screen before and after the cut point, the operator can grasp the flow of the content at a glance and quickly find the desired edit point, It automatically detects the transition location and sees it as an expected edit point before entering the edit, allowing you to There may be less of a hassle to find the location, it was so quick editing can be very easy to use programs such as news production required.

Description

비디오 편집 장치 {Video screen editor}Video editing device {Video screen editor}

본 발명은 비디오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특별히 편집점(cut point)을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예상 편집점 주변 펼침 방식을 통해 원하는 편집점을 정확하고 빠르게 찾게 할 수 있고, 또 장면 전환 자동 검색 방식을 통해 예상 편집점 후보들을 추천하게 하여 작업 속도와 능률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어, 편집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deo edi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find the desired edit point accurately and quickly through the spreading method around the expected edit point, especially when it is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cut point. It was invented to make editing faster because the automatic selection of scene transitions recommended candidate edit point candidates, which can greatly improve work speed and efficiency.

일반적으로 비디오 편집작업이라 함은 카메라로 찍어온 수많은 장면들 중에서 원하는 장면들만을 추려내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부분 카메라나 VCR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디오 클립으로 저장한 다음 이것을 일일이 위치를 옮겨가면서 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을 찾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작업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정밀하게 프레임 단위로 편집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운 점이 많았다.In general, video editing refers to a process of making a story by extracting only desired scenes from a number of scenes taken with a camera. In the past, video editing is usually performed by storing video data as a video clip from a camera or a VCR. As it adopts the method of finding the part that contains the desired contents while moving the position one by on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work time,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precisely editing frame by frame.

따라서, 최근의 비디오 편집 장치에서는, 편집점을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트림 편집을 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video editing apparatuses, methods for trim editing that require fine adjustment of edit points have been proposed.

그러나, 이 방법들 대부분에서는 경계점 좌우, 즉 앞 비디오 클립의 마지막 화면과 뒤 비디오 클립의 첫 화면만을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내용의 연속성을 잃어버리기가 쉽고, 또 원하는 편집점을 찾기 위해서 일일이 위치를 옮겨 보면서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n most of these methods, i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lose the continuity of the content by showing only the left and right of the boundary, that is, the last screen of the front video clip and the first screen of the back video clip.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look f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기존의 트림 편집 방법이 경계점 좌우 화면만을 보여줌으로써 작업자가 내용의 연속성을 잃어버리기가 쉽고, 원하는 편집점(cut point)을 찾기 위해서 일일이 위치를 옮겨 보면서 찾아야 했던 것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경계점 좌우의 여러 화면들을 펼쳐 보여 작업자가 내용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하고 원하는 편집점을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비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lose the continuity of the contents by showing only the left and right screens of the trimming point, and the desired edit point is provided. On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unfolds several screen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oundary point to provide a video editing apparatus that allows the operator to grasp the flow of content at a glance and find the desired edit point more quickly. There is a main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비디오 편집 방법에서는 원하는 편집점을 찾기 위해서 일일이 화면에 표시되는 장면의 위치를 옮겨가면서 찾아야 했고 대부분의 편집점은 장면 전환이 되는 위치인 경우가 많은데, 본 발명 장치에서는 이점에 착안하여 장면 전환 자동 검색을 하여 작업자에게 편집점 후보를 제시해 주어, 작업자가 일일이 장면 전환이 되는 위치를 일일이 찾아 다닐 필요가 없게 만듦으로써, 작업의 능률과 작업 속도를 보다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 비디오 편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ind a desired edit point in the existing video edit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cene displayed on the screen by moving the position, and most of the edit points are often transition positions. Focuses on this, it automatically detects scene transitions and presents the edit point candidates to the operator, so that the worker does not have to navigate to the scene transition position, thereby speeding up work efficiency and speed. It is to provide a video editing devic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나 VCR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입력을 처리하는 비디오 입력부와; 이 비디오 데이터를 모션(Motion)-JPEG로 압축하는 하드/웨어(H/W) 코덱부와;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클립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된 비디오 클립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비디오 편집을 수행하고 효과도 넣을 수 있는 편집부와; 편집이 끝난 결과물을 비디오로 출력시켜 주는 비디오 출력부로 구성되되,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video input unit for processing a video input from a camera or a VCR; A hard / ware (H / W) codec unit for compressing the video data into Motion-JPE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mpressed video data as a video clip; An editing unit capable of performing desired video editing and adding effects using the stored video clips; It consists of a video output unit that outputs the edited output as a video,

상기 편집부는 편집의 주 작업 공간이 되는 타임라인에서의 편집 기능을 처리하는 타임라인 편집부와; 편집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사이에 둘 수 있는 장면 전환 효과나 하나의 비디오 클립 전체에 걸쳐 줄 수 있는 이차원이나 삼차원 효과의 처리를 담당하는 효과부 및; 타임라인상에서 편집된 비디오를 더 정교하게 편집하기 위한 트림 편집부로 구성된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The editing unit includes a timeline editing unit which processes an editing function in a timeline which becomes a main work space of editing; An effect unit which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 transition effect that can be placed between the video clip being edited or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effect that can be given over an entire video clip; A video editing apparatus comprising a trim editing unit for more precisely editing a video edited on a timeline,

상기 트림 편집부는 H/W 코덱부를 사용하는 타임라인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트림 편집을 하기 위하여, 저장부로부터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어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S/W코덱부와; 타임라인에서 편집점으로 잡힌 위치 주변 40 프레임의 장면들을 펼쳐 보임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편집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편집점 주변 펼침부와;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 검색하여 예상 편집점을 추천하는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와; 편집점 주변 펼침부와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를 통해서 결정된 편집점을 타임라인 편집에 적용되도록 하는 편집점 트리밍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The trim editing unit includes an S / W codec unit for reading and restoring compressed video data from a storage unit for trim editing even during a timeline editing operation using the H / W codec unit; An unfolding part around an edit point that makes it easy for a worker to find a desired edit point by unfolding 40 frames around a position captured by an edit point in a timeline; A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scene change position and recommending an expected edit point; It is possible to achieve this by configuring an edit point trimmer which applies an edit point determined through an unfolding part around an edit point and an automatic scene change search unit to be applied to timeline editing.

따라서, 편집 작업 속도를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크게 개선시킬수 있다.Therefore, the editing speed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편집부의 트리밍 기법에 의해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by a trimming technique of an edi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편집부의 트리밍 기법에서 장면 전환 자동검색에 의해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by automatic scene change detection in the trimming technique of the edi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비디오 입력부 2 : H/W 코덱(codec)부1: Video input part 2: H / W codec part

3 : 저장부 4 : 편집부3: storage unit 4: editing unit

5 : 비디오 출력부 41 : 타임라인 편집부5: Video output unit 41: Timeline editing unit

42 : 효과부 43 : 트림 편집부42: effect section 43: trim editor

431 : S/W 코덱부 432 : 편집점 주변 펼침부431: S / W codec unit 432: Spread around the edit point

431 :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 432 : 편집점 트리밍부431: Automatic scene change detection unit 432: Edit point trimm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 중 편집부의 트리밍 기법에 의해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 중 편집부의 트리밍 기법에서 장면 전환 자동검색에 의해 모니터상에 나타나는 화면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block diagram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by a trimming technique of an editing uni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by automatic scene change detection in a trimming technique of an edi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카메라나 VCR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입력을 처리하는 비디오 입력부(1)와; 이 비디오 데이터를 모션(Motion)-JPEG으로 압축하는 하드웨어(H/W) 코덱부(2)와;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클립으로 저장하는 저장부(3)와; 저장된 비디오 클립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비디오 편집을 수행하고 효과도 넣을 수 있는 편집부(4)와; 상기 편집부에서 편집이 끝난 결과물을 비디오로 출력시켜 주는 비디오 출력부(5)로 구성되되, 상기 편집부(4)는 편집의 주 작업 공간이 되는 타임라인에서의 편집 기능을 처리하는 타임라인 편집부(41)와; 편집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사이에 둘 수 있는 장면 전환 효과나 하나의 비디오 클립 전체에 걸쳐 줄 수 있는 이차원이나 삼차원 효과의 처리를 담당하는 효과부(42) 및; 타임라인 상에서 편집된 비디오를 더 정교하게 편집하기 위한 트림 편집부(43)로 구성된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According to this, there is provided a video input unit 1 for processing video input from a camera or a VCR; A hardware (H / W) codec unit 2 for compressing this video data into Motion-JPEG; A storage unit 3 for storing the compressed video data as a video clip; An editing unit 4 capable of performing desired video editing and adding effects using the stored video clips; The editing unit comprises a video output unit 5 for outputting the edited result as a video, wherein the editing unit 4 is a timeline editing unit 41 for processing an editing function in a timeline which becomes a main work space of editing. )Wow; An effect unit 42 that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transition effects that can be placed between the video clip being edited or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effects that can be given over one video clip; In the video editing apparatus composed of a trim editing unit 43 for more precisely editing the video edited on the timeline,

상기 트림 편집부(43)는 H/W 코덱부(2)를 사용하는 타임라인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트림 편집을 하기 위하여, 저장부(3)로부터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어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S/W) 코덱부(431)와; 타임라인에서 편집점(cut point)으로 잡힌 위치 주변 40 프레임의 장면들을 펼쳐 보여 작업자가 원하는 편집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와;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 검색하여 예상 편집점을 추천하는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와;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와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를 통해서 결정된 편집점을 타임라인 편집에 적용되도록 하는 편집점 트리밍부(434)로 구성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trim editing unit 43 is software for reading and restoring compressed video data from the storage unit 3 for trim editing even during a timeline editing operation using the H / W codec unit 2. (S / W) codec unit 431; An unfolding unit 432 surrounding an edit point for unfolding scenes of 40 frames around a position captured by a cut point in a timeline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find a desired edit point; A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scene change position and recommending an expected edit point; The edit point trimmer 432 and the edit point trimming unit 434 which are applied through the edit point spreader 432 and the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are applied to the timeline editing.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카메라나 VCR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비디오 신호는 A/D 변환기를 구비한 비디오 입력부(1)을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 H/W 코덱부(2)로 전달이 되고, 상기 H/W 코덱부(2)에서는 상기 비디오 입력부(1)로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작업자의 선택에 의한 비디오 압축률로 Motion-JPEG 방법을 통해 압축하여 저장부(3)로 보내 저장하게 되는데, 이 모든 과정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First, an analog video signal input from a camera or a VCR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a video input unit 1 having an A / D converter, and then transferred to a H / W codec unit 2. The codec unit 2 compresses the digital video data received through the video input unit 1 through the Motion-JPEG method at the video compression rate selected by the operator, and sends the digital video data to the storage unit 3 for storage. Is done in real time.

상기에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부(3)에 저장할시 압축을 하여 저장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NTSC의 화면인 경우 한 장면의 크기는 1MByte 가까이 되는데, 만약 압축을 하지 않고 1시간 정도를 저장하려면 72GByte 정도의 하드 디스크 용량이 필요하므로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이 비용을 줄이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문가들에 따르면 8배 압축을 해도 BetacamSP 정도의 화질이라고 하므로, 어느 정도 압축을 해도 방송용 화질로서 손색이 없다.The reason for compressing and storing the digital video data in the storage unit 3 is that, in the case of the NTSC screen, the size of one scene is close to 1 MByte, but if it is stored for about 1 hour without compression, 72 GByte This is because compressing and storing it is a way to reduce costs because it requires a hard disk space. Experts say that even 8x compression is about BetacamSP, so even if you compress it to some extent, it's the same as broadcast quality.

이렇게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는 편집부(4)에서 하나의 비디오 파일로 보이고 이것을 소스 클립이라 부른다.The video data thus stored is viewed in the editing unit 4 as one video file and is called a source clip.

상기 저장부(3)에 저장된 비디오 파일은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편집부(4)에서 작업하기 위하여 항상 H/W 코덱부(2)를 거쳐 Motion-JPEG 방법으로 압축을 푼후 편집부(4)로 넘어온다.Since the video fil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 are compressed, they are always decompressed by the Motion-JPEG method via the H / W codec unit 2 and then transferred to the editing unit 4 to work in the editing unit 4.

다음에 작업자는 기존에 저장된 여러 소스 클립들중 원하는 클립을 선택하고 이를 검색하여서 원하는 부분만을 뽑아낸후 삽입하기, 덮어쓰기 등의 여러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편집의 작업 공간이 되는 타임라인 상에다 갖다 놓으면 되는데, 이렇게 타임라인 상에 놓여진 소스 클립은 세그먼트라 불리운다.Next, the operator selects the desired clip from the existing saved source clips, retrieves it, extracts only the desired part, and places it on the timeline that becomes the workspace for editing using various editing functions such as inserting and overwriting. The source clip placed on this timeline is called a segment.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초기 편집이 이루어진 후, 타임라인 상에서 직접 검색을 하면서 옮기기, 복사하기, 잘라내기, 들어내기등의 여러 편집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결과가 되도록 여러 세그먼트들을 재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동작은 편집부(4)내의 타임라인 편집부(41)에서 처리된다.After the initial editing is perform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segments can be reconfigured to the desired result by using various editing functions such as moving, copying, cutting, and lifting while searching directly on the timeline. All operations are processed in the timeline editing section 41 in the editing section 4.

그리고, 세그먼트 사이에 보통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여기에 편집부(4)내의 효과부(42)에 의해 장면 전환 효과를 삽입하여서 자연스럽게 장면이 전환 되는 것도 가능하고, 한 세그먼트 길이 전체에도 효과를 적용시켜 다양하고 화려한 영상을 만들 수도 있다.In addition, a scene transition is usually performed between segments, and the scene can be naturally changed by inserting a transition effect by the effect unit 42 in the editing unit 4, and the effect is applied to the entire length of one segment. You can also make a variety of colorful images.

이 과정에서 타임라인 편집 기능이 제공하지 못하는 미세한 편집을 하기 위해서 트림 편집부(43)에서 미세한 편집점 조정 기능을 제공한다.In this process, in order to perform fine editing that the timeline editing function does not provide, the trim editing unit 43 provides a fine editing point adjustment function.

이렇게 하여 편집이 끝나면, 이것은 비디오 출력부(5)로 보내져 송출을 위한 비디오로 출력이 된다.When the editing is completed in this way, it is sent to the video output unit 5 to output the video for transmission.

편집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데이터는 실제 비디오 데이터를 가지고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된 비디오 파일에서 각 장면들의 인덱스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때문에 아무리 많은 편집물을 만들어도 이것은 하드 디스크의 많은 용량을 요구하지는 않는다.The data handled in the editing process is not processed with the actual video data, but only with the index of each scene in the stored video file, so no matter how many edits are made, this does not require much hard disk space.

상기 편집부(4)내의 트림 편집부(43)에 의해 작업자는 미세하게 편집점을 조정할 수 있다.The trim editing section 43 in the editing section 4 allows the operator to finely adjust the edit point.

트림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압축을 푼 원 화상이 필요하고, H/W 코덱부(2)는 이미 타임라인 편집에서 사용하고 있음에 따라서, 상기 트림 편집부(43)내의 S/W 코덱부(431)는 저장부(3)에 압축된 상태로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Motion-JPEG방법으로 압축을 푸는 작업을 S/W적으로 처리하는 일을 한다.In order to perform the trim editing, the uncompressed original image is required, and the H / W codec unit 2 is already used in timeline editing, so that the S / W codec unit 431 in the trim editing unit 43 The vide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 in the compressed state is processed by S / W for decompression by the Motion-JPEG method.

여기서 트림 편집의 목적은, 미세하게 편집점을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대개의 경우 새로운 편집점 후보는 타임라인 상에서 편집된 편집점 근처에 있다.The purpose of trim editing here is to provide a means of fine-tuning the edit point, so in most cases the new edit point candidate is near the edit point edited on the timeline.

타임라인 편집 모드에서, 앞 클립의 마지막 장면에서 트림 편집 모드로 들어가게 되면 이 위치는 그 클립이 원래 속했던 소스 클립의 특정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In timeline editing mode, when you enter trim editing mode from the last scene of the previous clip, this location points to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source clip to which the clip originally belonged.

그리고 이 위치를 중심으로 10개의 앞 화면들과 10개의 뒤 화면들을 펼쳐 보여주며, 또한 타임라인 상에서 뒤 클립의 첫 화면을 중심으로 같은 처리가 이루어진다.It displays the 10 front screens and 10 back screens around this position, and the same processing is performed around the first screen of the back clip on the timeline.

즉, 뒤 클립의 첫 화면은 이 클립이 속한 소스 클립의 특정 위치를 가리키고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screen of the back clip points to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source clip to which it belongs.

그리고, 이 위치를 중심으로 10개의 앞 화면들과 10개의 뒤 화면들을 펼쳐 보여 주게 되는데, 위와 같은 처리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상기 트림편집부(43)내의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는 위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Then, 10 front screens and 10 rear screens are unfolded based on this position. The above processing result is as shown in FIG. 3, and an unfolding part 432 around the edit point in the trim editing unit 43 is shown. ) Will provide the same functionality as above.

한편, 실제 타임라인 상에서 보여지는 비디오 화면의 재생 순서는 왼쪽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보여지고 왼쪽 가운데에 있는 큰 화면 즉, 앞 클립의 마지막 화면이 보여지고, 오른쪽으로 가서 오른쪽 가운데에 있는 큰 화면, 즉 뒤 클립의 첫 화면이 보여진 후에 오른쪽 밑의 화면들이 순서대로 보여진다.On the other hand, the playback order of the video screens shown on the actual timeline is shown in order from the top left, the big screen in the middle on the left, the last screen of the front clip, and the big screen in the middle on the right, back After the first screen of the clip is shown, the screens on the bottom right are shown in order.

이와 같이 함으로써, 비디오 내용의 흐름을 파악하면서 새로운 편집점을 찾고, 이 화면을 마우스로 더블 클릭하면 이것에 맞춰 타임라인에 놓여있던 클립의 편집점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타임라인 적용에 관한 부분은 상기 트림 편집부(43)내의 편집점 트리밍부(434)에서 종합적으로 담당한다.In this way, while finding the flow of video content, finding a new edit point, and double-clicking this screen with the mouse moves the edit point of the clip placed on the timeline accordingly. The editing point trimming unit 434 in the trim editing unit 43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operation.

또한, 상기 트림 편집부(43)내의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는, 선택된 소스 클립에서 일정 기준에 의하여 장면 전환 되는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작업자에게 예상 편집점을 보여주게 되는데, 도 4는 이것을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the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in the trim editing unit 43 automatically searches for a position where the scene is changed by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selected source clip and shows the expected edit point to the operator. It is shown.

상기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에서는 처리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저장부(3)로부터 원 영상을 90 X 60의 크기로 줄여서 뽑아내고, 이 데이터들에 장면 전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장면 전환이 일어나는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한다.In order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the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extracts the original image from the storage unit 3 to a size of 90 X 60, and applies a scene change algorithm to these data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scene change occurs. Search automatically.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실시간의 0.4배가 나오며, 또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작업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시간적인 부담을 별로 주지 않는다. 그리고 한 번 처리한 결과는 저장이 되므로 나중에 언제든지 다시 사용할 수가 있다.The processing time is 0.4 times the real time, and also can be processed as a background task, so it does not put much time on the worker. And once the result is saved, it can be used again later.

대개의 경우 편집점은 장면 전환이 되는 위치인 경우가 많으므로 일일이 검색할 필요가 없이 장면 전환 위치부터 편집을 시작하여 더 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했으며, 이렇게 편집된 결과는 트림 편집부(43)내의 편집점 트리밍부(434)를 거쳐 타임라인 편집부(41)의 기능인 타임라인 편집에 적용된다.In most cases, the edit point is often a transition point, so you do not need to search for it, so you can start editing from the transition point and work more comfortably. The edited result is edited in the trim editor 43. The point trimming unit 434 is applied to timeline editing, which is a function of the timeline editing unit 4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편집점(cut point) 즉, 경계점 앞뒤의 여러 화면들을 펼쳐 보임으로써 작업자가 내용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하고 원하는 편집점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고, 또 작업자가 편집에 들어가기 전에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으로 검색해주고 이를 예상 편집점으로 보여줌으로써 일일이 장면 전환 위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서, 신속한 편집이 필요한 뉴스 같은 프로그램 제작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nfolding the cut point, that is, several screens before and after the boundary point, the operator can grasp the flow of contents at a glance and quickly find the desired edit point. By automatically searching for cutaway locations and showing them as expected edit points, the operator can save time and effort to find cutaway locations, which makes them very convenient for creating programs such as news that require quick editing. There is an effect such as.

Claims (4)

카메라나 VCR로부터 들어오는 비디오 입력을 처리하는 비디오 입력부(1)와; 이 비디오 데이터를 모션(Motion)-JPEG으로 압축하는 하드웨어(H/W) 코덱부(2)와;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클립으로 저장하는 저장부(3)와; 편집의 주 작업 공간이 되는 타임라인에서의 편집 기능을 처리하는 타임라인 편집부(41)와, 편집되고 있는 비디오 클립 사이에 둘 수 있는 장면 전환 효과나 하나의 비디오 클립 전체에 걸쳐 줄 수 있는 이차원이나 삼차원 효과의 처리를 담당하는 효과부(42) 및 타임라인 상에서 편집된 비디오를 더 정교하게 편집하기 위한 트림 편집부(43)를 구비하고, 저장된 비디오 클립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비디오 편집을 수행하고 효과도 넣을 수 있는 편집부(4)와; 상기 편집부에서 편집이 끝난 결과물을 비디오로 출력시켜 주는 비디오 출력부(5)로 구성된 비디오 편집 장치에 있어서,A video input unit 1 for processing video input from a camera or a VCR; A hardware (H / W) codec unit 2 for compressing this video data into Motion-JPEG; A storage unit 3 for storing the compressed video data as a video clip; The timeline editor 41, which handles editing functions in the timeline, which is the main workspace for editing, and transition effects that can be placed between the video clip being edited, or two-dimensions that can be applied to an entire video clip. Effects section 42 for process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a trim editing section 43 for more precisely editing the edited video on the timeline, and using the stored video clips to perform the desired video editing and insert effects An editing unit 4 which can be used; In the video editing apparatus comprising a video output unit (5) for outputting the result edited by the editing unit as a video, 상기 트림 편집부(43)는 타임라인에서 편집점(cut point)으로 잡힌 위치 주변의 장면들을 펼쳐 보여 작업자가 원하는 편집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The trim editing unit 43 includes a spreading unit 432 around the edit point for unfolding scenes around a position captured by a cut point in the timeline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find a desired edit point. Video editing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림 편집부(43)는 선택된 비디오 클립내에서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 검색하여 예상 편집점을 추천하는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The video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im editing unit (43) further comprises a scene switching automatic searching unit (433)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scene change position in the selected video clip and recommending an expected edit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림 편집부(43)는 H/W 코덱부(2)를 사용하는 타임라인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도 트림 편집을 하기 위하여, 저장부(3)로부터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읽어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S/W) 코덱부(431)와;2. The trim editing unit (4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im editing unit (43) reads and restores the compressed video data from the storage unit (3) for trim editing even during a timeline editing operation using the H / W codec unit (2). A software (S / W) codec unit 431 for enabling a; 타임라인에서 편집점(cut point)으로 잡힌 위치 주변의 장면들을 펼쳐 보여 작업자가 원하는 편집점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와;A spreading unit 432 surrounding the edit point for unfolding scenes around a position captured by a cut point in a timeline so that an operator can easily find a desired edit point; 장면 전환 위치를 자동 검색하여 예상 편집점을 추천하는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와;A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a scene change position and recommending an expected edit point; 편집점 주변 펼침부(432)와 장면 전환 자동 검색부(433)를 통해서 결정된 편집점을 타임라인 편집에 적용되도록 하는 편집점 트리밍부(43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편집 장치.And an edit point trimming unit (434) for applying the edit point determined by the spreading unit (432) and the scene change automatic search unit (433) around the edit point to timeline editing.
KR1019990050839A 1999-11-16 1999-11-16 Video screen editor Expired - Fee Related KR100349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39A KR100349403B1 (en) 1999-11-16 1999-11-16 Video screen ed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0839A KR100349403B1 (en) 1999-11-16 1999-11-16 Video screen ed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81A KR20010046881A (en) 2001-06-15
KR100349403B1 true KR100349403B1 (en) 2002-08-22

Family

ID=1962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08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9403B1 (en) 1999-11-16 1999-11-16 Video screen ed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4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93B1 (en) * 2009-11-26 2011-05-1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Car stay unit
KR102425239B1 (en) * 2021-05-28 2022-07-27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refining recommended edit points through deep learning based on user data
KR102354592B1 (en) * 2021-05-28 2022-01-24 주식회사 잘라컴퍼니 Method, server and computer program for recommending video editing point based on streaming data
KR102521904B1 (en)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editing using utilization of auto labeling and insertion of design elements
KR102521903B1 (en)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editing using auto labeling
KR102521905B1 (en) * 2022-11-28 2023-04-17 (주)비디오몬스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video editing and map service synchronized with the edited video
KR102523438B1 (en) * 2022-11-29 2023-04-19 (주)비디오몬스터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video editing using utilization of auto labeling and insertion of design el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348A (en) * 1993-04-16 1995-08-08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specifying and adjusting motion picture transitions
US5760767A (en) * 1995-10-26 1998-06-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348A (en) * 1993-04-16 1995-08-08 Avid Technology, Inc.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creating, specifying and adjusting motion picture transitions
US5760767A (en) * 1995-10-26 1998-06-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6881A (en)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11290B1 (en) Combined editing system and digital moving picture recording system
US8195032B2 (en) Video apparatus and method
CA2253124C (en) Video searching method and apparatus, video information produc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cessing program thereof
CN110166652A (en) Multi-track audio-visual synchronization edit methods
US6052508A (e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track assignment for portable digital moving picture recording and editing system
CN1003931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source video
US5937096A (en) Motio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30034997A1 (en) Combined editing system and digital moving picture recording system
DE69903043T2 (en) USER INTERFACE OF A DIGITAL VIDEO DEVICE
JPH05101609A (e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vedeo tape
EP0843311A2 (en) Method for editing image information with aid of computer and editing system
DE19503558A1 (en) Spiral buffer for non-linear preparation
KR100349403B1 (en) Video screen editor
JPH1169290A (en) Video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is method
JP4290227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video data, video processing system, method for processing video clip,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clip
US102174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track management in a media editing tool
JP3791869B2 (en) Image editing method,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image editing processing operation
KR102078479B1 (en) Method for editing video and videos editing device
JPH1051734A (en) Moving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editing method
JPH11308567A (en) Layout video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page display function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KR100543605B1 (en) User interfaces for multimedia stream indexing and editing
JP4101258B2 (en) Image editing method,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dium storing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image editing processing operation
KR1004383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video skimming
GB2285720A (en) A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censo et al. A video segmentation toolbox with support for user intera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