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9055B1 -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9055B1
KR100349055B1 KR1019990012429A KR19990012429A KR100349055B1 KR 100349055 B1 KR100349055 B1 KR 100349055B1 KR 1019990012429 A KR1019990012429 A KR 1019990012429A KR 19990012429 A KR19990012429 A KR 19990012429A KR 100349055 B1 KR100349055 B1 KR 100349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guard
rail
guard angle
fastening
basic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299A (ko
Inventor
이상진
김기훈
구자성
남진우
Original Assignee
남양기공 주식회사
재단법인 한국철도기술공사
이 상 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기공 주식회사, 재단법인 한국철도기술공사, 이 상 진 filed Critical 남양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90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4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9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5/00Rails; Guard rails; Distance-keeping means for them
    • E01B5/18Guard rails; Connecting, fastening or adjus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1/0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 E01B2201/10Fastening or restraining methods in alternative ways, e.g. glueing, welding, form-f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급곡선과 기타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에 열차의 탈선을 예방하기 위하여 안전가드앵글을 설치하는데 기본레일에 대한 가드앵글의 간격 및 높이를 정교하고 간결하게 조립 시공(施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는, 소정의 곡선반경을 갖는 곡선구간에서기본레일에 고정되며, 체결하는 자체의 일측이 기본레일의 외측 저부에 조립(착탈가능하게 함)고정되며 기본레일 내측으로 위치하는 안전가드앵글은 기본레일에 대해 소정의 간격 및 높이를 유지하여 열차가 탈선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전가드앵글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소정형상의 체결홀더는 탄성과 일련의 볼트로 안전가드앵글을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에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할 수있도록 안전가드앵글을 설치시 기본레일과 동일한 별도의 안전레일 사용이 불필요하게되어 원가비용을 줄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본레일을 목침목 또는콘크리트침목상에 시공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설치하게 되므로 이를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설치비용을 낮출 수 있다. 기본레일이 콘크리트침목상에 설치되는 곡선구간에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시공할 수 있어 열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안전가드앵글의 착탈이 간단하므로 궤도유지관리(MTT 대형기계다짐작업)에 상당히 유리하다.

Description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fixing apparatus of sharp curve safety guard angle}
본 발명은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에서 탈선방지안전가드앵글을 설치시 기본레일에 대한 가드앵글의 간격 및 높이를 정교하고 간결하게 시공(施工)할 수 있도록 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선로인 경우 곡선반경이 200미터 이하에서의 곡선구간, 철도청 선로인 경우 곡선반경이 300미터 이하에서의 곡선구간, 급구배와 곡선이 중복되는 개소 또는 축제가 높아서 열차가 탈선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인정되는 개소, 곡선과 종곡선이 중복되는 개소에는 탈선방지를 위하여 탈선방지 안전가드레일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기본레일에 대한 안전가드레일을 설치시 플랜지웨이 (flangeway)의 폭은 80mm, 기본레일에 대해 안전가드레일은 10mm 높이를 유지하도록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상에 베이스플레이트(2)를 나사스파이크(3)를 이용하여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레일(4)을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형상의 클립(5)의 일단부를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시킨 후 기본레일(4)의 내외측부를 압착고정시킨다.
이때, 기본레일(4) 내측으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레일(7)을 소정간격(L)을 유지하여 설치하되, 안전가드레일(7)의 내외측은 목침목(1)에 햄머 등에 의해 타설 (打設)되는 소정형상의 스파이크(8)에 의해 목침목(1)상에 직접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이 탈선방지용 안전가드레일(7)을 설치하는 경우, 기본레일(4)과 동일한 별도의 안전가드레일(7)을 사용함에 따라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기본레일(4)에 대한 안전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간격(L)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과, 중량의 안전가드레일(7) 설치로 인해 이를 취급시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안전가드레일(7)을 콘크리트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과, 궤도의 정정작업시 별도의 대형고정장치(MTT)를 사용하게 되므로 안전가드레일(7)을 철거후에 작업을 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상에 복수개의 베이스플레이트(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스파이크(3)를 각각 이용하여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레일 (4)과 이의 내측으로 위치하는 탈선방지용 안전가드레일(7)을 복수개의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소정간격(L1)을 유지하도록 각각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형상의 클립 (5)의 일단부를 각각의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시킨 후 기본레일 (4)과 안전가드레일(7)의 내외측부를 각각 압착고정하게 된다.
이또한, 목침목(1)에 복수개의 베이스플레이트(2)를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기본레일(4)에 대한 안전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간격(L1)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과, 안전가드레일(7)을 콘크리트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도 3은 또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침목(1)상에 기본레일(4)과 이의 내측으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레일(7)이 소정간격(L2)을 유지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2)를 소정형상의 나사스파이크(3)를 이용하여 소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기본레일(4)과 안전가드레일(7)을 베이스플레이트(2)상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소정형상의 클립(5)의 일단부를 레일(4,7)과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6)에 삽입시킨 후 기본레일(4)과 안전가드레일(7) 외측부를 압착고정시킨다.
이때, 기본레일(4)내측부와 안전가드레일(7)이 접하는 위치의 베이스플레이트(2)에 홈(9)을 형성하며, 홈(9)에 소정형상의 누름쇠(10)를 결합시킨 다음 클립 (5)를 이용하여 기본레일(4)과 안전가드레일(7)의 내측부를 압착고정하게 된다.
이또한, 베이스플레이트(2)에 형성된 홈(9)에 누름쇠(10)를 결합시켜 기본레일(4) 및 안전가드레일(7)을 고정하게 되므로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안전가드레일(7)을 콘크리트침목에서는 시공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과, 기본레일(4)에 대한 안전가드레일(7)의 규정된 높이 및 소정간격(L2)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게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에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가드앵글을 설치시 기본레일과 동일한 별도의 안전레일 사용이 불필요하게되어 원가비용을 줄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레일을 목침목 또는 콘크리트침목상에 시공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설치하게 되므로 이를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설치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본레일이 콘크리트침목상에 설치되는 곡선구간에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시공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또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을 조립시킨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의 가드홀더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의 설치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4,10; 기본레일
10a,10b; 레일저부
11: 결합홈
12,15; 체결부재
13; 체결홀더
13a; 돌기부
13b; 돌기
13c; 보강리브
14; 가드앵글(guard angle)
14a; 결합공
16; 홀더컵(holder cup)
17; 레일컵(rail cup)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곡선반경을 갖는 곡선구간에 시공되는 기본레일의 내측 저부가 끼워맞춤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레일의 외측 저부를 압착고정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기본레일에 대해 고정지지되는 체결홀더와, 상기 기본레일 내측으로 상기 기본레일에 대해 소정의 높이 및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체결홀더에 결합지지되어 탈선을 방지하는 안전가드앵글과, 상기 체결홀더에 대해 상기 안전가드앵글을 밀착지지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체결홀더로 부터 상기 안전가드앵글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되는 홀더컵을 구비하여, 상기 기본레일을 목침목 또는 큰크리트침목상에 시공한후 상기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곡선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홀더 외측면에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안전가드앵글에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와결합후 상기 홀더컵에 의해 체결홀더에 대해 안전가드앵글을 압착시 분리이탈되는것을 방지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체결홀더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더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보강리브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원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원의 기술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에 목침목 또는 콘크리트침목상에 시공되는 기본레일(10)의 내측 저부(10a)가 끼워맞춤되는 결합홈(11)이 형성되며, 기본레일(10)의 외측 저부(10b)를 압착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 저부(10b)와 자체의 돌기부(13a)사이에 끼워맞춤되는 레일컵(railcup)(17)이 체결부재(12)에 의해 기본레일(10)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체결 홀더(13)와, 전술한 기본레일(10) 내측으로 기본레일(10)에 대해 소정의 높이(A) 및 간격(B)을 유지하여 탈선을 방지하도록 체결홀더(13)에 고정지지되는 안전가드 앵글(guard angle)(14)과, 전술한 가드홀더(13)에 대해 안전가드앵글(14)을 밀착지지하도록 체결부재(1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체결홀더(13)로 부터 가드앵글(14)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되는 홀더컵(holder cup)(16)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체결홀더(13) 외측면에 반구형상의 돌기(13b)가 형성되며, 돌기(13b)와 결합후 홀더컵(16)에 의해 체결홀더(13)에 대해 가드앵글(14)을 압착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공(14a)이 돌기(13b)에 대응되도록 가드앵글(14)에 형성된다. 전술한 체결홀더(13)의 하면 전체에 걸쳐 레일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하는 격자형상의 리브를 형성토록하여 강도를 보강토록함과 동시에 체결홀더가 자갈도상위에 놓이면 리브간의 공간에 자갈이 들어가도록하여 횡방향에도 저항하도록하여 보수를 할때에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부호 18은 가드앵글(14)의 양끝단부에 형성되어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급곡선 안전가드레일 체결장치를 고정하는 작업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에 시공되는 목침목 또는 콘크리트침목상에 기본레일(10)을 소정의 장치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침목상에 고정되는 기본레일(10)과 도상면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기본레일(10)의 내측 저부(10a)가 체결홀더(13)의 결합홈(11)에 끼워맞춤되도록 체결홀더(13)를 기본레일(10) 바닥면에 결합시킨다.
이때, 기본레일(10)의 외측 저부(10b)는 체결홀더(13)의 돌기부(13a)와 외측저부(10b)사이에 끼워맞춤되어 체결부재(12)의 체결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레일컵(17)의 압착력에 의해 압착고정된다. 따라서 기본레일(10)에 대해 체결홀더 (13)의 고정작업은 완료된다.
전술한 기본레일(10) 내측으로 기본레일(10)에 대해 소정높이(A)와 간격(B)을 유지하여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드앵글(14)을 체결홀더(1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되, 기본레일(10) 내측으로 위치하는 체결홀더(13)에 형성된 반구형상의 돌기(13b)와 이와 대응되게 가드앵글(14)에 형성된 결합공(14a)을 결합시킴에 따라 체결홀더(13)에 대해 가드앵글(14)은 결합지지 된다. 이때, 돌기(13b)와 결합공(14a)의 상호분리로 인한 체결홀더(13)로 부터 가드앵글(1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드앵글(14)을 체결홀더(13)에 대해 밀착지지하는 홀더컵 (16)이 체결부재(15)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소정의 곡선반경을 갖는 곡선구간에서 전술한 기본레일(10)내측으로설치되는 가드앵글(14)을 길이방향으로 용접시켜 연장시킴에 따라, 기본레일(10)에대한 급곡선 안전가드앵글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의 곡선구간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에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가드앵글을 설치시 기본레일과 동일한 별도의 안전레일 사용이 불필요하게되어 원가비용을 줄이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기본레일을 목침목 또는 콘크리트침목상에 시공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설치하게 되므로 이를 조립 및 해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설치비용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기본레일이 콘크리트침목상에 설치되는 곡선구간에도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시공할 수 있어 열차의 안전운행을 도모하고, 안전가드앵글의 착탈이 간단하므로 궤도유지관리(MTT 대형기계 다짐작업)에 상당히 유리하다.

Claims (3)

  1. 소정의 곡선반경을 갖는 곡선구간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에 시공되는 기본레일의 내측 저부가 끼워 맞춤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본레일의 외측 저부를 압착고정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기본레일에 대해 고정되는 체결홀더와 상기 기본레일 내측으로 상기 기본레일에 대해 소정의 높이 및 간격을 유지하도록 사기 체결홀더에 결합지지되어 탈선을 방지하는 안전가드앵글과 상기 체결홀더에 대해 상기 가드앵글을 밀착지지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체결홀더로부터 상기 가드앵글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되는 홀더컵을 구비하여, 상기 기본레일을 목침목 또는 콘크리트 침목상에 시공한 후 상기 탈선방지용 안전가드앵글을 착탈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더의 바닥면 전체에 레일과 같은 방향과 레일과 직교방향을 갖는 격자형의 리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19990012429A 1999-04-08 1999-04-08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KR100349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429A KR100349055B1 (ko) 1999-04-08 1999-04-08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429A KR100349055B1 (ko) 1999-04-08 1999-04-08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99A KR20000049299A (ko) 2000-08-05
KR100349055B1 true KR100349055B1 (ko) 2002-08-21

Family

ID=1957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429A KR100349055B1 (ko) 1999-04-08 1999-04-08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9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971A (ko) * 2013-06-12 2014-12-22 영중산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406B1 (ko) * 2001-11-21 2004-01-31 (주)신승설계 가드홀더
CN108330746A (zh) * 2018-03-21 2018-07-27 杭州俊士铁路设备有限公司 高吻合度防侧翻的景观小火车轨道扣件装置
CN114908619B (zh) * 2022-05-30 2024-05-28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护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083A (ko) * 1972-06-26 1974-03-04
JPH093801A (ja) * 1995-06-22 1997-01-07 Tokyo Fab Kogyo Kk まくらぎの弾性支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4083A (ko) * 1972-06-26 1974-03-04
JPH093801A (ja) * 1995-06-22 1997-01-07 Tokyo Fab Kogyo Kk まくらぎの弾性支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971A (ko) * 2013-06-12 2014-12-22 영중산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101588228B1 (ko) * 2013-06-12 2016-01-25 영중산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99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38361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или трамвайный рельс и система его закрепления
US8302877B2 (en) Wheel guard device
KR101050490B1 (ko) 철도 레일 고정용 탄성클립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349055B1 (ko) 급곡선과 열차의 탈선이 우려되는 개소의 안전가드앵글 체결장치
KR101520407B1 (ko) 보수가 용이한 철도 탈선 방지를 위한 레일 가드 고정 구조 및 그 고정방법
EA016114B1 (ru) Систем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ов к шпалам при помощи упругих клемм
KR101588228B1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KR100319577B1 (ko)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JP3859220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JPH0647922Y2 (ja) 踏切端部における車輪ガイド装置
KR100453985B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KR200281054Y1 (ko) 피씨티용 가드레일 체결장치
JP3851826B2 (ja) 鉄道車両軌道逸脱防止装置、及び鉄道車両の軌道逸脱防止方法
KR200220002Y1 (ko) 철도 교량침목용 베이스플레이트
KR200319313Y1 (ko) 차륜 탈선방지용 안전가드 고정장치
EP0889169A1 (en) Mechanism for securing rails of railways on wooden sleepers
JP3936950B2 (ja) バリアフリー型レール側方間隙閉塞構造、及びレール側方の間隙閉塞方法
KR200197755Y1 (ko) 철도건널목의 조립식보판 설치구조
JP3443006B2 (ja) 連接軌道又は併用軌道におけるレールの応急継目装置
JP2552236B2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JP2001049601A (ja) 弾性レール締結装置
KR200204452Y1 (ko) 철도용 재생 침목의 레일 체결구조
JP2879050B2 (ja) レールの挫屈防止装置
KR20240117335A (ko) 철도건널목 가드레일 체결장치
CN205368932U (zh) 曲线轨道钢筋混凝土整体道口板专用轨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526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00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