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8330B1 - 내연기관의비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비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8330B1
KR100348330B1 KR1019950012188A KR19950012188A KR100348330B1 KR 100348330 B1 KR100348330 B1 KR 100348330B1 KR 1019950012188 A KR1019950012188 A KR 1019950012188A KR 19950012188 A KR19950012188 A KR 19950012188A KR 100348330 B1 KR100348330 B1 KR 10034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signal
segment
camshaft
segm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024A (ko
Inventor
슈테판 크렙스
볼프강 뤼프케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50033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833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F02P15/008Reserve ignition systems; Redundancy of some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크랭크축 변환기가 작동하지 않을때, 크랭크축 변환기의 신호(펄스 또는 투스가 기준신호이다)는 다음과 같이 기억된 변수, 투스(C)의 전체수(Z),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상에 배치된 세그먼트 (투스, 갭)의 각도 길이,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의 세그먼트 주행시간 및 이들 세그먼트의 플랭크에 상응하는 기억된 크랭크축 위치, 로 시뮬레이트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비상제어방법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엔진 제어장치(ST)의한 내연기관의 비상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공개공보 41 25 677는 비상작동할 수있는 내연기관용 제어장치를 기술한다. 이 장치는 모두 세개의 센서와 함께, 기준신호 변환기, 크랭크축 변환기 및 캠축 변환기를 필요로 한다. 캠축 변환기의 변환기 디스크는 엔진의 각 실린더에 대한 하나의 투스 세그먼트(tooth segment)를 가지며,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대한 투스 세그먼트가 짧은 반면에 다른 실린더에 대한 투스 세그먼트는 길다. 만일 크랭크축 변환기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불규칙 캠축 신호는 동일 길이의 투스 세그먼트를 가지는 "단조 캠축신호"로 전환되며, 이와같은 신호를 가지고 제어기는 비상시 낮은 각도 해상력으로 계속해서 동작한다. 이와같이 공지된 제어기는 대량생산하기에 너무 복잡하며 비싸다. 세개의 비싼 센서외에, 그것은 또한 비상작동시에 크랭크축의 만족스러운 각도 해상력없이, 상호 변환기 디스크의 정밀성 및 비싼 조절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대량 생산된 변환기 디스크(예를들어, 하나 또는 두개의 미싱 투스들(missing tooth)을 가진 크랭크축 투스 변환기 디스크, 180°NW = 360° KW이상에서 하나의 세그먼트를 가지는 캡축 변환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캠축 변환기 및 크랭크축 변환기를 가진, 엔진이 시뮬레이트된 크랭크축 신호의 도움으로, 크랭크축 변환기의 고장에서도 거의 동일한 각도 해상력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동작되도록 내연기관의 비상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은 청구범위 제 1항의 본문에 인용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용어 "투스"는 좁은 투스 및 넓은 투스(후자는 세그먼트로 불림) 양쪽모두를 의미하는 반면에, 용어 "세그먼트"는 투스 및 각각 두개의 투스사이에 위치한 갭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대한 특징으로써 고려되는 다른 다른 형태는 추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한다.
비록 본 발명이 내연기관의 비상제어 방법에 대한 실시예로써 기술될지라도, 당업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발명을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그러나, 그외에 목적 및 장점과 함께 본 발명의 동작 방법 및 구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도는 캠축 변환기(GNW) 및 크랭크축 변환기(GKW)의 신호가 공급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엔진제어장치(ST)를 가진, 내연기관용 엔진 제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와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캠축 변환기(GNW)는 고정센서(SNW) 및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안정된 방법으로 캠축에 접속되며 대략 동일 폭의 투스(A)및 갭(B)을 가지는 변환기 디스크(GSNW)를 포함하며, 투스 및 갭은 화살표로써 표시되는 회전방향을 따라 상행플랭크(a) 및 하행플랭크(b)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와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크랭크축 변환기(GKW)는 고정센서(GKW) 및 상대적인 회전에 대하여 안정된 방법으로 크랭크축에 접속되며 동일 폭의 갭(D)을 가진 원주위에 균일하게 배치된 동일 폭의 대략 60개의 투스(C)를 가지는 변환기 디스크(GSKW)를 포함하며, 투스 및 갭은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회전 방향을 따라 상향 플랭크(c) 및 하행 플랭크(d)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들 두개의 투스, 부재(59) 및 부재(60)가 제거되어, 두개의 미싱 투스 및 유용하게 만들어진 갭에 의하여, 5배의 폭을 가진 갭(E)이 만들어진다.
변환기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센서들이 구현되는 방법에 따라 다른 센서(전도 또는 홀 센서 등)는 제어장치내의 준비회로(AW)에 상응하는 신호를 공급하며(신호의 기준 수는 그들에 상응하는 투스, 갭 및 플랭크의 수와 일치한다), 준비회로의 출력신호는 엔진을 제어할 수있는 공지된 방법으로 사용된다. 준비회로(AW)의 출력신호는 크랭크축 투스 또는 갭 당 예를들어 5 또는 10 펄스를 포함하며(또한 미싱 투스에 공급되는 것), 이것은 크랭크축 세그먼트를 카운트함으로써 형성되나, 준비회로의 출력신호는 또한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상에 배치된 세그먼트에 대한 정확한 재생일 수있다. 크랭크축 세그먼트 폭(C),(D)및(E)을 비교함으로써, 준비회로는 또한 클랭크 기준신호 e = 0° KW 를 발생시키며, 이것은 넓은 갭(E) 다음의 제 1투스의 상행 플랭크(C)의 단계에서 할당되며, 제 1투스의 상행 플랭크에서 부터 크랭크축의 원주각 카운터가 시작된다.
캠축 센서(SNW)에서 캠축 세그먼트(A) 및 (B)의 주행시간은 엔진의 회전속도, 가속도 등을 결정하기 위해서, 일정 주파수의 클럭 신호(t)를 가지고 카운트 된다.
제 2도는 제 2a도에서 캠축 세그먼트 a, A, b, B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제 2b도는 크랭크축 세그먼트 c, C , d, D, E를 도시하며 제 2c도는 제 2b도로 부터 유도된 기준신호(크랭크)(e)를 도시한다.
제 2d도는 크랭크축 세그먼트로 부터 유도되며 미싱 투스를 포함하는, 투스 또는 갭 당 5개의 펄스를 가지는 신호(f)를 예로써 도시한다. 그러나, 크랭크축 세그먼트로 부터 유도된 신호 역시 제 2b도에서 크랭크 세그먼트들(c , C, d, D, E)에 대한 정확한 재생일 수있다.
예를들어, 기준신호(e)는 실린더I (그리고 또한 실린더IV)가 정상 사점(dead center)전에 120° KW에 위치될때 크랭크축 위치에서 항상 나타날 것이다.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는 그점에서 가능한 한 명확하게 조종된다.캠축 변환기 디스크(GSNW)의 각각의 세그먼트 (A),(B)는 180° NW = 360° KW이상에서 명령값에 따라 확장된다. 그러나, 허용할 수있는 공차 때문에, 투스(A)(상행 플랭크(a))는 정상 사점전 100° KW에서 시작하며, 갭(B)(하강 플랭크(b))은 사점전 110° KW에서 시작한다.
고정변수들, 즉, 투스(C)의 전체 수 Z = 60 ( 58 + 두개의 미싱 )는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상에 존재하며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상에 배치된세그먼트( 60 투스 + 60 갭 = 120세그먼트 )의 각 길이 Lc 및 LD= 360° /120 = 3° KW는 엔진이 첫번째 작동을하기 전에 엔진제어 장치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엔진의 소정 동작조건하에서, 예를들어 각각의 시동진행후 또는 소정 간격에서, 예를들어 매 10분동안, 캠축 세그먼트 플랭크(a) 및 (b)가 캠축 센서(SNW)를 통과하는 크랭크축 위치( a') 및 ( b')는 엔진 제어장치(ST)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에 또한 저장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들은 a'= 20" KW (정상 사점전 e = 0° KW로 계신됨) 및 b'= 10° KW( 정상 사점전 ≡ 110° KW )의 값을 가진다.
저장된 값(a') 및 (b')으로 부터, 각의 길이 LA = 350° KW 및 LB=370° KW가 결정되며 그들로 부터 비 A / B = 350 = 0.9459 ... 및 B / A = 1.05571 ...가 계산되어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저장된 값 (a'),(b') 및 그들로 부터 유도된비 A / B 및 B / A는 그들이 사용되는 시간이상에서 전환될 수있기 때문에,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동안 연속적으로 갱신되어 재기록된다.
만일 크랭크축 변환기가 결함이 생긴다면, 신호( c, C, d, D, E )(제2b도) 또는 f(제 2d도) 및 (제 2b도)에서 유도되는 기준신호(e)(제 2c도)는 발생하지 않으며, 엔진 제어기는 신호( a, A, b ,B )로만 제어된다. 이들 신호 및 저장된 값으로 부터, 미싱 신호 및 기준신호는 두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방법으로써 시뮬레이트 된다. 만일 크랭크축 변환기가 작동하지 않는다면, 오류표시(F)(청각 또는 시각)가 또한 활성화된다.
캠축 변환기 디스크(GSNW)의 이전 세그먼트 N-1 (만일 N = A 라면 N-1 =B ,반대로도 성립함)에 대한 주행시간을 조사하기 위해서 카운터되는, 클럭신호t 의 펄스 IN-1는 이하의 공식으로 부터, 다음 세그먼트 N을 위하여 요구되는 펄스 IN의 수를 미리계산(삽입)하기 위해서 활용된다.
IN= IN-1* (LN/ LN-1)
이와같은 값 IN및 저장 각길이 LN으로 부터의 비 IN/LN( IN-1/ LN-1)은 1° KW에 대한 펄스의 값 I /° KW을 제공한다. 예를들어, 순간적인 엔진속도에서 이와같은 값은 "50"이 된다. 이전 신호 e = 0° KW를 적용하면, 플랭크 신호(3)는 제{ a' * ( I /° KW ) } 번째 펄스 ( a'= 20° KW,I /° KW = 50 )에서 나타나며, 즉 이전 기준신호후 천번째 펄스, 또는 플랭크 신호(b)는 제{b' * ( I /°KW ) }번째 펄스( b' = 10° KW, I/°KW = 50 ), 즉 이전 기준신호(e)후 제500번째 펄스에서 나타난다.
다시말해서, 카운터는 캠축 플랭크신호(a)가 나타날때 값 a' * ( I ° KW ) = 1000, 또는 캠축 플랭그 신호(b)가 나타날때 값 b' * ( I /° KW ) = 500으로 세트되고 클럭 신호 t에서 상향으로 카운터를 계속한다.
만일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서, 신호(f)( 3° KW의 세그먼트당 5펄스 )가 시뮬레이트된다면, 각각의 0.6° KW 시간후, 즉 클럭 신호(t)의 각각 30번째 펄스후 순간엔진 속도에서, 또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 { R * ( I /° KW ) }번째 펄스에서, 기준신호 e = 0° KW로 부터 1020번째 펄스 = 20.4° KW 초기까지, 한 펄스신호(f)가 형성되며, 여기서 R은 ° KW 에서 두개의 펄스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더우기, 제 2c도에 도시된 것처럼, 클럭 신호 t 의 제 { 360 * ( I /°KW) = 18.000}번째 펄스 I 에서, 크랭크축 기준 신호가 출력된다.
만일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서, 크랭크축 세그먼트의 동일 재생이 시뮬레이트된다면(제 2b도), 이전 기준신호 (e) 후, 다시말해서 e = 0 ° KW이후의 각각의 6° KW 시간후 각각 제 { P * ( Lc + LD) * ( I /° KW )번째 펄스 I 에서, 세그먼트(C)(투스)의 시작 또는 신호 (D)(갭)의 끝에 대한 신호(c)(상행 플랭크)가 출력되며, 클럭 신호 t, 다시말해서 e = 0° KW으로 부터 각각의 상행 플랭크후 3° KW = 150펄스 각각의 경우의 제{[P * ( Lc + LD) + Lc ] * ( I /° KW ) }번째 펄스 I 에서, 세그먼트(D)(갭)의 시작 또는 세그먼트(C)(투스)의 끝에서 신호(d)(상행 플랭크)가 출력된다( 비록 넓은 갭(E)이 형성될지라도, P = 0, 1, 2, ... , Z-2, Z-1이고, 비록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로 부터 두개의 투스 미싱이 시뮬레이트될지라도, P = 0, 1, 2, ... , Z-2, Z-1). 더우기, 크랭크축 기준신호(e)는 클럭신호 t 의 제{ 360 * ( I /° KW ) }번째 펄스 I(=18.000)에서 다시 출력된다(제 2c도).
특정 캠축 위치( ° KW가 e = 0°로 언급됨 )의 비에 대한 소숫점전에 적분값에 대응하는 (P)는 수 6에 의해 나누어진다( Lc + LD= 6° KW ). 예를들어, 기준신호후에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의 제 1투스 및 제 2갭(0° KW 에서 < 6° KW 까지)에 대해, P=0 이며, 제 2투스 및 제 1갭( 6° KW 에서 < 12° KW 까지) 대해, P = 1 이며, 마지막 투스 (부호(58), 342° KW로 부터 < 348° KW 까지)에 대해, P = ( Z - 3 ) = 57이다.
기준신호 e 가 발생된 후에, 카운팅 처리는 다음 캠축 플랭크신호(b)(또는 a)가 10° KW( 또는 20° KW) 에 나타날때 까지, P = 0 인 초기값에서 다시 시작된다. 그때 기술된 처리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
가속하에서, 다음 캠축 플랭크신호 (a) 또는 (b)는 초기에 나타나며, 감속하에서는 기억된 캠축 플랭크 신호 (a')(20°KW) 또는 (b')(10° KW) 보다 조금 늦게 나타난다.
감속하에서, 제어기는 펄스 번호 I 에서 대기하며, 펄스 번호 I가 다음 캠축 플랭크 신호( 만일 초기값이 a'= 1000 이라면, b'= 500 이며, 반대로도 성립함)와 일치하는 반면에 엔진속도는 이 신호가 나타날때 까지 일정하며, 그다음에 정확하게 끝에 놓인 이전의 캠축 세그먼트(A)(또는 B)동안 측정된 주행시간을 기초로 하여 다시 시작한다.
가속하에서, 즉 기대된 펄스 번호 I ( = 500 또는 1000 )가 통과되기 전에 다음 캠축 세그먼트 플랭크(b)(또는 A)가 나타날때,스틸 미싱(still-missing) 제어 명령은 이 플랭크에서 연속으로 발생된다. 이 방법은 정확하게 끝에 놓인 이전 캠축 세그먼트(A)(또는 B)위하여 측정된 주행시간을 기초로하여 다시 시작될 수있다.
두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기술된 방법을 가지고, 미싱 크랭크축 신호는 시뮬레이트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교환되며, 엔진의 제어기는 크랭크축 센서(SKW)의 고장전 것으로 처리될 수있다. 그러나, 운전자는 시각 또는 청각 오류지시기(F)에 의해 발생된 오류를 알 수있다.
제 1도는 엔진 제어기에 대한 개략도,
제 2도는 마이크로로 제어되는 엔진제어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신호 다이어그램.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투스 B: 갭
a:상향플랭크 b: 하행플랭크
GNW: 캠축 변환기 GKW: 크램크축 변환기
GWNW,GSKW: 변환기 디스크 SNW,SKW: 고정센서
AW: 준비회로 ST: 엔진제어장치

Claims (2)

  1.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관된 크랭크축 변환기(GKW)의 세그먼트 플랭크 신호( c, d, e ) 및 캠축에 연관된 캠축 변환기(GNW)의 세그먼트 플랭크 신호( a, b )에 의해 제어되어,
    크랭크축 및 캠축의 위치를 조사하기 위한 변환기( GKW, GNW )가 고정 센서 (SKW, SNW ), KW 세그먼트 ( C, D, E )가 제공된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GSKW) 및 NW 세그먼트( A, B )가 제공된 캠축 변환기 디스크(GSNW)를 포함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엔진 제어장치(ST)에 의해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크랭크축상에서 배치된, 투스 (C)의 전체 수 (Z) 및 세그먼트 ( C, D )의 각도 길이( Lc,LD)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며,
    엔진의 소정 동작조건 또는 소정 간격하에서, 소정 기준 크랭크축 위치(e)에관련된, 캠축 세그먼트 플랭크(a, b)에 상응하는 크랭크축 위치 ( a', b' )가 조사되어 불활성 메모리에서 저장되며,
    저장된 크랭크축 위치(a', b')로 부터, 캠축상에 배치된 세그먼트(A, B) 또는 그것의 특정 부분의 각도길이 (LA, LB)가 조사되며 이로부터 이전 세그먼트(B,A) 또는 세그먼트 부분에 대한 각각의 세그먼트(A,B) 또는 세그먼트 부분의 길이 비(A/B, B/A)가 조사되어 불활성 메모리에서 저장되며,
    크랭크축 센서(SKW)가 작동하지 않을때, 캠축센서(SNW)에서 세그먼트(N, N-1)의 주행시간에 대한 카운트된 클럭펄스(IN, IN-1)가 소정 주파수의 클럭신호(t)로 카운트되어 조사되며(여기서, N = A 및 N-1 = B, 반대로도 성립함),이전 세그먼트(N-1)에서 카운트된 클럭펄스의 번호(IN-1)로 부터, 현재 세그먼트(N)에 대한 클럭펄스의 번호는 공식 IN= IN-1* ( LN/ LN-1) 에 따라 보간되며,
    비 IN-1/ LN-1또는 IN/ LN로 부터, 시뮬레이트된 KW 신호의 단위당 클럭 펄스( I / ° KW)의 번호는 현 세그먼트의 진행에 따라 결정되며,
    그 다음에, 이전 기준신호(e)로 관련된, 제 { a' * (I /° KW)} 번째 펄스 또는 제 { b' * ( I /° KW ) }번째 펄스로 시작하여, 캠축 플랭크 신호(a) 또는 (b)가 발생할때, 크랭크축 신호 ( c, C, d, D, E 또는 f ) 및 크랭크 기준신호(e)가 시뮬레이트되어,
    클럭신호 (t) 의 각각의 제{ R * (I /° KW )}번째 펄스에서, 신호 (f)가 형성되며 (여기서, R은 ° KW에서 상호 두개의 펄스 간격과 동일함),
    클럭 신호 (t)의 각각의 제{ 360 * (I/° KW) } 번째 펄스에서, 크랭크축 기준신호(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엔진의 크랭크축과 연관된 크랭크축 변환기(GKW)의 세그먼트 플랭크 신호( c, d, e ) 및 캡축에 연관된 캠축 변환기(GNW)의 세그먼트 플랭크 신호( a, b )에 의해 제어되며,
    크랭크축 및 캠축의 위치를 조사하기 위한 변환기( GKW, GNW )각각이 고정 센서 (SKW, SNW ), KW 세그먼트 ( C, D, E )가 제공된 크랭크축 변환기 디스크 (GSKW) 및 NW세그먼트( A, B )가 제공된 캠축 변환기 디스크(GSNW)를 포함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제어되는 엔진 제어장치(ST)에 의해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크랭크축상에 배치된, 투스 (C)의 전체 번호 (Z) 및 세그먼트 ( C, D )의 각도 길이( Lc, LD)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며,
    엔진의 소정 동작조건 또는 소정 간격하에서, 소정 기준 크랭크축 위치(e)에 관련된, 캠축 세그먼트 플랭크(a, b)에 상응하는 크랭크축 위치 ( a', b' )가 조사되어 불활성 메모리에서 저장되며,
    저장된 크랭크축 위치(a', b')로 부터, 캠축상에 배치된 세그먼트(A, B) 또는 그것의 특정 부분의 각도길이 (LA, LB)가 조사되며 이로부터 이전 세그먼트(B,A) 또는 세그먼트 부분에 대한 각각의 세그먼트(A, B) 또는 세그먼트 부분의 길이 비(A/B, B/A)가 조사되어 불활성 메모리에서 저장되며,
    크랭크축 센서(SKW)가 작동하지 않을때, 캠축센서(SNW)에서 세그먼트(N, N-1)의 주행시간에 대한 카운트된 클럭펄스(IN, IN-1)가 소정 주파수의 클럭신호(t)로 카운트되어 조사되며(여기서, N = A 및 N-1 = B, 반대로도 성립함),
    이전 세그먼트(N-1)에서 카운트된 클럭펄스의 번호(IN-1)로 부터, 현 세그먼트(N)에 대한 클럭의 수는 공식 IN= IN-1* ( LN/ LN-1) 에 따라 보간되며,
    비 IN-1/ LN-1또는 IN/ LN로 부터, 시뮬레이트된 KW 신호의 단위당 클럭 펄스( 1 / °KW)의 번호는 현 세그먼트의 진행에 따라 결정되며,
    그 다음에, 이전 기준신호(e)로 관련된, 제 { a' * (I /°KW)} 번째 펄스 또는 제{ b' * ( I /° KW ) }번째 펄스로 시작하여, 캠축 플랭크 신호(a) (또는b)가 발생할때 미싱 크랭크축 신호 ( c, d ) 및 크랭크 기준신호 (e)가 현 세그먼트로 시뮬레이트되어,
    클럭신호(t)의 각각의 제{ P * ( Lc + LD) * ( I /° KW) 번째 펄스(1)에서, 신호(c)는 세그먼트(C)가 시작될때 발생되며,
    클럭 신호(t)의 각각의 제{[ P * ( Lc + LD) + Lc ] * ( I / °KW )}번째 펄스(I)에서, 세그먼트 (D,E)의 시작에 대한 신호 (d)가 발생되며,
    클럭 신호(t)의 각각의 제{ 360 * (I/°KW)}번째 펄스에서, 크랭크축 기준신호(e)가 발생되는(여기서, P = 0, 1, 2, ... , Z-4, Z-3)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19950012188A 1994-05-17 1995-05-17 내연기관의비상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483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107646.5 1994-05-17
EP94107646A EP0683309B1 (de) 1994-05-17 1994-05-17 Verfahren zur Notlauf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24A KR950033024A (ko) 1995-12-22
KR100348330B1 true KR100348330B1 (ko) 2002-12-11

Family

ID=821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1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8330B1 (ko) 1994-05-17 1995-05-17 내연기관의비상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71145A (ko)
EP (1) EP0683309B1 (ko)
JP (1) JP3872828B2 (ko)
KR (1) KR100348330B1 (ko)
DE (1) DE5940539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406A (en) * 1996-04-10 1999-01-19 Caterpillar Inc. Engine tim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3716947B2 (ja) * 1996-04-12 2005-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DE19650250A1 (de) * 1996-12-04 1998-06-1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Rege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735722A1 (de) * 1997-08-18 1999-02-2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der Dreh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US6035826A (en) * 1997-09-30 2000-03-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rank angle detecting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750024B4 (de) * 1997-11-12 2008-05-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Anbaufehlers eines Geberrade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raftstoffzumess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927191A1 (de) * 1999-06-15 2000-12-2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Korrektur eines Winkelfehlers eines Absolutwinkelgebers
JP3508720B2 (ja) * 2000-01-27 2004-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JP3775220B2 (ja) 2000-12-27 2006-05-1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制御装置
US6405708B1 (en) * 2001-02-15 2002-06-18 Christopher L. Watson Dual ignition system with timing offsets for opposed piston engine
US6609498B2 (en) * 2001-07-02 2003-08-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Target wheel tooth detection
DE10204196B4 (de) * 2002-02-01 2011-07-07 Robert Bosch GmbH, 70469 Verfahren zum Ermitteln der Kurbelwellenstel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KR100471222B1 (ko) * 2002-05-0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캠 센서 진단 방법
US7021257B2 (en) * 2002-06-17 2006-04-04 Borgwarner, Inc. Compensating for VCT phase error over speed range
DE10228147B3 (de) * 2002-06-24 2004-01-22 Siemens Ag Verfahren zum Bestimmen der Start-Winkelposition einer Brennkraftmaschine
US6675772B1 (en) 2002-09-19 2004-01-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en such engine loses a primary crankshaft position sensor
DE10319605B4 (de) * 2003-05-02 2015-09-1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aufgrund einer Abfolge von Einspritzungen vorhersehbaren Drehzahlverlaufs einer Brennkraftmaschine
US6814037B1 (en) * 2003-06-24 2004-11-09 Borgwarner Inc. Variable camshaft timing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ctuator locking
ATE523851T1 (de) * 2004-03-29 2011-09-15 Southwest Res Inst Erkennung der motor-kurbelwellenposition und verfolgungsverfahren mit anwendbarkeit auf wellen-und kurbelwellensignale mit beliebigen mustern
US7000598B2 (en) * 2004-05-27 2006-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Bumpless crankshift position sensing
FR2876738B1 (fr) * 2004-10-20 2009-09-25 Siemens Vdo Automotive Sas Procede pour determiner le phasag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4449760B2 (ja) * 2005-01-21 2010-04-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DE102005012024A1 (de) * 2005-03-16 2006-09-21 Bosch Rexroth Aktiengesellschaft Dezentrale Fehlerreaktion bei Kurvenscheibenachsen
JP4687481B2 (ja) * 2006-02-01 2011-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JP4655992B2 (ja) * 2006-04-24 2011-03-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FR2910543B1 (fr) * 2006-12-22 2009-03-20 Inst Francais Du Petrole Methode d'estimation des durees des dents d'une cible moteur
JP4636111B2 (ja) * 2008-04-17 2011-02-23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JP4582252B2 (ja) * 2009-09-24 2010-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JP5548110B2 (ja) * 2010-12-01 2014-07-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エンジンの制御装置
US9163576B2 (en) * 2011-06-28 2015-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engine crankshaft-camshaft correlation and for improved vehicle limp-home mode
JP5776633B2 (ja) * 2012-06-08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R2991720B1 (fr) * 2012-06-12 2014-07-1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Methode d'identification des fronts sur une cible d'arbre a came
DE102013213705A1 (de) * 2013-07-12 2015-01-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Simulation eines Kurbelwellensignal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aus einem Nockenwellensignal der Verbrennungskraftmaschine
CN104006968A (zh) * 2014-06-19 2014-08-27 合肥工业大学 径向冲击负载下曲轴服役状态模拟装置及模拟方法
KR101806642B1 (ko) * 2015-12-16 201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동기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523864B (zh) * 2020-11-20 2022-04-0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发动机曲轴位置传感器的诊断方法、装置及存储介质
FR3156838A1 (fr) * 2023-12-18 2025-06-20 Vitesco Technologies Procédé de surveillance et de mémorisation de la position angulaire d’un moteur thermique au moyen d’un capteur d’arbre à cam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2692A (en) * 1987-09-14 1988-11-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crankshaft position sensor
FR2637652B1 (fr) * 1988-10-11 1993-12-31 Bendix Electronics Sa Dispositif de reperage d'un cycle de fonctionnement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3927967A1 (de) * 1989-08-24 1991-02-28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r zaehler
IT1245012B (it) * 1991-01-29 1994-09-13 Weber Srl Sistema di identificazione delle fasi di un motore endotermico
DE4125677A1 (de) * 1991-08-02 1993-02-04 Audi Ag Notlauffaehige steuervorrichtung an einer brennkraftmaschine
DE4133679A1 (de) * 1991-10-11 1993-04-22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daption von mechanischen toleranzen eines geberrades
DE4141714C2 (de) * 1991-12-18 2002-11-14 Bosch Gmbh Robert Steuersystem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5209202A (en) * 1992-07-27 1993-05-11 Ford Motor Company Multiple functions cam sensing
DE4310460C2 (de) * 1993-03-31 2003-12-18 Bosch Gmbh Robert Geberanordnung zur schnellen Zylindererkennung bei einer mehrzylindrigen Brennkraft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3309B1 (de) 1998-03-04
EP0683309A1 (de) 1995-11-22
US5671145A (en) 1997-09-23
JPH07310582A (ja) 1995-11-28
JP3872828B2 (ja) 2007-01-24
KR950033024A (ko) 1995-12-22
DE59405391D1 (de) 199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330B1 (ko) 내연기관의비상제어방법
US4485784A (en) An engine ignition control circuit having a failsafe for a crank angle sensor
US5269274A (en) Method and device for an open-loop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630363B1 (de) Verfahren zum Bestimmen der Phasenlage einer Nockenwelle einer Brennkraftmaschine
JPH06160404A (ja) セグメント時間決定の際の誤差の検出および補正方法
EP0260298A1 (en) IGNITION CONTROL SYSTEM WITH SIMPLIFIED CRANKSHAFT DETECTION.
US46449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00068731A (ko) 세그먼트 시간을 구하는 방법
JPS5819852B2 (ja) 内燃機関の進角特性曲線を変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303808B2 (ja) 動力車の内燃機関始動時に特定の1つのシリンダーの燃焼サイクルを決定する方法
JPH076432B2 (ja) 自己点火式内燃機関の噴射開始制御装置
US20020157649A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based on the angular position of a rotating part
JPH0694854B2 (ja) ディーゼル機関の燃料噴射進角測定装置
JP2690315B2 (ja) 内燃機関に対する点火装置および噴射装置
EP05061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park timing
JP2541597B2 (ja) 内燃機関の制御のための装置
US4562544A (en) Cyclical reset of vehicular microcomputers for economic error immunity
JP3083167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EP0115827A2 (en) Method of controlling engine
JP2975138B2 (ja) エンジン制御装置
RU2241138C2 (ru) Измеритель угла опережения впрыска топлива в дизель
JP2527971B2 (ja) 内燃機関用制御装置
SU102180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начала повторных операций
EP0429463A1 (en) IGNITION SYSTEM WITHOUT DISTRIBUTOR.
JP3159312B2 (ja) エンジンの点火時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5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