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6266B1 -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266B1
KR100346266B1 KR1020000030113A KR20000030113A KR100346266B1 KR 100346266 B1 KR100346266 B1 KR 100346266B1 KR 1020000030113 A KR1020000030113 A KR 1020000030113A KR 20000030113 A KR20000030113 A KR 20000030113A KR 100346266 B1 KR100346266 B1 KR 10034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witch
conductive rubber
conductive
human body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009A (ko
Inventor
배문식
정석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6266B1/ko
Priority to US09/870,519 priority patent/US6667563B2/en
Publication of KR2001010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26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conductive element covering the whole sensing surface, e.g. by sensing the electrical current flowing at the co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18Electroluminescent pan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06Containing a capacitive switch or usable as su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TV수상기, VCR 등과 같은 전자,전기,정보 기기 등의 조작을 위하여 기기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터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는, 터치 스위치(터치부 TS) 마다 대응하는 위치에 은도금 막(11a)이 형성된 유리판(11)과, 상기 유리판(11)에 부착되며 EL창(12b)이 형성된 스위치 브라켓(12)과, 터치 스위치 조명을 위한 EL쉬트(13) 및, 상기 EL쉬트(13)가 부착되며 도전구멍(14a)이 형성된 부도체 고무판(14)과, 상기 도전구멍(14a)을 관통하여 구동회로와 터치부(TS)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도전수단으로서 도전성 고무(15)와, 상기 EL쉬트(13)가 부착된 부도체 고무판(14)이 부착되며 터치 스위치 구동회로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이 고정되어 EL쉬트(13)와 부도체 고무판(14) 및 인쇄회로기판(16)을 상기 스위치 브라켓(12)에 고정시키는 PCB브라켓(17)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Touch Switch Having Electroluminescent Sheet For Backlighting}
본 발명은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TV수상기, VCR 등과 같은 전자,전기,정보 기기 등의 조작을 위하여 기기 조작 패널에 설치되는 터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소프트 터치 스위치(Soft Touch Switch)에서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스위치의 배경 조명을 수행하는 백라이트(Backlight)를 평판형 발광소자, 예를 들면 전자발광소자(EL Sheet: Electroluminescent Sheet Lamp)를 이용해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에 접촉하는 인체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 여부를 검출하고 있으며, 스위치 조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백라이트에 의한 조명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터치 스위치 장치에서 백라이트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하고 있으며, LED를 이용한 종래의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1에 단면도로서 표현하였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치 스위치 장치는, 외면을 스위치 터치부(TS)로 하는 유리판(1)과, 스위치 회로 및 구동회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PCB)(2)을 소정 거리 이격시켜 서로 대향하게 설치하고, 상기 유리판(1)의 내면에는 각각의 스위치 마다 대응하여 부분적으로 은도금 막(3)을 형성하고, 상기 은도금 막(3)에 대향하며 터치부(TS)와 구동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도전성 고무(4)를 핀 플러그(Pin Plug)(5)로 인쇄회로기판(2)에 고정시키고, 터치 스위치가 동작할때 마다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광 다이오드(LED)(6)를 상기 터치부(TS)에 대응하는 위치의 인쇄회로기판(2)에 설치한 구조이다.
도1과 같은 구성의 종래 터치 스위치 장치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스위치 조작을 위하여 유리판(1)에 인체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이용해서 스위치 조작(터치) 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즉, 통상 사용자가 손(손가락)으로 유리판(1)의 스위치부 즉, 터치부(TS)를 접촉하면 유리판(1)의 정전용량값과 사용자(사람)의 정전용량값이 더해져서 구동회로 입력단의 전체 정전용량값이 변화되고, 이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서 전류가 유리판(1)에서 도전성 고무(4)와 핀 플러그(5)를 거쳐서 인쇄회로기판(2)의 구동회로(도시 생략됨)에 가해져서 구동회로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어떤 스위치가 조작되었는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이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발광다이오드(6)를 소정의 설정된 시간 동안 온(ON)시켜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어떤 스위치가 조작되었는가를 가시적으로 알려준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발광다이오드(6)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발광다이오드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면 발광되어 보이는 면적(기호 또는 문자)에 따라 부분적으로 밝기가 고르지 못하다.
즉,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빛이 유리판(1)의 스위치부(유리판 외면)에 표현되는 기호 또는 문자(스위치 기능을 표현하는 표식)의 영역 전부에 걸쳐서 고르게 비추어 주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하나의 기호 또는 문자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보기에는 주로 기호나 문자의 가운데 부분이 밝고, 양쪽 가장자리나 위,아래쪽 가장자리로 갈수록 어두워져 보이게 되고, 이러한 점은 어떤 스위치가 조작되었는가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알려주는 기능에 신뢰성을 기대하기 어렵게 하는 단점으로 작용하게 된다.
둘째, 백라이트를 발광다이오드(6)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발광다이오드(6)가 차지하는 공간이 터치 스위치 장치 전체의 두께(부피)를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즉, 터치 스위치의 백라이팅을 위해서는 그 설치 구조상 발광다이오드(6)가 인쇄회로기판(2)으로부터 유리판(1)을 향하여 직립하여 설치되어야 하고, 또 발광다이오드(6) 자체가 상당한 입체물인데다 도전성 고무를 핀플러그를 이용해서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이 소프트 터치 스위치의 구조를 경박단소화 하는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셋째, 발광다이오드(6)에서 발생된 빛이 그 발광다이오드(6)에 해당하는 터치 스위치 기호(또는 문자)에만 조명되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다른 스위치에 해당하는 기호나 문자를 조명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유리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간격이 멀기 때문에 주변 공간으로 빛이 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위치간 거리를 충분하게 이격시키거나, 발광다이오드의 빛이 그 발광다이오드에 대응하는 터치 스위치 기호(또는 문자)에만 집중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광가이드(혹은 광차단구조)를 가져야 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전자,전기,정보기기 등의 조작을 위한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의 백라이트를 평판형 발광소자를 이용해서 구현한 터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의 백라이트를 평판형 발광소자로서 예를 들면 쉬트형(sheet type) 구조를 가지는 EL 쉬트 램프를 이용해서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의 백라이트를 EL 쉬트 램프를 이용해서 구현함으로써, 터치 스위치의 기능 표시를 위한 기호나 문자 등의 표식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밝기로 스위치 조작상태를 표시해줄 수 있고, 유리판과 EL 쉬트 램프 및 인쇄회로기판을 가능한한 서로 근접 배치시킬 수 있게 하여 터치 스위치 장치를 경박단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빛의 누설 및 이로 인한 인접 스위치 표식의 조명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터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의 LED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EL Sheet)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 단면도
도4a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회로도
도4b는 도4a의 등가 회로도
도5는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동작 설명을 위한 신호 파형도
도6은 본 발명에서 터치 스위치의 안정적인 동작 확보를 위한 최적 출력 레벨 설정범위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는, 인체의 접촉이 유도되며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부가 표현된 절연수단, 상기 절연수단에 접촉된 인체를 매질(유전체)로 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도전수단, 상기 도전수단을 통해서 인체의 접촉 검출시에 상기 절연수단의 해당 스위치부의 가시적 표현을 위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평판형 발광수단, 상기 절연수단의 터치 스위치부에 인체 접촉시 상기 도전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로부터 스위치 조작 여부를 검출해 내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터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의 실시예로서 분해 사시도 이며, 도3은 조립 단면도 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터치 스위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는, 터치 스위치(터치부 TS) 마다 대응하는 위치에 은도금 막(11a)이 형성된 유리판(11)과, 상기 유리판(11)에 부착되며 EL창(12b)이 형성된 스위치 브라켓(12)과, 터치 스위치 조명을 위한 EL쉬트(13) 및, 상기 EL쉬트(13)가 부착되며 도전구멍(14a)이 형성된 부도체 고무판(14)과, 상기 도전구멍(14a)을 관통하여 구동회로와 터치부(TS)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도전수단으로서 도전성 고무(15)와, 상기 EL쉬트(13)가 부착된 부도체 고무판(14)이 부착되며 터치 스위치 구동회로가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16)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6)이 고정되어 EL쉬트(13)와 부도체 고무판(14) 및 인쇄회로기판(16)을 상기 스위치 브라켓(12)에 고정시키는 PCB브라켓(17)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EL 쉬트(13)는 부도체 고무판(14)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해서 접착시켜 고정할 수 있고, 도전성 고무(15)는 볼트 모양으로 형성하여 그 머리부(15a)는 인쇄회로기판(16)에 접촉되고 선단부(15b)는 유리판(11)의 은도금 막(11a)에 대향한다.
여기서, 부도체 고무판(14)은 유리판(11)과 인쇄회로기판(16) 동박면에 있는 각각의 스위치에 해당하는 위치마다 천공된 도전구멍(14a)을 가짐으로써 상기 도전성 고무(15)가 유리판(11)과 인쇄회로기판(16) 동박면에 있는 각각의 스위치에 해당하는 정확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한편, EL쉬트(13)가 부착된 부도체 고무판(14)은 인쇄회로기판(16)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이용해서 접착시켜 고정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16)은 인쇄회로기판(16)에 나사구멍(16a)을 형성하고 PCB브라켓(17)에 보스(17a)를 형성하여 나사(18a)와 나사구멍(16a), 보스(17a)를 이용해서 PCB브라켓(17)에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PCB브라켓(17)은 PCB브라켓(17)에 나사구멍(17b)을 형성하고 스위치 브라켓(12)에 보스(12a)를 형성하여 나사(19b)와 나사구멍(17b) 및 보스(12a)를 이용해서 스위치 브라켓(12)에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도2 및 도3에 도시되고 또한 앞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의 접착이나 나사체결 구조 및 형상은 실시예이며, 각 구성요소를 서로 일체화하고 또 적재적소에 배열하는 방법이나 수단은 이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은 평판형 발광소자-EL쉬트 램프를 터치 스위치 장치의 백라이트로 이용하는 것이므로, EL쉬트를 유리판과 PCB 사이에 배열하고 EL쉬트에서 발생된 빛이 유리판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스위치 조작상태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는 점과, EL쉬트 램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리판에 터치된 사용자(사람)의 정전용량값 변화로부터 스위치 조작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도전수단(부도체 고무판 및도전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도전구조)을 갖는다는 점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도2 및 도3에 의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EL쉬트(13)를 터치 스위치의 백라이트로 사용하게 되므로 종래에 발광다이오드를 백라이트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빛의 밝기가 균일하다.
즉, EL쉬트(13)는 면상으로 빛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EL쉬트의 특성에 의해서 알려진 바와같이 빛의 밝기의 균일도가 99% 이상 확보될 수 있고, 이러한 점은 터치 스위치 조작시에 발광되어 보이는 면적(기호나 문자)에 관계없이 항상 균일한 밝기로 스위치 조작 상태(기호나 문자 등의 표식 조명)를 표현해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얇은 쉬트 형태의 백라이트 구조가 구현되는 것은 물론, 부도체 고무판(14)과 도전성 고무(15)를 이용해서 유리판(11)의 터치부(TS)로부터 인쇄회로기판(16)으로 연결되는 도전수단이 구성되므로, 종래의 도1에서 발광다이오드(6)로 백라이트를 이루고, 또한 핀 플러그(5)를 이용해서 도전을 이루는 경우보다 터치 스위치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도2 및 도3과 같은 구성의 터치 스위치 장치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스위치 조작을 위하여 유리판(11)에 인체가 접촉할 때 발생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이용해서 스위치 조작(터치) 여부를 검출하고 있다.
즉, 통상 사용자가 손(손가락)으로 유리판(11)의 스위치부 즉, 터치부(TS)를 접촉하면 유리판(11)의 정전용량값과 사용자(사람)의 정전용량값이 더해져서 구동회로 입력단의 전체 정전용량값이 변화되고, 이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서 전류가 유리판(11)에서 도전성 고무(15)를 거쳐서 인쇄회로기판의 구동회로에 가해져서 구동회로가 동작하게 됨으로써, 어떤 스위치가 조작되었는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를 구동회로와 함께 표현한 회로도이며, 도4b는 도4a의 등가회로도 이다.
도4a에 도시된 바와같이 터치 스위치 구동회로는 구동회로 입력단의 저항(Ri)과 상기 입력단 저항(Ri)을 통해서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로부터 스위치 조작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바이어스 저항(Rb)과 콜렉터단의 출력저항(R1),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미터단에 연결되는 충방전 콘덴서(Cb)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E)단에 펄스(Pulse)신호가 인가되고 콜렉터단에서 검출신호(Pulse)를 얻고 있다.
도4b는 도4a의 등가회로로서, C1은 유리판(11)의 정전용량값이고, C2는 터치부(TS)에 사람이 접촉하였을 때 발생되는 정전용량값이며, C3는 EL쉬트의 정전용량값이다.
도4a 및 도4b에 의하는 바와같이, 스위치 조작을 위하여 인체가 터치부(TS)에 접촉되면 인체를 매질(유전체)로 하는 정전용량값(C2)이 발생된다.
이 정전용량값(C2)은 유리판(11)의 등가 정전용량값(C1) 및 EL쉬트(13)의 정전용량값(C3)과 더해져서 구동회로 입력단의 (등가) 총 정전용량값(CTOTAL)을 변화시키고, 이러한 정전용량값의 변화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 출력 펄스파형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특정 스위치의 터치 여부가 검출된다.
도4b 및 도5의 파형도를 참조하여 이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5의 (a)와 같은 펄스 신호가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E)에 인가된다.
입력 펄스파형의 상승단(Rising Edge)에서 입력단의 캐패시터(등가적으로 C1,C2,C3)는 도5의 (b)와 같이 충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B)에 인가되고, 입력 펄스파형의 하강단(Falling Edge)에서 상기 입력단의 캐패시터(C1,C2,C3)에 충전되었던 전류가 입력저항(Ri)을 통해서 방전되어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는 스위칭되고 그 출력단(콜렉터)에서는 도5의 (c)와 같은 펄스신호가 발생된다.
이 펄스신호를 동작전압(Ref)을 기준으로 검출하면 터치 스위치의 조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트랜지스터(Q1)의 출력파형은 대기 상태(비접촉상태=C1,C3)에서도 유리판(11)의 정전용량값(C1)과 EL쉬트의 정전용량값(C3) 때문에 도5의 (c)와 같은 파형을 갖고 출력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스위치 터치 검출을 위해서는 적절한 출력레벨의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즉, 동작감도의 적절한 설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도6은 최적의 출력레벨 설정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예를 보이고 있다.
도6에서, 대기 상태의 출력과 동작 임계전압과의 차(A)가 적으면 온도 드리프트(Drift)나 주위 환경에 따라 오동작하게 되고, 정전용량값(C1,C3)이 크면 상대적으로 인체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값(C2)에 의한 전류의 변화가 적어서 출력파형의 변화폭(B)이 적어지고, 이 것은 동작감도를 너무 예민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오동작하거나 또는 터치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도4b의 등가회로를 기반으로 할 때 동작감도(S)는;
S ∝ [Rb/(Ri+Rb)] ×[CbㆍCTOTALㆍdt] 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감도(S) 및 도6의 파형 설명을 참조할 때, EL쉬트의 정전용량값(C3)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L쉬트의 정전용량값(C3)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리판(11)과 EL쉬트(13)의 위치를 적절하게 떨어뜨려 상기 정전용량값(C3)에 의한 전체 정전용량값(CTOTAL)의 증가가 없도록 해야 한다.
즉, EL쉬트(13)의 유무에 따라 전체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없도록 EL쉬트(13)의 위치를 유리판(11)과 적절한 거리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4a의 구동회로를 기반으로 할때 5mm 내지 10mm 의 간격을 유지할 때 도6에서 설명한 적절한 감도와 최적의 출력레벨 설정범위를 만족하였다.
본 발명의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는 EL쉬트와 같은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터치 스위치의 표식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밝기로 조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는 EL쉬트와 같은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사용하고 또 부도체 고무판과 도전성 고무를 이용해서 유리판으로부터 PCB로의 도전수단을 이루기 때문에 터치 스위치 장치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프트 터치 스위치 장치는 면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는 EL쉬트에 의해서 특정 위치의 해당 터치 스위치부에 대한 백라이트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접한 스위치 표식으로의 불필요한 누설 조명의 우려가 없고, 이러한 점은 터치(조작)된 스위치가 어떤 것인가에 대한 가시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해 줄 수 있는 품질 및 신뢰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

Claims (5)

  1. 인체의 접촉이 유도되며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부가 표현된 절연수단과, 상기 절연수단에 접촉된 인체를 매질(유전체)로 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도전수단과, 상기 도전수단을 통해서 인체의 접촉 검출시에 상기 절연수단의 해당 스위치부의 가시적 표현을 위하여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평판형 발광수단과, 상기 절연수단의 터치 스위치부에 인체 접촉시 상기 도전수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로부터 스위치 조작 여부를 검출해 내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
  2. 인체의 접촉이 유도되며 기기 조작을 위한 터치 스위치부가 외면에 표현되고 내면으로 상기 터치 스위치부 마다에 대응하는 도전성 도금 막이 형성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과 대향하여 상기 조작된 터치 스위치부를 조명하기 위한 백라이트로서 EL쉬트와, 상기 터치 스위치부 마다 대응하는 위치에서 인체의 접촉 여부에 따라 인체를 매질(유전체)로 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도전성 고무와, 상기 도전성 고무를 통해서 상기 터치 스위치부에 접촉된 인체로의 도전이 이루어지고 인체접촉에 따른 정전용량값의 변화로부터 스위치 조작 여부를 검출해 내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무는 볼트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머리부가 인쇄회로기판의 동박면 스위치부에 접촉되며, 선단부가 상기 유리판의 터치 스위치부에 대향함으로써 인체의 접촉 여부 검출을 위한 도전통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무가 상기 유리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동박면 스위치부 각각의 위치에 대향하여 놓이도록, 상기 도전성 고무를 삽입하기 위한 도전구멍이 형성된 부도체 고무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 고무판에는 상기 EL쉬트가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부도체 고무판이 EL쉬트의 지지수단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위치 장치.
KR1020000030113A 2000-06-01 2000-06-01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34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13A KR100346266B1 (ko) 2000-06-01 2000-06-01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US09/870,519 US6667563B2 (en) 2000-06-01 2001-06-01 Touch switc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113A KR100346266B1 (ko) 2000-06-01 2000-06-01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09A KR20010109009A (ko) 2001-12-08
KR100346266B1 true KR100346266B1 (ko) 2002-07-26

Family

ID=1967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113A Expired - Lifetime KR100346266B1 (ko) 2000-06-01 2000-06-01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67563B2 (ko)
KR (1) KR100346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99B1 (ko) 2006-07-06 2008-03-19 주식회사 카모스 정전용량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6703B2 (en) * 2002-02-27 2004-06-29 Chi Che Chang Trigger switch module
EP1343206B1 (en) * 2002-03-07 2016-10-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illumina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light emitting apparatus
DE10250395A1 (de) * 2002-10-29 2004-05-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pazitiver Annäherungs- und/oder Berührungssensor sowie elektrisch leitfähiger Kunststoffkörper für einen solchen Sensor
KR100502198B1 (ko) * 2003-01-24 2005-07-21 한성엘컴텍 주식회사 이엘을 적용한 일체형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DE10320548B4 (de) * 2003-05-07 2005-02-24 Schott Ag Berührungsschalteinrichtung
DE202004004881U1 (de) * 2004-03-29 2004-06-09 Dickert Electronic Gmbh Codeschloß
DE102004019304A1 (de) * 2004-04-15 2005-11-03 E.G.O. Control Systems Gmbh Bedieneinrichtung mit einem Berührungsschalter
DE102004060846B4 (de) * 2004-12-17 2008-12-18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KR100747533B1 (ko) * 2005-01-10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제품의 입력수단 제어회로
US8178810B2 (en) * 2005-02-15 2012-05-15 Magibrands, Inc. Electric-switch activated by sensing a touch through a large variety of cover-plate materials
DE102005008791A1 (de) * 2005-02-25 2006-09-07 Siemens Ag Betätigungs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angebunden an ein System zur Bedienererkennung
KR100704765B1 (ko) * 2005-07-12 2007-04-10 에이디반도체(주) 발광표시용 정전용량 스위치
MXPA06009347A (es) * 2005-08-19 2007-03-01 Ego Control Systems Gmbh Dispositivo sensor.
DE102005041113A1 (de) * 2005-08-30 2007-03-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pazitiver Annäherungsschalter und Haushaltsgerät mit einem solchen
US20070068786A1 (en) * 2005-09-21 2007-03-29 Lear Corporation Touch pad having integrated lighting feature and touch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102005053792B4 (de) * 2005-11-09 2009-02-19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KR100778329B1 (ko) * 2006-01-19 2007-11-22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발광을 위한 터치 스위치 구성방법
DE102006005581B4 (de) * 2006-02-06 2007-10-04 Diehl Ako Stiftung & Co. Kg Kapazitiver Berührungsschalter
US20070215451A1 (en) * 2006-03-16 2007-09-20 Michael Sasloff Mobile device arrangement including replaceable touch panel
KR100823577B1 (ko) * 2006-09-26 2008-04-21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매립형 터치 스위치
KR100866342B1 (ko) * 2007-01-22 2008-10-31 (주) 코콤 터치 센서 모듈
DE102007008178A1 (de) 2007-02-12 2008-08-14 E.G.O. Elektro-Gerätebau GmbH Sensorelement für einen Berührungsschalter, Herstellungsverfahren und Berührungsschaltereinrichtung mit solchen Sensorelementen
US7754985B2 (en) 2007-04-03 2010-07-13 Deere & Company Electronic switch assembly with configurable functionality
US7554044B2 (en) * 2007-04-03 2009-06-30 Deere & Company Self-configuring operator control
CN101809691B (zh) * 2007-04-20 2012-07-18 英克-罗吉克斯有限公司 模内成型的电容式开关
US8198979B2 (en) * 2007-04-20 2012-06-12 Ink-Logix, Llc In-molded resistive and shielding elements
KR20090019561A (ko) * 2007-08-21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에 따라 발광하는 휴대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4922227B2 (ja) * 2008-03-31 2012-04-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US8148658B2 (en) * 2008-07-09 2012-04-03 Chi-Jen Wang Non-contact touch switch
KR101028091B1 (ko) * 2008-11-05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세척물 처리기기
DE102008057823A1 (de) * 2008-11-18 2010-08-19 Ident Technology Ag Kapazitives Sensorsystem
GB2466932B (en) * 2009-01-12 2011-06-22 Loong Yee Ind Corp Ltd Non-contact touch switch and ac pick-up module
US8330385B2 (en) * 2010-02-15 2012-1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ght bar
CN102263549B (zh) * 2010-05-24 2015-08-26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触摸式按键装置及其组装方法
DE102010048237B4 (de) * 2010-10-12 2012-08-30 Diehl Ako Stiftung & Co. Kg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CN102957410A (zh) * 2011-08-29 2013-03-06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隐藏式感应键
US9063623B2 (en) 2011-12-01 2015-06-23 Green Cedar Holdings Llc Capacitive touch sensor assembly for use in a wet environment
DE102012002467B4 (de) * 2012-02-08 2019-10-10 Leopold Kostal Gmbh & Co. Kg Bauteil mit einem flächigen Bedienelement
US9280141B2 (en) * 2012-04-11 2016-03-08 Bose Corporation Controlling table music system
KR101183144B1 (ko) * 2012-05-25 2012-09-14 실력산업 (주)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CN103684389B (zh) * 2012-09-19 2017-07-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器设备的触摸式电容感应控制装置及空调器
EP2918964B1 (en) * 2014-03-14 2020-05-13 ABB Schweiz AG Method, sensor, and printed circuit board for sensing position or motion of a shaft
KR101677334B1 (ko) 2014-10-24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N105588400B (zh) 2014-11-07 2018-04-13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冰箱控制方法
US10330380B2 (en) 2014-11-07 2019-06-25 Lg Electronics Inc. Touch sensing apparatus for metal panel including display window with through-holes and touch part home appliance having metal panel and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59184B1 (ko) 2014-12-24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KR101668921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1668922B1 (ko) 2014-12-24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가전제품 및 그 제조 방법
JP6449053B2 (ja) * 2015-03-05 2019-01-09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平面スイッチ及びその平面スイッチの取付方法
KR101736608B1 (ko) 2015-11-27 2017-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1622B1 (ko) * 2016-06-09 2023-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116306B2 (en) * 2016-09-19 2018-10-30 Apple Inc. Touch and force sensitive rocker switch
CN111332219A (zh) * 2020-01-17 2020-06-26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带智能触控的内饰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1869A (en) * 1971-04-01 1972-10-31 Gen Instrument Corp Touch switch array panel
CA1152603A (en) * 1979-09-28 1983-08-23 Bfg Glassgroup Capacitive systems for touch control switching
US4262182A (en) * 1980-01-11 1981-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Fully illuminated backlit membrane touch switch
US4377049A (en) * 1980-05-22 1983-03-22 Pepsico Inc. Capacitive switching panel
JPS5757428A (en) * 1980-09-24 1982-04-06 Tokyo Shibaura Electric Co Touch switch
US4532395A (en) * 1983-09-20 1985-07-30 Timex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flexible touch switch panel
JPH0514164A (ja) * 1991-06-28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ツチセンサ
US5572205A (en) * 1993-03-29 1996-11-05 Donnelly Technology, Inc. Touch control system
US5973623A (en) * 1997-10-21 1999-10-26 Stmicroelectronics, Inc. Solid state capacitive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99B1 (ko) 2006-07-06 2008-03-19 주식회사 카모스 정전용량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009A (ko) 2001-12-08
US6667563B2 (en) 2003-12-23
US20010048247A1 (en) 200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266B1 (ko) 평판형 발광소자를 백라이트로 이용한 터치 스위치 장치
US10666253B2 (en) Backlighting appliance deadfronted user interfaces
KR100706324B1 (ko) 컴퓨터 키보드의 배경조명
US4121204A (en) Bar graph type touch switch and display device
US7566995B2 (en) Touch screen having a uniform actuation force and a maximum active area
KR101183144B1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US20090090611A1 (en) Capacitive touch switch and domestic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US20070018965A1 (en) Illuminated touch control interface
TW201022684A (en) Capacitive touch buttons combined with electroluminescent lighting
MXPA06009347A (es) Dispositivo sensor.
PL193982B1 (pl) Łącznik dotykowy urządzenia elektrycznego
KR100823577B1 (ko) 매립형 터치 스위치
JP3937531B2 (ja) タッチスイッチ
KR20090006210U (ko) 고휘도 발광 매립형 터치 스위치
US9746168B1 (en) Light-emitting touch buttons
KR20110138169A (ko) 터치식 투명 키보드
US20040264150A1 (en) Conductor detecting switch
JP2008059912A (ja)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KR2005010716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광형 사이드키
EP0703591A1 (en) Input/output device with a lamp and a switch having 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and contamination
JPH10308135A (ja) 照光式タッチスイッチ
KR101314527B1 (ko)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KR200260014Y1 (ko) 전기전자제품용터치식스위치장치
KR200298242Y1 (ko) 이엘시트로 조명되는 컴퓨터용 키보드
JP2018147872A (ja) 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120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