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5842B1 -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Google Patents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842B1
KR100345842B1 KR1020000047893A KR20000047893A KR100345842B1 KR 100345842 B1 KR100345842 B1 KR 100345842B1 KR 1020000047893 A KR1020000047893 A KR 1020000047893A KR 20000047893 A KR20000047893 A KR 20000047893A KR 100345842 B1 KR100345842 B1 KR 10034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icrostripline
controlled oscillator
voltage controlled
ground condu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30104A (en
Inventor
나카노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1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84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1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distribut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8Stacked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12Hollow waveguides
    • H01P3/121Hollow waveguides integrated in a substrate

Landscapes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Waveguides (AREA)

Abstract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서는 제 1층(41)과 제 3층 (43) 사이에 제 2 접지도체(42a)로 이루어지는 제 2층(42)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층의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b)과 제 2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 치수(12)가 짧기 때문에 Q 값이 작고, 발진신호의 C/N 특성이 크게 취해지지 않아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since the second layer 42 made of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ayer 41 and the third layer 43, Since the length dimension 12 between the second microstrip line 41b for vibrating vessel and the second ground conductor is sh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Q value is small and the C / N characteristics of the oscillation signal are not largely taken.

전기부품(1)을 탑재한 유전체기판(2)과 이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버퍼앰프 출력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을 가지는 제 1층(3)과, 공진용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을 가지는 제 2층(4)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된 제 1 접지도체(5)를 구비하고, 적어도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The dielectric substrate 2 on which the electric component 1 is mounted, the first micro strip line 3a for applying the control voltage and the second micro strip line 3b for oscillation tuning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a first layer 3 having a third microstrip line 3c for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a second layer 4 having a fourth microstrip line 4a for resonan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ground conductor (5) is provided in the second ground conductor, and a second ground conductor is not formed between at least the second micro stripline and the fourth micro stripline.

Description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발명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공진소자로서 사용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the micro stripline as a resonant element.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A conventional micro 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layer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FIG. 12 is a first view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third layer of the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도전선로로 이루어지는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동조소자와 공진소자로서 사용하고 있고, 고주파의 발진(예를 들어, 약 690 MHz의 발진)에 사용된다.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예를 들어 칩형 콘덴서나 집적회로소자 등의 전기부품(30)과, 예를 들어 수지나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기부품(30)이 탑재된 유전체기판(40)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10 to 14, the conventional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20 uses each microstripline made of a conductive line as a tuning element and a resonant element, and generates high frequency oscillation (for example, Oscillation of about 690 MHz).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20 is made of, for example, an electric component 30 such as a chip capacitor or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a dielectric composed of, for example, a resin or ceramics, and on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 30 is mounted. It has a substrate 40.

또 유전체기판(40)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40)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층 (41)과, 제 1층(41)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2)과, 유전체기판(40)의 하면측으로서 제 2층(42)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3층(43)과의 3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40)은 이른바 다층구조로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dielectric substrate 40, a first layer 4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40, a second layer 42 provided below the first layer 41, and a dielectric substrate 40. The three layers with the 3rd layer 43 provided under the 2nd layer 42 as the lower surface side of is formed.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substrate 40 is formed in a so-called multilayer structure.

또 유전체기판(40)의 하면의 대략 전면(全面)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40a)가 형성되어 있다.A substantially groun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40 is formed of a conductor, and a first ground conductor 40a for shielding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20 is formed.

또 제 1층(41)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과,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b)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c)이 병설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layer 41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and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respectively, and has a first micro stripline 41a for applying a control voltage, a second micro stripline 41b for oscillation tuning, and a buffer amplifier. A third microstrip line 41c for output tuning is formed in parallel.

제 2층(42)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접지도체(42a)는 상기한 제 1층(41)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의 모두와 겹치는 위치(대향하는 위치)에 유전체기판(40)내의 대략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비교적 짧은 소정의 길이치수(12)(예를 들어, 약 0.2 mm)로 설치되어 있다.In the second layer 42, a second ground conductor 42a made of a conductor is formed.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has a dielectric material at a position (opposite position) that overlaps with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41a, 41b, 41c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41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front surface in the substrate 40. In this state, the length dimens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41a, 41b, 41c and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is a relatively short predetermined length dimension 12 ( For example, about 0.2 mm).

제 3층(4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은 상기한 제 1층(41)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의 모두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The third layer 43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 fourth micro strip line 43a for resonance is formed. This fourth microstripline 43a is formed at a position partially overlapping with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41a, 41b, 41c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41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제 2층(42)의 제 2 접지도체(42a)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제 1층(41)]과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3a)[제 3층(43)] 사이의 간섭을 적게 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of the second layer 42 includes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41a, 41b, 41c (first layer 41) and the fourth micros. It is formed in order to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trip lines 43a (third layer 43).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30)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와,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43a)과, 제 1 접지도체(40a)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lectrical component 30,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41a, 41b, 41c,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3a, Each of the first ground conductors 40a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rough hole (not shown)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lace.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20)는 실드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40)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고, 또한 제 1, 제 2 접지도체(40a, 42a)와 접속되어 있다.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20 is housed in a shield case (not shown), and the shield case is sold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40, and the first and second ground conductors 40a. , 42a).

여기서 일반적으로 유전체기판내에서의 Q 값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에 대향하는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알려져 있다.It is generally known here that the Q value in a dielectric substrate is influenced by the length dimension between the microstripline and the ground conductor opposite the microstripline.

그리고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서는, 제 1층(41)과 제 3층(43) 사이의 전면에 제 2 접지도체(42a)로 이루어지는 제 2층(42)이 대향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층(41)의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1a, 41b, 41c)과 제 2 접지도체(42a) 사이의 길이치수(거리)(12)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충분한 유전체층의 두께가 얻어지지 않고, 따라서 유전체손실이 증가하여 이것때문에 Q 값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since the second layer 42 made of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between the first layer 41 and the third layer 43, the second layer 42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Since the length dimension (distance) 12 between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41a, 41b, 41c of the first layer 41 and the second ground conductor 42a is relatively shor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was not obtained, and thus the dielectric loss increased, which caused the Q value to decrease.

또 마찬가지로 Q 값이 낮기 때문에 발진신호의 C/N(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 취해지지 않아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Similarly, since the Q value is low, the C / N (carrier / noise) characteristic of the oscillation signal is not largely taken.

따라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Q 값을 높여 발진신호의 C/N 특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mprove the C / N characteristics of the oscillation signal by increasing the Q value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st layer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ir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 embodiment of a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ayer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제 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8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a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10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을 나타내는 평면도,1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layer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2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을 나타내는 평면도,12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layer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3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을 나타내는 평면도,13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layer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4는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conventional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 전기부품 2 : 유전체기판1: Electric parts 2: Dielectric substrate

3 : 제 1층 3a :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 first layer 3a: first micro stripline

3b :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3c :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 second micro stripline 3c: third micro stripline

4 : 제 2층 4a :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 2nd layer 4a: 4th micro stripline

5 : 제 1 접지도체5: first grounding conductor

6 :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 micro 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7 : 제 3층 7a : 제 2 접지도체7: 3rd layer 7a: 2nd ground conductor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을 탑재한 유전체기판과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가지는 제 1층과, 유전체기판 내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공진용 제 4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가지는 제 2층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와, 제 1층과 제 2층 사이에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를 구비하고,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 1층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겹치는 동안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electric substrate on which an electric component constituting an oscillation circuit is formed, and a conductor provided in parallel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 first layer having a second microstripline for oscillation tuning and a third microstripline for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a second lay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having a fourth microstripline for resonance A layer, a first ground conducto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made of a conductor, and a second ground conductor made of a conducto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The second ground conductor is formed to overlap only while overlapping with the third micro stripline.

또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1층의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ground conductor overlaps only between the fourth microstripline and the third microstripline of the first layer.

또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2층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 1층의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formed such that the fourth microstripline of the second layer overlaps only the first and second microstriplines of the first layer.

여기서 발명자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구성에 대하여 각종 실험을 행하여 제 1층과 접지도체(제 2층)와의 배치의 구성의 차이에 있어서의 Q 값의 차이와 제 1층과 제 3층과의 간섭에 대한 검증을 행하여, Q 값의 차이는 주로 발진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에 의해 생기고, 또 제 1층과 제 3층의 간섭은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제 1층)과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제 3층)에서 간섭의 영향이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Here, the inventors hav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the difference in the Q valu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layer and the ground conductor (second layer), and the first and third layers. By verifying the interference with, the difference in the Q value is mainly caused by the length dimension between the oscillation tuning second microstripline and the ground conductor,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layer and the third layer for the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was the greatest in the third microstripline (first layer)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for resonance (third layer).

이것으로부터 종래와 비교하여 큰 Q 값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상호의 간섭을 적정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구성을 얻을 수 있었다.From this, a configuration of a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apable of obtaining a large Q valu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and appropriately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can be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using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3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rst layer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hir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econ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icrostri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mbodiment of a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도전선로로 이루어지는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동조소자와공진소자로서 사용하고 있고, 고주파의 발진(예를 들어 약 690 MHz의 발진)에 사용된다.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예를 들어 형상이 비교적 작은 칩형 콘덴서와, 칩형 저항기와, 집적회로소자 등의 전기부품(1)과, 예를 들어 수지나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부품(1)이 탑재된 유전체기판(2)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6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each microstripline made of a conductive line as a tuning element and a resonance element, and oscillates at high frequency (for example, about 690 MHz oscillation).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6 is made of, for example, a chip capacitor having a relatively small shape, a chip resistor, an electric component 1 such as a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a resin or ceramics. It has a dielectric substrate 2 on which an electric component 1 is mounted.

여기서 유전체기판(2)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2)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 층(3)과, 제 1층(3)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3층(7)과, 유전체기판(2)의 하면측으로서 제 3층(7)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의 3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2)은 이른바 다층구조(3층)로 형성되어 있다.Here, inside the dielectric substrate 2, a first layer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a third layer 7 provided below the first layer 3, and a dielectric substrate 2. Three layers of the second layer 4 provided below the third layer 7 are formed as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substrate 2 is formed of a so-called multilayer structure (three layers).

또 유전체기판(2)의 하면의 대략 전면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ground conductor 5 is formed on a substantially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to shield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6.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층(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3a)과,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발진 동조용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이웃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이 병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을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이 병설로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irst layer 3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and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first micro strip line 3a for applying a control voltage and a first micro strip line. It is provided in the neighborhood of (3a), for example, the oscillation tuning solvent 2 microstripline 3b, and it is installed in the neighborhood of this 2nd microstripline 3b, for example, the 3rd micro for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The strip line 3c is formed in parallel. In other words, the first micro stripline 3a and the third micro stripline 3c are formed in parallel so as to sandwich the second micro stripline 3b.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층(7)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접지도체(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접지도체(7a)는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에만 겹치는 위치로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 환언하면 제 2 접지도체(7a)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는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ground conductor 7a made of a conductor is formed in the third layer 7. The second ground conductor 7a is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only with the third micro strip lines 3c 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 described above (see Fig. 5). In other words, the second ground conductor 7a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3a and 3b.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층(4)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은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의 모두와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5참조).As shown in Fig. 4, the second layer 4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for example, a fourth microstrip line 4a for resonance is formed. This fourth microstripline 4a is formed at a position partially overlapping with al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3a, 3b, 3c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 described above ( See FIG. 5).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에 대향하는 상기 제 1 접지도체(5)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제 1 접지도체(5)가 유전체기판(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소정의 길이치수 (ℓ1)(예를 들어, 약 0.4 mm : ℓ1 > ℓ2)가 된다. 이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제 1 접지도체(5) 사이에서는 충분한 유전체층의 두께가 얻어지고, 따라서 유전체 손실은 종래와 비교하여 감소한다. 이 때문에 Q 값이 상승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C/N(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예를 들어, 약 2 dB 상향)취해진다.In this state, the length dimens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icro stripline 3b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opposite to the second micro stripline 3b is determined by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Since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it becomes a relatively long predetermined length dimension L1 (for example, about 0.4 mm: L1> L2). For this reason, a sufficient thickness of the dielectric layer is obtained between the second micro stripline 3b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so that the dielectric los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For this reason, the Q value rises, so that the C / N (carrier / noise) characteristic of the oscillation signal is large (for example, about 2 dB upward).

또 제 1층(3)과 제 2층(4)의 간섭은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종래와의 비교에서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고, 그리고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의 간섭은,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7a)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이 적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layer 3 and the second layer 4 is not connected to the ground conduct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3a and 3b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a. Even if it is maintained at about the same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and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hird microstripline 3c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4a, the third microstripline 3c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Since the second ground conductor 7a is disposed only between the portions 4a, the interference structure is formed with little interference.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1)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제 1 접지도체(5)와, 제 2 접지도체(7a)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electrical component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3a, 3b and 3c,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a,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Each of the second ground conductors 7a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rough hole (not shown)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lace.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는 실드 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2)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으며, 또 제 1 접지도체(5)와 제 2 접지도체(7a)에 접속되어 있다.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6 is housed in a shield case (not shown), which is sold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are formed. 2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ductor 7a.

다음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층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와 동일구성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6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layer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layer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10)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서, 이하에 그 차이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6 to 9, the structure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ifferenc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또 유전체기판(2)의 내부에는 유전체기판(2)의 상면측에 설치된 제 1층(3)과 유전체기판(2)의 하면측으로서 제 1층(3)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 2층(4)과의 2개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유전체기판(2)은 이른바 2층으로 되어 있다.In the dielectric substrate 2, the first layer 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and the second layer 4 provided below the first layer 3 as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are provided. Two layers with) are formed.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substrate 2 has two layers.

또 유전체기판(2)의 하면의 대략 전면에는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6)를 실드하기 위한 제 1 접지도체(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first ground conductor 5 is formed on a substantially front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to shield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6.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층(3)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각각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이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이웃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이 병설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을 사이에 끼우도록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b)이 병설되어 제 1층(3)의 대략 전면에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irst layer 3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and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for example, a first micro strip line 3a for applying a control voltage and a first micro strip line ( Installed in the neighborhood of 3a), for example in the oscillation tuning second microstripline 3b and in the neighborhood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3b, for example in the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third microstripline ( 3c) b) is formed in parallel. That is, the first micro stripline 3a and the third micro stripline 3c are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sandwich the second micro stripline 3b, so that each microstrip is approximately in front of the first layer 3. A line is formed.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층(4)은 도전선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형상으로 설치되고 예를 들어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상기한 제 1층(3)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과만 일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9참조).즉,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제 1층(3)을 구성하는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는 겹치는 일 없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layer 4 is made of a conductive line,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for example, a fourth microstrip line 4b for resonance is formed. This fourth microstripline 4b is formed at a position partially overlapping only the first and second microstriplines 3a and 3b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 described above (see FIG. 9). The fourth microstrip line 4b for resonance is formed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third microstrip line 3c for buffer amplifier output tuning constituting the first layer 3.

이 때문에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 사이의 간섭은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 사이에 접지도체가 배치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적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층(3)과 제 2층(4)의 간섭은 제 1 및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제 1층(3)]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제 2층(4)] 사이에서는 그 사이에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종래와의 비교에서 대략 동일한 레벨로 유지되어 있다.For this reaso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hird microstripline 3c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4b can be achieved even if the ground conductor is not disposed between the third microstripline 3c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4b. Nevertheless, it is formed in a small configuration.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layer 3 and the second layer 4 is caused by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 lines 3a and 3b (the first layer 3) and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b. ) (Second layer 4) is maintai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level in comparison with the prior art even if no ground conductor is formed therebetween.

그리고 이 상태일 때,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과 상기 제 1 접지도체(5) 사이의 길이치수(거리)는 그 사이에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이 배치되고, 또한 제 1 접지도체(5)가 유전체기판(2)의 하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긴 소정의 길이치수(ℓ1)(예를 들어 약 0.4 mm : ℓ1 > ℓ2)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b)의 유전체 손실은 종래와 비교하여 감소하고, 따라서 Q 값이 올라간다.In this state, the length dimens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micro strip line 3b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is between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b and the first micro strip line 4b is disposed therebetween. Since the ground conductor 5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the ground conductor 5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long predetermined length dimension L1 (for example, about 0.4 mm: l1> L2). For this reason, the dielectric loss of the 2nd micro stripline 3b reduces compared with the former, and therefore Q value rises.

또 도시 생략하였으나, 전기부품(1)과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제 1 접지도체(5)의 각각은 서로 소정의 곳에서 관통구멍(도시 생략)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each of the electrical component 1,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 strip lines 3a, 3b and 3c, the fourth micro strip line 4a and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through hole (not shown) or the like at a predetermined place.

또 이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10)는 실드 케이스(도시 생략)내에 수납되어 있고, 이 실드 케이스는 유전체기판(2)의 측면에 납땜되어 있으며또한 제 1 접지도체(5)와 접속되어 있다.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10 is housed in a shield case (not shown), which is solder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2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conductor 5. have.

또 제 2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비교하여 그 면적이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의 비교에 의해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b)의 형상을 바꾸거나, 형상치수의 정밀도를 유지하는 것 등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과 동등한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the 4th micro stripline 4b of 2nd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area whose area is small compared with the 4th microstripline 4a of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it is the 4th of 1st Embodiment. Comparing with the fourth microstripline 4a of the first embodiment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fourth microstripline 4b by comparison with the microstripline 4a, maintaining the accuracy of the shape dimension, or the like. Maintain functionality.

또한 상기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의 제 1, 제 2 및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은 병설 접속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마이크로 스트립라인(3a, 3b, 3c)이 동일평면형상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고, 그 위치에 대응하여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4a)이 배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microstriplines 3a, 3b, and 3c of the microstrip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microstripline (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3a, 3b, 3c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ame plane shape, and the fourth micro stripline 4a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손실이 감소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되고 더욱 발진주파수의 부하안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has a first ground conductor made of a conductor, and has at least a second microstripline for oscillation tuning and a fourth microstripline for resonance. Since no ground conductor i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because no second ground conductor is formed therebetween, the dielectric loss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Q value. Therefore, the output level of the oscillation signal is increased and load stability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is further improved.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1층의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만이 제 2 접지도체에 의해 실드되기 때문에 이 사이의 간섭이 감소되고, 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 손실이 감소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되며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되고 더욱 발진주파수의 부하안정도가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second ground conductor overlaps only between the fourth microstrip line for resonance and the third microstrip line for tuning the buffer amplifier output of the first layer. Since only between the microstripline and the fourth microstripline is shielded by the second ground conductor, the interference therebetween is reduced, and since the ground conductor is not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the second The dielectric loss of the microstripline is reduced, which improves the Q value, thereby increasing the output level of the oscillation signal and further improving the load stability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및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에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간섭은 적고, 또한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아래쪽에 근접하여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의 유전체 손실이 감소되고, 이 때문에 Q 값이 향상되고 따라서 발진신호의 출력레벨이 상승된다.In addition,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ourth microstripline for resonance overlaps only the first microstripline for control voltage application and the second microstripline for oscillation tuning. The interference of the three microstriplines is small, and since the ground conductor is not form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the dielectric loss of the second microstripline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Q value and thus the oscillation signal. The output level of is raised.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유전체기판의 하면의 접지도체 사이의 길이치수(거리)(ℓ1)(ℓ1 > ℓ2)가 종래와 비교하여 길기 때문에 발진신호의 C/N (캐리어/노이즈)특성이 크게(예를 들어, 약 2 dB 상향)취해져 C/N 비율이 양호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scillation signal because the length dimension (distance) l1 (l1> l2) between the second microstripline and the ground conducto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is longer than in the prior art. The C / N (carrier / noise) characteristic of C is increased (e.g., about 2 dB upward) to provide a micro 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a good C / N ratio.

또 본 발명의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는, 종래의 전압제어발진기에 형성되어 있는 제 2층(42)[제 2 접지도체(42a)]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다층구조의 층수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따라서 저렴한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micro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layer 42 (second ground conductor 42a) formed in the conventional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s not formed, the number of layers of the multilayer structure is at least reduced. This can reduce costs and thus provide an inexpensive micro strip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laims (3)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전기부품을 탑재한 유전체기판과,A dielectric substrate having electric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scillation circuit; 상기 유전체기판 내부의 상면측에 병설하여 설치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제어전압 인가용 제 1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발진 동조용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버퍼앰프출력 동조용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구비하는 제 1층과,A first layer comprising a conductor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sid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having a first micro stripline for applying control voltage, a second micro stripline for oscillating tuning, and a third micro stripline for tuning buffer amplifier output; and, 상기 유전체기판 내부의 하면측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며 공진용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을 구비하는 제 2층과,A second laye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ielectric substrate and formed of a conductor and having a fourth micro strip line for resonance; 상기 유전체기판의 하면에 설치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접지도체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는 제 2 접지도체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A microstrip having a first grounding conducto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said dielectric substrate and made of a conductor, and wherein at least said second microstripline and said fourth microstrip line are not formed; Lin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 상기 제 1층의 상기 제 3 마이크로 스트립라인 사이에만 상기 제 2 접지도체가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And the second ground conductor overlaps only between the fourth micro stripline and the third micro stripline of the first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층의 상기 제 4 마이크로 스트립라인이 상기 제 1층의 상기 제 1및 상기 제 2 마이크로 스트립라인과만 겹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스트립라인형 전압제어발진기.And the fourth micro stripline of the second layer is formed so as to overlap only with the first and second micro stripline of the first layer.
KR1020000047893A 1999-08-19 2000-08-18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034584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2596 1999-08-19
JP11232596A JP2001060827A (en) 1999-08-19 1999-08-19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04A KR20010030104A (en) 2001-04-16
KR100345842B1 true KR100345842B1 (en) 2002-07-27

Family

ID=1694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8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5842B1 (en) 1999-08-19 2000-08-18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1060827A (en)
KR (1) KR100345842B1 (en)
CN (1) CN134823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1119B2 (en) 2003-11-26 2010-04-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4399321B2 (en) * 2004-06-25 2010-01-13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Distributed amplifier
CN106841940A (en) * 2017-01-13 2017-06-13 国家电网公司 A kind of New insulated measuring device with electricity based on intelligent sensor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104A (en) 2001-04-16
JP2001060827A (en) 2001-03-06
CN1348232A (en)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206B1 (en) Flip-chip MMIC resonator circuit with off-chip coplanar waveguide inductor.
KR100322658B1 (en) Dielectric Resonant Apparatus
US7378925B2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resonator frequency adjusting method, and dielectric resonator integrated circuit
US6359536B1 (en) High frequency multi-layer module with electronic component receiving aperture and conductive via
KR100345842B1 (en) Microstrip line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3684524B2 (en) High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device
US5373262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a dielectric resonator provided with a C-shaped electrode and method of regulating oscillation frequency thereof
US6727766B2 (en) Oscillator with dielectric reson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322458B1 (en) High-frequency module
JPH04294616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H1032429A (en) Voltage controlled resonator and adjustment method thereof
JPH1056245A (en) Printed wiring board
JP3473319B2 (en) Multilayer circuit board
US6114918A (en) Low phase-noise device comprising a microstrip-mounted coaxial dielectric resonator and method of reducing the phase noise in such a device, in particular in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JPH07263901A (en) High frequency parts
KR100317364B1 (en) Oscillators and operating methods capable of operating in the gigahertz frequency range
JP4678127B2 (en) High frequency oscillator
EP1211799B1 (en) Lc oscillator
US4625183A (en) Low-cost VCO using lumped elements in microwave band
JPH06216614A (en) Resonance frequency adjusting method for strip line
JP2003110317A (en) Planar circuit equipped with cavity resonator
JPH03261202A (en) Microwave semiconductor device
JPS6261161B2 (en)
KR20030022041A (en) Mounting structure for antenna switching circuits
JPH08330816A (en) Dielectric resonator and voltage control oscillato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