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2266B1 - Cargo transport equipment and its guidance equipment - Google Patents
Cargo transport equipment and its guidance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42266B1 KR100342266B1 KR1019970019137A KR19970019137A KR100342266B1 KR 100342266 B1 KR100342266 B1 KR 100342266B1 KR 1019970019137 A KR1019970019137 A KR 1019970019137A KR 19970019137 A KR19970019137 A KR 19970019137A KR 100342266 B1 KR100342266 B1 KR 100342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guide rail
- article
- goods
- carry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85—Check-in, check-out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자동창고나 각종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물품반송자와 그 안내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goods transporters used in automatic warehouses and various factories, as well as their guidance facilities.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물품반송차의 장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크리프트 등이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하여 접근하여 물품을 옮겨실을 수 있는 물품반송차나, 그 안내설비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article transport vehicle or a guide facility thereof, which allows forklifts to approach an article carrying portion and transports the goods without impairing the advantages of the goods transporter guided along the guide rail.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자동창고 등에 이용되는 물품반송차와 그 가이드설비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가 짐을 받아넘기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의 영역에서는 가이드설비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이 물품을 옮겨싣는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레일이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서 돌출하지 않으므로, 포크리프트 등이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의해 근처에 접근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물품반송차의 구동바퀴가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일의 만곡부에 있어서 보다 원활한 이동이 가능해진다.In the goods transport vehicle used for an automatic warehouse etc. and its guide apparatus, the guide rail which comprises a guide apparatus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goods conveyance in the area | region of the part which carries goods which a goods conveyance vehicle carries over. For this reason, since the guide rail does not protrude from the portion for carrying the article, it is possible for the forklift or the like to approach and work nearby by the portion for carrying the article. Further, in the embodiment, since the driving wheel of the article transporter is arranged in the center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smoother movement is possible in the curved portion of the guide rail.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자동창고나 공장 등에서의 물품반송차에 이용한다.Used for transporting goods in automated warehouses and factori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le transporter guided along a guide rail and a guide apparatus thereof.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는, 자동창고나 각종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차로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형식인 것 이외에, 자기테이프등에 의해서 유도되는 자기유도식의 물품반송차나 통상의 포크리프트 등, 여러가지 형식의 것이 있다.The goods transporting vehicle and its guidance equipment are used in an automated warehouse, various factories, and the like, and are also used as a transporting vehicle for transporting goods, in addition to being guided along a guide rail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various types of vehicles such as food carriers and ordinary forklifts.
그런데, 이들 각각은 장단점이 있는 것으로,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형식의 것에서는, 다른 것에 비하여 주행이 안정되기 때문에, 각종의 물품을 안전하게 반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행속도를 높혀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른 형식의 것에는 없는 커다란 장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each of them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in the type guided by the guide rail, the driving is more stable than the others, so that various items can be safely transported, and the driving speed is increased to improve work efficiency. It's possible to do it, and it's a big advantage that other types don't have.
그러나, 그 반면에 주행 노면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이 필요하게 되고, 그 노면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존재가, 이 형식에 의한 반송설비의 적용범위 확대를 저해하는 한가지 원인으로도 되어 있었다.On the other hand, however,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traveling road surface is required, and the presence of the guide rail provided on the road surface has been one of the reasons for hindering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range of the conveying equipment by this type.
상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레일을 주행 노면에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경우에는 가이드레일의 부설작업이 상당히 대규모로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을 주행 노면 상에 설치하는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아무래도 노면 상에 설치하는 가이드레일이 다른 작업에 방해가 되고, 특히 물품반송차의 주행경로측 옆의 물품을 옮겨싣는 장소에 있어서, 종래의 것은 가이드레일 전체가 평면에서 보아 물품 옮겨싣는 부의 가로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물품반송차의 고장시에 있어서는 물론, 그 물품반송차와 병용하여 주행경로측 옆의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하여 통상의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옮겨싣는 필요성도 자주 발생하는데, 종래의 것에서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의 가로측 방향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레일이 방해로 되어, 포크리프트 등이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 접근할 수 없어, 포크리프트 등에 의한 물품 옮겨싣기가 곤란하였다.In detail, it is also possible to embed the guide rail on the running road surface, but in this case, since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guide rail is quite large, it is generally used to install the guide rail on the running road surface. In this case, however, the guide rail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interferes with other work. In particular, in a place where the goods next to the traveling path side of the goods transporter are carried, the conventional guide rail is moved in the plane view. Since it was installed in the state of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loading section, the part carrying the article next to the traveling path side in combination with the transportation of the goods, as well as at the time of the failure of the transportation of the goods guided along the guide rail, The necessity of carrying goods by using a forklift or the like often occurs, but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guide rail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rrying part of the goods is obstructed, and the forklift approaches the goods carrying part. It was not possible to carry goods by forklift or the lik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안내되는 물품반송차의 장점을 손상시키지 않고, 포크리프트 등이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하여 접근하여 물품을 옮겨실을 수 있는 물품반송차나, 그 안내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이 형식에 의한 반송설비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의 제공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s object is to avoid moving the goods by accessing the forklift or the like where the goods are carried, without impairing the advantages of the goods transporter guided along the guide rai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le transporting vehicle capable of transporting goods and a guide equipment therefor, thereby providing an article transporting vehicle and a guide equipment for expand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transport equipment according to this type.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자와 그 안내설비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자주식(自走式)의 반송차와,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맞대어서 상기 반송차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주행경로를 따라서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의 물품을 옮겨싣기 위한 얹어놓는 면을 가지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서, 얹어놓는 면의 아래(underneath)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article transporter and its guidanc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and are provided along a traveling route of a self-propelled vehicle traveling along a traveling route, and the traveling route,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transport vehicle against the guide unit, and a unit for transporting an article having a mounting surface provided along the travel route and for carrying the article of the transport vehic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underneath the surface on which the article is to be carried.
이와 같은 구조라면, 가이드레일에 방해되지 않고, 포크리프트 등의 다른 물품반송차를 물품을 옮겨싣는 부의 옮겨싣는 면의 근처까지 접근시켜서, 그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하여 물품을 옮겨실을 수 있다.With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ve an article to a portion carrying the article by moving another article carrier such as a forklift to the vicinity of the carrying surface of the portion for carrying the article without disturbing the guide rail. .
따라서, 가이드레일의 안내에 의한 물품반송차를 위해서 전용화되어 있던 물품 옮겨싣는 부를 포크리프트는 물톤, 자기유도식 물품반송차 등의 다른 물품반송차에도 개방할 수 있고, 상술한 가이드레일에 의한 안내형식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 필요에 따라 다른 물품반송차도 병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설비의 적응범위를 대폭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orklift can be opened to other goods carriers, such as Multon, a self-guided goods carrier, and the like by using the guide rails described above.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guide format, it is also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other goods carriers as needed and greatly expand the adaptation range of the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반송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레일을 구비하면, 물품반송차로의 구동전력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물품반송차에 배터리 등의 전력원을 탑재할 필요도, 또 배터리충전용의 설비를 설치할 필요도 없으며, 장시간에 걸친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을 상기 얹어놓는 면의 아래에 배치하면, 급전레일이 포크리프트 등의 다른 물품반송차의 방해가 되는 일도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크리프트 등을 이용하여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하여 물품 옮겨싣기를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 rail is provided with a feed rail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transport vehicle, it is possible to supply driving power to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mount an electric power source such as a battery in the goods transport vehicle, nor to install equipment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it is possible to travel for a long time. Moreover, if it is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said mounting surface, a feed rail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goods conveyance vehicles, such as a forklift, and carries goods with respect to the part which carries goods using a forklift etc. as mentioned above. Can be done.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에 만곡부를 구비하면,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비교해서, 물품반송차의 주행경로를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 그 가이드레일의 만곡부의 바깥쪽을 물품반송차가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만곡부의 내측에 상기 물품 옮겨싣는 부를 설치하면, 물품반송차의 주행경로에 비해 가이드레일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또 설치면적도 작아도 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Moreover, when the said guide rail is provided with the curved part,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a linear guide rail is comprised, the running route of an article carrier can be set relatively freely. In addition, if the goods carrier is configured to travel outside the curved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article carry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curved portion, the length of the guide rail can be made shorter than the travel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Since the area may also be small,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또한, 가이드레일의 만곡부의 내측을 상기 물품반송차가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만곡부의 외측에 상기 물품을 얹어놓는 부를 설치하면, 가이드레일의 길이와 설치면적은 다소 증대하지만, 만곡부의 지름이 커지므로, 그 만곡부에서의 물품반송차의 주행이 원활해지고, 비교적 고속상태에서 만곡부를 따라서 주행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물품반송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Also, if the article carrier is configured to run inside the curved portion of the guide rail and the article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curved portion, the length and installation area of the guide rail will increase somewhat, but the diameter of the curved portion will increase. It is possible to smoothly travel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at the curved portion, and to travel along the curved portion at a relatively high speed,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work efficiency of the article transport.
상기 가이드레일을 루프형상으로 설치하면, 물품반송차를 전후진시키지 않고 한쪽방향으로만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때문에 루프형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복수대의 물품반송차를 동시에 주행시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When the guide rail is provided in a loop shape, it is possible to travel in only one direction without advancing and returning the goods transport vehi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drive a plurality of goods transport vehicles along the loop guide rail to improve work efficiency. You can also promote
그리고, 그 루프형상 가이드레일의 내측을 상기 물품반송차가 주행하도록 구성하면, 물품반송차의 주행이 원활하고 고속주행도 가능하게 되며, 또 그 루프형상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그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루프형상 가이드레일의 내측에까지 포크리프트 등의 다른 물품반송차를 타고 들어갈 수 있고, 다른 물품 반송차에 의해서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대한 물품옮겨싣기를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If the article carrier is configured to run inside the loop guide rail, the article carrier can be smoothly driven and can be driven at a high speed, and a part of the loop guide rail can be removed. By removing a part of the guide rail, another goods carrier such as a forklift can be carried into the inside of the loop-shaped guide rail, and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goods carrying on the part for carrying the goods by another goods carrier. Can be.
상기 물품을 옮겨싣는 부에 반출입용 콘베이어를 구비하고 있으면, 이것을 자동창고의 보관선반에 대하여 물품을 반출입하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물품반송차를 자동창고에 있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종래 가이드레일의 안내에 의한 물품반송차를 위해서 전용화되어 있던 반출입 콘베이어에 대하여, 포크리프트나 자기유도식 물품반송차 등의 다른 물품반송차를 이용하여물품의 반출입을 행할 수 있고, 자동창고의 사용방법을 대폭적으로 개선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f a conveyor for carrying in / out of the article is provided in the part which carries the said article, this can be used as a part which carries the article which carries in / out an article with respect to the storage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and the said goods carrier is used for an automatic warehouse. Can be. The loading and unloading conveyors,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for transporting goods by guide rails, can be brought in and out of goods by using another goods transporter such as a forklift or a self-guided goods transporter. Significantly improved usage can be used convenient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에 조타바퀴가 아닌 구동바퀴 및 조타바퀴가 아닌 종동바퀴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반송차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 1 과 제 2 가이드에 의하여 구성하며, 상기 구동바퀴를 상기 제 1 가이드와 제 2 가이드의 전후방향에서의 간격의 거의 중앙에서, 상기 전후방향과는 수직의 횡단방향으로 이어지는 가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제 1 가이드로부터 구동바퀴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가이드로부터 구동바퀴까지의 거리가 동일해지고, 상기 제 1 가이드에 발생하는 반력에 의한 회전모먼트와, 상기 제 2 가이드에 발생하는 반력에 의한 회전모먼트가 균형이 잡힌다. 이 결과 상기 반력에 기인하는 제 1 가이드에 대한 누름을 회피하여 제 1 가이드나 제 2 가이드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꼬임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구동바퀴의 회동력을 차체의 추진에 효율좋게 사용하여 차체가 원활하게 주행된다. 또한 구동바퀴 및 종동바퀴를 조타바퀴가 아닌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스테어링기구가 필요없이 간단한 구조로 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port vehicle is provided with a driving wheel other than a steering wheel and a driven wheel other than the steering wheel, and the guide part is constituted by first and second guides spaced apar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ransport vehicle. The driving wheel is driven from the first guide when the driving wheel is position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spa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guide and the second guide. The distance to the wheel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guide to the driving wheel become equal, and the rotation moment due to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first guide and the rotation moment caused by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second guide are balanced. This is caught.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the twist between the first guide or the second guide and the guide rail by avoiding the pressing against the first guide due to the reaction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wheel is effectively used to propel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runs smoothly. 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wheel and the driven wheel are composed of non-steering wheels, a steering structure is not necessary and a simple structure is not required.
상기 가이드부를 차체에서 가로 바깥쪽으로 돌출시키면, 가이드레일을 벽가에 배치하여도 이것에 가이드부를 작용시켜 차제를 가이드레일을 따라가게 하여 주행시킬 수 있고, 바닥면 상의 상기 주행경로를 상기 반송자 이외에 사용할 경우 가이드레일이 장애물로 되지 않게 하여 유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반송차를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guide portion protrudes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even when the guide rail is disposed on the wall, the guide portion can act on the guide rail so that the vehicle can be driven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driving path on the bottom surface can be used other than the carrier. In this case, the conveying vehicle can be used while the guide rail does not become an obstacle so as to be advantageous.
상기 구동바퀴를 상기 반송차의 상기 횡단방향의 폭의 중앙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편위(偏位)하여 설치하면, 상기 구동바퀴가 가이드부에 최대한 다가가고, 구동바퀴에 의한 추진력 때문에 차체가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와 가이드레일과의 사이에 꼬임이 발생하는 일이 있어도, 구동바퀴와 가이드부와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꼬임이 비교적 작아지고, 이 면에서도 가이드부가 원활하게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이동한다.When the driving wheel is biased and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guide part at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width of the transport vehicle, the driving wheel approaches the guide part as much as possible, and the vehicle body is guided by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wheel. Even if there is a twist between the guide part and the guide rail while rotating about the part,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wheel and the guide part is short, so that the twist is relatively small. So move on.
상기 구동바퀴를 1개 구비하고, 상기 종동바퀴를 2개 구비하면, 바닥면에 요철이 있더라도 구동바퀴나 어느 종동바퀴도 확실하게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닥면의 요철에 상관없이 차체가 안정적으로 확실하게 주행해 가게 된다.If the driving wheel is provided with one driven wheel and two driven wheels are provided, the driving wheel or any driven wheel can be reliab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even if there are irregularities on the bottom surface. Will run stably and reliably.
상기 반송차가 만곡부의 내측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구동바퀴가 선회중심과, 가이드레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만곡부의 곡율과 상기 구동바퀴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면, 가이드레일이 만곡해 있고 이 만곡부의 내측을 구동바퀴가 지나가는 경우에도, 구동차 바퀴가 추진작용을 확실하게 발휘하여 차체가 원활하면서도 확실하게 주행해 간다.When the transport vehicle is located inside the bent portion, if the curvature of the bent por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rive wheel are set such that the drive wheel is located between the pivot center and the guide rail, the guide rail is curved and the inside of the bent portion is curved. Even when the driving wheel passes, the driving wheel reliably exerts a propulsion action and the vehicle body runs smoothly and reliably.
또, 상기 제 1 과 제 2 가이드 각각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한쪽에 설치된 한쪽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다른쪽에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면, 가이드레일이 만곡해 있어도, 그 좌우측의 어느쪽에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작용하는 등,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가이드롤러가 완전히 떨어져 버리는 사태가 발생하지 않으며, 가이드레일이 만곡되거나 되지 않은 것에 상관없이 상기 반송차가 가이드레일을 정밀도좋게 따르도록 확실하게 방향이 조절된다.Fur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s has one guide roll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at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a pair of guide roller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rail at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hen the guide rail is bent, even if the guide rail is bent, at least one guide roller acts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such that the guide roller does not completely fall off from the left or right side, and the guide rail is not curved or not. Regardless of the above, the direction of the carriage is reliably adjusted to precisely follow the guide rail.
상기 반송차에, 상기 가이드롤러의 각각을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축심을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지지체를 설치하면, 가이드레일이 만곡해 있어도, 그 좌우측 어느쪽에나 가이드롤러가 힘껏 2개씩 작용하도록 롤러지지체가 회동하고, 가이드레일이 만곡되거나 되지 않는 것에 상관없이 차체가 가이드레일에 한층 더 정밀도 좋게 따르도록 확실하게 방향이 조절된다.If a roller support body is provided in the conveying vehicle to support each of the guide rollers through a shaft center extend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even if the guide rails are curved, two guide rollers act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ollers so that the rollers act by force. Regardless of whether the support is rotated and the guide rail is bent or not, the direction is reliably adjusted so that the vehicle body follows the guide rail more precis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에 대하여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재에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Example)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반농차의 안내설비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Embodiment of the guidance apparatus of the goods conveyance vehicle and the semi-thickness vehicle by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이 물품반송차는 제 1 도에 나타낸 자동창고 등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 자동창고는 각종 물품(A)을 팔레트(P) 상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수납 보관하기 위한 보관선반(1)을 구비하고 있다. 이 보관선반(1)은 팔레트(P)를 얹어놓고 유지하는 수납부를 상하방향과 가로방향으토 복수개씩 배열한 구조로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을 일개조로 하여 복수조, 제 1 도에 있어서는 2조 배설되어 있다.This goods transport vehicle is used in the automatic warehouse shown in FIG. 1, and this automatic warehouse is equipped with the
각 조가 서로 대향하는 보관선반(1)의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한 승강대나 포크 등을 구비한 스택커크레인(2)이 레일(3)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스택커크레인(2)에 의해 보관선반(1)의 입구측에 설치된 반입용 리프터(4) 상의 물품(A)을 팔레트(P) 상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보관선반(1)의 수납부로 반입하거나, 수납부의 물품(A)을 반출용 리프터(5) 위까지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Between the
상기 반입용 리프터(4)의 앞쪽에는, 물품을 얹어놓는 부로서의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출용 리프터(5)의 앞쪽에는 같은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의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7)가 설치되어 있다.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6)와 반입용 리프터(4)와의 사이에는, 옮겨싣는 리프터(6)상의 물품(A)을 팔레트(P) 상에 얹어놓고 반입용 리프터(4)까지 반송하는 반입용 콘베이어(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7)와 반출용 리프터(5)와의 사이에는, 반출용 리프터(5) 상의 물품(A)을 팔레트(P)에 얹어놓고 옮겨싣는 리프터(7)까지 반송하는 반출용 콘베이어(9)가 설치되어 있다.In front of the carry-in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입용 리프터(4)와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6)는 체인반송식의 반입용 콘베이어(8)의 내측에 배설되어 반입용 콘베이어(8)의 일부를 구성하며, 반출용 리프터(5)와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7)는 같은 체인반송식의 반출용 콘베이어(9)의 내측에 배설되어 반출용 콘베이어(9)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rry-in
각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6)와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7)와의 사이에서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신축가능한 포크(10a)를 윗면에 구비한 자주식의 물품반송차(10)가 주행 노면으로서의 바닥면 상을 주행가능하게 구성되고, 그 주행경로를 따라서 물품반송차(1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이 1개만 설치되어 있다.Between each
이 1개의 가이드레일(11)은, 2개의 만곡부(lla)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루프형상으로 배설되고, 그 루프형상의 가이드레일(11)의 내측을 복수대의 물품반송차(10)가 동시에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one
이 루프형상의 가이드레일(11)의 바깥쪽에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의 물품반입부(12)와 물품반출부(13)가 설치되고, 각 물품반송차(10)가 그 포크(10a)로 물품반입부(12) 상에 있는 물품(A)을 팔레트(P)마다 들어올려서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6) 상에 까지 반송하거나, 반대로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7) 상에 있는 물품(A)을 팔레트(P)마다 들어올려서 물품반출부(13)까지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utside of the loop-shaped
그리고, 루프형상 가이드레일(11)의 일부(11b)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일부(11b)을 열어 루프형상 가이드레일(11)로부터 제거하면, 그 제거한 부분으로 포크리프트(14) 등의 물품반송차가 루프형상 가이드레일(11)의 내측으토 타고 들어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The part 11b of the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대칭형으로서, 그 좌우측면에는 그 상하방향폭이 안쪽으로 갈수록 서서히 폭이 좁아지는 V자형상의 오목부(15)가 가이드레일(11)의 길이가 긴 방향을 따라서 홈형태로 형성되고, 또 복수개의 다리(16)에 의하여 바닥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유지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의 반입출용 옮겨싣는 리프터(6),(7)와 물품 반입출부(12),(13) 장소에 있어서는, 그 물품(A)의 옮겨싣는 면(B)의 아래쪽에 상기 가이드레일(11)이 완전히 들어가는 상태로 배설되며, 또 가이드레일(11)을 유지하는 다리(16)에는, 를품반송차(10)에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레일(17)이 부착되어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배설되며, 이 급전레일(17)도 물품반입용의 옮겨싣는 리프터(6) 등의 물품을 옮겨싣는 부의 옮겨싣는 면(B)의 아래쪽에 완전히 들어가는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And in the place of carrying-in
또한, 열고 닫을 수 있는 가이드레일(11)의 일부(11b)의 장소에 있어서는, 급전레일(17) 쪽도 각종의 접속구에 의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Moreover, in the place of the part 11b of the
또, 물품반송차(1O)는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제 1 가이드(19A),(19B)와 제 2 가이드(19C),(19D)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가이드(19A),(19B)와 제 2 가이드(19C),(19D)는 상기 반송차(10)의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 1 가이드(19A),(19B)는 가이드레일(11)의 한쪽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가이드롤러(19C)와, 가이드레일(11)의 다른쪽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가이드롤러(19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롤러(19A)와 (19B)는 모두 유지부재(18)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축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2 가이드(19C),(19D)는 가이드레일(11)의 한쪽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가진 한쌍의 가이드롤러(19C)와, 가이드레일(11)의 다른 쪽에 상기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둔 한쌍의 가이드롤러(19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이 전후의 유지부재(18)의 한쪽에는, 상기 급전레일(17)에 접촉하는 집전자(20)가 설치되고, 이 급전레일(17)과 집전자(20)를 통해서 물품반송차(10) 측으로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도륵 구성됨과 동시에, 집전자(20)나 제 1 과 제 2 가이드롤러(19A),(19B),(19C),(19D) 등을 포함하여 유지부재(18) 전체가 물품반입용의 옮겨싣는 리프터(6) 등의 물품을 옮겨싣는 부의 옮겨싣는 면(B)의 아래쪽으로들어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On one side of the holding
물품반송차(10)는 제 2 도와 제 3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되어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의 구동바퀴(25)와, 4조의 종동바퀴(26)와 (27)를 가진다. 제 3 도에서는 편의상 종동바퀴(27)는 나타나 있지 않다.As shown in FIG. 2 and FIG. 3, the
제 8 도에 있어서, 구동바퀴(25)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8 도에서는 (S1)은 4개의 가이드롤러(19A),(19B)를 구비하는 제 1 가이드이고, (S2)는 4개의 가이드롤러(19C),(19D)를 구비하는 제 2 가이드이다.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바퀴(25)는 상기 제 1 가이드(S1)와 제 2 가이드(S2)의 전후방향에서의 간격의 거의 중앙에서, 상기 전후방향과는 수직의 횡당방향으로 이어지는 가상선(KL)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가이드(S1)로부터 구동바퀴(25)까지의 거리(L1)와, 제 2 가이드(S2)로부터 구동바퀴(25)까지의 거리(L2)가 동일하게 되고, 제 1 가이드(S1)에 발생하는 반력(R)에 의한 회전모먼트와, 제 2 가이드(S2)에 발생하는 반력(R)에 의한 회전모먼트가 균형이 잡힌다. 이 결과 상기 반력(R)에 기인하는 제 1 가이드(S1)에 대한 누름을 회피하고, 제 1 가이드(S1)나 제 2 가이드(S2)와 가이드레일(11) 간의 꼬임을 발생하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구동바퀴(25)의 회동력을 차체의 추진에 효율좋게 사용하여 차체가 원활하게 주행된다.8,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제 8 도에 있어서, F1과 F2는 구동바퀴(25)에 의한 구동력 F의 제 1가이드(S1)와 제 2 가이드(S2)에서의 분력 1/2F의 접선방향의 분력과 접선과는 수직 방향의 분력이다.In Fig. 8, F1 and F2 are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component and the tangent of the
반송차(10)의 횡단방향에 대한 구동바퀴(25)의 위치는, 차체의 횡단방향의폭의 중앙으로부터 가이드부쪽으로 편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바퀴가 선회중심(Q)과 가이드레일(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만곡부의 곡율과 상기 구동바퀴(25)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The position of the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동바퀴(26)와 (27) 중, 상기 구동바퀴(25)와는 차체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전후방향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종동바퀴(26)는 차체에 대하여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mong the driven
종동바퀴(27)는 도시하지 않은 상하로 이어지는 축둘레에서 요동이 가능하며, 차바퀴가 향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The driven
(다른 실시형태)(Other embodiment)
이하, 상기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본 발명에 있어서, 변경가능한 특징을 이하에 설명하는데, 상기 실시형태와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특징을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bove embodiments, a changeable feature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 featur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s long as no contradiction occur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앞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레일(11)을 루프형상으로 배설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 가이드레일(11)의 배설에 대하여는, 설치장소의 상황 등에 따라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guide rails 11 are arranged in a loop shape. However, the guide rails 11 can be variously changed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the like.
예컨대,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출용의 옮겨싣는 리프터(6),(7)의 양측에 물품반입부(12)와 물품반출부(13)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11) 만을 배설하며, 그 직선형상 가이드레일(11)을 따라 물품반송차(10)를 왕복주행시켜서 실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article carrying-in
또한,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11)과 하나의 만곡부(11a)와의 조합으로 구성하고, 또 그 만곡부(11a)의 외측을 물품반송차(10)가 왕복주행하도륵 구성하며, 만곡부(11a)의 내측에 물품을 옮켜싣는 부로서의 물품반입분(12)와 물품반출부(13)를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마찬가지로, 직선형상의 가이드레일(11)과 하나의 만곡부(11a)와의 조합으로 구성하고, 그 만곡부(lla)의 내측을 물품반송차(10)가 왕복주행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의 반입출용의 옮겨싣는 리프터(6),(7)와 물품반입출부(12),(13)의 모두가 만곡부(lla)의 외측에 설치되게 된다.Similarly, it can also be comprised by combining the
또한,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을 루프형상으로 하고, 그 외측을 물품반송차(10)가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루프형상 가이드레일(11)의 내측에 물품을 옮겨싣는 부로서의 물품반입출부(12),(13)가 설치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이제까지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레일(11)을 1개만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가이드레일(11)을 2개 이상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only one
또한, 각 물품을 옮겨싣는 부(6),(7),(12),(13)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1)의 전체를 그 옮겨싣는 면(B)의 아래쪽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포크리프트(14) 등의 방해가 되지 않는 한, 가이드레일(11)의 일부를 각 물품을 옮겨싣는 부(6),(7),(12),(13)의 옮겨싣는 면(B)에서 돌출시켜 실시할 수도 있고, 급전레일(17)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반드시 급전레일(17)전체를 옮겨싣는 면(B)의 아래쪽으로 완전하게 들어가게 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in the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유지부재는 차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었으나, 이것을 제 7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축(30) 주위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11')에 대하여 맞닿아 있는 상태와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작업을 행할 때에는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11')과 맞닿는 상태로 하고, 볼트(31)에 의해 차체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반송차(10)를 가이드에서 이탈시킬 때에는 제 7 도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31)를 제거하고, 유지부재(18)를 축(30) 주위로 이동시켜 가이드롤러를 가이드레일(11')로부터 이탈시킨다.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가이드레일(11')의 단면은 제 7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ir of retaining members were fixed with respect to the vehicle body, but as shown in FIG. It can be comprised so that displacement is possible between the state which contacted and the state which is not in contact. When the work is performed, the guide roll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rail 11 'and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the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를 응용한 자동창고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n automated warehouse using the goods transport vehicle and its guid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의 중요부분을 나타낸 평면도,2 is a plan view showing an important part of the goods transport vehicle and its guid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 도는 제 2 도에 나타낸 부분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part shown in FIG.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and its guid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and its guid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의 또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ticle transport vehicle and its guide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7 도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rail and the guide member,
제 8 도는 구동바퀴로 부터의 구동력에 의거하는 가이드롤러에 가해지는 힘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8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force applied to the guide roller based on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wheel.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보관선반 2 : 스택커크레인1: Storage shelf 2: Stacked crane
3 : 레일 4 : 반입용 리프터3: rail 4: carrying lifter
5 : 반출용 리프터 6 : 반입용 옮겨싣는 리프터5: lifter for carrying out 6: transfer lifter for carrying in
7 : 반출용 옮겨싣는 리프터 8 : 반입용 콘베이어7: carrying lifter for carrying out 8: carrying conveyor
9 : 반출용 콘베이어 10 : 물품반송차9: Carrying Conveyor 10: Goods Carrier
10a : 포크 11,11' : 가이드레일10a:
11a : 만곡부 11b : 루프형상 가이드레일11a: curved portion 11b: loop shape guide rail
12 : 물품반입부 13 : 물품반출부12: article carrying section 13: article carrying section
14 : 포크리프트 15 : 오목부14: forklift 15: recess
16 : 다리 17 : 급전레일16: leg 17: feed rail
18 : 유지부재 19A,19B : 제 1 가이드(가이드롤러)18: holding
19C,19D : 제 2 가이드(가이드롤러)19C, 19D: 2nd guide (guide roller)
20 : 집전자 25 : 구동바퀴20: current collector 25: driving wheel
26,27 : 종동바퀴 30 : 축26,27: driven wheel 30: shaft
31 : 볼트 A : 물품31 bolt A: goods
B : 옮겨싣는 면 F1,F2 : 분력B: Surface to be transported F1, F2: Component
L1,L2 : 거리 Q : 선회중심L1, L2: Distance Q: Swivel Center
P : 팔레트 R : 반력P: Pallet R: Reaction
S1: 제 1 가이드 S2 : 제 2 가이드S1: first guide S2: second guide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6-134967 | 1996-05-29 | ||
JP8134967A JPH09315296A (en) | 1996-05-29 | 1996-05-29 | Guide equipment of article conveying c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4604A KR970074604A (en) | 1997-12-10 |
KR100342266B1 true KR100342266B1 (en) | 2002-11-29 |
Family
ID=15140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9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2266B1 (en) | 1996-05-29 | 1997-05-17 | Cargo transport equipment and its guidance equipment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H09315296A (en) |
KR (1) | KR100342266B1 (en) |
DE (1) | DE19722108B4 (en) |
FR (1) | FR2749251B1 (en) |
GB (1) | GB2313818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11144A1 (en) * | 1999-03-12 | 2000-09-21 | Wf Logistik Gmbh | Goods, storage, conveying and handling system for goods held on hangers |
FR2807989A1 (en) * | 2000-04-21 | 2001-10-26 | Robert Grelaud | Autonomous and automatic treatment product distributor, for passing down vegetables in agricultural greenhouses, uses two wheeled trolley guided on horizontal rail, and has distribution system with reservoir, pump and distribution pipes |
JP4310733B2 (en) * | 2003-09-08 | 2009-08-12 | 株式会社ダイフク | Friction-driven cart type conveyor |
JP4310734B2 (en) * | 2003-09-08 | 2009-08-12 | 株式会社ダイフク | Friction-driven cart type conveyor |
CA2635564C (en) * | 2007-06-22 | 2017-09-05 | Steeve Couture | Railing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
CN104029974B (en) * | 2013-03-08 | 2016-05-04 | 深圳中集天达空港设备有限公司 | Automatic stereowarehouse and goods access method thereof |
CN103274153A (en) * | 2013-06-06 | 2013-09-04 | 昆明昆船物流信息产业有限公司 | Conveying system adopting closed track cycle shuttle vehicle to achieve cigarette packet sorting and ex-warehouse |
CN103738686B (en) * | 2013-12-05 | 2015-10-28 | 国家电网公司 | A kind of flexible conveying system based on RGV, AGV |
JP6571916B2 (en) * | 2014-08-27 | 2019-09-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Receipt / shipment support system and receipt / shipment support method |
CN104495185B (en) * | 2014-12-30 | 2016-08-17 | 焦作大学 | A kind of logistics management intelligent warehousing system and storage method thereof |
CN104590905B (en) * | 2014-12-30 | 2016-08-24 | 焦作大学 | A kind of logistics management Load System and the method utilizing these system loading article |
JP6717243B2 (en) * | 2017-03-14 | 2020-07-01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facility |
JP6743750B2 (en) * | 2017-04-14 | 2020-08-19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facility |
FR3068681B1 (en) * | 2017-07-07 | 2021-03-12 | Savoye | LOAD ROUTING SYSTEM BETWEEN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ND A PLURALITY OF PREPARATION STATIONS, VIA A HORIZONTAL LOAD DRAINAGE NETWORK |
EP3854727A1 (en) * | 2020-01-24 | 2021-07-28 | Dematic Ltd. | Storage system |
CN111204562A (en) * | 2020-03-11 | 2020-05-29 | 佛山井松智能科技有限公司 | Warehouse entry line and intelligent warehouse entry system using same |
CN114476702B (en) * | 2022-04-18 | 2022-06-24 | 深圳市捷牛智能装备有限公司 | Material unstacking method based on image processing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72175A (en) * | 1967-03-21 | 1969-10-14 | Dorr Oliver Inc |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method |
US3782565A (en) * | 1971-12-23 | 1974-01-01 | J Doran | Automated handling system for container held material |
GB1356713A (en) * | 1972-09-11 | 1974-06-12 | Sutton J F |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
DE2443827A1 (en) * | 1974-09-13 | 1976-03-25 | Harry Riechelmann | Demountable trolley for warehouse - with standardised chassis members and drive units for assembly into different designs |
DE3031355A1 (en) * | 1980-08-20 | 1982-04-01 | Bleichert Förderanlagen GmbH, 6960 Osterburken | Rail conveyor installation with vertical roller tracks - has guide rollers and includes horizontal tracks for support rollers |
SE451831B (en) * | 1985-09-16 | 1987-11-02 | Knight Konsult Ing | material handling systems |
DE3533063A1 (en) * | 1985-09-17 | 1987-03-26 | Dunkes S Maschinen | Rack appliance for a tool rack |
US4690064A (en) * | 1986-05-20 | 1987-09-01 | Owen William E | Side-mounted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
AT391845B (en) * | 1988-02-16 | 1990-12-10 | Tgw Transportgeraete Gmbh | SHELVING PRODUCTS |
FR2644741A2 (en) * | 1989-02-01 | 1990-09-28 | Bertin & Cie | Device for automatic unilateral guidance of a self-propelled vehicle along a substantially continuous wall |
JPH04121269A (en) * | 1990-09-10 | 1992-04-22 | Murata Mach Ltd | Driving device for bogie |
DE4031883C2 (en) * | 1990-10-08 | 1998-06-10 | Koettgen Lagertechnik Gmbh & C | Pick-up and drop-off system for pallets and containers |
JPH04266565A (en) * | 1991-02-21 | 1992-09-22 | Murata Mach Ltd | Monorail type conveying truck |
EP0588455B1 (en) * | 1992-09-17 | 1997-03-26 | MANNESMANN Aktiengesellschaft | Conveyor system with an industrial truck guided by guide rails |
CH687147A5 (en) * | 1993-03-12 | 1996-09-30 | Fritschi Ag Hugo | Drive a stacker crane for high-bay warehouse. |
DE9404957U1 (en) * | 1994-03-23 | 1994-06-30 | Friedrich Remmert GmbH, 32584 Löhne | Shelf-moving shelf conveyor |
-
1996
- 1996-05-29 JP JP8134967A patent/JPH09315296A/en active Pending
-
1997
- 1997-05-17 KR KR1019970019137A patent/KR1003422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5-27 DE DE19722108A patent/DE19722108B4/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5-28 GB GB9710920A patent/GB2313818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5-29 FR FR9706588A patent/FR274925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4604A (en) | 1997-12-10 |
GB2313818A (en) | 1997-12-10 |
JPH09315296A (en) | 1997-12-09 |
GB2313818B (en) | 2000-07-12 |
GB9710920D0 (en) | 1997-07-23 |
DE19722108B4 (en) | 2007-12-20 |
FR2749251A1 (en) | 1997-12-05 |
DE19722108A1 (en) | 1997-12-04 |
FR2749251B1 (en) | 2001-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42266B1 (en) | Cargo transport equipment and its guidance equipment | |
CN109573443B (en) | Warehouse sorting system | |
US6036427A (en) | Guided vehicle system for transporting loads | |
CN210162598U (en) | Storage letter sorting system | |
JP3375061B2 (en) | Picking system | |
JP2000079878A (en) | Carrier type conveying system | |
KR102339212B1 (en) | transfer robot for automatic warehouse | |
CN216612604U (en) | Three-dimensional warehouse system for logistics loading and unloading vehicle | |
JP2549863Y2 (en) | Conveyance loading vehicle | |
JP3388148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JPH06239448A (en) | Conveyor equipment using self-traveling truck | |
CN220432256U (en) |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being connected and transport system capable of being connected | |
JPH0419132B2 (en) | ||
JPS6127805A (en) | Loading and unloading conveyance device | |
CN217731550U (en) | Sorting storage device | |
JP3431121B2 (en) | Goods transport equipment | |
JPH0687519A (en) | Carrier device | |
JPH01317882A (en) | Transfer equipment using self-propelling body | |
JPH09315295A (en) | Guide structure of conveying car | |
JP3603986B2 (en) | Automatic warehouse goods transfer system | |
JPH0338464A (en) | Unmanned carrier | |
JPH054281B2 (en) | ||
JPH0350004Y2 (en) | ||
JPH03200605A (en) | Conveying device for warehousing | |
JPH0721631U (en) | Article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0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1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3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1606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61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