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40901B1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901B1
KR100340901B1 KR1020000050866A KR20000050866A KR100340901B1 KR 100340901 B1 KR100340901 B1 KR 100340901B1 KR 1020000050866 A KR1020000050866 A KR 1020000050866A KR 20000050866 A KR20000050866 A KR 20000050866A KR 100340901 B1 KR100340901 B1 KR 100340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output data
signal
logic
constant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7499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50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901B1/ko
Publication of KR2002001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3Monostable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1Details
    • H03K3/017Adjustment of width or dutycycle of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353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355Monostable circuits

Landscapes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전원 전압이 변화하거나 공정상의 불일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펄스 폭의 출력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디 플립플롭과 정전류원 회로, 스위치,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단에 항상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클럭 입력단에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되며,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논리 1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액티브 로우 신호에 의해 리셋 되도록 이루어진다. 정전류원 회로는 일정한 크기의 정전류를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는 정전류가 공급되고,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1일 때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0일 때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인버터는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논리 값을 반전시켜서 디 플립플롭의 리셋 단자에 전달한다.

Description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onostable multivibrator}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리거 펄스에 의해 일정한 펄스 폭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트리거 펄스 신호에 의해 일정한 펄스 폭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로서, 연산 증폭기(OP Amp ; operational amplifier)의 오프셋 제거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등 많은 분야에서 응용된다.
도 1은 종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우 레벨의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발생하면 비교기(102)는 로우 레벨 임계 전압(VTL)과 트리거 펄스 신호(VTRIG)를 비교한다. 이 때, 트리거 펄스 신호(VTRIG)보다 로우 레벨 임계 전압(VTL)이 더 높기 때문에 비교기(102)의 출력은 하이 레벨(논리 1)이 되어 RS 플립플롭(104)을 세트(set)시키고, 출력 데이터 신호(Q)는 하이 레벨(논리 1)이 된다.
이때 출력 데이터바 신호(/Q)는 로우 레벨이므로 엔모스 트랜지스터(112)가 턴 오프 된다. 이 때문에 캐패시터(108)가 저항(110)을 통해 충전된다. 캐패시터 전압(Vc1)은 비교기(106)에서 하이 레벨 임계 전압(VTH)과 비교된다. 캐패시터 전압(Vc1)이 하이 레벨 임계 전압(VTH)보다 커지는 순간 비교기(106)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 되어 RS 플립플롭(104)을 리셋(reset)시키고, 출력 데이터 신호(Q)는 로우 레벨이 된다. 이때 출력 데이터바 신호(/Q)는 하이 레벨이므로 엔모스 트랜지스터(112)가 턴 온 되어 캐패시터(108)를 방전시킨다.
즉, RS 플립플롭(104)의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은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발생한 시점부터 캐패시터 전압(Vc1)이 하이 레벨 임계 전압(VTH)보다 커지는 순간까지의 시간과 동일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전원 전압(VCC)이 변화하게 되면 캐패시터(108)의 충전 시간도 함께 변화하므로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 역시 전원 전압(VCC)과 함께 변화하게 된다. 또, 공정상의 불일치에 의해 비교기(102)(106)의 임계 전압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이 변화하게 된다. 즉, 전원 전압(VCC)이 변화하는 경우와, 비교기(102)(106)가 임계 전압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이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출력 데이터 신호(Q)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전원 전압이 변화하거나 공정상의 불일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펄스 폭의 출력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의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디 플립플롭과 정전류원 회로, 스위치, 인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단에 항상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클럭 입력단에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되며,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논리 1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액티브 로우 신호에 의해 리셋 되도록 이루어진다. 정전류원 회로는 일정한 크기의 정전류를 공급한다. 스위치 회로는 정전류가 공급되고,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1일 때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0일 때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인버터는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논리 값을 반전시켜서 디 플립플롭의 리셋 단자에 전달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106 : 비교기
104 : RS 플립플롭
108, 208 : 캐패시터
110, 114 : 저항
112, 218 : 엔모스 트랜지스터
202 : 디 플립플롭
204 : 정전류원 회로
206 : 스위치 회로
210, 212, 214 : 인버터
216, 220, 222 : 피모스 트랜지스터
224 : 정전류원
VTRIG: 트리거 펄스
VTH: 하이 레벨 임계 전압
VTL: 로우 레벨 임계 전압
Ic : 정전류
Vc : 캐패시터 전압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 플립플롭(202)의 데이터 입력단(D)은 항상 전원 전압(VCC)에 연결되어 있어 항상 하이 레벨(논리 1)의 신호가 입력된다. 클럭 입력단(CLK)에는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입력된다. 이 때문에 디 플립플롭(202)에서는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발생할 때마다 항상 하이 레벨(논리 1)의 출력 데이터 신호(Q)가 얻어진다. 또 디 플립플롭(202)은 리셋 단자(RST)를 통해 입력되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 신호에 의해 리셋 된다.
정전류원 회로(204)는 두 개의 피모스 트랜지스터(220)(222)가 능동 부하를 형성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220)의 드레인에는 일정한 크기의 정전류(Ic)를 공급하는 정전류원(224)이 연결되고, 이 정전류(Ic)에 의해 두 피모스 트랜지스터(220)(222)의 게이트가 제어된다. 따라서 피모스 트랜지스터(222)의 드레인 전류는 정전류(Ic)와 같은 크기이다.
스위치 회로(206)는 두 개의 인버터(212)(214)와 캐패시터(208)로 구성된다. 인버터(212)는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를 반전시킨다. 인버터(214)는 풀 업 소자인 피모스 트랜지스터(216)와 풀 다운 소자인 엔모스 트랜지스터(218)가 정전류원 회로(204)와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피모스 트랜지스터(216)와 엔모스 트랜지스터(218)는 모두 인버터(212)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스위치 회로(206)를 구성하는 두 개의 인버터(212)(214)는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에 따라 인버터(214)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캐패시터(208)를 충전하거나 방전한다.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가 하이 레벨이면 인버터(212)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어 인버터(214)의 피모스 트랜지스터(216)가 턴 온 된다. 이 때문에 정전류원 회로(204)로부터 공급되는 정전류에 의해 캐패시터(208)가 충전되어 캐패시터 전압(vc2)이 상승한다.
반대로,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가 로우 레벨이면 인버터(212)의출력은 하이 레벨이 되어 인버터(214)의 엔모스 트랜지스터(218)가 턴 온 된다. 이 때문에 캐패시터(208)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접지로 방전되어 캐패시터 전압(vc2)이 하강한다.
인버터(210)는 캐패시터 전압(vc2)을 반전시켜서 디 플립플롭(202)의 리셋 단자(RST)에 전달한다. 따라서 캐패시터 전압(vc2)이 하이 레벨(논리 1)일 때 디 플립플롭(202)이 리셋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도 2에서,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발생하면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는 하이 레벨(논리 1)이 된다. 이 때문에 인버터(212)의 출력은 로우 레벨이 되어 인버터(206)의 피모스 트랜지스터(216)가 턴 온 된다. 도 3의 t1 시점에서와 같이, 턴 온된 피모스 트랜지스터(216)를 통해 캐패시터(208)의 충전이 시작되고, 이 때문에 캐패시터 전압(vc2)이 상승한다.
캐패시터 전압(vc2)이 계속 상승하여 인버터(210)의 논리 임계 전압(VLT; Logic Threshold Voltage)에 도달하면 도 2의 인버터(210)에서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고, 이 로우 레벨의 신호가 디 플립플롭(202)을 리셋 시키고, 이 때문에 출력 데이터 신호(Q)는 도 3의 t2 시점에서와 같이 로우 레벨(논리 0)로 바뀐다.
결과적으로,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은 트리거 펄스 신호(VTRIG)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리셋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T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서 전원 전압(VCC)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요소는 정전류원 회로(204)의 정전류(Ic)와 인버터(210)의 논리 임계 전압(VLT)이다. 전원 전압(VCC)이 상승하면 정전류(Ic)의 크기 역시 증가하고 논리 임계 전압(VLT)도 상승한다. 반대로 전원 전압(VCC)이 하강하면 정전류(Ic)의 크기 역시 감소하고 논리 임계 전압(VLT)도 하강한다.
이 경우, 전원 전압(VCC)의 변화에 따른 정전류(Ic)의 크기 변화가 캐패시터(208)의 충전 전압, 즉 캐패시터 전압(vc2)에 미치는 영향과 인버터(210)의 논리 임계 전압(VLT)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다면 각각의 변화는 상반된 변화가 아닌 비례적인 변화이다. 따라서 정전류(Ic)의 크기와 캐패시터(208)의 용량, 인버터(210)의 논리 임계 전압(VLT)을 최적화하면, 전원 전압(VCC)이 변화하더라도 디 플립플롭(202)의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은 항상 같은 크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 생산 공정상의 불일치로 인하여 출력 데이터 신호(Q)의 펄스 폭이 변화할 수 있는데, 이 역시 정전류(Ic)의 크기와 캐패시터(208)의 용량, 인버터(210)의 논리 임계 전압(VLT)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정전류원 회로(204)의 피모스 트랜지스터(222)의 채널 길이(channel length)를 최소화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전원 전압이 변화하거나 공정상의 불일치가 발생하더라도 항상 일정한 펄스 폭의 출력 데이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여 연산 증폭기의 오프셋 제거와 같은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정된 고정폭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데이터 입력단에 항상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되고, 클럭 입력단에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트리거 펄스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논리 1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발생시키고, 액티브 로우 신호에 의해 리셋 되도록 이루어지는 디 플립플롭과;
    일정한 크기의 정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원 회로와;
    상기 정전류가 공급되고,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1일 때 상기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0일 때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스위치 회로와;
    상기 캐패시터 전압에 따른 논리 값을 반전시켜서 상기 디 플립플롭의 리셋 단자에 전달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회로는,
    상기 정전류가 공급되는 풀 업 소자와 접지에 연결되는 풀 다운 소자가 직렬 연결되어 제 1 노드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노드와 접지 사이에 상기 캐패시터가 연결되며, 상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1일 때 상기 풀 업 소자가 턴 온 되어 상기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상기 출력 데이터 신호가 논리 0일 때 상기 풀 다운 소자가 턴 온 되어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KR1020000050866A 2000-08-30 2000-08-3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34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866A KR100340901B1 (ko) 2000-08-30 2000-08-3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866A KR100340901B1 (ko) 2000-08-30 2000-08-3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99A KR20020017499A (ko) 2002-03-07
KR100340901B1 true KR100340901B1 (ko) 2002-06-20

Family

ID=196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8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40901B1 (ko) 2000-08-30 2000-08-30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9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414B1 (ko) * 2008-06-25 2011-02-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조관 스위머 성형용 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4157B (zh) * 2016-11-02 2023-03-24 成都前锋电子仪器有限责任公司 低功耗振动检测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414B1 (ko) * 2008-06-25 2011-02-28 남부대학교산학협력단 조관 스위머 성형용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99A (ko)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824B1 (ko) 반도체 소자의 모스(mos) 발진기
US5151614A (en) Circuit having charge compens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4920282A (en) Dynamic latch circuit for preventing short-circuit current from flowing during absence of clock pulses when under test
KR940005506B1 (ko) 플립플롭회로
US5136181A (en) Power-on-reset circuit
US7733191B2 (en) Oscillator devices and methods thereof
KR890005227B1 (ko) 지연 소자를 갖춘 인버터 루우프를 사용한 발진회로
KR100425474B1 (ko) 감소된 프리차지 레벨을 적용하는 데이터 출력방법과데이터 출력회로
CN111357202B (zh) 瞬态不敏感电平移位器
KR20020077455A (ko) 차동 캐스코드 스위치를 이용한 펄스 트리거형 d 플립플롭
US6252452B1 (en) Semiconductor device
EP0896430B1 (en) High-speed clock-enabled latch circuit
KR20070081099A (ko) 발진회로
US6388479B1 (en) Oscillator based power-on-reset circuit
JPS58123223A (ja) Mosパワ−オンリセツト回路
KR100197998B1 (ko) 반도체 장치의 저소비 전력 입력 버퍼
US5869978A (en) Circuit for removing noise components of oscillator
US7187218B2 (en) Reset generator circuit for generating a reset signal
US5614872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R oscillation circuit and reset circuit
KR0159324B1 (ko) 데이터 출력회로
US7295056B2 (en) Level shift circuit
KR100340901B1 (ko)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US10601408B2 (en) Low frequency oscillator with ultra-low short circuit current
EP1109317A1 (en) A controller oscillator system and method
US6882198B2 (en) Edge-triggered toggle flip-flop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6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