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6743B1 - 데이터처리회로 - Google Patents

데이터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743B1
KR100336743B1 KR1019980037574A KR19980037574A KR100336743B1 KR 100336743 B1 KR100336743 B1 KR 100336743B1 KR 1019980037574 A KR1019980037574 A KR 1019980037574A KR 19980037574 A KR19980037574 A KR 19980037574A KR 100336743 B1 KR100336743 B1 KR 100336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processing circuit
unit
sto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9461A (ko
Inventor
황명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19980037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7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7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03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 G06F9/300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machine instructions to perform operations on memory
    • G06F9/30047Prefetch instructions; cache control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안에는 고속장치인 중앙연산처리부가 상대적인 저속장치인 메모리의 동작에 맞춰 동작하므로, 동작속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메모리의 데이터 또는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여 다시 메모리 또는 주변장치에 연산결과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캐쉬메모리와 쓰기버퍼 및 연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는 상기 상대적인 저속장치인 메모리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에 그 저장된 데이터를 연산부로 출력하여, 상대적인 고속장치인 연산부에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 다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읽기버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메모리의 데이터가 읽기버퍼에 저장되는 동안 다른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받아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동작속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 FOR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구조의 데이터 처리 회로에서 메모리의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읽어올 때 버퍼를 사용하여 동작속도를 향상시킨 데이터 처리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처리 회로에 포함되는 중앙처리장치는 그 동작속도가 빠르며, 이에 비해 메모리의 동작속도는 느리게 되어, 쓰기버퍼를 사용하여 일단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를 쓰기버퍼에 저장하고, 그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판단된 후에 그 중앙처리장치는 다른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쓰기버퍼에 저장한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의 동작 일부는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동작속도에 맞춰 동작이 이루어지나, 반대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에서 읽어올 경우에는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될 때까지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2)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아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며, 그 연산결과를 다시 버스(BUS)를 통해 상기 메모리(2)에 저장하며, 그 연산결과를 다수의 입출력부(I/01~I/On)를 통해 외부의 주변기기에 인가함으로써, 그 주변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연산처리부(1)로 구성되며, 그 중앙연산처리부(1)는 상기 버스(BUS)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부(3)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하는 캐쉬메모리(4)와; 상기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입력된 상기 메모리(2)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특정한 요구가 있을 때 출력하는 읽기버퍼(5)와; 상기 캐쉬메모리(4)와 읽기버퍼(5)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여 다시 캐쉬메모리(4)를 통해 출력하는 연산부(6)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중앙연산처리부(1)내의 연산부(6)는 그 동작속도가 빠르며, 외부의 메모리(2)는 상대적으로 그 동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그 연산부(6)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에서 읽어오는 경우, 상기 메모리(2)의 특정 어드레스를 억세스하는 캐쉬메모리(2)의 어드레스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2)의 데이터는 버스(BUS)와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상기 캐쉬메모리(2)를 통해 연산부(6)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가 모두 연산부(6)에 입력될 때까지 상기 연산부(6)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 다시말해서, 다수의 입출력부(I/O1~I/On)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는 대기상태가된다.
그 다음, 상기 메모리(2)의 데이터를 모두 입력받은 연산부(6)는 연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다시 쓰기버퍼(5)를 통해 버스(BUS)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메모리(2)의 동작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므로, 연산부(6)는 연산결과데이터를 상기 쓰기버퍼(5)에 쓰는 것으로, 메모리의 특정어드레스에 연산결과데이터를 저장한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연산동작을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쓰기버퍼(5)에 저장된 연산결과데이터는 입출력부(I/O1~I/On)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거나, 상기 메모리(2)의 특정 어드레스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연산결과를 메모리(2)에 저장하는 경우, 중앙연산처리부(1)는 쓰기버퍼(5)를 두어 동작속도가 다른 두 장치의 시간적차이를 극복하여 고속동작을 꾀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동안에는 고속장치인 중앙연산처리부가 상대적인 저속장치인 메모리의 동작에맞춰 동작하므로, 동작속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읽기동작에서도 중앙연산처리부가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입력되는 것을 기다리지않고, 그 메모리의 데이터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다른 연산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데이터 처리 회로도.
도2는 본 발명 데이터 처리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중앙연산처리부 2:메모리
3:인터페이스부 4:캐쉬메모리
5:쓰기버퍼 6:연산부
7:읽기버퍼
상기와 같은 목적은 메모리의 데이터 또는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여 다시 메모리 또는 주변장치에 연산결과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캐쉬메모리와 쓰기버퍼 및 연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는 상기 상대적인 저속장치인 메모리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에 그 저장된 데이터를 연산부로 출력하여, 상대적인 고속장치인 연산부에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 다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읽기버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 데이터 처리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한 종래의 기술구성에서, 중앙연산처리부(1)내에 메모리(2)의 데이터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저장하는 읽기버퍼(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데이터 처리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연산부(6)의 요구에 따라 메모리(2)의 특정어드레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버스(BUS)를 통해 출력되면, 이는 인터페이스부(3)를 통해 상기 읽기버퍼(7)에 저장된다. 이때, 연산부(6)는 그 상대적으로 저속동작을 하는 메모리(2)의 데이터가 상기 읽기버퍼(7)에 저장되는 동안 다른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함이 가능하다.
그 다음, 상기 읽기버퍼(7)에 필요한 메모리(2)의 데이터가 모두 저장되면, 그 데이터는 연산부(6)에 입력되어 연산되며, 이 연산의 결과인 연산결과데이터는 쓰기버퍼(5)에 저장되고, 종래와 동일하게 그 연산부(6)는 쓰기버퍼(5)에 연산결과데이터가 저장되면, 메모리(2)에 저장된 것으로 인식하여 다른 연산을 수행하며, 쓰기버퍼(5)에 저장된 연산결과데이터는 저속동작을 하는 메모리(2)에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데이터 처리 회로는 읽기버퍼를 두어 상대적으로 저속동작을 하는 메모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경우에 그 메모리의 데이터가 읽기버퍼에 저장되는 동안 다른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받아 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동작속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메모리의 데이터 또는 주변장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특정 프로그램에 따라 연산하여 다시 메모리 또는 주변장치에 연산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캐쉬메모리와 쓰기버퍼 및 연산부를 포함하는 중앙연산처리장치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처리 회로에 있어서, 상기 중앙연산처리장치는 연산부에서 메모리의 데이터를 읽어들일 때 상대적으로 저속장치인 메모리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연산부에 그 저장된 데이터를 연산부로 출력하여, 상대적인 고속장치인 연산부에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동안 다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읽기버퍼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처리 회로.
KR1019980037574A 1998-09-11 1998-09-11 데이터처리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336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74A KR100336743B1 (ko) 1998-09-11 1998-09-11 데이터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74A KR100336743B1 (ko) 1998-09-11 1998-09-11 데이터처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61A KR20000019461A (ko) 2000-04-15
KR100336743B1 true KR100336743B1 (ko) 2002-09-17

Family

ID=19550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7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6743B1 (ko) 1998-09-11 1998-09-11 데이터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7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90A (ko) * 1992-07-30 1994-02-17 이헌조 원타임 입출력 데이타 기록 시스템
KR950001483A (ko) * 1993-06-30 1995-01-03 김광호 명령어 프리 페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690A (ko) * 1992-07-30 1994-02-17 이헌조 원타임 입출력 데이타 기록 시스템
KR950001483A (ko) * 1993-06-30 1995-01-03 김광호 명령어 프리 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61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73471B2 (ja) 情報処理装置
CN111177027A (zh) 动态随机存取存储器、内存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6581120B1 (en) Interrupt controller
US5761718A (en) Conditional data pre-fetching in a device controller
KR100336743B1 (ko) 데이터처리회로
US5734900A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cluding efficient power on initialization
JP3717813B2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0285019A (ja) キャッシュ制御回路
JP2002149593A (ja) 階層バスシステム
JP2945525B2 (ja) プロセッサ、メモリ、およびデータ処理装置
JPS61269735A (ja) 電子計算機における命令キユ−制御方式
KR200170154Y1 (ko) 플래시 메모리의 제어 장치
JPH02236651A (ja) メモリバッファ
JP2000029508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01273014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01229074A (ja) メモリ制御装置と情報処理装置及びメモリ制御チップ
JPS635432A (ja) マイクロプロセツサ
JP2002099429A (ja) I/oトラップ割り込み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CN113138657A (zh) 一种降低cache访问功耗的方法和电路
JP2002259209A (ja) 演算処理システム
JP2001100991A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H04188226A (ja) 命令先読み制御装置
JPH03127126A (ja) 情報処理装置
JPH05334074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
JPH01121965A (ja) マイクロプロセッ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2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