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6052B1 - 선택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선택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052B1
KR100336052B1 KR1019960702180A KR19960702180A KR100336052B1 KR 100336052 B1 KR100336052 B1 KR 100336052B1 KR 1019960702180 A KR1019960702180 A KR 1019960702180A KR 19960702180 A KR19960702180 A KR 19960702180A KR 100336052 B1 KR100336052 B1 KR 10033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laminate
absorbent
carrier layer
regio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챠드 워렌 탄저
프랭크 폴 어뷰토
스탠리 로이 켈렌버거
다니엘 리챠드 로욱스
브라이언 케이쓰 노트만
윌리암 실 팜플런
칼 제라드 리플
마크 루이스 로빈슨
로리 프란시스 샐리
웬 치오 슈로더
샌드라 마리 야브로그
데이비드 루이스 젠커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0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 A61F2013/5391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with epicyclical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 A61F2013/539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with water-soluble bind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 용품은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 층을 포함한다. 감수성 접착제와 같은 캐리어 부착 메카니즘은 캐리어 층들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부착된 대역 및 실질적으로 미부착된 다수의 대역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미부착된 대역은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며, 고흡수성 재료가 이 포켓 영역 내에 위치하여 라미네이트 길이 및 라미네이트 너비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다수의 포켓 영역은 예를 들면 주축 길이 및 상대적으로 짧은 부축 너비를 갖는 신장 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선택된 신장 포켓 영역은 비인접된 복잡한 형상의 포켓을 갖는 분산된 포켓 어레이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포켓 어레이는 다수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포켓 영역 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레이의 바로 인접된 열 부분은 비인접된 파형 형상으로 배열된 포켓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캐리어 부착 메카니즘은 감수성일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 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흡수 용품은 흡수 패드 및 이 패드와 함께 하이드로콜로이드 물질을 보유하기 위한 포켓을 갖는 흡수성 패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977년 10월 25일에 특허된 카라미(H. Karami)의 미합중국 특허 제4,055,180호 및 1982년 11월 23일에 특허된 스티마(J. Stima)의 미합중국 특허 제4,360,021호를 참조할 수 있다.
흡수 용품은 또한 개별 초흡수성 입자 및 개별 인트로파잉(introfying) 입자의 균일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1개 이상의 포켓을 갖는 흡수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1982년 5월 4일에 특허된 엘리어스(R. Elias)의 미합중국 특허 제4,327,728호 및 1983년 5월 3일에 특허된 엘리어스의 미합중국 특허 제4,381,783호를 참조할 수 있다.
기타 흡수 용품은 기저귀 배트의 상부와 하부 섬유 웹 사이의 이격된 불연속영역 내에 제공된 일정량의 고도로 액체 흡수성인 초흡수싱 재료를 가지며, 흡수성 구조 내에서의 액체의 이동 및 효율적인 위킹(wicking)을 촉진시키기 위해 1개 이상의 치밀화된 일체성 위킹층 및 치밀화된 위킹 엠보싱 네트워크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1990년 10월 2일에 특허된 메섹(F. Mesek)의 미합중국 특허 제4,960,477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과 같은 종래의 흡수 용품은 적절한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초흡수용 재료의 사용량이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용품의 사용 주기 동안 초흡수성 재료의 보유(containment)에도 부적절하다. 흡수된 액체의 업테이크율은 불충분하여 흡수 용품에서는 과도하게 새는 현상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흡수 용품,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개인 위생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한 쌍의 캐리어 시트 사이에 고정된 초흡수성 중합체 재료의 개별 포켓을 포함하는 일회용 의류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은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며, 또 다른 이점들도 보다 뚜렷해질 것이다.
제1도는 완전히 펼친 본 발명의 용품의 부분 절단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용품의 길이 방향의 횡단면도이고,
제3도는 각종 탄성체들이 수축되어 그들의 탄성화 부분을 주름지게 하는 본 발명의 용품의 투시도를 나타내고,
제4도는 상부시트의 외측 표면 상에 서지층을 갖는 본 발명의 대표적 용품의 한 실시태양의 길이방향의 횡단면도이고,
제5도는 선택된 분포층에 의해 제공된 보충 흡수제의 몸쪽 표면 상에 위치하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갖는 본 발명의 흡수 구조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분 절단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7도는 제6도에 도시한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제8도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몸쪽 표면 상에 위치한 분포층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제9도는 가열 밀봉 장치를 사용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에 포켓 영역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제10도는 엠보싱 다이를 사용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에 포켓 영역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제11도는 본 발명의 특정 배열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진공 박스의 평면도를나타내고,
제12도는 라미네이트의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의 2차 부착을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분 절단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13도는 라미네이트의 측면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의 2차 부착을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분 절단 평면도를 나타내고, 바로 인접하는 포켓 영역 사이의 틈새 위치에 위치한,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인 2차 부착 수단을 나타내고,
제14도는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인 2차 부착 수단이 습윤된 라미네이트 중에서 채널 영역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습윤된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제15도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포켓 영역 내에 함유된 일정량의 고흡수성 입자를 통해 분산된 매트릭스 섬유 배열의 확대(약 25.7배)도를 나타낸다.
제16도는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갖고, 라미네이트의 허리 밴드 부위에서 이 하나 이상의 열은 사실상 횡방향 너비 치수를 따라 정렬된 다수의 포켓 영역의 주축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17도는 다수의 직사각형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갖고, 라미네이트의 허리 밴드 부위에서 이 하나 이상의 열은 사실상 횡방향 너비 치수를 따라 정렬된 다수의 포켓 영역의 주축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18도는 다수의 조개 형상 포켓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19도는 다수의 눈물 방울 형상의 포켓 영역을 갖는 하나 이상의 열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0도는 곡선형 테투리와 포켓 어레이내에서 수렴(convergent) 및 분기(divergent) 되는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1도는 라미네이트의 허리 밴드에서 수렴/분기 포켓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2도는 사실상 라미네이트 어레이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포켓 어레이를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3도는 바로 인접한 포켓 영역사이의 길이 방향 틈새보다 비교적 보다 큰 횡 방향 틈새가 더 큰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4도는 라미네이트 어레이의 상이한 부위에서 바로 인접한 포켓 사이의 상이한 횡 방향 틈새를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5도는 라미네이트 어레이의 상이한 부위에서 바로 인접한 포켓 사이의 상이한 횡 방향 틈새 및 길이 방향 틈새를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6도는 라미네이트 어레이의 선택 부위에서 상이한 형상을 갖고 상이하게 이격되어 있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제27도는 라미네이트 어레이의 선택 부위에서 상이한 크기의 포켓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발명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흡수 구조는 일회용 흡수 제품 중에서의 이들의 사용과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의 흡수 구조의 잠재적 용도가 일회용 흡수 용품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된 "일회용 흡수 용품"이란 용어는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여 함유하고 제한된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한 후에는 버리도록 되어있는 용품을 의미한다. 이 용품은 세탁되거나 또는 다르게 재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용품은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배설물을 흡수하여 함유하도록 착용자의 신체를 향해 또는 착용자의 신체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구체적으로는 기저귀 용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을 또한 다른 일회용 개인 위생 흡수 용품, 예를 들면 성인 실금자용 의류, 생리대, 유아용 속팬츠, 침대 패드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및 2도를 살펴보면, 기저귀(10)과 같은 흡수 용품이 대표적으로 모든 탄성 수축 및 주름이 제거된 그의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나타나 있다. 흡수 용품은 제5, 6 및 7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독특한 흡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수 구조는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층(98) 및 적어도 제2의 캐리어층(100)을 포함한다. 캐리어 부착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102)는 캐리어층들(98 및 100)을 함께고정시켜 실질적으로 부착된 대역(104) 및 그의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다수의 대역(106)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대역(106)은 다수의 포켓 영역(108)온 제공하고, 고흡수성 재료, 예를 들면 초흡수성 재료의 입자(110)이 이 포켓 영역(108) 내에 위치하여 라미네이트 길이(108) 및 라미네이트 너비(150)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제공한다. 흡수성 라미네이트는 비인접된 복잡한 배열의 어레이된 포켓 영역을 갖는 분산 포켓 어레이(144) 내에 배열된 다수의 포켓 영역(10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선택된 다수의 포켓 영역(108)은 주축 길이(140) 및 비교적 짧은 부축 너비(142)를 갖는 신장 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된 다수의 포켓 영역(138)은 포켓 영역 다수의 열(146)을 갖는 분산된 포켓 어레이(144)내에 포함될 수 있다. 어레이내에서, 포켓 열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일반적 열내에서 개개 포켓 영역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분포된다. 예시된 실시 태양에서, 예를 들면, 포켓 어레이 (144)는 비인접되며 파상의 옵셋 배열로 배열된 포켓 영역(138)의 바로 인접한 열들 (146, 146a)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열(146)내의 포켓 영역은 열(146a)의 포켓 영역과는 비인접되며 열(146)내의 포켓 영역은 바로 인접해 있는 열(146a)을 형성하는 포켓 영역에 대해 옵셋의 파형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추가 면에서, 매트릭스 섬유의 선택량은 포켓 영역 중 고흡수성 재료내에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캐리어 부착 수단은 감수성이거나 또는 감수성 및 비감수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캐리어 부착 수단은 감수성이거나 또는 감수성 및 비감수성 기작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는, 매트릭스 섬유가 습윤성이거나 비습윤성일 수 있고, 포켓 내에 함유된 재료 중량에 대해 측정하였을 때 약 0.1 내지 10 중량% 범위 이내의 평균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수축시키는데 사용되는 부착 수단은 라미네이트가 실질적으로 건조할 때 라미네이트의 일체성을 작동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해야 한다. 또한, 부착 수단은 캐리어 시트가 실질적으로 소변과 같은 수성 액체로 습윤되었을 때 라미네이트의 일체성을 일반적으로 유지할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부착 수단의 고정 강도는 고흡수성 재료가 습윤되어 실질적으로 포화되었을 때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을 실질적으로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낮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추가로, 부착 수단의 강도는 고흡수성 재료가 수성 액체를 흡수할 때 고흡수성 재료에 의해 생성되는 팽창력 하에 캐리어층(100)으로부터 캐리어층(98)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충분히 낮을 수 있다. 부착 수단의 강도와 적절하게 협력하여, 캐리어층은 부착 수단의 부착 강도보다 큰 파열 강도를 갖는 형태를 이룬다. 선택된 부착 수단의 고정 강도 및 선택된 조절가능한 분리는 액체의 흡수 동안 고흡수성 재료가 사실상 및 효과적으로 체적을 팽윤시키면서 2개의 캐리어층 모두 또는 이들 중 하나의 파열을 막을 수 있다.
제1도에서, 구조의 일부분은 기저귀(10)의 수축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부분 절단해 내었고, 착용자와 접촉하는 기저귀 면이 보는 사람을 향하게하였다. 나타낸 기저귀(10)의 실시태양은 앞과 뒤 허리밴드 영역(12 및 14)을 상호연결시키는 중간의 가랑이 영역(16)을 갖는다. 기저귀의 외측 연부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연부 마진이 (20)으로 표시되고 옆으로 연장되는 말단 연부 마진이 (22)로 표시되는 주변부(18)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 연부는 곡선이고, 기저귀의 다리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형태를 이룬다. 말단 연부는 직선으로 나타나 있지만, 임의적으로 곡선일 수도 있다. 기저귀는 추가로 횡방향의 중심선(24) 및 종방향의 중심선(26)을 갖는다.
기저귀(10)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8),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30), 상부 시트와 배면 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 구조체(32)와 같은 흡수체, 다리 탄성 부재(34), 및 허리 탄성 부재(42 및 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시트(26), 배면시트(30), 흡수 구조체(32) 및 탄성 부재(34. 42 및 44)를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기저귀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
제4 및 5도를 살펴 보면, 본 발명의 각종 측면의 흡수 용품은 소변과 같은 흡수된 액체를 저장 및 고정시키기 위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와 같은 제1 흡수부를 갖는 보유부(48)을 포함하는 흡수성 구조체(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유부는 또한 바깥쪽 분포층(120)과 같은 보충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특정면에서 보충 흡수체는 별법으로는 또는 추가적으로 몸쪽 분포층(184)를 포함할 수 있다(제8도 참조).
본 발명의 각종 면에서는 또한 상부시트(18)의 몸쪽 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거나(제2도), 또는 다르게는 배면시트(30)을 향하도록 반대편의 상부시트의 바깥쪽표면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배설 처리부(46)을 갖는 흡수 용품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의적 배치에서, 배설 처리부는 여러조각의 상부시트와 협력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시트 형상은 예를 들면 기저귀 횡단면을 따라 서로 옆으로 이격되어 있는 2개의 개별적 상부시트 섹션 및 이들 사이를 결합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중간의 배설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설 처리부는 상부시트 복합 조립체의 중간 섹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수 용품 구조는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상반되지 않는) 정도의 기재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는, 1991년 9월11일에 프록스마이어(D. Proxmire) 등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07/757,778호로서 발명의 명칭이 "ABSORBENT ARTICLE HAVING A LINER WHICH EXHIBITS IMPROVED SOFTNESS AND DRYNESS, AND PROVIDES FOR RAPID UPTAKE OF LIQUID"(대리인 정리번호 제9932호)이고 1993년 3월 9일에 특허되어 지금은 미합중국 특허 제5,192,606호가 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흡수 용품 구조는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기재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는, 발명의 명칭이 "THIN ABSORBENT ARTICLE HAVING RAPID UPTAKE OF LIQUID"(대리인 정리번호 제9922호)인 한슨(W. Hanson) 등의 미합중국 특허 출원번호 제07/757,760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1 내지 3도에 대표적으로 나타낸 기저귀(10)의 실시태양에서는, 상부시트(28) 및 배면시트(30)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연장성을 갖고, 흡수 구조체(32)의 대응 치수보다 큰 길이와 폭 치수를 갖는다. 상부시트(28)은 배면시트(30) 상에 겹쳐놓여져서 이에 따라 기저귀(10)의 주변부(18)을 형성시킨다. 주변부는 기저귀(10)의 바깥쪽 둘레 또는 연부의 한계를 정하고.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말단 연부(22) 및 모양에 꼭맞게 만들어진 길이방향 연부(20)을 포함한다. 기저귀(10)은 각각 기저귀 연부(18)의 옆으로 연장되는 말단 연부(22)로부터 기저귀(10)의 길이의 약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5%의 길이를 따라 기저귀의 횡방향의 중심선(24)를 향해 연장되는 앞과 뒤 허리밴드 영역(12 및 14)를 갖는다. 허리밴드 영역은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허리 또는 중하부 몸통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덮거나 또는 둘러싸는 기저귀(10)의 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는, 배면시트(30)은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앞 및(또는) 뒤 허리밴드(12, 14)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는, 배면시트(30)은 실질적으로 액체와 공기 모두 불투과성인 앞 및(또는) 뒤 허리밴드(12, 14)를 제공할 수 있다.
중간의 가랑이 영역(16)은 허리밴드 영역(12 및 14) 사이에 놓여져서 이들을 상호연결시키고,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하루 몸통을 덮는 기저귀(10)의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16)은 기저귀(10) 또는 기타 일회용 흡수 용품에서 전형적으로 반복해서 액체 배설이 일어나는 영역이다.
상부시트(28)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였을 때 피부에 잘 맞고 부드러운 감촉을 주며 비자극성인 몸체를 향하는 표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부시트(28)은 보유부(48)보다 덜 친수성일 수 있고, 이의 두께를 통해 액체가 쉽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액체 투괴성이도록 충분히 다공성이다. 적합한 상부시트(28)은 다공성 발포체, 망상 발포체, 천공된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혼합물과 같은 선택된 너비를 갖는 웹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부시트(28)은 대표적으로는 흡수 구조체(32) 중에 보유된 액체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분리시키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각종 직물 및 부직물을 상부시트(28)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시트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웹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시트는 또한 천연 및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bonded-carded-web)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부직 웹"은 옷감의 직조 또는 편물 과정의 도움없이 제조되는 재료의 웹을 의미한다. 용어 "직물"이란 모든 직조되고, 편성된 부직 섬유 웹을 언급하는데 사용된다.
상부시트 직물은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수성 재료는 임의로 계면활성제 처리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소정의 습윤성 및 소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상부시트(28)은 약 22 gsm의 기초 중량 및 약 0.06 gm/cc의 밀도를 갖는 웹으로 형성된 약 2.8 내지 3.2 데니어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직물이다. 직물을 약 0.28% 트리톤 X-102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한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2개의 보유 플랩(62)을 상부시트층(28)의 몸쪽 표면에 연결시킨다. 보유 플랩(62)에 적합한 수축 및 배역은 예를 들면 1987년 11월 3일에 특허된 엔로(K. Enloe)의 미합중국 특허 제4,704,116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도시한 배열의 보유 플랩(62)는 플랩의 고정된 연부(64)를 따라 상부시트층(28)에 부착된다. 각 보유 플랩의 이동가능한 연부(66)은 탄성 재료의 1개 이상의 개별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플랩 탄성 부재(68)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다수의 탄성 스트랜드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배열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를 할 수 있고, 적합한 탄성 스트랜드는 예를 들면 470 데시텍스 라이크라(Lycra)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부재(68)은 그의 탄성 성분의 수축이 보유 플랩의 연부를 주름잡아 단축시키도록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보유 플랩의 이동가능한 연부에 결합된다. 그 결과, 각 보유 플랩의 이동가능한 연부는 일반적으로 똑바로서고 거의 수직인 위치를 향하는 배설 처리부(46), 특히 기저귀의 가랑이 섹션 및 (또는) 상부시트(28)의 몸쪽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관계로 그 자신을 위치시키는 경향이 있다. 보유 플랩은 상부시트(28)를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가 수축된 것일 수 있다, 임의의 실시태양에서, 보유 플랩은 배설 처리부(46)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가 수축된 것일 수 있다. 보유 플랩은 공기 투과성, 액체 투과성,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또는 이들의 조합인 재료가 수축된 것일 수 있다.
배면시트(30)은 액체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이도록 형태를 이룬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표적인 배면 시트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기타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가요성"이란 순응적이고 착용자 신체의 일반적 형태 및 윤곽에 쉽게 일치하게 되는 재료를 의미한다. 배면시트(30)은 흡수 구조체(32) 중에 함유된 배출물 기저귀(10)과 접촉하는 겉옷 및 침대시트와 같은 용품을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면시트는 단일 재료층일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성분들이 차례대로 조립되거나 또는 적층되어 이루어진 복합층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의 배면시트(30)은 기저귀의 허리밴드부(12 및 14)에서 옆으로 신장되는 돌출되는 이어(ear) 섹션을 포함한다. 이어 섹션은 배면 시트(30)의 가랑이 섹션과 함께 다리 개구부 영역을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작동가능하게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배면시트(30)은 약 0.012 밀리미터 내지 약 0.051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배면시트는 약 0.032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필름이다. 다른 구성을 갖는 배면시트는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축되거나 또는 흡수체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 근방의 선택된 영역에 소정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된 직조 또는 부직 섬유 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배면 시트의 말단 연부는 배면시트 부재의 앞 또는 뒤 허리밴드 연부와 실질적으로 경계를 같이 하고 있는 위치로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배면시트(30)을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은 배면시트의 앞 또는 뒤 허리밴드 연부와 실질적으로 경계를 같이 하고 있는 위치로 연장된다.
배면시트(30)은 전형적으로는 용품의 외측 커버를 제공한다. 임의적으로 용품 배면시트는 외측 커버층과는 별도의 것으로서 외측 커버층과 흡수 구조체 사이에 놓여질 수 있는 1개 이상의 분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시트(30)은 임의로 수증기는 흡수 구조체(32)로부터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액체 배출물은 배면시트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미세다공질의 "통기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기가능한 배면시트는 피복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소정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된 부직포 또는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합한 미세다공성 필름은 일본국 도꾜에 사무실을 갖는 회사, 미쯔이 도아쯔 케미칼즈 인크 (Mitsui Toatsu Chemicals, Inc.)가 시판하는 PMP-1 재료, 또는 미합중국 미네소타주 미네아폴리스 소재의 쓰리엠 캄파니(3M Company)가 시판하는 XKO-8044 폴리올레핀 필름이다. 배면시트는 또한 엠보싱 처리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미관적으로 보다 밝은 외관을 나타내기 위하여 매트 마무리가 제공될 수 있다.
배면시트(30)의 크기 및 형태는 대표적으로는 흡수 구조체(32)의 크기 및 선택된 정확한 기저귀 디자인에 의해 결정된다. 기저귀(10)은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T형, 일반적으로 I형 또는 변형된 장고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 앞 및(또는) 뒤의 이어부(38 및 40)을 형성할 수 있다. 배면시트는 선택된 거리, 예를 들면 약 1.3 센티미터 내지 20.3 센티미터(약 0.5 내지 8 인치) 범위 이내의 거리 만큼흡수 구조체(32)의 말단 연부를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상부시트(28) 및 배면시트(30)은 작동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이란 상부시트(28)을 배면시트(30)에 직접적으로 덧붙임으로써 상부시트(28)이 배면시트(30)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 및 상부시트(28)을 중간의 부재에 덧붙이고 이어서 중간부재를 배면시트(30)에 덧붙임으로써 상부시트(28)이 배면시트(30)에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부시트(28) 및 배면시트(30)은 기저귀 주변부(18)에서 접착제, 음파 본드, 열 본드 또는 기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부착 수단과 같은 부착 수단(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서로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제의 균일한 연속층, 접착제의 패턴화된 층, 접착제의 분무 패턴 또는 구성 접착제의 개별 선, 소용돌이 또는 점들의 배열을 사용하여 상부시트(28)을 배면시트(30)에 덧붙일 수 있다. 상기한 부착 수단은 또한 용품의 다른 성분 부분들을 함께 연결시키거나 또는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 탭 패스너(36)과 같은 고정 수단은 진형적으로는 기저귀(10)의 뒤 허리밴드 영역(14)의 옆면 말단에 적용되어 기저귀를 종래의 방법으로 착용자 상에 고정시키는 기작을 제공한다. 테이트 탭 패스너(36)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것일 수 있고, 전형적으로는 기저귀(10)의 모퉁이에 적용된다. 적합한 접착제 테이프 패스너는 1992년 9월 15일에 특허된 후앙(Y. Huang)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5,147,347호(대리인 정리 번호 제9871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기재 내용이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다.
탄성 부재(34, 42 및 44)는 기저귀(10)의 주변부(18)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 측면 연부 영역(20)을 따라, 다리 탄성 부재(34)는 기저귀(10)을 착용자의 다리에 대해 끌어 당겨 고정시키도록 배열된다. 허리 탄성 부재, 예를 들면 후 허리 탄성체(42)는 또한 기저귀(10)의 말단 연부(22)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탄성화된 허리밴드를 제공한다.
탄성 부재는 정상의 언더 스트레인 형태에서 탄성 부재가 기저귀(10)에 대해 효과적으로 수축하도록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기저귀(10)에 고정된다. 탄성 부재는 적어도 2가지의 방법으로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탄성 부재는 신장될 수 있게 고정될 수 있는 반면 기저귀(10)은 수축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 별법으로는, 탄성 부재가 그의 휴식 또는 연신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동안 기저귀(10)은 예를 들면 주름잡음(pleating)으로써 수축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기저귀(10)에 고정 연결된다. 다른 수단, 예를 들면 가열 수축 재료를 사용하여 의류의 주름을 잡는다.
제1도에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다리 탄성 부재(34)는 반드시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16)의 완전한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별법으로는, 탄성 부재(34)는 기저귀(10)의 전체 길이 또는 특정 기저귀 디자인에 바람직한 탄성적으로 수축가능한 선들의 배열을 제공하기 적합한 기타 임의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34, 42 및 44)는 임의의 크기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개의 탄성 부재(34)의 폭은 0.25 밀리미터(0.01 인치)로부터 25 밀리미터(1.0 인치) 또는 그 이상으로 변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탄성 재료의 단일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탄성 부재의 몇개의 평행하거나 또는 평행하지 않은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직선 또는 곡선 배열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트랜드들이 평행하지 않을 경우, 2개 이상의 스트랜드는 탄성 부재 내에서 서로 교차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서로연결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 증의 한 방법으로 기저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 부재는 초음파 결합되거나, 각종 결합 패턴을 사용하여 가열 및 가압 실링되거나 또는 가열용융 접착제의 분무되거나 또는 소용돌이 모양을 이룬 패턴으로 기저귀(10)에 접착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형태는 상부시트(28)의 가장 안쪽이 몸쪽 표면 상에 위치한 탄성 부재를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는, 탄성 부재는 상부시트(28)과 배면시트(30) 사이에 끼워놓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으로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도시한 다리 탄성 부재(34)는 개개의 탄성 스프랜드 다수개로 이루어진 일군의 탄성체 세트가 부착된 캐리어 시트(37)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는 서로교차하거나 또는 서로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도시한 캐리어 시트는 예를 들면 엠보싱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 재료의 0.002 cm 두께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탄성 스트랜드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델라웨어주 월밍톤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인 듀폰(DuPont)이 시판하는 라이크라()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탄성 스트랜드는 전형적으로는 약 620 내지 1050 데시텍스(dtx) 범위내이고, 각각의 가소화된 다리밴드로 3개의 스트랜드가 사용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는 약 940 dtx 일 수 있다.
다리 탄성체(34)는 일반적으로 직선이거나 또는 임의적으로 곡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곡선의 탄성체는 기저귀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향해 안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이 때 곡선의 탄성 스트랜드 세트의 최내점(또는 용품의 횡방향에 대한 정점)은 탄성 스트랜드 세트의 가장 바깥쪽 연부로부터 약 1.9 내지 3.8 cm(약 0.75 내지 1.5 인치) 안쪽에 위치한다. 특정 배열에서, 탄성체의 굴곡은 기저귀의 옆쪽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태를 갖거나 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의 탄성체는 안쪽으로 구부러지거나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거나 또는 뒤로 휜 형의 굴곡을 가질 수 있고, 탄성체의 길이별 중심은 기저귀의 앞 또는 뒤 허리밴드를 향해 약 0 내지 8 cm 범위 이내의 소정의 거리만큼 오프셋되어 바람직한 착용감 및 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곡선 탄성체 세트의 최내점(정점)은 기저귀의 앞 또는 뒤 허리밴드를 향해 약 0 내지 12 cm 오프셋될 수 있고,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뒤로 휜 부분은 기저귀 앞 허리밴드를 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기저귀(10)의 뒤 허리밴드부(14)에 위치한 제1 허리 탄성 부재(42) 및 앞 허리밴드부(12)에 위치하는 제2 허리 탄성 부재(44)를 포함한다. 그러나, 임의의 형태의 본 발명은 기저귀의 앞 또는 뒤 허리밴드에 위치하는 단지 1개의 허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저귀는 뒤 기저귀 허리밴드를 따라 위치하는 단지 1개의 허리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42)는 배면시트(30)에 의해 제공되는 뒤 말단 마진(22) 내에 위치할 수 있고, 도시한 한 쌍의 패스터 탭(36)을 갖는 실질적으로 상호직선의 횡방향 배열로위치할 수 있다.
허리 탄성 부재는 용품 너비(92)의 약 20 내지 80 % 범위 이내의 옆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너비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허리 탄성 너비 치수는 용품 너비(92)의 약 25 내지 60 % 범위 이내이며, 임의로 용품 치수의 약 40 내지 50 % 범위 이내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허리 탄성체(42 및(또는) 44)는 약 5 내지 33 cm 범위 이내의 횡방향 너비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허리 탄성체의 횡방향 너비 치수는 약 10 내지 20 cm 범위 이내이고, 임의로 약 12 내지 16 cm 범위 이내이다.
허리 탄성 부재(42 또는 44)는 또한 약 1 내지 10 cm 이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는, 허리 탄성체의 길이 치수는 약 2 내지 8 cm 범위 이내, 임의로는 약 2.5 내지 5 cm 이내이다.
허리 탄성체(42 및 44)와 같은 탄성 부재는 탄성의 천유사 부직 섬유 재료, 예를 들면 탄성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SBL) 웹 또는 탄성 멜트블로운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데 적합한 멜트블로운 탄성 섬유 웹의 예는 1987년 5월 5일에 특허된 위스네스키(T. Wisneski)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663,22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섬유 탄성층에 고정된 부직물 옷감의 층을 1개 이상 포함하는 복합 직물의 예는 1987년 4월 8일에 공고된 테일러(J. Taylor) 등의 유럽 특허 출원 제EPA 0 110 01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복합 부직물은 통상 스트레치 본디드 라미네이트로 언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서, 허리 탄성체(42 및 44)와 같은 탄성 부재는 1개 이상의 부직 섬유층에 고정된 탄성 재료의 개개의 분리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탄성의 연신가능한 복합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웹은 예를 들면 선택된 스트립 패턴으로 및 2개의 부직 스펀본드 섬유 재료층 사이에 적합하게 샌드위치식으로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복합 웹은 별법으로는 2개의 부직층 사이에 또는 부직 섬유층에 작동가능하게 고정된 개개의 탄성 스트립의 선택된 패턴을 포함한다.
탄성 스트립은 예를 들면 용융 압출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탄성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블록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합성 선상 A-B-A 및 A-B 블록 공중합체, 염소화 고무/EVA(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블렌드, EPDM(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고무, EPM(에틸렌-프로필렌 단량체) 고무, EPDM/EPM/EVA의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흡수 구조체(32)와 같은 흡수체는 상부시트(28)과 배면시트(30) 사이에 위치하여 기저귀(10)을 형성한다. 흡수체는 일반적으로 압축가능하고 편안하며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성인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상 흡수 구조체는 재료의 단일의 일체적 조각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르게는 함께 작동가능하게 조립된 재료의 다수개의 개개의 분리된 조각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흡수 구조체가 재료의 단일의 실질적으로 일체성의 조각을 포함하는 경우, 재료는 그들이 선택된 공간적 영역 내로 형성된 바람직한 구조적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 구조체가 다수개의 조각들을 포함하는 경우, 조각은 분리된 층으로 또는 다른 층을 이루지 않는 형상 및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게다가, 개개의 조각들은 제품의 요구사항에 따라 동일한 연장을 갖거나 또는 동일한 연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개개의 조각 각각은 그의 경계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흡수 구조체의 적어도 1개 이상의 인접하는 다른 조각과 작동가능하도록 밀접하게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는, 각 조각은 적합한 결합 및(또는) 섬유 엉킴 기작, 예를 들면 초음파 또는 접착제 결합 또는 기계적 또는 유압식 니들링에 의해 흡수 구조체의 인접부와 결합된다.
흡수 구조체(32)는 액체의 인체 배출물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는 보유부(48)을 포함한다. 제5도에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예를 들면 보유부(48)이 분포층(120)이 보충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구조체(32)는 뒤 영역(51) 및 앞 영역(49)를 포함하고, 액체 습득 표적 대역(53)을 제공한다. 흡수 구조체는 특히 그의 측면 연부를 따라 곡선의 윤곽을 이루는 주변부를 갖는다. 2개의 일반적으로 거울상의 안쪽으로 구부러진 옆의 연부들은 착용자의 가랑이에 위치시키기에 적합한 보다 좁은 중간 섹션을 제공한다.
대표적으로 도시한 흡수 구조체(32)의 실시태양에서는, 앞 영역 (49)는 개념상 2개의 횡방향으로 이격된 이어 영역(각각 50 및 52) 및 중앙 영역(54)을 포함하는 3개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이어 영역(50 및 52)는 일반적으로 흡수 구조체의 옆쪽의 측면 연부로부터 길이방향의 중심선(58)을 향해 흡수 구조체(32)의 전체 너비의 1/10 내지 1/4의 거리로 연장되고 중앙 영역(54)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기저귀를 착용하였을때, 이어 영역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허리 및 몸통의 측면에 맞는 형태를 이루고, 중앙 영역(54)는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허리 및 몸통의 중앙부에 맞는 형태를 이룬다.
부피의 감소 및 비용의 감소가 중요할 수 있는 흡수 용품에 관하여, 배설물 처리 및 보유부는 의류의 전체 형태에 걸쳐 연장될 필요는 없다.
도시한 본 발명의 면에서, 예를 들면 흡수 구조체(32)는 용품 길이(90)의 약 90% 이하인 길이(94)를 갖는 보유부(48)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보유부는 용품 길이(90)의 약 80% 이하의 길이(94)를 가질 수 있고, 임의적으로는 용품 길이의 약 70% 이하의 길이를 가져 바람직한 이점들을 보다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는, 보유부는 용품 길이(90)의 약 40% 이상의 길이(94)를 갖는다. 별법으로는, 보유부는 용품 길이(90)의 약 50% 이상의 길이(94)를 가질 수 있고, 임의적으로는 용품 길이의 약 60% 이상의 길이를 가져 바람직한 성능을 보다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보유부(48)은 배면시트(30)을 따라 비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보유부 길이(94)의 적어도 약 45%가 배면 시트(30)의 앞의 절반 영역내에 위치한다. 별법으로는, 보유부 길이의 약 55% 이상이 배면시트(30)의 앞의 절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임의적으로는 보유부 길이의 약 65% 이상이 배면시트의 앞의 절반 영역내에 위치하여 바람직한 영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분포층(120)과 같은 보유부의 선택 영역은 보유부(48)의 길이보다 약 50% 이하로 큰 길이(69)를 갖는 액체 투과성 랩시트층(70)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랩 시트 길이(69)는 보유부(48)의 길이보다 약 25% 이하로 큰 길이이고, 임의적으로는 보유부의 길이보다 약 10% 이하로 큰 길이를 가져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한다.
보유부(48)은 랩시트(70)의 길이를 따라 비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보유부 중량의 약 55% 이상이 랩시트(70)의 앞의 절반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별법으로는, 보유부 중량의 약 65%(wt%) 이상이 랩시트(70)의 앞의 절반 영역내에 위치하고, 임의적으로는 보유부 길이의 약 75wt% 이상이 랩시트의 앞의 절반 영역내에 위치한다.
흡수 구조체(32)는 다양한 재료로부터 다양한 크기 및 형태(예를 들면, 장방형, 사다리꼴, T형, I형, 장고꼴 형태 등)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 구조체(32)의 크기 및 흡수 능력은 흡수 용품의 목적하는 용도에 의해 부여되는 액체 부하량 및 대상으로 하는 착용자의 크기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게다가, 흡수 구조체(32)의 크기 및 흡수 능력은 유아로부터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들에게 맞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배설 처리부(46) 및 보유부(48) 각각의 밀도 및(또는) 기초 중량, 뿐만 아니라 이들의 상대비도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는, 흡수 구조체는 식염수 약 100 gm 이상의 흡수 능력을 갖는다. 임의적으로는, 흡수 능력은 식염수 약 200 gm 이상일 수 있다. 다르게는, 흡수 구조체는 식염수 약 300 gm 이상의 홉수 능력을 가지며, 임의적으로는 식염수 약 400 gm이상의 흡수 능력을 가져 개선된 성능을 제공한다.
각종 타입의 습윤가능한 친수성 섬유 재료를 사용하여 흡수 구조체(32)의 성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섬유의 예로는 본질적으로 습윤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전연 발생적 유기 섬유,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섬유;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 고유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섬유, 예를 들면 유리 섬유; 고유적으로 습윤가능한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제조된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특정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및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성화된 비습윤가능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합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들 수 있다. 섬유는 예를 들면 실리카로 처리하거나, 적합한 친수성 기를 갖고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없는 재료로 처리하거나 또는 비습윤가능성의 소수성 섬유를 섬유의 제조 동안 또는 후에 친수성 중합체로 외장함으로써 친수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한 각종 타입의 섬유들의 블렌드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 "친수성"이란 섬유와 접촉하고 있는 수성 액체에 의해 습윤되는 섬유 또는 섬유의 표면을 설명한다. 재료의 습윤 정도는 이어서 사용된 재료 및 액체의 표면 장력 및 접촉각의 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배설 처리부(46)용으로 사용되는 특정 섬유 재료 또는 섬유 재료들의 블렌드의 습윤성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장치 및 기술은 칸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Cahn SFA-222 Surface Force Analyzer System)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했을 때,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섬유를 "습윤성"으로 나타낸 반면, 90° 보다 큰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습윤성"으로 나타냈다.
제5 내지 7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부(48)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적 대역(53) 내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흡수 구조체(32)의 경계를 형성하도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유부는 제1의 액체 투과성 캐리어층(98) 및 적어도 제2의 캐리어층(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수성 부착 수단, 예를 들면 감수성 접착제(102)를 포함하는 기작은 캐리어층(98 및 100)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부착된 대역(104) 및 그의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다수의 대역(106)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대역(106)은 다수의 포켓 영역(108)을 제공하고, 고흡수성 재료, 예를 들면 초흡수성 재료의 입자(110)이 이 포켓 영역(108) 내에 위치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제공한다.
각종 기술을 사용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구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립상 초흡수성 재료의 선택량을 캐리어층(100)의 소정의 포켓 위치에 격리시킬 수 있고, 접착제(102)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일반화된 패턴 또는 특정의 국소화된 패턴으로 캐리어층(98)에 분무하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어서 캐리어층(98)은 캐리어층(100) 상에 적층되어 이들 사이에 격리된 량의 초흡수성 입자를 샌드위치시킨다. 2개의 캐리어층은 개개의 포켓 사이의 간헐적 영역에서 및 포켓 위치 패턴의 바깥쪽 주변부 주위의 따진 영역에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포켓 위치 패턴은 소정의 포켓 배열을 형성하고, 전체적 조립은 작동가능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층(98)은 습윤성 또는 비습윤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습윤성 섬유 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섬유 웹은 유압식으로 니들링된 부짖 펄프 섬유 웹, 셀룰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진 웹, 멜트블로운 섬유로 이루어진 웹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캐리어층(98)을 구성하는 섬유 웹은 약 5 내지 400 gsm(g/㎡) 범위 내의 기초중량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0 gsm 범위 내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는, 기초 중량은 약 10 내지 50 gsm 범위 내일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는 기초 중량은 약 10 내지 30 gsm 범위 내여서 바람직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캐리어층(98)이 메트블로운 웹과 같은 합성 섬유 중합체 웹을 포함하는 경우, 섬유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레이온, 히드로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캐리어층(100)은 제1 캐리어층(98)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캐리어층(100)은 액체 투과성이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고,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액체 투과성이다. 또한, 도시한 실시태양에서의 제2 캐리어층(100)은 습윤가능한 섬유 웹으로 이루어지지만, 비습윤성 섬유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캐리어층은 미관상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착색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가시적으로 하일라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포켓 영역에서 캐리어층 재료 섹션은 착색되어 독특한 면의 흡수 구조의 존재 또는 성능에 관한 가시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제1 캐리어층(98)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몸쪽을 향해 위치하고, 선택된 정도와 습윤 강도 및 약 22 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 습윤성이고 액체 투과성인 셀롤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캐리어층(100)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바깥쪽을 향해 위치하고, 선택된 정도의 습윤강도 및 약 17 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 습윤성이고 액체 투과성인 셀룰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된 대역(104)를 따라 캐리어층(98 및 100)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감수성 부착 수단은 기계적 결합, 예를 들면 스티칭, 니들링 등 뿐만 아니라 감수성 가열 결합, 수소 결합, 접착제 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은 선택된 패턴의 김수성 접착제(102)를 포함한다. 각종 타입의 감수성 접착제는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적합한 접착제에는 예를 들면 내쇼날 스타치(National Starch) 70-3998 CYCLOFLEX (비닐 단량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중합체 및 일정 비율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가열용융 접착제), 내쇼날 스타치 33-2058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기재 라텍스) 등이 있다. 내쇼날 스타치 접착제는 미합중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캄파니(National Starch and Chemical Co.)가 시판하고 있다.
본 설명의 목적상, 용어 "감수성 부착"은 부착 시스템 강도가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건조할 때 및 시스템이 습윤되었을 때 캐리어층(98 및 100)은 적절하게 고정시키기에 충분히 큰 부착 시스템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부착 시스템의 습윤강도는 액체의 흡수 동안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성에 팽창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도록 충분히 낮도록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부착 시스템의 습윤 강도는 고흡수성 재료가 소변과 같은 수성 액체에 노출되었을 때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이 부여하는 분리력보다 적어야 한다. 또한, 감수성 부착 시스템은 캐리어층들이 습윤되었을 때 캐리어층들 중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형성하는 재료를 과도하게 파열시키지 않고서 감수성 부착 수단을 층간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하중보다 작은 적용 하중에서 유리되는 형태를 이룬다. 감수성 부착 시스템은 또한 캐리어층들이 습윤되었을 때 캐리어층들 중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형성하는 재료를 과도하게 파괴시키지 않고서 감수성 부착 수단을 층간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하중보다 작은 적용 하중에서 유리되는 형태를 이룬다. 대표적으로, 적용 하중은 일반적으로 재료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되었을 때 신장되는 고흡수성 재료가 가하는 압력으로부터 생기는 인장 하중이다. 적합한 부착 시스템 성분, 예를 들면 캐리어 시트(98 및 100)은 이러한 압력을 견딜 수 있고 파괴 또는 파열을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하게 구성되고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부착 시스템의 고정 강도는 0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부착 수단이 습윤되었을 때 약 0.05 N/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부착 수단의 강도는 수성 액체의 존재에 반응하여 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성 액체와 접촉하였을 때 부착 시스템의 부착 강도는 실직적으로 건조한 부착 시스템의 부착 강도보다 작게 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부착 강도에 있어서의 상대적 감소는 예를 들면 캐리어 층 사이의 상호결합 기작에서의 열화러부터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착 수단이 접착제 결합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제의 결합 강도는 선택된 수분 노출에 따라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따라 소정의 감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부착수단의 감수성은 캐리어 중 하나 또는2개 모두를 형성하는 재료의 강도에서의 열화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층이 습윤 강도 셀룰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진 경우, 습윤되었을 때 조직의 강도는 다른 캐리어 층에 대한 고정으로부터 작동가능하게 유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정도로 감소하게 되는 형태를 이룬다. 캐리어 층이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멜트블로운 층은 다른 캐리어 층에 대한 고정으로부터 작동가능하게 유리될 수 있도록 하는 정도로 감소하는 습윤 강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멜트블로운 웹의 감소된 습윤 강도는 예를 들면 웹 재료의 구성을 알맞게 만들고 웹의 섬유간 구조를 알맞게 만듦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는, 부착 수단의 감수성은 캐리어 층 사이의 상호결합 기작의 열화 및 캐리어 층 중의 하나 또는 2개 모두를 형성하는 재료의 강도의 열화의 조합으로부터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결합되고 부착된 대역(104)는 각 포켓 내에 고흡수성 재료를 단리시켜 함유하도록 충분한 일체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고정 강도는 흡수성 라미네이트가 실질적으로 건조되었을 때 최대 힘인 약 0.05 N/cm 이상이다. 별법으로는, 건조 고정 강도는 약 0.08 N/cm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들을 제공하도록 약 0.1 N/cm 이상이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가 습윤되었을 때, 부착된 대역(104)를 따라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고정 강도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일반적인 일체성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습윤 고정 강도는 약 0.04 N/cm 최대 힘 이상이다. 별법으로는, 습윤 고정 강도는 약 0.07 N/cm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들을 제공하도록 약 0.09 N/cm이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습윤 고정 강도는 재료가 소변과 같은 액체를 흡수할 때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 및 팽창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은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습윤 고정 강도가 약 5 N/cm 최대 힘 이하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습윤 고정 강도는 약 2 N/cm 이하,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약 1 N/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부착 수단의 건조 또는 습윤 고정 강도를 결정하는 데 적합한 기술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1993년 1월 15일에 승인된 표시번호 D 1876-93인 접착제의 박리 내성에 대한 ASTM 표준 시험 방법("T-박리 시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 (112)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창 및 팽윤은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윤없는 체적의 약 90% 이상이다. 별법으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 팽창은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윤없는 체적의 약 97% 이상이다.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윤없는 체적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정되는 무팽윤 방법이다.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창 팽윤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하기 실시예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라미네이트 팽윤 방법이다.
본 발명의 각종 면에서, 캐리어 층(98 및 100)은 캐리어 층 사이의 습윤 고정의 실질적 유리 전에 팽창하는 고흡수성 재료(110)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갖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습윤 캐리어 층은 고흡수성 재료가 액체를 흡수하여 팽윤할 때 실질적으로 파열 없이 충분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은 하나 또는 2개 모두가 약 0.08 N/cm 이상의 최대 습윤 파열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캐리어 층 재료는 약 0.10 N/cm 이상의 파열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는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12 N/cm 이상의 파열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캐리어 층 재료의 파열 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하기하는 방법이다:
습윤 파열 시험 방법
재료 및 장치:
a) 0.01 N 내지 5 N 범위를 측정할 수 있는 하중 셀이 구비된, 인스트론(Instron) 또는 신테크(Sintech)로부터 시판되는 압축 시험 기구(또는 압축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인장 시험 기구), 이 시험 기구는 캐리어 시트를 통과할 때 프로브에 가해지는 최대 힘을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b) 직경 1.27 cm, 길이 10 cm 이상의 고체 실린더 프로브, 캐리어 시트를 때리는 말단은 볼록한 반구형이다. 프로브는 활성화되었을 때 프로브가 48 cm/분으로 수직으로 내려가도록 압축 시험 기구 상에 장착된다.
c) 내경 6.35 cm, 외경 약 8 cm의 중공 실린더 샘플 홀더, 샘플 홀더는 샘플을 조기 파열시키지 않도록 내부의 상부 단부가 매끄럽고 둥굴게 되어있다.
d) 샘플을 샘플 홀더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고리 클램프, 샘플 홀더에 고정적으로 고리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적합한 방법은 자석을 사용하는 것이다.
e) 적절한 경우 증류수 또는 0.85 % 식염수(미합중국 일리노이 맥고우 파크 소재의 박스터 헬쓰케어 코포레이션(Baxter Heal thcare Corporation) 또는 미합중국 뉴저지주 리버데일 소재의 스테펜스 사이언티픽 디비젼 오브 콘웰 코포레이션(Stephens Scientific Division of Cornewll Corporation)이 시판하는 것과 같은, 물 1 리터 당 염화 나트륨 8.5 gm의 혈액 뱅크 식염수)인 시험 용액
방법:
a) 샘플을 12.7 × 12.7 ㎠ 으로 절단시킨다. 재료를 48시간 이상 동안조절시키고, 23±1 ℃ 및 상대습도 50 ±2 %의 주위 조건에서 시험을 행한다.
b) 샘플 홀더 상에 샘플을 중앙에 위치시켜 제자리로 클램핑시킨다.
c) 샘플 홀더를 프로브 하에 중앙에 위치시킨다.
d) 시험 용액 약 0.25 ml를 첨가한다.
e) 30초 기다린 다음 프로브가 샘플을 통과하도록 프로브를 작동시킨다.
계산:
기구 디스플레이 또는 기록기로부터 최대 힘을 판독한다. 필요에 따라 단위를 뉴우튼(N)으로 환산한다. N/cm로 나타내기 위하여, 최대 힘을 프로브의 원주(3.99 cm)로 나눈다.
몇개의 잠재적 캐리어 시트의 습윤 파열 강도를 상기한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중의 각 평균 및 표준 편차는 20개의 샘플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단위 길이 당 최대 하중(N/cm)의 경우: 이 방법에 사용된 원형 프로브의 직경은 1.27 cm이었다. 이들 데이타는 프로브 원주로 나눈 하중을 나타낸다.
"std" = 표준편차
"방벽 티슈" = 12 gsm 셀룰로오스 티슈
"성형 티슈" = 17 gsm 셀룰로오스 티슈
이들 재료는 배치에 따른 가변성 뿐만 아니라 배치 내에서도 가변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한 데이타는 몇몇 잠재적 캐리어 재료에 대한 파열 강도와 범위를 제시한다. 몇몇 스펀본드 부직물과 같은 몇몇 잠재적 캐리어 재료는 예를 들면 사이 보고된 페이퍼 타월 및 티슈의 강도를 훨씬 초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서, 캐리어 층(98 및 100)의 강도 및 감수성 부착 수단은 캐리어 층 중 1개 이상의 파열을 실질적으로 피하는 배열로 습윤된 고흡수성 재료의 팽창이 가능하도록 선택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캐리어 층의 파열은 캐리어 층에서 일어나는 가시적 파열으로 길이가 3 mm 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은 과도의 식염수 용액에 노출되었을 때 고흡수성 재료를 함유하는 포켓 영역의 약 25 % 이하가 파열되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제공하도록 유리하게 형상화될 수 있다.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는 별법으로는 과도의 식염수 용액에 노출되었을 때 포켓 영역의 약 15 % 이하가 파열되는 형상 및 임의적으로는 포켓 영역의 약 10 % 이하가 파열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가 파괴되는 경향을 측정하는 적합한 기술은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포화시키는데 필요한 양을 초과하는 양의 0.85 % 식염수를 함유하는 투명한 트레이 중에 흡수성 복합체를 위치시키는 것이다. 라미네이트를 15분 동안 식염수 트레이 중에 유지시킨 후, 라미네이트의 상부 및 하부 캐리어 층을 길이가 3 mm 이상인 가시성 파열이 존재하는지에 대해 관찰하였다. 이러한 파열을 갖는 포켓 수를 고흡수성 재료를 함유하는 포켓 수로 나누어(곱하기 100하여) 파열 포켓의 %를 구한다.
감수성 부착 수단이 습윤되었을 때 감소된 부착 강도를 나타내는 접착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경우, 접착제(102)의 선택적 습윤 유리성은 유리하게는 고흡수성 재료가 팽윤할 때 포켓(108)의 크기가 팽창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고흡수성 재료는 제 위치에 보다 양호하게 함유되고, 고흡수성 재료가 팽윤할 때 캐리어 층(98 및 100)을 파열시키기 쉬운 경향을 감소시킨다.
접착제(102)는 캐리어 시트(98 및 100)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모두에 도포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접착제(102)를 캐리어 시트(98 및 100) 중의어느 하나에만, 예를 들면 캐리어 시트(100)에 도포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 포켓(108) 중에 함유된 일정량의 고흡수성 재료의 단지 한 면만이 접착제가 그 위에 도포되어 있는 캐리어 층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한 면에서, 접착제(102)는 선택된 패턴, 예를 들면 개별적 소구들의 분무된 패턴, 접착제 필라멘트의 소용돌이 패턴, 접착제 필라멘트의 규칙 또는 불규칙 네트웨크, 인쇄한 접착제 패턴, 인쇄한 접착제의 일반적으로 무작위 도포등으로 도포한다. 접착제(102)는 접착된 영역의 약 1 g/㎡인 첨가량의 접착제 고상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접착제는 약 7.5 g/㎡ 이상의 첨가량으로 제공되고, 임의적으로는 약 10 g/㎡의 첨가량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접착제 첨가량은 접착된 영역의 약 150 g/㎡ 이하이다. 별명으로는, 접착제 첨가량은 약 65 g/㎡ 이하, 임의적으로는 약 40 g/㎡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접착제(102)는 각 포켓(108)의 부피를 실질적으로 충전시키는 고흡수성 재료(110)을 선택적으로 형상화된 분포내에 보유하는 배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형상은 각 포켓 내에서의 고흡수성 재료의 위치 및 분포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각 포켓(108) 내의 충전되지 않은 과도의 자유 부피가 없도록 함으로써, 고흡수성 재료는 각 포켓의 떨어져 있는 섹션 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고흡수성 재료의 흡수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포켓 영역(108)의 실질적인 충전은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의 흡수성 라미네이트 평면에 둔 흡수 용품에 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개개의 포켓(108)의 돌출 영역은 각 포켓 내에 함유된 고흡수성 재료의 돌출 영역에 의해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힐 수 있다. 특정 형태에서, 고흡수성 재료의 돌출된 영역(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일반적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됨)은 각 포켓의 돌출된 영역의 약 60 % 이상 덮는다. 별법으로는, 고흡수성 재료의 돌출된 영역은 각 포켓의 돌출된 영역의 약 75 % 이상 덮고, 임의적으로는 고흡수성 재료의 돌출된 영역은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포켓의 돌출된 영역의 약 95 % 이상을 덮는다. 다른 형태에서, 고흡수성 재료의 돌출된 영역은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포켓의 돌출된 영역의 약 100 %를 덮는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부착된 대역(104)는 각 포켓 영역(108) 주위에 위치하는 교차하지 않는 일련의 규칙 또는 불규칙 고리로 형상화된다. 부착된 대역 고리는 형태가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형태가 원형이거나 또는 원형이 아닐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착된 대역(104) 내에서, 부착 수단은 캐리어 층(98 및 100)을 함께 고정시켜 바로 인접하는 개개의 포켓 사이에 위치하고 연장되는 채널 영역(86)을 자동적으로 형성시킨다. 채널은 액체가 각 포켓 영역 내에 고정되어 있는 고흡수성 재료로 보다 효과적으로 및 보다 용이하게 분포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부착 수단의 감수성은 부착의 유리를 작동적으로 제어 및 조절하도록 선택되고 이에 따라 흡수 과정 동안 채널 영역의 존재 및 작동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킨다. 그 결과,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일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많이 습윤되었을 때 채널(86)의 작동성은 보다 많이 습윤된 영역을 통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보다 덜 습윤된 영역으로의 실질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유료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습윤되지 않은 영역은 고흡수성 재료의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는 한편, 라미네이트의 습윤된 영역은 고흡수성 재료의 팽창이 가능하도록 국소화된 영역에서 유리시킬 수 있다. 습윤된 고흡수성 재료의 팽창은 라미네이트의 습윤되지 않은 영역 내에서의 소흡수성 재료의 선택된 위치 및 분포에 간섭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흡수 용품 중에서 액체는 주로 흡수 구조체의 표적 섹션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로 들어가고, 표적 섹션 중의 포켓 영역은 표적 섹션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흡수성 구조체의 섹션 중의 포켓 영역을 습윤시키고 포화시키기 전에 습윤되고 심지어는 포화될 수 있다. 그러나, 채널(86)을 독특하게 조절하여 유지시킴으로써 액체는 고흡수성 재료의 보다 많이 습윤된 팽윤된 포켓을 지나 고흡수성 재료의 보다 멀리 떨어진 덜 습윤된 포켓으로 쉽게 흐를 수 있다. 그 결과, 실질적으로 전체 흡수 구조체, 특히 흡수성 라미네이트 전체의 완전한 흡수 능력은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품의 표적 섹션 중의 포켓 영역의 팽윤이 표적 섹션 바깥의 포켓 영역으로의 액체 흐름을 과도하게 억제하지 않는 구조를 우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면에서,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98)은 수성 액체를 효과적으로 위킹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면, 소정의 위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캐리어 층(98)은 10 cm의 위킹 높이에서 측정하였을 때 1분에 캐리어 층 재료의 그램 당식염수 0.3 그램 이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는, 캐리어 층(98)은 1분에 캐리어 층 재료의 그램 당 식염수 약 0.6 그램 이상의 액체 이동값, 및 임의적으로는 1분에 캐리어 층 재료의 그램 당 식염수 약 2 그램 이상의 액체 이동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캐리어 층(98)은 그 위에 형성되는 엠보싱 패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엠보싱 영역은 엠보싱되지 않은 영역보다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갖는다.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엠보싱의 형성 또는 엠보싱의 존재는 부착된 대역(104)를 따른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고정을 제공하지 않는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 이내에 함유된 고흡수성 재료의 80% 이상이 포켓 영역 내에 보유된다. 특정의 배열에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구조체 이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약 90% 이상이 포켓 영역 이내에 함유된다. 별법으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이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약 95 % 이상이 포켓 영역 이내에 함유되며 임의적으로는, 소정의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재료의 약 100 %가 포켓 영역 이내에 함유된다. 따라서, 고흡수성 재료의 약 20 % 이하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착된 대역(104) 이내에 보유된다. 별법으로는, 고흡수성 재료의 약 10 % 이하가 부착된 대역(104) 이내에 보유되며, 임의적으로는, 소정의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재료의 약 5 % 이하가 부착된 대역 이내에 함유된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 이내에 함유된 고흡수성 재료의 총량은 다수의 포켓(108)을 따라 불균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도일량의 고흡수성 재료가 각각의 개개의 포켓(108) 내에 함유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상이한 양의 고흡수성 재료가 선택된 포켓 영역 이내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은 각 포켓 영역 내에 함유된 고흡수성 재료의 평균 중량의 200% 이상을 함유하는 포켓이 없는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배열에서는, 각 포켓 영역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평균 중량은 약 0.05 그램 이상이다. 별법으로는, 각 포켓 영역 중의 고흡수성 재료의 평균 중량은 약 0.1 그램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15 그램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각 포켓 영역 중의 고흡수성 재료의 평균 중량은 약 2.0 그램 이하이다. 별법으로는, 고흡수성 재료의 평균 증량은 약 0.85 그램 이하,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30 그램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각 포켓은 고흡수성 재료가 약 100% 충전될 수 있다.
각 개개의 포켓 영역 내에서, 포켓 영역은 실질적으로 흡수성 재료로 충전되고, 특정 형태에서는 각 포켓 부피 내의 흡수성 재료의 약 90 중량% 이상이 고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고흡수성 재료의 양을 포켓(108) 중에 보유된 흡수성 재료의 총량에 대해 측정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약 99.9 중량% 이하로 선택적으로 제한함으로써 본 발명의 경우 특히 바람직한 물리적 분포 및 특성들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별법으로는, 흡수성 재료의 약 97 중량% 이하가 고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 포켓 내의 흡수성 재료의 약 95 중량% 이하가 고흡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는 바람직한 다른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90 중량% 이하로 제한된 고흡수성 재료의 양을 가질 수 있다.
각 포켓 영역 이내의 나머지 흡수성 재료는 섬유 매트릭스 재료, 예를 들면 천연 및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섬유는 주름잡히거나 또는 주름잡히지 않을 수 있고, 소수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정면에서, 매트릭스 섬유는 바람직한 성능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천연적으로 친수성이거나 또는 충분히 친수성 부여될 수 있다. 적합한 친수성 섬유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섬유 또는 습윤가능한 함성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배치에서, 분산된 매트릭스 섬유(132)가 약 0.1 중량% 이상인 평균량으로 존재한다. 별법으로는, 섬유의 양은 약 3 중량%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5 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섬유(132)는 약 7 중량% 이하인 평균량으로 존재한다.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섬유의 양은 약 10 중량% 이하이다. 섬유는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들과 서로혼합되어 묽고 분산된 섬유 매트릭스를 제공하고, 섬유는 실질적으로 입자와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주위의 수분 및 입자들 사이의 매트릭스 섬유의 일부 기계적 고정에 기인한 일부 무작위 수소 결합 또는 접착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상태는 여전히 실질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별법의 형태에서 섬유는 실질적으로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은 접착제 또는 다른 타입의 결합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매트릭스 섬유는 포켓 영역(108) 내에 에어레잉(airlaying)될 수 있는 한편 섬유는 실질적으로 건조하다. 제15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분산된 섬유의 느슨한 기계적 네트워크는 포켓 영역이 건조할 때 또는 포켓 영역이 습윤되었을 때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이격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포켓 내에서는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들 사이에 실질적인 접촉이 있다.
매트릭스 섬유의 분산된 네트워크가 개개의 포켓 영역 이내에서 고흡수성 입자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변위 및 이동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정의 이론으로 엮어지길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매트릭스 섬유와 고흡수성 압자들 사이에 마찰 결합 또는 다른 친화성이 발생하며, 이 친화성은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협동적 구조에 기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매트릭스 섬유는 실질적으로 고흡수성 입자들과 이격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이격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그의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신, 본 발명의 매트릭스 섬유의 독특한 형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외관 및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고, 포켓 내에서의 고흡수성 입자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제방(mounding)을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개개의 포켓 영역 이내에서는 고흡수성 재료가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다. 보다 균일한 분포는 포켓의 소정의 패턴 배열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개개의 포켓 사이의 채널 영역의 바람직한 시스템을 보다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정 형태는 포켓 내에서의 일정량의 고흡수성 입자 내에서 이를 통해 액체의 이동을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 섬유는 고흡수성 입자의 증가된 습윤성 또는 일정량의 고흡수성 입자를 통한 증가된 위킹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는, 매트릭스 섬유(132)는 습윤가능한 셀룰로오스 섬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서, 매트릭스 섬유는 습윤가능하지 않는 섬유 및(또는) 천연 또는 합성 재료로 이루어진 기타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면에서, 예를 들면 매트릭스 섬유(132)는 천연 섬유. 예를 들면 나무 펄프 섬유 또는 기타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천연 섬유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5 내지 5 mm 범위 이내의 길이 및 약 10 내지 50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합성 섬유는 약 3 내지 25 mm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약 10 내지 600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피브렛과 같은 피브렛으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피브렛은 약 0.02 내지 0.2 mm 범위 내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약 0.5 내지 5 마이크로미터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부착되지 않은 대역(106)에서는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의 직접적인 결합 또는 상호연결이 실질적으로 없다. 그 결과, 부착되지 않은 대역은 선택된 크기의 개개의 포켓 영역(108)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포켓 영역은 약 0.25 ㎠ 이상의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별법으로는, 포켓 영역 크기는 약 0.75 ㎠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포켓 영역(108)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25 ㎠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개개의 포켓 영역 크기는 약 310 ㎠ 이하이다. 별법으로는, 포켓 영역 크기는 약 70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5 ㎠ 이하의 영역에 걸쳐 연장된다.
또한, 포켓(108)의 전반적 시스템은 협동하는 개개의 포켓으로 이루어진 선택된 작동가능한 포켓 배열(144)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패턴으로 위치 및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면에서 포켓 배열은 약 5 ㎠ 이상의 둘러싸인 영역을 갖는 패턴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패턴 크기는 약 20 ㎠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포켓 배열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45 ㎠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포켓 배열은 성인 위생용 의류의 경우 약 4000 ㎠ 이하이고, 다르게는 약 1000 ㎠ 이하인 패턴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유아 위생 용품의 경우, 패턴 크기는 약 470 ㎠ 이하이다. 별법으로는, 포켓 영역 크기는 약 390 ㎠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310 ㎠ 이하의 영역에 걸쳐 신장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는 제6 및 7도에서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개의 포켓(108) 사이에 불연속의 이격 거리(114)가 있다. 포켓 이격 거리(114)는 약 0.15 cm 이상이다. 별명으로는, 포켓 이격 거리는 약 0.25 cm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3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포켓 이격 거리(114)는 약 3 cm 이하이다. 별법으로는, 포켓 이격 거리는 약 1.9 cm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2 cm 이하이다. 개개의 포켓 사이의 이격 거리가 너무 작을 경우, 수성 액체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표면을 따라 이를 가로질러 충분히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없을 수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는 의도하는 용품의 앞 허리밴드 섹션을 향해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앞 허리밴드 섹션(212) 및 의도하는 용품의 뒤 허리밴드 섹션을 향해 일반적으로 위치하는 뒤 허리밴드 섹션(214)를 갖는다.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가랑이 영역(216)은 용품의 의도하는 가랑이 영역에 또는 그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제12도를 참조하여, 선택된 다수의 포켓 영역(138)은 주축 길이(140) 및 비교적 보다 짧은 부축 너비(142)를 갖는 신장 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신장 형상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진 코너 부위 및 곡선형 코너 부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 포켓은 직각 모양(제17도), 조개 모양(제18도) 또는 눈물 방울 모양(제19도)일 수 있다. 선택된 다수의 포켓 영역(138)은 어레이된 포켓 영역이 선택된 비인접된 복잡한 배열로 배열된 분산된 포켓 어레이(144) 중에 포함된다.
흡수성 라미네이트 및 연결되어 있는 그의 포켓 어레이는 종방향의 길이 치수 (152) 및 길이 방향에 거의 직각인 횡방향 너비 치수 (150)을 갖는다. 라미네이트 길이 치수는 일반적으로 흡수 용품의 길이를 따라 위치시키기 위해 지정된다. 횡방향 중심선 (155)은 라미네이트의 너비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있으며 종방향 중심선 (157)은 라미네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포켓 어레이는, 대표적으로 제16도 및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열 섹션(14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열 섹션은다수의 포켓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포켓 열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열내에서, 개개 포켓 영역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나의 열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종방향 중심선 (157)에 거의 수직으로 배열된 포켓 영역 군을 의미한다.
제16도에 예시하고 있는 배열을 다시 참조하여, 예를 들면 포켓 어레이(144)는 비인접되어 있으며 파형의 옵셋 배열을 갖는 포켓 영역 (138)의 바로 인접되어 있는 열들(146, 146a)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열(146) 중의 포켓 영역은 열(146a) 중의 포켓 영역과는 인접되지 않으며 열(146) 중의 포켓 영역은 바로 인접하고 있는 열(146a)을 형성하는 포켓 영역에 대해 옵셋의 파형 배열로 위치한다.
또한, 옵셋의 파형 포켓 영역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바로 인접되어 있는 포켓들 사이에서 선택된 양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면은 바로 인접하고 있는 포켓 영역 사이에서의 이격 거리가 2개의 인접한 포켓들 중보다 적은 것의 너비 치수의 15% 이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별법으로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이격 거리는 2개의 인접한 포켓들 중 보다 적은 것의 너비 치수의 2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포켓 영역은 그 형상을 신장시킬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시된 신장 포켓 영역 (138)은 약 1.1:1 이상의 길이 대 너비 종횡비를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종횡비는 약 1.5:1 이상이며, 임의로는 고 흡수성 재료의 액체 흡수능을 증진시키기 위해 약 2:1 이상이 된다. 본 발명의 추가 면에서, 신장 포켓영역 (138)은 약 130:1 이하의 길이 대 너비 종횡비를 갖고, 별법으로,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종횡비는 약 65:1 이하이다.
본 발명의 추가 면은 약 5 cm 이하인 너비 치수(154)를 갖는 신장 포켓 영역(138)을 포함한다. 별법으로, 너비 치수 (154)는 약 2.5 cm 이하이며, 임의로는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1.3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신장 포켓 영역은 약 0.16 cm 이상의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포켓 너비는 약 0.32 cm 이상, 임의로는 약 0.48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추가 면은 신장 포켓이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길이(152)의 약 75% 이하의 길이 치수 (156)를 갖는 신장 포켓 영역 (138)을 포함할 수 있다. 신장 포켓은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길이의 약 50% 이하의 길이 치수 (156)를 갖는다. 별법으로, 신장 포켓 너비는 라미네이트 길이(152)의 약 25% 이하이고, 임의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길이의 약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은 개별 포켓이 흡수성 라미네이트 길이(112)의 너비(150)의 약 200% 이하인 길이 치수 (156)를 갖는 신장 포켓 영역 (138)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신장 포켓 길이 (156)는 라미네이트 너비의 약 100% 이하이며 임의로는 라미네이트 너비의 약 25% 이하이다.
바로 인접하고 있는 열들(146, 146a) 중 포켓 사이의 파형 거리(148)는 약 0.32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정 배열에서, 포켓 파형 거리 (148)는 약 0.75 cm 이상이며, 별법으로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1.5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면에서, 파형 거리(148)는 약 10 cm 이하이다. 별법으로, 파형 거리는 약 5cm 이하이며, 임의로는 목적하는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약 3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바로 인접해 있는 포켄 열들(예: 146, 146a)은 약 0.16 내지 10 cm의 범위내의 효과적인 이격 거리 (166)에 의해 격리된다. 본 발명의 특정 배열에서, 열 이격 거리(166)은 약 0.32 cm 이상이고, 별법으로 포켓 어레이(144)내의 포켓들간 간격의 목적 배열을 제공하기 위해 약 0.64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열 이격 거리(166)은 약 5 cm 이하이고, 임의로는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2.5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들은 선택된 겹침 거리 (168)을 제공하기 위해 바로 인접해 있는 포켓 열들(예: 146, 146a)은 약 0.16 내지 10 cm의 범위내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배열에서, 열 겹침 거리 (168)은 약 0.5 cm 이상이며, 별법으로, 포켓 어레이 (144)내의 목적하는 간격의 패턴을 제공하기 위해 열 겹침 거리 (168)은 약 1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열 겹침 거리(168)인 약 4 cm 이하이고, 임의로는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2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포켓 어레이 (144)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신장 포켓 영역 (138)은 거의 기저귀(10)의 종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 (140)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 신장 포켓 (138)의 약 60% 이상 및 임의로는 약 75% 이상은 흡수성 라미네이트 (112)의 거의 종방향(길이 방향) 치수를 따라 정렬된 주축(138)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포켓 어레이 (144)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횡단면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다수와 신장 포켓 (138)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발명은 신장 포켓 (138)의 제1 선택 비율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횡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고 신장 포켓 (138)의 제2 선택 비율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횡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조합을 포함하는 포켓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6도 및 제 20 내지 22도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중간 가랑이 섹션내의 적어도 대다수의 신장 포켓은 사실상 라미네이트의 길이 치수를 따라 정령된 주축을 갖고 있다. 또한, 라미네이트의 하나 이상의 허리 밴드에서의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은 거의 라미네이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기저귀(10)과 같은 본 발명의 용품은 용품의 중간 가랑이 섹셔내에 위치하고 있는 제1의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 (138)을 지닐 수 있으며 기저귀(10)의 거의 종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 (140)을 가질 수 있다. 제2의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은 또한 용품의 어느 한 허리 밴드 또는 양 허리 밴드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용품의 거의 종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140)을 가질 수 있다.
제20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 어레이 (144)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중심선(157)과 같은 종방향 선에 사실상 수렴되고 있는 패턴 (158)내에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 (13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켓 어레이 (144)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선택된 종방향 선에 대한 분기 패턴(160) 내에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 (138)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어레이 패턴의 상대적 수렴 또는 분기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뒤 허리 밴드 섹션으로부터 라미네이트의 앞 허리 밴드 섹션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측정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시킬 때, 다수의 포켓영역(138)이 라미네이트의 종방향 중심선쪽으로 각을 이루는 것이 관찰되면 어레이 패턴은 수렴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유사하게, 다수의 포켓 영역 (138)이 라미네이트의 종방향 중심선에서 멀리 각을 이루는 것이 관찰되면 어레이 패턴은 분기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수렴 패턴(158)에서, 수렴 각 (162)은 약 2 내지 85° 의 범위내 일 수 있다. 수렴 각은 또한 약 5 내지 60° 의 범위내 일 수 있으며, 임의로는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10 내지 40° 의 범위내 일 수 있다.
유사하게, 분기 패턴에서, 분기 각(164)는 약 2 내지 85 ° 일 수 있다. 분기각은 또한 약 15 내지 70° 의 범위내 일 수 있으며, 임의로는 목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약 30 내지 60° 의 범위내 일 수 있다.
제20도에서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정 배열에서, 포켓 어레이 (144)의 신장 포켓의 수렴 및(또는) 분기 어레이 패턴을 라미네이트(112)의 중간 가랑이 섹션 (216)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배열에서, 신장 포켓의 수렴 및(또는) 분기 패턴을 라미네이트의 어느 한 쪽 허리 밴드 또는 양 허리 밴드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21도 및 22도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신장 포켓 (138)의 분기 패턴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측부 대향된 옆으로 신장되는 한 쌍의 이어 섹션중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22도에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켓 어레이(144)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112)와 테두리(12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선택된 신장 포켓 영역 (138)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 태양에서, 예를 들면, 테두리 곡선은 선택된 곡선 영역 및 선택된 선형 영역을 갖는다. 또한 다른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용이하게 인지할 것이다. 테두리 신장 포켓 영역은 라미네이트 테두리 (126)의 개별 인접 부위에 사실상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는 주축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도시된 배열에서, 정렬된 테두리 포켓 영역은 사실상 테두리 전체 길이를 따라 신장되어 있다. 별법으로, 또 다른 정렬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테두리 길이의 선택 비율을 따라 정렬된 테두리 포켓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렬된 테두리 포켓 영역은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라미네이트의 테두리의 2개의 측면 부위 및 앞 허리 밴드 부위를 따라 신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면 및 배열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특정 배열은 바로 인접해 있는 포켓 영역사이에서의 소정의 상이한 양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길이 치수(152)를 따라 바로 인접해 있는 포켓 사이의 간격은 라미네이트의 너비 치수(150)를 따르는 연관된 포켓 간격보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적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 치수를 따라 선택된 포켓 간격은 용품의 너비 치수를 따르는 간격보다 적을 수 있다 (제23도 및 24도 참조). 이 배열은 용품의 길이를 따라 액체의 이동이 비교적 덜 제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액체 이동 및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주변 측면 엣지를 통한 누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시된 실시 태양의 특정 배열에서, 예를 들면, 길이 방향 포켓 간격은 약 0.125 인in (약 0.32 cm)일 수 있으며, 너비 방향 포켓 간격은 약 0.5 인in (약 1.27 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배열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한 섹션 중 바로 인접해 있는 포켓 영역 사이에서의 길이 방향 및 너비 방향 간격은 또한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다른 섹션 중 대응 포켓 간격과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측면 엣지 섹션에서의 길이 및(또는) 너비 치수를 따른 포켓 간격은, 제25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의 중간 섹션에서의 길이 방향 및 (또는) 너비 방향 포켓 간격보다 더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배열은 또한 라미네이트의 다른 섹션 중 포켓 영역의 크기보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적은 재질된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한 섹션 중 개개 포켓 영역의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6도 및 26도에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교적 큰 포켓 영역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중간 목적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비교적 적은 포켓 영역은 라미네이트의 종방향 단부 영역에서 위치할 수 있다.
제12도를 참조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는 캐리어 층(98 및 100) 사이에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인 부착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된 2차 부착 영역(123)을 따라 캐리어 층(98 및 100)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제2 부착 수단(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착 수단은 예를 들면 접착제 표면 결합, 접착제 밀봉화, 기계적 패스너, 가열 결합, 음파 결합, 밀봉 기작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밀봉화 기작의 한 예에서, 한 개의 캐리어 층은 제2 캐리어 층 주위를 오버랩핑하여 적절하게 체결된다. 제2 부착 영역은 실질적으로 포켓 영역(108)로부터 이격 거리 만큼 이격된 위치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한 면에서, 제2 부착 수단(122)는 실질적으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바깥쪽 주변부(126)로 제한된다. 제2 부착은 제12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주변부 및 옆으로 연장되는 말단 주변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제2 부착은 또한 제13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라미네이트의 단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주변부를 따라서만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제2 부착(122)는 또한 바로 인접하는 포켓 영역(108) 사이의 틈새 위치(128)에 위치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부착은 선택된 주변 영역 및 선택된 틈새 영역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부착(122)는 감수성 부착(102)에 의해 제공되는 유리 조작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독특하게 구성되고 배열된다. 개개의 흡수 포켓 영역(106) 각각 또는 선택된 일군의 포켓의 팽창 및 옆쪽 성장은 따라서 제14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선택된 대역(125)로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한 포켓의 옆쪽 팽창은 실질적으로는 인접하는 포켓의 팽창과 간섭하지 않고,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전반적인 흡수 효율은 향상될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바깥쪽 주변부(126)에서 제2 부착(122)는 유리하게는 팽윤된 흡수성 겔 재료가 라미네이트 구조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탈출을 차단할 수 있다. 틈새 위치(128)에서 제2 부착(122)는 채널(86)을 유지하여 라미네이트(112)의 덜 습윤된 영역으로의 액체 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용어 "비감수성 부착 수단(비감수성 부착)"이란 습윤되었을 때 감수성 부착 수단의 각각의 습윤 강도보다 비교적 강한 고정 강도를 갖는 부착 수단을 의미한다. 비교적 강한 고정 강도는 예를 들면 상이한 비교적 보다 강한 부착 기작, 비교적 보다 강한 접착제, 비교적 보다 큰 첨가량으로 제공된 접착제, 비교적 보다 강한 결합 패턴에 의해 제공된 부착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2 부착(122)는 선, 비이드, 소용돌이, 첨 등과 같은 선택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태양은 실질적으로 비감수성인 부착의 선을 포함하는 제2 부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부착 선은 약 3 cm 이하의 너비 치수(130)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는, 부착 너비 치수는 약 1 cm 이하,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3 cm이하이다.
또한, 틈새 위치(128)에서의 제2 부착은 유리하게는 각각의 바로 인접하는 포켓으로부터 약 0.1 cm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이격은 약 0.5 cm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 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은 틈새 위치(128)에서의 제2 부착이 각각의 바로 인접하는 포켓으로부터 약 5 cm 이하의 거리만큼 선택적으로 이격되는 형태를 갖는다. 별법으로는, 이격은 약 3 cm 이하,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2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제2 부착의 습윤 강도는 유리하게는 약 0.09 N/cm 이상일 수 있다. 별법으로는, 제2 부착의 습윤 강도는 약 0.15 N/cm이상, 임의적으로는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 N/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제2 부착의 습윤 강도는 약 5 N/cm 이상, 별법으로는,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0 N/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서, 제2 부착 수단은 15% 이하의 주변(둘레) 유리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주변 유리 값은 약 10 % 이하,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5 % 이하이다. 제2 부착 수단의 특정 배열은 약 1% 이하의 주변 유리 값, 임의적으로는 개선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5 % 이하의 주변 유리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변 유리 값을 측정하는 적합한 기술은 이하 실시예 부분에서 상세하기 설명되는 겔 보유 시험 방법이다.
본 발명의 한 예에서 제2 부착(122)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접착제의 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접착제로는 미합중국 뉴저지주 브리지워터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캄파니가 시판하는 34-5541 합성 고무 기재 가열용융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선은 약 0.2 cm의 너비를 갖고, 인접하는 포켓 영역(108) 사이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포켓 각각으로부터 약 0.1 cm 이상의 거리만큼 이격된 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는 몸쪽 표면(116) 및 바깥쪽 표면(118)을 갖고, 본 발명의 특정 면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바깥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한 분포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분포층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몸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임의로, 한 쌍의 분포층(120 및 184)(제8도)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를 그들 사이에 샌드위치시키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 때 분포층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바깥쪽 및 몸쪽 모두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배열에서, 분포층(120)중의 하나 또는 모두는 흡수된 액체를 함유하는 기저귀(10)의 능력을 보충하는 제2흡수체를 제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분포층(120)은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은 친수성 재료의 실질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는 예를 들면 나무 펄프 플러프, 크리이프 와딩(creped wadding), 페이퍼 타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포층(120)은 별법으로는 친수성 섬유,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면 등으로 이루어진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 웹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배열에서, 분포층(120)은 부직 본디드 웹을 포함하는 부직물 재료와 1개 이상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웹은 각종 기작, 예를 들면 스판본딩, 가열 결합, 통기 결합, 초음파 결합, 적외선 결합, 접착제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분포층(120)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에 의해 덮힌 영역의 약 50% 이상인 영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분포층 영역은 약 70%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 영역의 약 90 %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배열에서, 분포층(120)의 영역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돌출된 표면 영역의 약 300 % 이하이다. 별법으로는, 분포층 영역은 약 200 %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영역의 약 150 % 이하이다.
분포층(120)의 각종 형태에서는, 분포층은 그의 총 중량에 대해 약 0 내지20 중량%의 고흡수성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분포층(120) 이내의 고흡수성 물질의 양은 약 10 중량%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5중량% 이하이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분포층(120)은 고흡수성 재료의 입자와 혼합된,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웹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배열에서, 분포층(120)은 초흡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입자와 합성 중합체 멜트블로운 섬유의 혼합물, 또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섬유성 동시성형 재료와 초흡수성 입자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초흡수성 입자는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질적으로 혼합될 수 있거나 또는 불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흡수성 입자의 농도는 분포층의 두께(Z 방향)의 실질적인 부분을 통해 비단계별 구배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 때 보다 낮은 농도가 분포층의 몸쪽을 향하고, 비교적 높은 농도는 분포층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적합한 Z-구배 형태는 1987년 10월 13일에 특허된 켈렌버거(Kellenberger)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699,82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내용이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초흡수성 입자들은 또한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 내에서 일반적으로 분리된 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상이한 타입의 초흡수체는 섬유 매트릭스 내에 또는 이를 따라 상이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배치에서, 분포층(120)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대응하는 길이 및(또는) 폭보다 작거나 또는 클 수 있다. 분포층의 길이 및(또는) 폭이흡수성 라미네이트의 길이 및(또는) 폭보다 큰 배열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말단 연부를 지나 이동하는 액체를 잡기 위한 분포층(120)의 마진 경계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분포층(120)은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대응하는 길이 및(또는) 폭의 약 75 내지 175 % 범위 내의 길이 및(또는) 폭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각종 면과 함께 사용된 고흡수성 재료는 흡수성 겔화 재료, 예를 들면 초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겔화 재료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일 수 있다. 또한, 흡수성 겔화 재료는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실리카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결합된 중합체일 수 있다. 용어 "가교결합된"이란 통상 수용성 재료에 실질적으로 수불용성 그러나 팽윤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을 말한다. 상기 수단은 예를 들면 물리적 엉킴 결정질 도멘인, 공유 결합, 이온 착제 및 결합, 친수성 결합 예를 들면 수소 결합 및 소수성 결합 또는 반 데르 바알스 힘을 포함한다.
합성 흡수체 겔화 재료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 및 포리(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 및 알파-올레핀과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모르폴리논), 폴리(비닐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흡수성 구조제에 사용하기 적합한 중합체로는 천연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를 들면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전분, 아크릴산 그라프트 전분,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천연 검, 예를 들면 알긴산염, 크산탄검, 로커스트 빈 검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및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한 흡수성 중합제의 혼합물이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할 수 있다. 기타 적합한 흡수성 겔화 재료는 1975년 8월 26일에 특허된 아싸르손(Assarson)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902,236호에 기재된다. 합성 흡수성 겔화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1978년 2월 28일에 특허된 마수다(Masuda)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076,663호 및 1981년 8월 25일에 특허된 쯔바끼모또(Tsubakimoto)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286,082호에 기재된다.
합성 흡수성 겔화 재료는 대표적으로는 습윤되었을 때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는 건조겔이다. 그러나, 용어 "하이드로겔"은 재료의 습윤된 형태 및 습윤되지 않은 형태를 모두 나타내는데 흔히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유부(48)에 사용된 고흡수성 재료는 일반적으로 개별 입자들의 형태로 있다. 입자들은 예를 들면 나성형 또는 반나선형, 육면체, 봉유사, 다각형 등의 것일 수 있다. 침상물, 플레이크 및 섬유와 같이 최대 치수/최소 치수비가 큰 형태도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흡수성 겔화 재료의 입자들의 역암도 또한 보유부(48)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하기 바람직한 것은 약 2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 밀리미터의 평균 크기를 갖는 입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입자 크기"란 개개의 입자들의 최소 치수의 중량 평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각종 면에서, 흡수성 구조체(32)의 특정 성분, 예를 들면 흡수성 라미네이트(112) 및 분포층(120)은 그 안에 분포된 일정량의 고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개선된 흡수성을 갖는 선택된 초흡수성 중합체는 흡수 용품의 바람직한 얇기를 보유하면서 성능을 최대화시키는데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와 함께 사용된 고흡수성 재료는 0.9 psi(6.2 kPa)의 압력 하에 측정하였을 때 고흡수성 재료 그램 당 액체 식염수 약 10 그램 이상의 하중 하의 흡수도(AUL) 값을 나타낸다. 별법으로는, 고흡수성 재료는 그램 당 약 15 그램 이상의 AUL 값을 나타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램 당 약 20 그램 이상의 AUL 값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특정 초흡수성 재료의 하중 하의 흡수도 값은 초흡수성 재료 1 그램이 선택된 보유 하중 하에 60분 내에 흡수할 수 있는 그램 단위의 염화 나트륨 수용액(염화 나트륨 0.9중량%)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적합한 고흡수성 재료의 구체적 예는 미합중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시무실을 갖는 사업체 스톡하우센 인크(Stockhausen Inc.)가 생산하는 FAVOR SAB 870 초흡수성 중합체이다.
초흡수성 재료의 성능은 약 0.3 lb/in2(약 2 kPa)과 같은 주어진 단일의 제한력 하에서 뿐만 아니라 약 0.01 내지 0.9 lb/in2(약 0.7 내지 6.2 kPa)과 같은 보다 넓은 범위의 제한력 상에서 초흡수성 재료가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각종의 상이한 억제 압력 하에서 초흡수성 재료가 액체를 흡수하는 능력은 본 명세서의 목적상 가압 흡수성 지수로서 정량화된다.
가압 흡수성 지수는 하기하는 하중 하에서 측정한 초흡수성 재료에 대한 하중하의 흡수도 값의 합계이다: 0.01 lb/in2(0.07 kPa): 0.29 lb/in2(2 kPa): 0.57 lb/in2(3.9 kPa): 및 0.90 lb/in2(6.2 kPa). 즉, 주어진 초흡수성 재료에 대한 하중 하의 흡수도 값을 하기하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상기한 제한력 하에 측정한다. 이어서 상기한 제한력 하에 측정한 하중 하의 흡수도 값들을 합하여 가압 흡수성 지수를 구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초흡수성 재료는 약 100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10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110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20 이상 및 가장 구체적으로는 약 140 이상의 가압 흡수성 지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유용한 초흡수성 재료는 또한 적합하게 하기하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을 때, 약 13 중량% 미만, 구체적으로는 약 10 중량% 미만,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7 중량% 미만 및 가장 구체적으로는 약 3 중량% 미만의 16시간 추출가능한 수준을 가질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110)의 AUL 값, 가압 흡수성 지수 및 추출가능한 수준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1993년 2월 24일에 출원된 제목 "ABSORBENT COMPOSITE"의 멜리어스(M. Melius) 등의 동시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016,312호 및 이와 동일자로 출원된 일부 계속 출원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기재 내용은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분포층(120)이 목재 펄프 플러프의 층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 이내에 분포된 초흡수성 중합체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입자들은 약 50:50 이상인, 바람직하게는 약 80:20인 섬유 대 입자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이 비율은 다르게는 약 90:10 이상,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95:5(중량 기준) 이상이다. 이러한 섬유 대 입자의 비율은 흡수성 구조체의 표적 대역에서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섬유 대 입자의 중량비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95:5 내지 100:0 범위 내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단계 3" 크기 기저귀로 언급되는 중간 크기 용품을 제공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품은 목재폴프 플러프 4 내지 25 그램을 포함하는 플러프 패드 형태의 분포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는 다르게는 플러프 약 5 내지 20 그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러프 약 6 내지 15 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펄프 플러프는 일반적으로 기저귀(10)에 형태를 제공하고, 초흡수성 중합체 또는 기타 고흡수성 재료들의 입자들을 이동 및 위치시킨다. 분포층(120)은 또한 초흡수성 중합체 약 0 내지 120 그램을 함유할 수 있고,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분포층은 실질적으로 초흡수성 중합체가 없다.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입자는 약 90 내지 650 gsm 범위 이내의 평균 복합 기초 중량을 형성하는 형태를 갖는다. 역시, 이러한 기초 중량은 흡수성 구조체의 표적 대역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평균 복합 기초 중량은 약 110 내지 550 gsm 범위 이내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30 내지 450 gsm 범위 이내이다.
흡수 용품에 바람직한 얇기 치수를 제공하기 위하여, 보유부(48)은 약 0.6 cm 이하의 두께를 갖는 형태를 갖는다. 별법으로는, 두께는 약 0.53 cm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개선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5 c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목적상, 두께는 0.2 psi(1.38 kPa)의 억제 압력 하에서 측정된다.
흡수 용품의 분포층(120) 또는 기타 성분들의 밀도는 그의 기초 중량 및 두께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기저귀의 경우, 예를 들면 새로 포장을 풀은 펼치지 않은 건소 기저귀로부터 얻은 샘플에 대해 0.2 psi(1.38 kPa)의 억제 압력에서 중량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두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합한 장치는 TMI 발포체 두께 게이지, 모델 번호 TMI-49-21 또는 그의 등가물이다. 이 장치는 미합중국 뉴욕주 아미티빌 소재의 테스팅 머신 인크(Testing Machines, Inc.)가 시판하고 있다.
플러프 및 초흡수성 입자는 분포층(120)의 바람직한 대역내로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러프 기초 중량은 분포층(120)의 너비 치수를 자너 변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비교적 많은 양의 플러프가 분포층의 앞 허리밴드 말단을 향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986년 4월 29일에 특허된 엔로의 미합중국 특허 제4,585,448호를 참고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대부분의 초흡수성 재료는 보유부의 길이 치수를 따라 연장되고 폭이 약 1 내지 10 인치(약 2.54 내지 25.4 cm)인 분포층(120)의 중간 영역 아래로 분포될 수 있다. 중간 영역은 임의적으로 약 1.5 내지 4 인치(약 3.8 내지 10.2 cm) 범위 내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초흡수성 재료는 분포층의 측면 및 말단 연부 부근에 위치하는 초흡수성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선택된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분포층 연부에서의 초흡수성 재료의 양의 감소는 분포층(120)의 섬유 플러프 매트릭스 내의 초흡수성 압자의 보유를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의 펄스된 대역 위치는 예를 들면 1990년 1월 9일에 출원된 제목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mittently Depositing Depositing Particulate Material in a ubstrate"의 피퍼(C. Pieper) 등의 동시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 출원 일련 번호 제07/462,363호(대리인 정리 번호 제876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이들 문헌의 설명은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정도의 기재 내용은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흡수 구조체(32)는 특히 남자 유아의 경우, 개선된 성능을 위한 흡수 용품의 앞 허리밴드부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T"의 옆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바를 갖는 일반적으로 T형이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용품의 앞 허리밴드 영역의 이어 섹션을 가로지르는 보유부는 약 9 인치(약 23 cm)의 횡방향 너비를 갖고, 가랑이 영역이 약 3.5 인치(약 8.9 cm)의 너비를 갖는 가장 좁은 부분이고, 뒤 허리밴드 영역은 약 4.5 인치(약 11.4 cm)의 너비를 갖는다.
제2 및 4도를 살펴 보면, 전체적인 흡수 구조체(32), 또는 그의 개개의 부분, 예를 들면 분포층(120)은 친수성의 습윤 강도가 높은 엔벨로프 웹, 예를 들면 고습윤 강도 티슈 또는 합성 섬유 웹으로 오버랩핑될 수 있다. 상기 오버랩핑 웹은 또한 흡수 구조체의 사용중의 일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웹은 제품 구조의 다른 성분과 예를 들면 접착제로 적합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수성 랩(70)은 전형적으로는 단일층의 랩시트를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랩은 분리된 몸쪽 랩 층(71) 및 분리된 바깥쪽 랩 층(73)을 포함하는 다수의 엘레멘트 랩시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보유부(48)의 주변 연부 전체 또는 일부를 지나 연장된다. 랩 시트의 이러한 형태는 예를 들면 보유부(48)의 주변 연부 주위의 실질적으로 완전한 밀봉 및 밀폐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한 기저귀의 뒤 허리밴드부에서, 흡수성 랩은 또한 기저귀의 뒤 이어 섹션에 불투명성 및 강도를 첨가하기 위하여 보유부 주변으로부터 증가된 거리만큼 멀리 연장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흡수성 랩(70)의 몸쪽 및 바깥쪽 층은 보유부의 주변 연부를 약 0.5 인치(약 1.27 cm) 지나 연장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타입 결합 영역을 제공하며, 이 영역 상에서 흡수성 랩의 몸쪽부의 주변부가 흡수성 랩의 바깥쪽부의 주변부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수개의 엘레멘트 랩 시트(70)의 몸쪽 및 바깥쪽 층은 실질적으로 도일한 재료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랩 시트의 바깥쪽 층은 연재 펄프로 이루어진 습윤 강도 셀룰로오스 티슈와 같은 비교적 높은 다공성을 갖는 비교적 낮은 기초 중량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랩 시트의 몸쪽 층은 비교적 낮은 다공성을 갖는 상기한 랩 시트 재료 증의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수성 랩(70)의 몸쪽 및 바깥쪽 부분 사이의 결합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쇼날 스타치 33-9156 접착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기재 유화액)와 같은 접착제를 예를 들면 로토그라비어 타입 시스템으로 흡수성 랩의 지적된 결합 영역(74) 상에 인쇄시킬 수 있다. 로토그라비어 타입 접착제 도포기는 미합중국 위스콘신주 오콘토폴스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에간 머시너리 디비젼(Egan Machinery Division)이 시판하고 있다. 이어서 보유부(48)은 흡수성 랩(70)의 몸쪽 및 바깥쪽 부분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흡수성 랩 부분의 짝을 이룬 연부는 함께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보유부(48)의 주변 전체를 따라 일반적으로 완전한 주변 밀봉을 제공할 수 있다.
보유부(48)의 얇기 및 보유부(48) 내에서의 높은 초흡수체 농도 때문에, 보유부 그 자체의 액체 흡수율은 너무 낮거나 또는 흡수성 구조체 내로의 액체의 3회의 배설에 걸쳐 적절하게 유지될 수 없다. 그러나, 흡수성 구조체 내로 배설 처리 재료층을 첨가시키면 복합 흡수성 구조체의 전반적인 액체 흡수율을 유리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배설 처리부(46)은 전형적으로는 보유부(48)에 비해 덜 친수성이고, 액체 배설물을 신속하게 수거하여 일시적으로 보유하고, 액체의 초기 유입 위치로 부터 흡수 구조체(32)의 선택된 영역, 구체적으로는 보유부(48)으로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가능한 수준의 밀도 및 기초 중량을 갖는다. 이 형태는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위치하는 흡수성 의류 부분 상에서 액체가 풀링(pooling)되고 수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줘서 착용자가 젖은 느낌을 덜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다.
각종의 직물 및 부직물을 사용하여 배설 처리부(46)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 처리부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웹으로 이루어진 층일 수 있다. 배설 처리부는 또한 천연 및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배설 처리부는 실질적으로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수성 재료는 임의적으로 계면활성제 처리되거나 또는 다르게는 소정의 습윤성 및 소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배설 처리층은 0.2 psi(1.38 kPa)에서 측정하였을 때 약 0.10 g/cc 이하의 평균 벌크 밀도를 갖는 형태를 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배설 처리층의 벌크 밀도는 개선된 효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02 내지 0.06 g/cc 범위 내일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부직 재료 유형에는 분말 본디드 카디드 웹, 적외선 본디드 카디드 웹 및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이 있다. 적외선 및 통기 본디드 카디드 웹은 임의적으로는 상이한 섬유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된 직물 웹 내의 섬유 길이는 약 1.0 내지 3.0 인치(약 2.54 내지 7.6 cm) 범위 이내일 수 있다.
배설 처리부(46)은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 및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별법으로는, 배설 처리부의 몸쪽 표면적이 배설 처리부의 몸쪽 표면 아래에 위치하는 X-Y 평면을 따라 자른 섹션의 표면적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2 및 4도를 살펴 보면, 기저귀(10)으로 표시되는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액체 배설 처리부(46) 및 배설 처리부와 직접 접촉하고 액체 소통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는 흡수성 보유부(46)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예를 들면 배설 처리부는 흡수성 라미네이트(112)의 몸쪽 면 상에 위치한다. 임의적으로 배설 처리부는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바깥쪽 측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및 4도에 각각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설 처리부(46)은 별법으로는 상부시트(28)의 안쪽으로 향하는 몸쪽 면과 인접하게 또는 상부시트의 바깥쪽 면과 인접하게 위치시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배설 처리부(46)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적 대역(53) 이내에 위치하고, 특정 배치에서는 배설 처리부는 표적 대역(53) 상에 완전히 연장되는 정도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유부(48)은 배설 처리부로부터 유리된 액체를 수용하여 액체를 고정 및 저장하기 위하여 배설 처리부(46)과 액체 소통하게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배설 처리부(46)은 보유부를 구성하는 다른 분리된 층 상에 위치하는 분리된 층을 포함함으로써 2중 층 배치를 형성시킨다. 배설 처리부는 배출된 액체를 신속하게 수거하여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고 이 액체를 초기 접촉점으로부터 배설 처리부의 다른 부분으로 액체를 퍼뜨린 다음 마침내는 상기 액체를 보유부(48)을 구성하는 층 또는 층들에게 유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배설 처리부를 구성하는 층에는 실질적으로는 흡수성 겔화 재료가 없다. 그러나, 배설 처리부(46)은 매우 소량의 겔화 재료를 함유하여 초기 액체 배설을 받아들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그 양은 과도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과도한 양의 흡수성 겔화 재료가 배설 처리부(46)에 함유될 때에는 겔화 재료는 구조체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많은 양의 액체를 보유 및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적 대역(53)으로부터 흡수성 구조체(32)의 다른 섹션, 구체적으로는 보유부(48)으로의 액체의 이동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방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설층(46)은 분리되어 형성된 층일 수 있고, 보유부와 상부시트 사이에 상부시트(28)의 바깥쪽을 향하는 표면과 인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배설 처리부(46)은 흡수성 구조체(32)의 두께 전체를 통해 신장될 필요가 없다. 보유부는 임의적으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배설 처리부(46)을 둘러싸는 오목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보유부는 전체가 배설 처리부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보유부(48) 중에 오목한 부분을 포함하는 배치는 보유부와 배설처리부(48)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액체 소통을 유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배설처리부(46)은 임의적으로 액체의 보유부(48)로의 모세관 흐름이 일반적으로 사이드 웨이(X-Y) 방향으로 주로 일어나도록 흡수성 구조체(32)의 전체 두께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세관력 차이는 흡수성 구조체(32)의 보유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보유부의 몸쪽 면에 바로 인접하는 재료와 보유부(48) 사이의 계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 처리부(46)이 보유부에 바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층이고, 배설층이 보유층(48)이 나타내는 모세관 인력과 비교하여 비교적 보다 낮은 모세관 인력을 제공하고 유지하도록 적절한 형태를 갖는 경우, 표적 대역(53)에서 일어나는 액체 배설은 배설 처리부로부터 보유부로 보다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보유부(48)이 배설 처리부(46)보다 비교적 높은 모세관 현상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액체 배설물은 보유부로 빨려들어가 일반적으로 보유부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에 따른 위킹에 의해 그의 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분포된다.
배설 처리부는 흡수성 구조체(32)의 흡수 요구치와 일치하는 소정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형태로는 예를 들면 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장방형, 개뼈 모양, 장고꼴 또는 타원형을 들 수 있다. 배설 처리부의 바람직한 형태는 배설 처리부(46)과 보유부(48) 사이의 접촉하는 액체 소통 표면적을 증가시켜 이들 부분 사이의 모세관 현상의 상대적 차이가 완전히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배설 처리부는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102 in2(약 97 내지 660㎠) 범위 내의 상부 표면적을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배설층(46)은 약 68 in2(약 440 ㎠)의 상부 표면적을 갖는다.
배설 처리부(46)이 상부시트(28)과 보유부(48)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배설 처리부는 약 17 내지 102 gsm 범위 내의 기초 중량을 갖고 바람직한 2성분 섬유 결합 매트릭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성분 섬유 약 25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부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설 직물의 최대 100%가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직물의 0 내지 75 중량%가 2성분이 아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은 보다 작은 직경의 섬유 및 비교적 보다 큰 직경의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작은 크기의 섬유는 약 3d 이하의 데니어를 갖고, 다르게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0.9 내지 3d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갖는다. 보다 큰 크기의 섬유는 약 3d 이상의 데니어를 갖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3 내지 18d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갖는다. 배설 처리 재료에 사용되는 섬유의 길이는 약 1 내지 3 in(약 2.54 내지 7.62 cm) 범위 이내이다. 결합 매트릭스 및 섬유 데니어들의 블렌드는 유리하게는 소정의 기공 크기의 구조를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 처리부는 미합중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샤롯떼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획스트 셀라니이즈(Hoechst Celanese)가 시판하는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와 같은 6 데니어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약 75%를 포함하는부직 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길이가 약 1.5 내지 2.0 인치(약 3.8 내지 5.1 cm) 범위에서 변하는 길이를 갖는다. 섬유 웹의 나머지 25%는 약 3 데니어 이하이고, 도시한 실시태양에서는 약 1.5 데니어인 2성분 결합제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2성분 섬유의 길이 범위는 약 1.5 내지 2.0 인치(약 3.8 내지 5.1 cm)이다. 적합한 2성분 섬유는 예를 들면 일본국 오오사까에 위치하는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치쏘(Chisso)가 시판하는 습윤성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2성분 섬유일 수 있다. 2성분 섬유는 폴리프로필렌이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이 복합 섬유의 피복을 이루는 복합 피복-코어 타입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2성분 섬유는 일반적으로 함께 균질하게 블렌딩되고 층을 이룬 형태가 아니다. 섬유를 예를 들면 통기 결합 또는 적외선 결합으로 열적으로 결합시킨 카디드 웹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배설 처리부는 약 50 gsm의 기초 중량을 갖고, 폴리에스테르 (PET) 단일 성분 섬유와 PET/폴리에틸렌 2성분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ET 섬유는 약 60 중량%의 부직물을 포함하고, 약 2 인치(약 5.1 c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약 6 데니어이다. PET/폴리에틸렌 2성분 섬유는 약 40 중량%의 직물을 포함하고, 약 1.5 인치(약 3.8 c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약 1.8 데니어이다. PET는 코어를 형성하고, 폴리에틸렌은 섬유의 피복을 형성한다. 임의적 구성에서, 보다 큰 크기의 PET 단일-성분 섬유는 2성분 섬유로 대체할 수 있다. 추가의 임의적 배치에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2성분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한 임의의 직물의 2성분 섬유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또한, 2성분 섬유는 평주름잡거나 또는 나선형으로 주름잡을 수 있다.
제2도를 살펴 보면, 배설 처리부(46)은 상부시트(28)의 몸쪽면을 향해 위치하도록 유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설 처리부의 바깥쪽 주표면은 상부시트와 바로 인접하여 접촉할 수 있고, 배설 처리부의 안쪽 주표면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한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배면시트(30)은 앞 허리밴드 섹션(12), 뒤 허리밴드 섹션(14), 및 앞과 뒤 허리밴드 섹션들을 상호연결시키는 중간의 또는 가랑이 섹션(16)을 형성한다. 배면시트는 소정의 너비와 길이 치수를 갖고, 흡수체(32)가 배면시트 상에 포개진다. 상부시트(28)은 일반적으로 배면시트와 상부시트층 사이에 흡수체를 일반적으로 샌드위치시키도록 흡수체와 마주보는 관계로 위치하고, 상부시트는 지적한 바깥쪽 표면 및 지적한 몸쪽 표면을 갖는다. 상부시트(28)의 너비 치수는 흡수체의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흡수체 너비 상에 완전히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도시한 실시태양의 경우, 상부시트는 또한 배면시트 가랑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 상에서 배면시트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연장을 갖는다. 배설층(46)과 같은 배설 처리부는 상부시트 층의 몸쪽 표면 상에 위치하고, 배설층은 상기 상부시트층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 치수를 갖는다.
배설 처리부(46)이 상부시트(28)의 몸쪽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형태를 가질 경우, 배설 처리부는 복합 라이너 배설 웹(76)일 수 있다. 복합 웹은 몸쪽 층 부분 및 바깥쪽 층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층 부분들은 분리되어 놓여질 수 있고, 상이한 구조 및 조성을 가질 수 있다. 각 층 내의 섬유 및 층 부분등 사이의 혼합된 섬유들은 서로 적합하게 상호결합되어(예를 들면 분말 결합, 점 결합, 접착제 결합,라텍스 결합에 의해 또는 통기 또는 적외선 열 결합에 의해) 복합 웹을 형성한다. 형성된 복합 웹은 약 102 gsm 이하의 총 기초 중량을 갖는다. 별법으로는 총 기초 중량은 약 24 내지 68 gsm 범위 이내이고, 임의적으로는 약 45 내지 55 gsm 범위 이내이다. 또한, 복합 웹의 총 평균 밀도는 0.2 psi(1.38 kPa)에서 측정하였을 때, 약 0.10 g/cc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약 0.05 g/cc 이하이다.
바깥쪽 배설층은 약 17 내지 50 gsm 범위 이내의 기초 중량을 갖고 바람직한 2성분 섬유 결합 매트릭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2성분 섬유 약 25 중량% 이상을 포함한다. 바깥쪽 층은 또한 보다 작은 직경의 섬유 및 비교적 보다 큰 직경의 섬유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작은 크기의 섬유는 약 0.9 내지 3d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갖고, 보다 큰 크기의 섬유는 약 3 내지 15d 범위의 데니어를 갖는다. 결합 매트릭스 및 섬유 데니어들의 블렌드는 유리하게는 바깥쪽 층 내에 소정의 기공 크기의 구조를 제공하고 실질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바깥쪽 층은 약 34 gsm의 기초 중량을 갖고, 획스트 셀라니이즈가 시판하는 폴리에스테르(PET) 단일 성분 섬유 및 미합중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엥카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 하이버스 디비젼(Fibers Division)이 시판하는 폴리에틸렌/PET (PE/PET) 피복-코어 2성분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카디드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PET 섬유는 바깥쪽 층의 약 60 중량%를 구성할 수 있고, 약 2 인치(약 5.1 c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약 6 데니어를 갖는다. 폴리에틸렌/PET 2성분 섬유는 바깥쪽 층의 약 40 중량%를 구성할 수 있고, 약 1.5 인치(약 3.8 c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약 1.8 데니어를 갖는다. 임의적으로, 보다 큰 크기의 PET 단일-성분 섬유는 2성분 섬유로 대체할 수 있다. 추가의 임의적 배치에서,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PE/PP), 피복-코어 2성분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한 임의의 직물의 2성분 섬유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PE/PP 2성분 섬유는 일본국 오오사까에 위치하는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치쏘코포레이션(Chisso Corp.)이 시판하고 있다.
몸쪽 라이너 층은 소정의 촉감 유연성 및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2성분 섬유를 약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를 포함한다. 몸쪽 층은 약 10 gsm 이상의 기초 중량을 갖고, 2성분 섬유 크기는 약 1 내지 3 인치(약 2.54 내지 7.62 cm)의 섬유 길이를 갖는 약 0.9 내지 3 데니어 범위 이내이다. 별법으로는, 섬유 데니어는 약 1.5 내지 2.5 범위 이내, 임의적으로는 약 1.8 데니어이다. 바람직한 섬유 길이는 약 1.5 인치(약 3.8 cm)이다. 예를 들면, 몸쪽 층은 약 17 gsm의 기초 중량을 갖고, 바스프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한, 섬유 데니어 약 1.8 및 섬유 길이 약 1.5 인치(약 3.8 cm)의 100% PET/폴리에틸렌 피복-코어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진 카디드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복합 배설 처리부의 특정 실시태양에서, 바깥쪽 층은 복합 웹의 약 65 중량%를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2성분 섬유의 블렌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블렌딩된 바깥쪽 층에 대하여, 블렌딩된 층의 양 60 중량%는 약 1.5 내지 2인치(약 3.8 내지 5.1 cm) 범위 이내의 섬유 길이를 갖는 약 6 데니어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진다. 블렌딩된 층의 나머지 40%는 약 1.5 내지 2 인치(약 3.8 내지 5.1 cm) 범위 이내의 섬유 길이를 갖는 약 3 데니어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8 데니어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진다. 몸쪽 층은 복합 웹의 나머지 35 중량%를 구성하고, 착용자의 피부를 향해 위치시키기 위해 지적된 유연한 라이너 타입 재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약 0.9 내지 3 범위 이내의 데니어를 갖는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복합 웹의 몸쪽 층은 약 15 gsm의 기초 중량을 갖고 약 2 데니어의 2성분 섬유로 이루어진다.
복합 웹의 다른 실시태양은 약 3 데니어 이하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 피복-코어 2성분 섬유 약 100%로 이루어진 몸쪽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몸쪽 층은 약 15 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실시태양의 복합 웹은 약 6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약 3 데니어 이하의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 피복-코어 2성분 섬유의 50/50 블렌드로 이루어진 바깥쪽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에서, 배설층 너비는 상부시트 너비의 약 16 내지 100% 범위 이내이다. 배설층 너비는 다르게는 상부시트 너비의 약 24%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소정의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시트의 약 50% 이상이다.
배설 처리부(46)의 각종 실시태양은 보유부(48)의 완전한 길이 상에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보유부 길이의 단지 일부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배설 치리부가 단지 부분적으로만 보유부의 길이를 따라 연장될 때, 배설 처리부는 흡수성 구조체(32)를 따른 임의의 지점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설 처리부(46)은 의류의 앞 허리밴드를 향해 오프셋되고 흡수성 구조체(32)의 앞 부분(49)내에서 횡방향으로 중심이 있을 때 보다 효율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설 처리부(46)은 흡수성 구조체(32)의 길이방향 중심선(58) 근처에 대략적으로 중심이 놓여질 수 있으며, 흡수성 구조체(32)의 앞 부분(49)의 중앙 영역(54) 내에 주로 위치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태양에서, 이어 영역(50 및 52)에 배설 처리부(46)이 위치하는 경우는 없다.
배설 처리부(46)의 일반적으로 전방의 오프셋 위치설정은 흡수성 구조체(32)의 길이를 따라 횡방향 중심선(24)와 같은 특정 기준점의 앞쪽에서 발견되는 배설 처리부(46)의 상부 표면적의 %를 구체화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배설 처리부(46)의 위치설정은 다르게는 기준점의 앞쪽에 위치하는 배설 처리부의 부피% 또는 중량%에 관하여 결정할 수 있다.
배설 처리부 및 상부시트 층 각각은 유효 평균 기공 크기를 갖는다. 배설 처리부가 상부시트의 바깥쪽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구성에서, 배설 처리 재료의 유효 평균 기공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시트 재료의 유효 평균 기공 크기보다 작고, 배설 처리부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시트 재료보다 더 친수성이다.
본 발명의 각종 실시태양의 경우, 배설 처리부(46)의 기초 중량은 약 24 g/㎡(gsm) 이상이고, 다르게는 약 40 gsm 이상이고, 임의적으로는 효과적인 작동에 바람직한 전체 공극율을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약 45 gsm 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기초 중량은 약 300 gsm 이하이고, 다르게는 약 150 gsm 이하이고, 임의적으로는 바람직한 이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 100 gsm 이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배설 처리부는 약 40 내지 60 gsm의 범위 이내, 임의적으로는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약 45 내지 55 gsm의 범위 이내이다. 특정 실시태양에서, 기초 중량은 약 50 gsm이다.
기초 중량은 액체의 흡수 용품으로의 단일 배설/배뇨 동안 착용자가 전형적으로 배출하는 액체량을 일시적으로 보유하기에 적합한 총 보유 능력을 제공하는데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너무 낮은 기초 증량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액체의 과도한 풀링 또는 액체의 과도한 유출을 야기시킬 수 있다.
보다 많은 배설 능력을 필요로 하는 흡수 용품은 또한 비례적으로 보다 많은 양의 배설 처리 재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배설 처리 재료는 그의 영역 전체를 통해 균일한 기초 중량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일부 섹션이 다른 섹션에 비해 보다 많은 배설 처리 재료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유효 기초 중량은 배설 처리 재료의 중량을 배설 처리부가 그위에 연장되는 영역으로 나눈 것이 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층간분리 시험 방법:
라미네이트 복합체를 컴퓨터화된 인장 시험 기계 상에서 층간분리, 부착 강도에 대해 시험하였다. 적합한 기계에는 예를 들면 22 N 최대 힘 하중 셀이 구비되어 있고 ±0.005 N의 정확도를 갖는 신테크 브랜드 인장 시험기가 있다. 샘플 홀더 또는 "조오"는 적어도 최대 너비의 샘플이 시험될 때와 같이 넓은 형태를 갖는다. 신테크(Sintech)는 미합중국 매사추세츠주 스타우톤에 사물실을 갖는 사업체이다.등가 시험 기구들은 다른 제조업체들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방법은 1993년 1월 15일에 승인된 표시번호 D 1876-93인 접착제의 박리 내성에 대한 ASTM 표준 시험 방법("T-박리 시험")에 기초한 것이다. 방법을 다음과 같이 변형시켰다.
§ 4.1.1 일부 시험 표본은 하중 범위의 상한치의 15 % 미만의 최대 하중을 갖는다.
§ 4.2 & 6.1 재료를 명시한 조건 하에서 2일 이상 동안 조절시켰다. 그러나, 이들을 22±2 ℃의 실험실 조건 및 50±20%의 상대습도에서 시험하였다. 재료를 조절실로부터 제거한 지 2시간 이내에 시험하였다.
§ 5.2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ASTM 방법에서의 노트 6과 일치하게 샘플을 102 mm 폭의 시험 표본으로 절단하였다.
§ 5.3 각 코드용 샘플 수는 데이타 표에 주어진 바와 같다.
§ 7.1 300 mm/분의 헤드 속력을 사용하였다.
§ 7.3 시험을 60 mm 길이로 행하였다. 최대 힘을 뉴우튼으로 기록하였다. 이어서 최대 힘을 시험 샘플의 너비로 나누어 단위 너비 당의 힘(N/cm)을 제공하였다.
노트 10 최대 강도, 에너지 및 평균 하중을 모두 기록하였다. 샘플이 층간분리되기 보다 파열되는 경우에는 평균 박리 강도는 거의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수 있다.
샘플을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샘플을 "건조' 또는 중류수로 "습윤"또는 "식염수" 용액(물 중의 염화나트륨 0.85%)으로 습윤시켜 시험하였다. "습윤" 및 "식염수" 샘플을 건조할 때 시험 기구의 조오 내에 장착시킨 다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스프레이 병을 사용하여 물 또는 식염수(1 내지 3 그램)로 분무시켰다. 최종 분무한 지 30초 후에 샘플을 시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8
샘플 제조 방법:
샘플을 1977년 10월 25일에 특허된 가라미(Karami)의 미합중국 특허 제4,055,180호와 일치하는 조립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예를 들면 컬럼 3, 26행 및 이하 참조), 폴리에틸렌 필름(0.18 mm 두께, 40 gsm) 및 종래의 셀룰로오스 티슈(17 gsm)를 127 mm x 305 mm 섹션으로 절단하였다. 티슈를 버트로드 코포레이션(Vertrod Corp.) 열 충격 가열 밀봉 기계 모델 8MG-3/4 가열 밀봉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에틸렌 필름에 융합시켰다.
제9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시트(220)을 티슈 시트(222) 상에 위치시켰다. 실리콘 처리된 유리 페이퍼(224)가 폴리에틸렌 필름을 덮어 가열 밀봉 장치의 미가열 막대에 달라붙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가열된 막대(228)을 티슈(222)와 접촉하도록 배열시킨다.
온도 및 정지 시간 셋팅을 작동가능한 결합 및 밀봉이 달성되도록 설정하였다. 너무 높은 온도 및 정지 시간 셋팅은 폴리에틸렌 시트를 용융시켰다. 너무 낮은 셋팅은 재료들을 강하게 결합시키지 않았다. 실시예에서 온도는 "7"으로 설정하였으며, 결합에 약 2초의 정지 시간을 사용하였다.
재료들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하여 티슈/폴리에틸렌의 폭을 가로지르게 8개의 일련의 밀봉 선을 만들었다. 각 밀봉 선은 17 mm ± 4 mm 폭을 가졌으며, 밀봉 선들은 중심과 중심이 약 16 mm 떨어져 있었다. 길이 방향의 융합 선을 시트의 한 긴 연부를 따라 만들어 7개의 슬롯을 형성시켰다. 이들 각각의 슬롯 내에 FAVOR 870 폴리아크릴레이트 초흡수체 0.25 ± 0.01 그램을 위치시켰다. 선 사이에 16 mm의 갭이 남도록 슬롯을 다른 길이방향의 선으로 밀봉시켜 7개의 포켓 및 남아있는 7개의 새로운 슬롯을 생성시켰다. 이어서 이 방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21개의 포켓을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 구조체를 제공하였고 이 때 각 포켓은 초흡수체 약 0.25 그램을 함유하였다.
시험하기 전에,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3개의 스트립을 제공하였으며, 이 때 각 스트립은 폭이 약 4.2 cm인 것으로 측정되었고, 6개의 초흡수체 포켓을 포함하였다. 하기 시험 데이타는 이들 4.2 mm 폭의 라미네이트에 기초한 것이다.
다르게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용어 "층간분리"는 캐리어들이 결합 선을 따라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다.
결과:
가열 밀봉된 폴리/티슈 복합체의 박리 시험
결론:
가라미(미합중국 특허 제4,055,180호)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제조한 샘플은 습윤되었을 때 불충분한 습윤 강도를 갖거나 또는 파열되는 캐리어 시트를 갖는 복합체를 야기시킨다. 샘플 1 내지 10은 충분한 건조 강도를 나타냈지만 샘플 11 내지 14 및 16은 습윤되었을 때 층간분리되기 보다는 파열된다. 샘플 15는 불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17 내지 22
샘플 제조 방법:
금속 다이를 1993년 11월 8일에 특허된 도꾸야마(Tokuyama)의 미합중국 특허 제4,414,255호에 기재된 엠보실 롤의 한 섹션을 모의하도록 제조하였다(예를 들면,컬럼 5, 3 내지 17행 참조). 제10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55 mm x 118 mm 알루미늄판을 홀(230) 및 핀(232)를 갖도록 제작하였다. 직경 2.6 mm의 14개의 홀을 판에 드릴링하였다. 홀(230)을 일렬로 하였고 각 홀 사이에 연부와 연부 사이의 거리가 5.2 mm이도록 이격시켰다. 각 홀의 2개의 마주보는 면 각각에 4개의 핀이 위치하도록 직경 0.5 mm의 8개의 강 핀(232)를 각 홀 주위에 장착시켰다. 따라서, 8개의 핀이 인접하는 홀 사이에 위치하였다. 핀 사이의 중심과 중심 사이의 거리가 1.25 mm이도록 핀을 위치시키고, 판 표면으로부터 0.4 mm 돌출시켰다. 전체 엠보싱 패턴은 4 mm x 71 mm로 측정되었다. 다이를 사용하기 전에 160 ℃ 오븐에서 강제 공기 오븐 중에서 30분 동안 가열시켰다.
Favor 870 초흡수성 중합체(SAP)를 체질하여 300 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들을 제거하였다. 종래의 셀룰로오스 티슈(27 gsm)의 60 mm x 120 mm견본에 20 gsm 의 분포에서 SAP를 균일하게 살포하였다. 이어서 셀룰로오스 티슈의 제2 시트를 SAP 상에 위치시켰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6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티슈/SAP/티슈 조합물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피복된 표면 상에 위치시켰다.
3개의 샘플을 도꾸야마 특허의 방법과 일치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처리하였다:
(a) 다이를 오븐으로부터 제거하여 1초 동안 400 뉴우톤(N)의 힘을 사용하여 티슈/SAP/티슈 조합물로 압착시켰다. 이 힘은 엠보싱 패턴의 길이 cm 당 5.7 kg에 의해 적용되는 중량과 동일한 것이다. 이 방법을 3회 반복하였다.
나머지 3개의 샘플을 도꾸야마 특허에서 주어진 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을 사용하여 하기의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b) 다이를 오븐으로부터 제거하여 1초 동안 20,000 N의 힘을 사용하여 티슈/SAP/티슈 조합물로 압착시켰다. 이 힘은 엠보싱 패턴의 길이 cm 당 290 kg에 의해 적용되는 중량과 동일한 것이다. 이 방법을 3회 반복하였다.
결과:
2개의 가압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형성된 복합체는 매우 약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a) 방법에 따르면, 결합이 깨어지기 쉬워 복합체가 층간분리 없이 PTFE 표면을 이승(離昇)시키지 않아야 한다. 티슈 한 겹 더하기 초흡수체의 중량은 0.34 g 이었다. PTFE 시트를 이송시켰을 때 샘플을 층간분리시키기 쉬운 중력은 0.03 N이었다.
(b) 방법에 따르면, 결합은 주변이 보다 강하지만, 복합체가 층간분리 없이 시함 장치의 조오내에 장착되지 못한다. 층간분리 강도는 0.3 N 이하이었다.
결론:
도꾸야마(미합중국 특허 제4,414,255호)의 "실시예 1"과 일치하는 방법으로 제조한 샘플은 매우 약하게 결합된 복합체를 야기시켰으며, 건조 박리 강도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바람직한 것 미만이다.
실시예 23 내지 91: 샘플 제조 방법
진공 박스(23)을 상부 부재(240) 상에 형성되어 제11도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된 다수의 홀(238)을 갖도록 제조하였다. 각 신장된 슬롯(238)은 약25 mm x 12 mm로 측정되었다. 전체 패턴은 260 mm x 87 mm로 측정되었다. 보다 긴 치수의 슬롯은 샘플의 길이를 따라 정렬시키고, 샘플의 길이는 샘플이 혼입될 수 있는 용품의 길이(90)에 대응한다. 패턴의 길이 치수를 따라 바로 인접하는 슬롯의 둥근 말단을 6 내지 7 mm의 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샘플의 너비를 따라 바로 인접하는 슬롯의 직선 면을 6 내지 7 mm의 거리만큼 이격시켰다.
진공 박스 상에 제1 캐리어 시트를 위치시켜 샘플을 제조하였다. 3가지 타입의 기재, 즉 캐리어 시트 층을 사용하였다: 10 gsm, 하이드로필() 멜트블로운; 111 gsm 킴벌리-클라크 코포레이션, 롱 락(Long Lac) 19 북쪽 연재 펄프로 제조된 물에 엉킨 펄프; 및 23 gsm 셀룰로오스 성형 티슈,은 미합중국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얼라이드 시그널 코포레이션(Allied-Signal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한 친수성 아미드-코-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재료이다. 캐리어 시트를 127 mm x 305 mm 직사각형으로 절단하고, 이때 티슈 또는 부직물의 기계 방향이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고, 추가로 성형 티슈 조직을 횡의 기계 방향으로 절단하여 총 4개의 캐리어 시트를 제공한다.
진공을 걸어, SAP(초흡수성 중합체) 5 그램을 제1 캐리어 시트 상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Favor 870 폴리아크릴레이트 SAP를 이 실험에 사용하였다. 작은 브러쉬를 사용하여, 초흡수성체를 홀 영역 상의 제1 캐리어 층의 영역 내로 닦았다.
접착제를 초흡수체/캐리어 복합체 상에 분무하였다.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즈 캄파니 34-5541(가열 용융 구조 접착제), 70-3998(사이클로플렉스, 가열 용융 감수성 접착제) 및 33-2058(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유화액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가열 용융 접착제는 예를 들면 미합중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샤롯떼에 위치하는 사업체, 패스닝 테크놀로지 인크.(Fastening Technology,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PAM 6000 스프레이매틱 분무기와 같은 손 조작 분무기를 사용하여 도포된다. 유화액 접착제는 10% 고상물(중량 기준)로 희석되어 손으로 분말화시킨 스프레이 병으로 도포시킨다. 접착제의 건조 질량은 0.8 ± 0.3 그램이었다. 제1과 동일한 타입의 제2 캐리어 시트를 상기 접착제 상에 위치시킨 다음 실린더를 표면을 가로지르게 롤링시킴으로써 위치로 압착된다. 실린더의 중량은 약 1 kg이고, 직경은 5 cm 및 길이는 5 cm이다.
신테크 조오 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복합제의 충분한 길이를 층간분리시키기 어려울 경우, 뜨거운 공기총을 사용하여 복합체의 단부를 가온시키고, 조오가 충분한 재료를 붙잡아둘 수 있도록 결함을 충분히 느슨하게 한다. 몇몇 샘플의 경우, 물 몇 방울이 시트 말단을 효과적으로 열고, 이어서 이들 복합테의 말단이 시험 전에 뜨거운 공기총으로 건조시켰다. 뜨거운 공기총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모든 샘플을 시험 전에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하기 표 및 차트에서, 하기한 용어는 하기하는 의미를 갖는다:
"하이드로필" … 10 gsm의 기초 중량을 갖고 하이드로필 공중합체로 구성된 멜트블로운 부직물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
"기계" … 셀룰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 샘플은 티슈가 제조되는 방향으로 샘플의 길이가 배향되는 기계 방향으로 시험된다.
"크로스" … 셀룰로오스 티슈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 샘플은 티슈가 제조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시험 샘플의 길이가 배향되는 기계 방향의 횡방향으로 시험된다.
"HEP" …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물이 엉킨 펄프(hydroentangled pulp)로 이루어진 캐리어 층.
실시예 23 내지 45:
70-3998로 결합된 샘플에 대한 박리 시험 결과:
70-3988 결과에 기초한 결론
시험에 사용된 기재에 따라 습윤 및 건조 결합 강도를 변화시킨 70-3998(사이클로플렉스)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하이드로필 멜트블로운 복합체인 실시예 23은 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졌다. 습윤되었을 때, 실시예 24의 캐리어 층은 접착제의 결합 강도에 비해 너무 약하여 복합체가 층간분리되기 보다는 파열되었다. 실시예 24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26 내지 28, 33 내지 35 및 39 내지 42의 복합체는 모두 본 발명에 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29, 36 내지 38 및 43 내지 45는 모두 본 발명의 예이다. 이들은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지고도 여전히 파열없이 층간분리되었다. 실시예 30 내지 32는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졌으나, 습윤 캐리어 시트의 일부 파열을 나타냈다. 따라서, 실시예 30 내지 32는 한계에 이르는 정도의 본 발명을 나타내었다. 실시예들은 높은 접착제 첨가량의 국소 영역을 가지거나 또는 캐리어 시트 중에 약한 국소 영역을 가졌다.
MD 및 CD 모두 시험한 티슈 기재 복합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성을 논증하였다. 즉, 결합은 건조시에는 초흡수체를 제자리에 보유할 정도로 충분히 강하였지만, 그러나 습윤시에는 결합이 유리되었다. 이것은 초흡수체가 캐리어를 파열시키지 않고서 팽윤할 수 있게 해준다.
물이 엉킨 펄프는 접착제보다 충분히 강하여, 건조 복합체는 파열되기 보다는 층간분리되었다. 그 자체로는 수용가능한 것이다.
복합체의 최대 습윤 층간분리 강도의 측정은 보통 필요하지 않다. 본 출원의 가장 바람직한 초흡수체는 0.9 psi(6.2 kPa)에 대해 팽윤시킬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을 갖는다. 박리 시험에서, 10.2 cm 폭의 샘플이 층간분리되었다. 주어진 시간에 응력을 받는 복합체의 길이는 약 0.5 cm이었다. 0.0005 ㎡ (10 cm x 0.5 cm) 면적에 가한 6.2 kPa 압력은 결합 폭을 가로질러 3.1 N 또는 0.3 N/cm의 힘을 생성시켰다. 이것은 복합체의 상한의 허용가능한 습윤 층간분리 강도의 일종의 평가를 제공한다.
실시예 46 내지 77:
34-5541로 결합된 샘플에 대한 박리 시험 결과:
34-5541 결과에 기초한 결론
시험에 사용한 기재에 따라 습윤 및 건조 결합 강도를 변화시킨 소수성 가열 용융 접착제 34-5541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샘플은 건조 강도보다 낮은 습윤 강도를 가졌다. 접착제의 소수성에도 불구하고, 캐리어 층이 전형적으로는 습윤되었을 때에 보다 약하기 때문에 이것은 제외된다.
기계 방향의 티슈로 제조한 복합체를 살펴보면, 실시예 46 내지 49는 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57, 58 및 61은 모두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들은 충분한 습윤 가지고도 여전히 파열없이 층간분리되었다. 실시예 51은 습윤되었을 때 파열되어 허용할 수 없었다. 실시예 52 내지 56, 59 및 60은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졌으나, 습윤 캐리어 시트의 일부 파열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들 후자의 실시예들은 한계에 이르는 정도의 본 발명을 나타내었다. 실시예들은 높은 접착제 첨가량의 국소 영역을 가지거나 또는 캐리어 시트 중에 약한 국소 영역을 가졌다.
횡 방향의 티슈로 제조한 복합체를 살펴보면, 실시예 62 내지 65는 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66 내지 69는 습윤되었을 때 파열되었고, 본 발명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HEP로 제조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실시예 70 내지 73은 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77, 55 및 77은 모두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이들은 충분한 습윤 가지고 파열없이 층간분리되었다. 실시예 76은 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졌으나, 습윤 캐리어 시트의 일부 파열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들 후자의 실시예들은 한계에 이르는 정도의 본 발명을 나타내었다. 이 실시예들은 시험 장치의 조오에서 비뚤어졌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실시예 78 내지 91:
33-2058로 결합된 샘플에 대한 박리 시험 결과:
33-2058 결과에 기초한 결론
시험에 사용한 기재에 따라 습윤 및 건조 결합 강도를 변화시킨 33-2058(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유화액) 접착제로 샘플을 제조하였다. 추가로 동일한 조성의 복합체들 중에서 결합 강도에서의 중요한 가변성을 관찰하였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유화액으로 제조한 복합체들 중에서, 샘플 78, 81, 82, 85, 86, 87, 88, 89, 90 및 91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샘플 79 및 80은 불충분한 건조 강도를 가진 반면, 샘플 83 및 84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고 하기에는 불충분한 습윤 강도를 가졌다.
실시예 92 내지 107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무팽윤 체적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다음의 무팽윤 방법이다:
고흡수성 재료 5 그램을 충분히 큰 파우치 중에, 함유되어 있는 습윤된 고흡수성 재료의 팽창을 억제하지 않도록 밀봉시켰다. 파우치 재료는 21 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 셀룰로오스 티슈고, 시험을 수행하기에 충분히 높은 습윤 강도를 가졌으며 액체에 다공성이다. 파우치 재료는 고흡수성 재료가 습윤되거나 또는 건조한 것에 관계 없이 고흡수성 재료가 파우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는다. 파우치의 셀룰로오스 티슈를 종래의 가열 용융 구조 접착제 비이드로 연부를 밀봉시컸다. 제한되지 않은 고흡수성 재료를 함유하는 파우치를 과량의 0.85% 식염수 용액 중에 15분 동안 팽윤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팽윤된 고흡수성 재료를 함유하는 파우치를 3.45 kPa의 압력 하에 2.25분 동안 압착시켜 배수시켰다. 고흡수성 재료의 무팽윤 용량은 보유된 식염수 총량에서 파우치 재료의 습윤 중량을 빼고, 다시 고흡수성 재료의 건조 중량을 뺀 후 파우치 중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재료의 원래의 건조 중량(5 그램)으로 나눈 것이다(무팽윤 값).
흡수성 라미네이트 내의 고흡수성 재료의 포화된 팽창 팽윤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기술은 다음의 라미네이트-팽윤 방법이다: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복합체를 상기한 무팽윤 방법에 기재한 바와 같이 파우치 중에 밀봉시켰다. 파우치 및 그안에 함유되어 있는 흡수성 복합체를 과량의 0.85% 식염수 용액 중에 15분 동안 팽윤하도록 하였다. 팽윤 기간 후, 파우치 및 그의 내용물을 식염수로부터 제거하여 3.45 kPa의 압력 하에 위치시켜 배수시켰다. 파우치를 칭량하여 흡수된 유체 총량을 측정하였다. 파우치 및 함유되어 있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합한 총량으로부터 파우치의 습윤 중량, 흡수성 라미네이트 성분의 습윤 중량(고흡수성 재료를 배제 시킴), 및 고흡수성 재료의 건조 중량을 빼서 단지 고흡수성 재료에 의해 함유되는 액체의 중량만을 구하였다. 고흡수성 재료에 의해 함유되는 액체의 중량을 고흡수성 재료의 건조 중량으로 나눈 것이 흡수성 라미네이트로 조립했을 때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 용량(라미네이트 팽윤 값)이다.
파우치의 습윤 중량(무팽윤 방법) 또는 고흡수성 재료를 배제한 흡수성 라미네이트 성분 모두를 함유하는 파우치의 습윤 중량(라미네이트 팽윤 방법)은 이들 방법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동일한 침지 방법(15분 침지 후에 3.45 kPa의 인가 하중 하에 2.25분 동안의 배수)으로 구하였다. 이들 재료의 습윤 중량을 고흡수성 재료에 의해 함유되는 액체를 측정하기 위한 계산에서 자체 중량으로 사용하였다.
일단 라미네이트 팽윤 방법에서 모든 측정이 행해졌으면, 파우치를 조심스럽게 열어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관찰한다.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관찰하여 파열된(흡수성 라미네이트 캐리어 층 중의 하나의 파괴 때문에 이동한 초흡수체) 포켓수를 기록하여 흡수성 라미네이트 중의 총 포켓수에 대한 %로 표시하였다.
하기 샘플에 대해 폴리아크릴레이트 초흡수체 재료의 팽윤 및 흡수 용량의 수축을 측정하였다. 초흡수성 재료는 미합중국 노쓰 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사무실을 갖는 사업체 스톡하우센 인크(Stockhausen Inc.)가 시판하는 Favor SAB 870 이었다. 17 gsm 및 21 gsm 셀룰로오스 티슈를 제1 캐리어 층 티슈 및 밀봉 티슈로각각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 내지 91에 기재한 제조 방법에 따라 흡수성 라미네이트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8 내지 102에서 사용한 접착제는 약 75 gsm의 첨가량으로 분무 패턴으로 도포한 시클로플렉스 70-3998(가열 용융 감수성 접착제)이었다. 실시예 103 내지 107에서 사용한 접착제는 약 33 gsm의 첨가량으로 분무 패턴으로 도포한 내쇼날 스타치 34-5541 가열 용융 구성 접착제이었다. 34-5541 접착제로 제조한 샘플을 시험하기 전에 티슈 층 사이의 양호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60 ℃ 대류 오븐 중에서 어닐링시켰다.
흡수 용량 데이타
SAP = 초흡수체 중합체
용량 변화 % A = 실시예 92 내지 97의 SAP 용량의 평균에 대해 측정함
용량 변화 % B = 실시예 98 내지 102의 SAP 용량의 평균에 대해 측정함
파열 % = 길이 3 mm 이상의 파열을 갖는 라미네이트 샘플내의 포켓 영역 %
gm/gm = SAP 그램 당 흡수된 액체 그램
실시예 98 내지 102는 개별 포켓 내에 함유되어 있는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의 과도한 제한 및 과도한 이동을 피하는 캐리어 층 층간분리가 갖는 이점을 논증한다.
실시예 세트 C, T, B 및 P
샘플 세트 C의 실시예를 실시예 23 내지 91을 제조하는데 사용한 것과 동일한 진공 박스 상에서 제조하였다. 17 gsm 기초 중량 셀룰로오스 티슈를 진공 박스 상에 위치시켰다. 이어서, Favor 870 초흡수체 7 그램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진공에 의해 셀룰로오스 티슈 내에 형성된 포켓 내로 브러슁하였다.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캄파니 시클로플렉스 70-3998 접착제 약 23 gsm을 330 °F로 설정한 PAM 600 스프레이매틱 분무기를 사용하여 티슈 및 초흡수체 상에 분무하였다. 제2의 21 gsm 셀룰로오스 티슈를 제1 티슈 및 초흡수체 입자의 포켓 섹션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포켓 사이 및 주위의 공간을 손으로 압착시켜 티슈 층과 접착제 사이에 긴밀한 접촉을 얻었다. 이어서 라미네이트 구조를 핸드 종이 절단기로 140 mm x 292 mm로 재단하였다.
샘플 세트 P의 실시예를, 102 mm x 267 mm "창문 프레임" 주형을 제1 티슈 상에 위치시켜 소정의 포켓 배열 영역을 둘러싸서 시클로플렉스 접착제가 주형의 개방된 "창문" 영역 내부의 면적에서만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세트 C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술로 제조하였다. 주형을 제거한 후 제2티슈를 제1 티슈층 및 초흡수성 입자의 포켓 상에 포개어 놓았다. 진공 박스로 부터 라미네이트를 제거하기 전에 제2 티슈 층을 뒤로 접어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캄파니 34-5541 접착제 약 23 gsm을 330 °F로 설정한 제2의 PAM 600 스프레이매틱 분무기를 사용하여 노출된 연부 상에 분무하였다. 이어서 뒤로 접은 티슈를 펴서 손으로 접착제 내로 압착시켜 2차 부착 수단을 형성시켰다.
샘플 세트 B의 실시예를, 0.5 내지 3 mm 폭 선의 34-5541 접착제를 제2 티슈층을 뒤로 접어 생긴 노출 연부 상의 포켓 배열의 연부로부터 약 6 mm 떨어지게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세트 P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술로 제조하였다. 접착제 선은 샘플 세트 P에 사용된 분무된 접착제 23 gsm을 대신하였다.
샘플 세트 T의 실시예를, 10개의 홀을 비워 87 mm x 180 mm의 포켓 배열 영역을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세트 C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술로 제조하였다. 초흡수체 5.2 그램을 사용하였다.멜트블로운 10 gsm을 각 셀룰로오스 티슈 층의 제 위치에 사용하였다. 라미네이트를 140 mm x 230 mm 치수로 재단하고 포켓 배열 전체 주위에 25 mm 폭의 손 가열 밀봉제로 가열 융합시켰다. 가열 융합된 영역은 가장 가까운 포켓으로부터 약 2 mm 이었다.
겔 보유 시험 방법
초흡수체를 함유하기 위한 2차 부착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샘플을 과량의 (즉, 샘플을 가라앉히기에 충분한) 0.85 중량% 식염수 중에 5분 동안 침지시켰다. 이어서 각 샘플을 오픈 메쉬 폴리올레핀 스크린 상에서 식염수로부터 들러올리고 약간 흔들어 과량의 액체 일부를 제거하고, 랩 벤치 상에 위치시키고 152 mm x 305mm(즉, 포켓 영역(144)보다 큰 크기) 플렉시글래스(Plexiglass)의 경질 조각을 덮었다. 이어서 플렉시글래스 상에 무게를 실어 균일하게 분포된 6.7 kPa(즉, 샘플 T의 경우에는 길지 않기 때문에 보다 작은 중량을 사용하였음)의 총 압력을 제공하였다. 5분 후, 중량 및 플렉시글래스를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2차 부착의 전체 둘레 길이를 밀리미터로 측정하였다. 노출된(빠져나간) 초흡수체를 볼 수 있는 2차 부착 부분의 길이(밀리미터)도 또한 측정하였다. "오픈" 둘레 %를 노출된 초흡수체 길이를 2차 부착 수단의 총 둘레 길이로 나눈 다음 100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계산된 %를 주변 유리 값으로 나타냈다.
초흡수체의 포켓을 제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 추가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단지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또는 가열 밀봉하여 2개의 티슈 층을 밀봉시킴으로써 2차 부착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생성된 부착 "라인"을 상기한 층간분리 시험 방법(습윤)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에 요약하였다.
이들 결과는 샘플 세트 C에서의 2차 부착은 일정하게 수용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샘플 T, B 및 P는 일정하게 수하용가능하고, 본 발명을 예시한다. 이들 샘플 세트는 보다 큰 최대 습윤 박리 강도로부터 개선된 보유가 얻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을 다소 너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서 각종의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은 모두 수반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영역 내의 것으로 간주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제1의 액체 투과성 캐리어층 및 적어도 제2의 캐리어층을 포함하는 독특한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캐리어 부착 수단은 캐리어층들을 함께 고정시켜 실질적으로 부착된 대역 및 그의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다수의 대역을 제공한다.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은 대역은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고, 초흡수성 재료가 이 포켓 영역 내에 위치하여 라미네이트 길이 및 라미네이트 너비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한다. 흡수성 라미네이트는 비인접된 복잡한 배열의 어레이된 포켓 영역을 갖는 분산 라미네이트 어레이내에 배열된 다수의 포켓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면에서, 다수의 포켓 영역은 주축 길이 및 비교적 보다 짧은 부축 너비를 갖는 신장 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은 다수열의 포켓 영역을 갖는 분산된 포켓 어레이내에 포함될 수 있다. 포켓 배열은비인접된 복잡한 배열의 신장 포켓 영역을 갖는 바로 인접하고 있는 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서, 캐리어 부착 수단은 감수성일 수 있거나 또는 감수성 또는 비감수성 부착 메카니즘의 선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서, 선택된 매트릭스 섬유는 포켓내에 함유된 재료의 중량에 대해 측정한 바, 약 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의 평균량으로 선별 포켓 영역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종 면에서는 용품을 건조시켰을 때 고흡수성 재료를 보다 고정적으로 위치시키고 선별된 배열의 포켓 내에 함유하는 흡수성 구조가 제공된다. 용품이 습윤되었을 때, 본 발명의 흡수성 구조는 팽윤된 물질의 증가된 부피를 수용하면서 고흡수성 물질의 위치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동시에, 부착 수단의 특성은 개개의 포켓 영역들 사이의 틈새형 채널을 유지하는데 도움줘서 액체가 각 포켓 영역으로 용이하게 흐르도록 한다. 게다가, 팽윤된 흡수성 겔 물질은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경계로부터 빠져나가기가 더 어려워진다. 포켓의 신장 형상 및 포켓 위치의 분포 패턴은 흡수성 구조물의 주변 테투리를 통한 액체 이동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포켓 영역내에 함유된 고흡수성 재료의 양은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구조물의 흡수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흡수 용품은 보다 많은 양의 액체를 흡수할 수 있고 새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얇은 구조를 갖는 형태를 할 수 있다. 보다 얇은 구조는 또한 착용자에게 개선된 착용성 및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1)

  1.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의 캐리어 층,
    다수의 포켓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된 대역과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는 미부착된 대역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 층을 상기 부착된 대역에서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감수성(water-sensitive) 캐리어 부착 수단, 및
    라미네이트 길이 및 라미네이트 너비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 영역 내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은 습윤될 때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보유하기에 적절한 습윤 강도를 제공하며, 상기 습윤 강도는 상기 고흡수성 재료가 수성 액체에 노출될 때 상기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력 미만이고,
    상기 다수의 포켓 영역 및 주축 및 부축을 갖는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이, 분산된 포켓 어레이(array) 내에 포함되며,
    상기 신장 포켓 영역은 비인접된 파형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파형 형상의 바로 인접된 포켓 영역은 그 사이에 이격 거리를 갖는, 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포켓 영역이 약 1.1:1 이상, 그리고 약 130:1 이하의 길이 대 너비 종횡비를 갖는 흡수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포켓 영역이 약 1.5:1 이상, 그리고 약 130:1 이하의 길이 대 너비 종횡비를 갖는 흡수 용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포켓 영역 각각이 약 0.16 cm 이상 그리고 약 5 cm 이하의 너비 치수를 갖는 흡수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포켓 영역 각각이 상기 라미네이트 길이의 약 75% 이하의 길이 치수를 갖는 흡수 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포켓 영역 각각이 상기 라미네이트 너비의 약 50% 이하의 길이 치수를 갖는 흡수 용품.
  7.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1 신장 포켓 영역이 상기 용품의 중간 섹션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용품의 종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흡수 용품.
  8. 제7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2 신장 포켓 영역이 상기 용품의 허리 밴드 색션 하나 이상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용품의 횡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흡수 용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어레이가 상기 라미네이트의 종선에 대한 수렴(covergent) 패턴형으로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어레이가 상기 라미네이트의 종선에 대한 분기(divergent) 패턴형으로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어레이가 곡선 영역을 갖는 상기 라미네이트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신장 포켓 영역은 상기 라미네이트 테두리의 개별 인접 부분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주축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배열된 흡수 용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어레이 각각은 수렴 패턴내에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수렴 패턴은 상기 라미네이트의 중간 가랑이 섹션에서 위치하고 있는 흡수 용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 부착 수단이, 상기 캐리어 층이 수성 액체로 습윤되었을 때 상기 캐리어 층 중 1층 이상을 과도하게 인열시키지 않고서 상기의 부착된 대역을 층간분리시킬 수 있는 인가 하중하에서 분리되는 형태를 갖는 흡수 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 부착 수단이 약 0.04 N/cm 이상 그리고 약 5 N/cm 이하의 습윤 결합 강도를 제공하는 흡수 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수성 부착 수단이 약 0.05 N/cm 이상의 건조 결합 강도를 제공하는 흡수 용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층이 약 0.08 N/cm 이상의 파열 강도를 갖는 흡수 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층이 약 0.08 N/cm 이상의 파열 강도를 갖는 흡수 용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층이 습윤가능한 섬유 웹을 포함하는 흡수용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층이 액체 투과성이고, 습윤가능한 섬유 웹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층 중 1층 이상이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하는 웹이고, 상기 멜트블로운 웹이 감수성 부착 수단에 감수성을 제공하는 형태를 갖는 흡수 용품.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영역이 서로 약 0.15 cm 이상 그리고 약 3 cm 이하의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는 흡수 용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기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주요 신체쪽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배설물 처리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용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처리 층이 약 24 내지 300gsm 범위의 기본 중량을 갖고 합성 섬유로 이루이진 부직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흡수 용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라미네이트의 주요 바깥쪽 표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분포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용품.
  25.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 층,
    다수의 포켓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된 대역과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는 미부착된 대역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캐리어 부착 수단, 및
    라미네이트 길이 및 라미네이트 너비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 영역 내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은 습윤될 때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보유하기에 적절한 습윤 강도를 제공하며, 상기 습윤 강도는 상기 고흡수성 재료가 수성 액체에 노출될 때, 상기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력 미만이고,
    상기 다수의 포켓 영역 그리고 주축 및 부축을 갖고 비인접된 파형의 형상으로 배열된 신장 포켓 영역은, 분산된 포켓 어레이내에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제1 신장 포켓 영역은 상기 라미네이트의 종선에 대한 수렴 패턴형으로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상기 용품의 중간 섹션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신장 포켓 영역은 상기 용품의 횡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상기 용품의 하니 이상의 허리 밴드 섹션내에 위치하는 흡수 용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 패턴이 상기 라미네이트의 중간 가랑이 섹션에서 위치하는 흡수 용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용품의 하나 이상의 허리 밴드 섹션내에 위치하고 상기 용품의 횡방향을 따라 정렬된 주축을 갖는 다수의 제2 신장 포켓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용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어레이가 상기 라미네이트의 종선에 대한 분기 패턴형으로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는 흡수 용품.
  29.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 층,
    다수의 포켓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된 대역과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는 미부착된 대역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층을 상기 부착된 대역에서 함께고정시키기 위한 캐리어 부착 수단, 및
    곡선 영역의 테두리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켓 영역내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은 습윤될 때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보유하기에 적절한 습윤 강도를 제공하며, 상기 습윤 강도는, 상기 고흡수성 재료가 수성 액체에 노출될 때, 상기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력 미만이고,
    상기 다수의 포켓 영역 및 비인접된 파형의 형상으로 배열되고 주축 및 부축을 갖는 신장 포켓 영역은 분산된 포켓 어레이내에 포함되며,
    상기 포켓 어레이는 상기 테두리의 곡선 영역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테두리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신장 포켓 영역은 상기 라미네이트 테두리의 개별 인접부분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된 주축을 갖도록 선택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포켓 어레이는 라미네이트의 종선에 대한 수렴 패턴형으로 함께 배열된 주축을 갖는 용품의 중간 섹션내에 위치하는 상기 다수의 제1 신장 포켓 영역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30. 제1 액체 투과성 캐리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캐리어 층,
    다수의 포켓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된 대역과 다수의 포켓 영역을 제공하는 미부착된 대역을 포함하는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고정시키기 위한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 및
    라미네이트 길이 및 라미네이트 너비를 갖는 흡수성 라미네이트를 제공하기위하여 상기 포켓 영역 내에 위치하는 고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감수성 캐리어 부착 수단은 습윤될 때 상기 캐리어 층을 함께 보유하기에 적절한 습윤 강도를 제공하며, 상기 습윤 강도는, 상기 고흡수성 재료가 수성 액체에 노출될 때, 상기 고흡수성 재료의 팽윤에 의해 부여되는 분리력 미만이고,
    상기 다수의 포켓 영역 그리고 주축 및 부축을 갖는 다수의 신장 포켓 영역은 분산된 포켓 어레이내에 포함되며,
    상기 신장 포켓 영역은 비인접된 파형의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 파형 형상의 바로 인접된 포켓 영역은 이 포켓 영역의 너비 치수의 약 15% 이상의 이격 거리를 갖는 흡수 용품.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 영역은 비교적 보다 적거나 또는 보다 큰 치수를 갖고 상기 바로 인접된 포켓 영역 사이의 이격 거리는 이 포켓 영역 중 보다 적은 영역의 너비 치수의 약 15% 이상인 흡수 용품.
KR1019960702180A 1993-10-29 1994-10-12 선택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33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92693A 1993-10-29 1993-10-29
US08/145926 1993-10-29
PCT/US1994/011707 WO1995011651A1 (en) 1993-10-29 1994-10-12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elongate pockets placed in selected patter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052B1 true KR100336052B1 (ko) 2002-10-09

Family

ID=2251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1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6052B1 (ko) 1993-10-29 1994-10-12 선택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593399A (ko)
EP (1) EP0725615B1 (ko)
JP (1) JP3392872B2 (ko)
KR (1) KR100336052B1 (ko)
AU (1) AU677727B2 (ko)
CA (1) CA2116953C (ko)
DE (2) DE69417249T2 (ko)
ES (1) ES2129677T3 (ko)
FR (1) FR2711519B1 (ko)
GB (1) GB2283679B (ko)
PH (1) PH30877A (ko)
UY (1) UY23847A1 (ko)
WO (1) WO1995011651A1 (ko)
ZA (1) ZA94744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66B1 (ko) 2009-12-10 2013-07-26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흡수성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4815C (en) * 1993-02-24 2005-06-14 Mark Kevin Melius Absorbent composite
SE508244C2 (sv) * 1994-02-24 1998-09-21 Moelnlycke Ab Absorptionskropp samt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en sådan absorptionskropp
US5830202A (en) * 1994-08-01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rising upper and lower gel layers
US5938650A (en) * 1995-08-09 1999-08-17 Fibertech Group, Inc. Absorbent core for absorbing body liquids and method
US5843059A (en) * 1995-11-15 1998-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composite and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comprising same
US5855572A (en) * 1996-03-22 1999-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fluid acquisition zone
US6372952B1 (en) 1996-03-22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CA2249214C (en) * 1996-03-22 2003-07-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improved acquisition capability, and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them
EP0815817A1 (en) * 1996-07-01 1998-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decoupled absorbent structure and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US5728081A (en) * 1996-07-16 1998-03-17 Fibertech Group, Inc. Absorbent composite article having fluid acquisition sub-layer
US6231555B1 (en) * 1996-12-20 2001-05-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integrity and acquisition
US6383960B1 (en) 1997-10-08 2002-05-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absorbent structure
AU742034B2 (en) 1997-10-31 2001-12-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ped nonwoven materials and liner
US6410820B1 (en) * 1997-11-14 2002-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slitted or particulate absorbent material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US6129720A (en) * 1997-12-31 2000-10-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ensi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extensible absorbent pad layer
AU3100899A (en) * 1998-03-19 1999-10-11 Weyerhaeuser Company Methods for forming a fluted composite
US6068620A (en) * 1998-03-30 2000-05-30 Paragon Trade Brands Absorbent laminate
US20040033750A1 (en) * 1998-06-12 2004-02-19 Everett Rob D Layered absorbent structure with a heterogeneous layer region
US6710225B1 (en) 1998-06-15 2004-03-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absorbent structure with a zoned basis weight
US6448464B1 (en) 1999-07-30 2002-09-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hich maintains skin temperature when wet
US6238379B1 (en) 1998-08-25 2001-05-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ncreased wet breathability
US6152906A (en) * 1998-08-25 2000-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breathability
US6217890B1 (en) 1998-08-25 2001-04-17 Susan Carol Paul Absorbent article which maintains or improves skin health
US6287286B1 (en) 1998-08-25 2001-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duced viability of candida albicans
US6706945B1 (en) 1998-11-04 2004-03-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wet-formed absorbent
US6323388B1 (en) 1998-11-04 2001-1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n improved, wet-formed absorbent
BR9916596A (pt) * 1998-12-29 2001-12-18 Kimberly Clark Co Adesivos ativados por calor
US6765125B2 (en) 1999-02-12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tribution—Retention material for personal care products
US6220999B1 (en) 1999-03-19 2001-04-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pertured pad
US6632213B1 (en) 1999-04-13 2003-10-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rolled leg cuff
US6387495B1 (en) 1999-04-16 2002-05-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perabsorbent-containing composites
US6376011B1 (en) 1999-04-16 2002-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preparing superabsorbent-containing composites
US6214274B1 (en) 1999-05-14 2001-04-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compressing a web which contains superabsorbent material
AR024567A1 (es) 1999-06-14 2002-10-16 Bki Holding Corp Una estructura absorbente y producto absorbente que utiliza dicha estructura.
US6794557B1 (en) * 1999-07-16 2004-09-21 Associated Hygienic Product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mploy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91993B1 (en) 1999-08-12 2002-12-10 Pactiv Corporation Absorbent pouches
AR027842A1 (es) 1999-08-23 2003-04-16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el cual mantiene o mejora la salud de la piel
AR025300A1 (es) 1999-08-23 2002-11-20 Kimberly Clark Co Un articulo absorbente descartable con capacidad para respirar en humedo incrementada.
US6680423B1 (en) 1999-08-27 2004-01-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reinforced elastic absorbent core
US6570056B1 (en) 1999-08-27 2003-05-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zoned directional stretching
US6610900B1 (en) 1999-08-27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superabsorbent in discrete pockets on a stretchable substrate
US7137971B2 (en) * 1999-08-27 2006-1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continence garment having pleated extensible liquid retention layer
US6429350B1 (en) 1999-08-27 2002-08-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superabsorbent pockets in a non-absorbent carrier layer
US6703330B1 (en) * 1999-09-21 2004-03-09 Weyerhaeuser Company Fluted absorbent composite
US6723892B1 (en) 1999-10-14 2004-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s having reduced leakage
US6627789B1 (en) * 1999-10-14 2003-09-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 with fluid partitioning
US6437214B1 (en) 2000-01-06 2002-08-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yered absorbent structure with a zoned basis weight and a heterogeneous layer region
US6763728B1 (en) * 2000-10-26 2004-07-20 Arizant Healthcare Inc. Evaluation of burst test results
US20020102392A1 (en) * 2000-12-28 2002-08-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laminate structures having enclosed discrete regions of a material
US20020095127A1 (en) * 2000-12-28 2002-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rolled delamination of laminate structures having enclosed discrete regions of a material
US7037571B2 (en) * 2000-12-28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shoe liner
JP4229309B2 (ja) * 2001-09-07 2009-02-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水により中央部で立体化する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US6837879B2 (en) 2001-10-31 2005-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flaps for absorbent article
WO2003046790A1 (en) * 2001-11-27 2003-06-05 Accenture Llp Context sensitive advertisement delivery framework
US20030124336A1 (en) * 2001-11-30 2003-07-03 Keane James M. Adhesive system for absorbent structures
US20030105441A1 (en) * 2001-11-30 2003-06-05 Chmielewski Harry J.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polymer with low gel integrity index
US20030125688A1 (en) * 2001-11-30 2003-07-03 Keane James M. Adhesive system for mechanically post-treated absorbent structures
US7083839B2 (en) * 2001-12-20 2006-08-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 structures containing activatable materials
EP1531774A1 (en) * 2002-08-26 2005-05-25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Core for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40087923A1 (en) * 2002-10-31 2004-05-06 Cole Robert Theodore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984439B2 (en) * 2002-11-12 2006-0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sponsive film with corrugated microlayers having improved properties
US7303642B2 (en) * 2002-11-12 2007-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making responsive film with corrugated microlayers having improved properties
US20040111817A1 (en) * 2002-12-17 2004-06-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scrubbing product
US7994079B2 (en) * 2002-12-17 2011-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ltblown scrubbing product
US20040121681A1 (en) * 2002-12-23 200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an activated carbon substrate
US6888044B2 (en) * 2002-12-23 2005-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capacity absorbent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40122387A1 (en) * 2002-12-23 200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that include a stretchable substrate having odor control properties
US20040121688A1 (en) * 2002-12-23 200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activated carbon substrates
US20040127870A1 (en) * 2002-12-27 2004-07-01 Dipalma Joseph Thin curved elasticized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concentration profile
ATE455528T1 (de) 2003-02-12 2010-02-15 Procter & Gamble Saugfähiger kern für einen saugfähigen artikel
ES2428693T3 (es) * 2003-02-12 2013-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 absorbente para un artículo absorbente
ATE348637T1 (de) * 2003-08-20 2007-01-15 Tyco Healthcare Retail Serv Ag Absorbtionskerne für absorbierenden artikel und deren herstellungsverfahren
US7179952B2 (en) * 2003-08-25 2007-02-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formed with microlayered films
US20050112979A1 (en) * 2003-11-24 2005-05-26 Sawyer Lawrence H. Integrally formed absorbent materials, product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70016155A1 (en) * 2003-12-11 2007-01-18 Chang Kuo-Shu E Shaped side panel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7662745B2 (en) 2003-12-18 2010-02-16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s having high permeability
US20050136772A1 (en) * 2003-12-23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structures containing tissue webs and other nonwovens
US20050142965A1 (en) * 2003-12-29 2005-06-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urface charge manipulation for improved fluid intake rates of absorbent composites
DE102004026070B4 (de) * 2004-05-25 2006-06-29 Sandra Baumgartner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astischem Bahnmaterial
US7247215B2 (en) * 2004-06-30 2007-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bsorbent articles having shaped absorbent cores on a substrate
US7938813B2 (en) * 2004-06-30 2011-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shaped absorbent core formed on a substrate
US7772456B2 (en) * 2004-06-30 2010-08-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with low superaborbent shake-out
DE602004026566D1 (de) * 2004-07-28 2010-05-27 Procter & Gamble Indirekter Druck von AMG
US20060069365A1 (en) * 2004-09-30 2006-03-30 Sperl Michael D Absorbent composite having selective regions for improved attachment
US20060135932A1 (en) * 2004-12-21 2006-06-22 Abuto Frank P Stretchable absorbent core and wrap
US20060135026A1 (en) * 2004-12-22 2006-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e cleaning products having shape resilient layer
US8334424B2 (en) * 2004-12-22 2012-12-18 Principle Business Enterprises, Inc. Animal incontinence device
EP1679055B1 (en) * 2005-01-11 2010-04-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d seal for an absorbent core
US20060241560A1 (en) * 2005-04-22 2006-10-26 Chang Kuo-Shu E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 with extensible side panels
US20060264861A1 (en) 2005-05-20 2006-11-23 Lavon Gary 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breathable side flaps
JP2009504347A (ja) * 2005-08-19 2009-02-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US8241263B2 (en) 2005-08-26 2012-08-1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
US20070044903A1 (en) * 2005-08-30 2007-03-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 with core wrap
US20070049888A1 (en) * 2005-08-31 2007-03-01 Soerens Dave A Absorbent core comprising a multi-microlayer film
US8484213B2 (en) * 2005-08-31 2013-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terogenous high availability cluster manager
US20070135785A1 (en) * 2005-12-12 2007-06-14 Jian Qi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rmoplastic coated superabsorbent polymer materials
US8148598B2 (en) 2006-02-22 2012-04-03 Dsg Technology Holdings Limite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20070255243A1 (en) * 2006-04-28 2007-11-01 Kaun James M Dimensionally stable stretchable absorbent composite
US20080058739A1 (en) * 2006-08-31 2008-03-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panded starch for odor control
US20080058738A1 (en) * 2006-08-31 2008-03-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erivatized expanded starch for odor control
US8258367B2 (en) * 2006-11-29 2012-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interior design signal
US20080234642A1 (en) * 2007-03-23 2008-09-25 Patterson Frank V Male hygenic device
TW200911209A (en) * 2007-03-26 2009-03-16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absorbent article
JP4922802B2 (ja) * 2007-03-26 2012-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4013495B (zh) 2007-05-08 2017-04-12 德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裹腿和内部顶片的合体一次性吸收物品及其制造方法
PL2478883T3 (pl) 2007-06-18 2017-01-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Jednorazowy wyrób chłonny z zasadniczo rozmieszczonym w sposób ciągły chłonnym rozdrobnionym materiałem polimerowym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CN101677892B (zh) 2007-06-18 2014-03-12 宝洁公司 具有包括大体上连续分配的吸收性粒状聚合物材料的密封吸收芯的一次性吸收制品
JP4621242B2 (ja) * 2007-12-26 2011-01-26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US9044359B2 (en) 2008-04-29 201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EP2153809B1 (en) * 2008-08-08 2015-12-0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EP2609939B1 (de) 2009-05-20 2014-10-29 Basf Se Wasserabsorbierende Speicherschichten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CA2692891C (en) * 2010-02-25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2679C (en) * 2010-02-25 2013-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3130C (en) * 2010-02-25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2638C (en) * 2010-02-25 2011-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CA2692635C (en) * 2010-02-25 2011-05-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garment-like character
DE102010013288A1 (de) 2010-03-29 2011-09-29 Wilfried Fenske Hochflexibles absorbierendes Lamin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2399557B2 (en) * 2010-06-25 2017-03-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reduced bulk
ES2794702T3 (es) * 2010-10-13 2020-11-18 Drylock Tech Nv Proceso y aparato para producir una estructura compuesta
WO2012054591A1 (en) 2010-10-19 2012-04-26 Love Daniel B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117792B2 (en) 2010-10-19 2018-11-06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679778B2 (ja) * 2010-11-19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79777B2 (ja) 2010-11-19 2015-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841505B2 (en) 2011-01-19 2014-09-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a bond between a hydrophilic and a hydrophobic nonwoven
DE102011013707A1 (de) 2011-03-11 2012-09-13 W. Pelz Gmbh & Co. Kg Bindenproduk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ygieneproduktes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Hygieneproduktes
ITBO20110186A1 (it) * 2011-04-08 2012-10-09 Gdm Spa Metodo e unità per la realizzazione di imbottiture per articoli assorbenti igienici.
DE102011018985A1 (de) 2011-04-28 2012-10-31 Evonik Industries Ag Elastisch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für die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CA2838980A1 (en) 2011-06-10 2012-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TR201909449T4 (tr) * 2011-06-10 2019-07-22 Procter & Gamble Emici maddeler için emici yapı.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JP2014515983A (ja) * 2011-06-10 2014-07-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使い捨ておむつ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CN106974772B (zh) 2011-06-10 2021-01-12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USD716938S1 (en) 2011-10-19 2014-11-04 Medline Industries, Inc. Absorbent core
EP2586412A1 (en) * 2011-10-24 2013-05-01 Bostik SA New absorbent article and process for making it
DE102011086522A1 (de) 2011-11-17 2013-05-23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für hochgefüllte oder faserfreie Hygieneartikel
DE102011086516A1 (de) 2011-11-17 2013-05-23 Evonik Degussa Gmbh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6029862B2 (ja) * 2012-06-11 2016-11-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679208B1 (en)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2679210B1 (en)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EP2679209B1 (en) 2012-06-28 2015-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GB2503924A (en) 2012-07-13 2014-01-15 Glatfelter Switzerland Sarl Super-absorbent sandwich web
CN107550648A (zh) 2012-11-13 2018-01-09 宝洁公司 具有通道和标志的吸收制品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HUE044699T2 (hu) * 2012-12-10 2019-11-28 Procter & Gamble Folyadékgyûjtõ-eloszlató rendszerrel kiegészített nedvszívó termék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JP6503339B2 (ja) 2013-03-15 2019-04-17 アテンズ・ヘルスケア・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乾燥層を有する吸収構造体
US9302248B2 (en) 2013-04-10 2016-04-05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20180064583A1 (en) * 2013-04-15 2018-03-08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nt structure
DE102013209023A1 (de) 2013-05-15 2014-11-20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3208942A1 (de) 2013-05-15 2014-11-20 Evonik Industries Ag Superabsorbierende Polymere mit schnellen Absorptionseigenschaften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284450B1 (en) 2013-06-14 2020-1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MY181416A (en) 2013-07-03 2020-12-21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n absorbent composite, a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absorbent composite and/or article
JP6334705B2 (ja) 2013-08-27 2018-05-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JP6169800B2 (ja) 2013-09-16 2017-07-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と標識を持つ吸収性物品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486368B2 (en) 2013-12-05 2016-11-08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S2819181T3 (es) 2014-02-28 2021-04-15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rtículo absorbente con núcleo absorbente plegado de capa múltiple
US9375367B2 (en) 2014-02-28 2016-06-28 Medline Industries, Inc. Fastener for an absorbent article
US10226388B2 (en) 2014-04-21 2019-03-12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tri-laminate
US9622922B2 (en) 2014-04-21 2017-04-18 Medline Industries, Inc. Stretch breathable protective absorbent article using bilaminate
US10813799B2 (en) 2014-05-09 2020-10-27 Eam Corporation Layered absorbent structure with wicking performance
EP2949301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and straight absorbent material areas
EP2949302B1 (en) 2014-05-27 2018-04-1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curved channel-forming areas
PL2949299T3 (pl) * 2014-05-27 2018-01-31 Procter & Gamble Wkład chłonny z układem rozmieszczenia materiału chłonnego
EP2949300B1 (en) *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CA2975732C (en) 2015-02-03 2019-11-12 Eam Corporation Absorbent laminate with multiple substrates
GB2555016B (en) 2015-03-16 2021-05-12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US10507144B2 (en) 2015-03-16 2019-1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strength
BR112017024325A2 (pt) 2015-05-12 2018-07-24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om um adesivo aprimorado entre o núcleo e a camada inferior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WO2016207444A1 (en) * 2015-06-26 2016-12-29 Bostik Inc. New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n acquisition/distribution layer and process for making it
KR101927040B1 (ko) 2015-10-30 2018-12-0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채널 및 성형 탄성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554444A1 (en) 2016-12-14 2019-10-23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laminates, absorbent cores and disposable articles utilizing the absorbent laminates, and related methods
JP6379248B1 (ja) * 2017-03-21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US10598285B2 (en) * 2017-03-30 2020-03-24 Quest Engines, LLC Piston sealing system
MX2020006465A (es) 2017-12-21 2020-09-22 Essity Hygiene & Health Ab Articulo absorbente y metodo para fabricar un articulo absorbente.
EP3727256B1 (en) 2017-12-21 2024-02-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EP3801424B1 (en) 2018-05-28 2025-01-22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Dryness layer laminate for absorbent articles
US20200306126A1 (en) * 2019-03-29 2020-10-01 Catherine Carvalho Palm wrap device
EP4427718A3 (en) 2020-12-18 2024-12-11 Drylock Technologies NV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structure
CN115317243A (zh) * 2022-08-25 2022-11-11 杭州比因美特实业有限公司 一种多层复合芯体纸尿裤的加工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180A (en) * 1976-04-23 1977-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retained hydrocolloid material
EP0518340A1 (en) * 1991-06-12 1992-12-16 McNEIL-PPC, INC. Melt blown menstrual pad for application to the body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1271A (en) * 1938-07-09 1943-10-05 John E Gilchrist Catamenial bandage
US2418907A (en) * 1943-09-04 1947-04-15 Personal Products Corp Sanitary napkin
US2897109A (en) * 1955-05-31 1959-07-28 Kimberly Clark Co Plastic film product
US3676242A (en) * 1969-08-13 1972-07-1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Method of making a nonwoven polymer laminate
US3890974A (en) * 1974-06-18 1975-06-24 Union Carbide Corp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slitted hydrogel film
US4224366A (en) * 1978-10-19 1980-09-23 Mccabe Jr Edward G Moisture absorption sectional pack
US4381783A (en) * 1978-10-24 1983-05-03 Johnson & Johnson Absorbent article
US4327728A (en) * 1978-10-24 1982-05-04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Catamenial device with an absorbent layer having admixture of discrete superabsorbent and introfying particles
FR2446357B1 (fr) * 1979-01-12 1985-07-12 Beghin Say Sa Procede d'insertion de produits super-absorbants dans une structure fibreuse
JPS5820790B2 (ja) * 1979-05-09 1983-04-25 花王株式会社 水吸収性シ−ト及びその製造装置
US4333462A (en) * 1980-11-17 1982-06-08 Johnson & Johnson Baby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ntaining superabsorbent
US4360021A (en) * 1981-05-06 1982-11-23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4413996A (en) * 1981-07-14 1983-11-08 Taylor Kevin D Diaper with liquid retaining chamber
IE53966B1 (en) * 1981-11-24 1989-04-26 Kimberly Clark Ltd Microfibre web product
GB2112828B (en) * 1981-11-24 1985-04-17 Kimberly Clark Ltd Perforated thermally bonded microfibre web
US4429001A (en) * 1982-03-04 1984-01-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et product containing sorbent particulate material
US4574021A (en) * 1983-03-03 1986-03-04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moisture resistant tissue product
US4592751A (en) * 1983-07-18 1986-06-03 E. R. Squibb & Sons, Inc. Incontinence pad
CA1241504A (en) * 1983-12-01 1988-09-06 Frederick K. Mesek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US4670011A (en) * 1983-12-01 1987-06-02 Personal Products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US4960477A (en) * 1983-12-01 1990-10-02 Mcneil-Ppc, Inc.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US4724114A (en) * 1984-04-23 1988-0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604313A (en) * 1984-04-23 1986-08-05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655757A (en) * 1984-04-23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US4578066A (en) * 1984-05-29 1986-03-25 Kimberly-Clark Corporation Incontinent garment, catamenial device or wound dressing
DK398884D0 (da) * 1984-08-21 1984-08-21 Coloplast As Inkontinensbeskytter og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denne
FR2583674B1 (fr) * 1985-06-24 1987-08-28 Beghin Say Sa Procede d'incorporation de produits pulverulents a l'interieur d'un matelas de fibr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US5030314A (en) * 1985-06-26 1991-07-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form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in a composite article
US4715918A (en) * 1985-06-26 1987-12-29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in a composite article
US4994053A (en) * 1985-06-26 1991-02-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article having discrete particulate areas formed therein
US4676785A (en) * 1985-10-21 1987-06-30 Battista Orlando A Liquid retaining absorbent structure
US4741941A (en) * 1985-11-04 1988-05-0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with projections
CA1291327C (en) * 1985-11-04 1991-10-29 Dawn Ilnicki Houg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liquid impervious shelves
CA1291328C (en) * 1985-11-04 1991-10-29 Dawn Ilnicki Houg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moisture insensitive, resilient shaping members
DE3679300D1 (de) * 1985-12-20 1991-06-20 Lars Mattsson Vorrichtung zum sammeln und absorbieren von fluessigkei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bsorptions- und verteilerschicht fuer fluessigkeit.
US4886509A (en) * 1985-12-20 1989-12-12 Lars Mattsson Device for collecting and absorbing urine
FR2617020B1 (fr) * 1987-06-26 1993-09-24 Boussac Saint Freres Bsf Matelas absorbant perfectionne, notamment pour des produits d'hygiene, et procede de fabrication en continu de tels matelas
US4892535A (en) * 1987-08-07 1990-01-09 Landstingens Inkopscentral, Lic, Ekonomisk Forening Absorbent pa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ZA892846B (en) * 1988-04-21 1989-12-27 Kimberly Clark Co Absorbent products containing hydrogels with ability to swell against pressure
US4988344A (en) * 1988-05-24 1991-0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multiple layer absorbent layers
US5072687A (en) * 1988-11-16 1991-12-17 James G. Mitchell Absorbent product for personal use
DE8815855U1 (de) * 1988-12-21 1989-02-23 Hanfspinnerei Steen & Co Gmbh, 2000 Hamburg Hochsaugaktive Vliesstoffbahn
US5149335A (en) * 1990-02-23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PL167617B1 (pl) * 1990-10-29 1995-09-30 Procter & Gamble P odpaska higieniczna PL
US5196470A (en) * 1991-03-01 1993-03-23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ater soluble alcohol based nonwoven binder for water swellable, soluble or sensitive fibers
US5175046A (en) * 1991-03-04 1992-12-29 Chicopee Superabsorbent laminate structure
CA2114815C (en) * 1993-02-24 2005-06-14 Mark Kevin Melius Absorbent composite
JP3012423B2 (ja) * 1993-03-05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5411497A (en) * 1993-10-29 1995-05-02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pockets having an improved containmen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180A (en) * 1976-04-23 1977-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retained hydrocolloid material
EP0518340A1 (en) * 1991-06-12 1992-12-16 McNEIL-PPC, INC. Melt blown menstrual pad for application to the bod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66B1 (ko) 2009-12-10 2013-07-26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흡수성 제품
US9056034B2 (en) 2009-12-10 2015-06-16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US9480610B2 (en) 2009-12-10 2016-11-01 Livedo Corporation Absorbent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30877A (en) 1997-12-23
FR2711519B1 (fr) 1996-07-19
GB9421838D0 (en) 1994-12-21
EP0725615B1 (en) 1999-03-17
FR2711519A1 (fr) 1995-05-05
AU677727B2 (en) 1997-05-01
JPH09504206A (ja) 1997-04-28
DE9422270U1 (de) 1999-09-02
AU8018094A (en) 1995-05-22
ZA947445B (en) 1995-05-15
CA2116953A1 (en) 1995-04-30
US5593399A (en) 1997-01-14
GB2283679A (en) 1995-05-17
GB2283679B (en) 1997-12-10
WO1995011651A1 (en) 1995-05-04
EP0725615A1 (en) 1996-08-14
UY23847A1 (es) 1995-03-28
JP3392872B2 (ja) 2003-03-31
ES2129677T3 (es) 1999-06-16
DE69417249D1 (de) 1999-04-22
CA2116953C (en) 2003-08-19
DE69417249T2 (de) 199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052B1 (ko) 선택패턴 중 개별 신장 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100345268B1 (ko) 개별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 및 친수성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100336053B1 (ko) 보유구조가 개선된 개별포켓내에 위치하는 초흡수성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100345267B1 (ko) 수민감성 및 수불감성 샘방지구조를 가지며 별개의 포켓내에 위치한 초강력 흡수성물질을 함유한 흡수제품
KR100393870B1 (ko) 브리지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탄성화된 측면패널을 갖는 흡수제품
CZ284027B6 (cs) Absorpční výrobek s pružným absorpčním uspořádáním
KR100375475B1 (ko) 신체접촉 액체제어부재를 갖는 흡수제품 및 제조방법
KR101084943B1 (ko) 모듈 흡수 용품
KR100469184B1 (ko) 신체접촉 액체조절부재를 갖는 흡수용품
AU759096B2 (en) Absorbent undergarments with improved absorbenc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7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