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5980B1 -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980B1
KR100335980B1 KR1019990040074A KR19990040074A KR100335980B1 KR 100335980 B1 KR100335980 B1 KR 100335980B1 KR 1019990040074 A KR1019990040074 A KR 1019990040074A KR 19990040074 A KR19990040074 A KR 19990040074A KR 100335980 B1 KR100335980 B1 KR 100335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harmonic
axis
phas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036A (ko
Inventor
배승형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4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9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16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operating from a three-phase in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3상(Er, Es, Et)의 전원을 입력받아 R상의 제로 크로싱으로부터 전원의 전압 벡터가 회전 좌표계상의 q축에 일치하도록 회전 각속도() 및 회전각()를 설정하고, 3상의 전류()를 2상 전류()로 변환하여 정지 좌표계로 만든 후, 다시 상기 정지 좌표를 회전 좌표에 의한 직류 전류(

Description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CONVERTER}
본 발명은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WM 컨버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입력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전류 고조파 함유율 및 역률을 높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동기를 구동하는 인버터 시스템은 전원 입력단에 다이오드 컨버터를 사용하는 구조와 펄스폭 변조(PWM) 컨버터를 사용하는 구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다이오드 컨버터의 경우는 직류 출력 전압이 가능한한 리플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야 하므로 큰 용량의 커패시터가 다이오드 컨버터의 직류 출력단에 필터로서 연결이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커패시터 입력형의 다이오드 정류회로에서는 커패시터가 충방전을 거듭함에 따라 입력 전류에 저차의 고조파 성분을 많이 포함하게 되고, 특히 펄스형의 전원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원 역률이 0.65∼0.75로 비교적 나쁘게 된다.
이러한 저차의 고조파 전류는 전력 계통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류 평활용 리액터를 연결시켜서 전류의 피크치를 낮추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전류를 평활시키는 목적에 사용할 수 있을 뿐 DC 링크 전압(컨버터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한다든지 전동기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원단으로 회생시키는 목적에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력 소자(IGBT : Insulated GateBipolar Transistor)를 이용한 승압형 PWM 정류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문제점이었던 입력 전류의 전류 고조파 함유율(THD) 문제를 상당히 해소하였다.
그러나, 아직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며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해서 입력 전류의 고조파 함유율(THD)을 기준치 이하로 규제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어서 점점 그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태이다.
도1은 종래 PWM 컨버터를 이용한 정류기의 제어 계통을 보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의 전원(Er, Es, Et)을 입력받아 전원위상 검출기(1)를 통해 R상의 제로 크로싱으로부터 전원의 전압 벡터가 회전 좌표계상의 q축에 일치하도록 회전 각속도() 및 회전각()를 설정하고, 전류 위상 변환부(5)를 통해 3상의 전류()를 2상 전류()로 변환하여 정지 좌표계로 만든 후 다시 좌표 변환부(6)를 통해서 상기 정지 좌표를 회전 좌표에 의한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2상 전류는 R상과 S상의 전류 검출기(CT,미도시) 출력을 A/D 변환하고 T상은 3상 평형을 가정하여 계산한다.
여기서, 역률을 1로 맞추기 위해 d축 전류()를 0으로 제어하기 위한 지령치()를 0으로 하여 d축 전류 제어기(3)로 출력하고, 그 전류 제어기(3)의 출력에 q축의 간섭분()을 보상하여 d축 전압 지령()을 만든다.
다음, 전압 제어기(2)는 컨버터(10)에서 출력시키고자 하는 직류 전압의지령()과 컨버터(2)의 출력부에서 검출된 직류 전압(DC 링크 전압,)의 A/D 변환된 DC 링크 전압을 입력받아 그 전압차로부터 전압 제어를 행하여 q축 전류 지령()을 만들고, q축 전류 제어기(4)는 상기 q축 전류 지령에 의해 q축 전류를 제어하기 위하여 PI 전류 제어를 행하고, 상기 q축 전류 제어기(4)의 출력()에 D축의 간섭분()을 보상하여 q축 전압 지령()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d,q축의 전압 지령(,)을 이번에는 역으로 역 좌표 변환부(7)를 통해 정지 좌표로 변환한 후 역 상 변환부(8)를 통해 3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게이트 구동부(9)에 입력하고, 그에 따른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컨버터(10)의 전력소자들을 스위칭하게 된다.
이를 도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컨버터를 이용한 정류 제어과정이 시작되면 전원 전압과 컨버터의 출력전압(DC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입력받은 후 PI 전류 제어를 위해 검출된 3상 전원의 전류를 정지 좌표인 2상의 전류로 변환한 후 다시 회전 좌표로 변환시킨다.
다음, 상기 회전 좌표로 변환된 전류()와 DC 링크전압을 입력받아 전압 지령치()에 추종하도록 회전 좌표의 각 d,q 축의 전류를 제어한 후 이를 다시 정지 좌표 전압으로 변환하고, 3상으로 다시 변환하여 게이트 구동부(9)에 입력하도록 하여 컨버터(10)를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공급 전원이 깨끗한 경우에는 전류 제어기를 통하여서 입력 전류도 깨끗하게 할 수 있었으나 전원 전압 자체가 많은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전류 제어기의 출력에 의한 입력 전류 파형도 고조파를 포함하게 되어 규정 이상으로 고주파 함유율(THD)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입력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전류 고조파 함유율 및 역률을 높힐 수 있도록 하는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PWM 컨버터를 이용한 정류기의 제어 계통을 보인 구성도.
도2는 종래 PWM 컨버터 제어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PWM 컨버터의 제어를 위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PWM 컨버터의 제어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조파 좌표 변환부 200 : d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
300 : q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원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직류 성분을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고조파 성분을 수학식1에 의해 회전 좌표계상에서의 d,q축 전류 성분으로 변환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d,q축 고조파 전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지령치를, 기존의 d,q축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지령에 합하여, 전원 전압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보상하는 새로운 d,q축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PWM 컨버터의 제어를 위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의 구성에서 좌표 변환부(6)를 통해 변환된 기존 d,q축의 고조파 전류의 회전 좌표를 다시 6배 빠른 주파수로 회전하고 있는 6차 고조파 전류회전 좌표로 변환시켜 주는 고조파 좌표 변환부(100)와; 상기 고조파 좌표 변환부(100)를 통해 출력된 d축과 q축의 6차 고조파 성분을 '0'으로 만들기 위한 d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200),q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조파 좌표 변환부(100)는 d축, q축에 대해서 동일하게 N차 고조파 전류를 출력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실험에 의하여 가장 강하게 측정된 6차 고조파에 해당하는 성분을 출력시킨다.
따라서, 입력 전류에 포함된 6차 고조파 성분이 이 고조파 좌표 변환부(100)를 거치게 되면 고조파 성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직류 성분이 출력이 될 것이다
6차 고조파 성분을 6차 회전 좌표계상에서의 d,q축 전류 성분으로 변환시켜 주는 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는 전원에서 검출된 위상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구한 6차 고조파 전류를 d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200)와 q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300)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때에 d,q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200,300)의 지령치는 항상 0이다.
즉, 이러한 6차 고조파 성분을 모두 제거하는 방향으로 제어기가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고조파 전류 제어기의 지령치와 기존의 전류 제어기(3,4)의 지령치를 합하여서 d,q축의 전압 지령(,)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도4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전원 전류를 정류하는 과정은 종래와 같다. 즉, 정류 제어과정이 시작되면 전원 전압과 컨버터의 출력전압(DC 링크전압)을 검출하여 입력받은 후 PI 전류 제어를 위해 검출된 3상 전원의 전류를 정지 좌표인 2상의 전류로 변환한 후 다시 회전 좌표로 변환시킨다.
다음, 상기 회전 좌표로 변환된 전류()와 DC 링크전압을 입력받아 전압 지령치()에 추종하도록 회전 좌표의 각 d,q 축의 전류를 제어한 후 이를 다시 정지 좌표 전압으로 변환하고, 3상으로 다시 변환하여 게이트 구동부(9)에 입력하도록 하여 컨버터(10)를 제어한다.
다만, 좌표 변환부(6)를 통해 출력된 회전 좌표에서 6차 고조파 성분의 회전 좌표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d,q축의 N차 고조파 전류를 제어하여 전원에 의해 고조파 함유율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원 전압 자체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를 PWM 컨버터를 사용하는 구조에서 입력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전류 고조파 함유율 및 역률을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3상(Er, Es, Et)의 전원을 입력받아 R상의 제로 크로싱으로부터 전원의 전압 벡터가 회전 좌표계상의 q축에 일치하도록 회전 각속도() 및 회전각()를 설정하고, 3상의 전류()를 2상 전류()로 변환하여 정지 좌표계로 만든 후, 다시 상기 정지 좌표를 회전 좌표에 의한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WM 컨버터를 이용한 정류기의 전원 전압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전원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의 크기에 해당하는 직류 성분을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고조파 성분을 수학식1에 의해 회전 좌표계상에서의 d,q축 전류 성분으로 변환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d,q축 고조파 전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지령치를, 기존의 d,q축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 지령에 합하여, 전원 전압에 포함된 고조파 성분을 보상하는 새로운 d,q축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 제어 방법.
    (수학식 1)
    (d축 전류 성분) iNde= cosNθ ×ide+ sinNθ× iqe
    (q축 전류 성분) iNqe= -sinNθ'×ide+ cosNθ ×iqe
    여기서, θ는 전원에서 검출된 위상이고, N은 고조파의 차수.
  2. 3상(Er, Es, Et)의 전원을 입력받아 R상의 제로 크로싱으로부터 전원의 전압 벡터가 회전 좌표계상의 q축에 일치하도록 회전 각속도() 및 회전각()를 설정하고, 3상의 전류()를 2상 전류()로 변환하여 정지 좌표계로 만든 후, 다시 상기 정지 좌표를 회전 좌표에 의한 직류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PWM 컨버터를 이용한 정류기에 있어서,
    전원 전류의 회전 좌표값에서 N차 고조파 성분을 검출하여 회전 좌표로 변환시키는 고조파 좌표 변환부와; 상기 고조파 좌표 변환부를 통해 출력된 d,q축의 고조파 성분을 0으로 만들기 위한 d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 및 q축 고조파 전류 제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 제어 장치.
KR1019990040074A 1999-09-17 1999-09-17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35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74A KR100335980B1 (ko) 1999-09-17 1999-09-17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074A KR100335980B1 (ko) 1999-09-17 1999-09-17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036A KR20010028036A (ko) 2001-04-06
KR100335980B1 true KR100335980B1 (ko) 2002-05-10

Family

ID=1961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0074A KR100335980B1 (ko) 1999-09-17 1999-09-17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11B1 (ko) * 2012-06-12 2013-10-2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용 피더블유엠 컨버터의 전고조파 왜율 저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899B1 (ko) * 2012-11-30 2015-05-1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공진효과를 저감시키는 3상 pwm 컨버터 시스템
KR102040228B1 (ko) * 2017-09-11 2019-11-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충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11B1 (ko) * 2012-06-12 2013-10-2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구동용 피더블유엠 컨버터의 전고조파 왜율 저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036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464B2 (en) PWM converter system
US6005783A (en) Method of synthesizing poly-phase AC voltage
EP2528221A2 (en) Multi-phase active rectifier
KR20160122923A (ko) 3상 인버터의 옵셋 전압 생성 장치 및 방법
CN87106578A (zh) 使用电流源型交流器的无功功率补偿装置
JP3250329B2 (ja) インバータの二相pwm制御装置
EP4020791A1 (en) High switching frequency pwm inverter
CN1083282A (zh) 电力变换器的并联运行控制装置
JPH11262269A (ja) パルス幅変調形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
KR100335980B1 (ko) 컨버터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6149913A (ja) 電力変換装置
JP3193809B2 (ja) 三相整流装置
JP3788346B2 (ja) 電圧形pwm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H0219718B2 (ko)
JP6695028B2 (ja) 整流回路装置
JPH0746887A (ja) 単相誘導電動機の速度制御装置
KR930010644B1 (ko) 인버터 전류제어장치
JP4389531B2 (ja) 電力変換装置
Matsuse et al. Performance of PWM-controlled thyristor rectifier operating at unity fundamental power factor in PWM current source GTO inverter system for induction motor drives
Losic Modeling and applications of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or
CN111034001A (zh) 功率转换装置及电动助力转向装置
KR20010064014A (ko) 3상 펄스폭변조 정류장치 및 방법
JP4553079B2 (ja) 交流/交流直接形電力変換装置
WO2021224976A1 (ja) 電力変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924589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