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4432B1 -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 Google Patents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432B1
KR100334432B1 KR1019980000063A KR19980000063A KR100334432B1 KR 100334432 B1 KR100334432 B1 KR 100334432B1 KR 1019980000063 A KR1019980000063 A KR 1019980000063A KR 19980000063 A KR19980000063 A KR 19980000063A KR 100334432 B1 KR100334432 B1 KR 10033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irectional
directions
optical amplifier
wavelength divis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5030A (ko
Inventor
이창희
정윤철
김철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US09/224,774 priority Critical patent/US6188509B1/en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19980000063A priority patent/KR100334432B1/ko
Publication of KR1999006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93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 G02B6/29379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 G02B6/293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i.e. combining or separating wavelengths, e.g. 1xN, NxM
    • G02B6/2938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with wavelength selective mean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use of the complete device for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i.e. combining or separating wavelengths, e.g. 1xN, NxM including at least adding or dropping a signal, i.e. passing the majority of signals
    • G02B6/29383Adding and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15Architecture aspects
    • H04J14/0216Bidirectional archite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7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 G02B6/1200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 G02B6/12019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forming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multiplexer, demultiplexer comprising 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devices, i.e. with a phased array of waveguides characterised by the optical interconnection to or from the AWG devices, e.g. integration or coupling with lasers or photo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의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연결된 하나의 N x N 다중화기,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N x N 다중화기의 양편으로 입력시키는 두 개의 3단자 써큘레이터 및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양방향 광증폭기로 구성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동시에 구현하여, 역다중화기와 다중화기를 각각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존의 애드/드롭 다중화기의 단점을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통신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나의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이용한 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본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도파관열 격자(arrayed-waveguide grating) 다중화기를 이용한 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통신망은, 여러 개의 파장을 사용하여 전송 방식이나 전송속도에 무관하게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초고속화 및 광대역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광통신망에서는 각 노드마다 망으로부터 원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드롭(drop)기능과 원하는 신호를 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애드(add)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파장 분할 다중 방식의 광통신망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2 내지 4가닥의 광섬유만을 사용하여 여러 노드를 연결하는 파장 분할 다중 환형망(ring network)을 구성하는 경우에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필수적이다.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단방향으로 구성되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들만 수신 및/또는 전송 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환형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 가닥의 광섬유와 애드/드롭 다중화기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광섬유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양방향 전송과 함께 양방향 신호를 애드/드롭 할 수 있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다중화기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를 이용하면, 광통신 망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광섬유와 소자들의 수를 반으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제안된 대부분의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다중화기는 1xN 역다중화기와 Nx1 다중화기를 각각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본 발명은 NxN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하나만 이용한 양방향 애드/드롭 증폭기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통신망을 구현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add)/드롭(drop) 광증폭기 모듈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을 이용한 양방향 광전송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을 이용하여 전송된 신호들의 광 스펙트럼.
도 4는 도 1의 광증폭기 모듈을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전송한 파장분할 다중화된 신호의 수신 파워에 따라 측정한 비트 오율.
도 5는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로부터 드롭(drop)된 신호와 증폭기 모듈에 애드(add)된 신호의 스펙트럼.
도 6은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에 애드/드롭된 신호의 수신 파워에 따라 측정한 비트 오율.
본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증폭기 모듈은, NxN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들을 양방향으로 애드/드롭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8 x 8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광증폭기 모듈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것이다. 8 x 8 다중화기를 사용하게 되면 각 방향으로 3 개의 서로 다른 파장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각 방향으로 전송되는 세 개의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들은 우선 1 단의 광증폭기(10)를 통과하면서 증폭된 후에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다중화기의 단자 4에 입력되어 각자의 파장에 따라 역다중화된다. 이와 같이 역다중화된 신호들 중에서 해당 노드에서 수신되어야 하는 신호는 드롭되고 나머지 신호는 광증폭기 모듈을 통과한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중에 단자 2로 역다중된 신호는 드롭되고 있으며, 나머지 신호들은 이 모듈을 통과하고 있다. 또한, 드롭된 신호와 같은 파장의 신호를 이 광증폭기 모듈에 애드할 수도 있으며, 애드되는 신호의 주파수 또는 파장을 드롭되는 신호의 주파수보다 도파관열 격자의 중복되지 않는 스펙트라 범위(free-spectral range)의 정수배만큼 차이가 나도록 하여 드롭되는 신호와 애드되는 신호의 파장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애드되거나모듈을 통과하는 신호들은 다중화기(20)의 단자 연결을 통해 단자 8에서 다시 파장 다중화되어 1단의 광증폭기(10)를 통해 증폭된다.
본발명에 따른 광증폭기 모듈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다중화기(20)의 양편에 입력하기 위하여 2개의 3단자 써큘레이터(circulator)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써큘레이터 대신에,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다중화기(20)에 입력하는 또 다른 수단으로서 3dB 커플러도 사용가능하다.
본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에는,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하여, 에르븀(Er) 첨가 광섬유 증폭기, 프라세오듐(Pr) 첨가 광섬유 증폭기, 반도체 레이저 광증폭기중에서 선택된 양방향 광증폭기가 NxN 다중화기의 양쪽에 사용된다.
양방향 광전송 시스템에서는 레일레이 후방산란(Rayleigh back scattering)신호와 반사 등에 의한 상대강도(relative intensity)잡음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대 강도 잡음은 광 대역 통과 필터(30)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다중화기의 단자 8에서 각각 재다중화된 신호가 써큘레이터에 입력되기 전에 광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제거함으로써 상대 강도 잡음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광 대역 통과 필터는 한 방향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반대 방향의 신호는 제거시켜야 하며, 필터의 특성은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이 차지하는 파장 대역에 따라 결정된다.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이인접한 파장대역을 차지하여 양방향의 신호들이 크게 두 개의 파장대역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각각 파장 대역에 해당하는 2 개의 광 대역 통과필터를 사용하며, 다른 방향 신호들이 번갈아 가며 파장대역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2개의 동기화된 에탈론 필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로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N x N 다중화기의 양편으로 입력하는 써큘레이터 및 레일레이 후방산란과 반사, N x N 다중화기에서의 신호간의 혼선 등에 의해 생기는 수신감도의 페널티를 없애는 광대역 통과 필터대신에 파장 선택 결합기(wavelength selerctive coupler)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8 x 8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이용하여 광증폭기 모듈을 제작하였다. 사용된 다중화기는 채널 간격이 200 GHz 이고, 하나의 연결마다 약 6dB의 삽입 손실을 갖는다. 써큘레이터는 3 단자를 가지며, 약 1dB의 삽입 손실을 갖는다. 광 대역 통과 필터는 200 GHz(1.6nm) 간격을 갖는 세 개의 신호를 통과시켜야 하므로, 3.2nm 이 상의 통과 대역을 가져야 한다. 실제 사용된 광 대역 통과 필터의 3dB 대역은 10nm 이고, 삽입 손실은 약 1.5 dB 이다. 또한, 2개의 1단 광증폭기들은 12-m의 에르븀첨가 광섬유를 이용하여 각각 제작되었으며, 980-nm 펌프 레이처를 이용하여 펌핑하였다. 제작된 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의 신호 이득(ⓐ 입력 파워 = -20 dBm/channel)은 약 20dB 이고, 잡음 지수는 약 5dB 이었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실험 구성도이다. 좌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파장은 1549.32 nm, 1550.92 nm 와 1552.52 nm 이고, 우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파장은 1555.75 nm, 1557.36 nm 와 1558.98 nm 였다. 좌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경우를 살펴보면, 세 개의 DFB 레이저는 결합기(40)를 이용하여 다중화되고, LiNbO3변조기(50)를 이용하여 동시에 2.5Gb/s로 변조되었다. 변조된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은 단일 모드 광섬유 40km(60)를 지난 후, 본발명에 따른 광증폭기 모듈(70)에 의해 증폭되었다. 증폭된 신호들은 다시 단일 모드 광섬유 40km 를 지난 후, 3dB 커플러(80)와 광 대역 통과 필터(90)를 이용하여 역다중화되었다. 역다중화된 신호들은 APD 수신기(100)를 이용하여 비트 오율을 측정하였다. APD 수신기(100)는 광대역 통과 필터(90), 광감쇄기(101), 90/10 커플러(102), 파워측정기(103), 광수신기(104) 및 비트오율측정기(105)로 구성된다.
도 3은 양방향으로 전송된 광신호들의 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세 개의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들과 레일레이 후방산란과 반사 등에 의한 역방향의 신호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역방향의 신호들은 적절한 대역폭을 갖는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면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좌측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나타내며 점선은 우측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나타낸다.
도 4는 APD 수신기를 이용하여 수신된 파워에 따라 측정한 비트 오율을 나타낸다. 양방항으로 전송된 체널이 모두 10-9의 비트 오율에서 약 -34 dBm 의 수신감도를 갖는다. 그림으로부터 발명된 증폭기에 의한 수신 감도의 페널티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 대역 통과 필터에 의하여 광섬유에서 발생하는 레일레이 후방 산란 신호 등의 상대 강도 잡음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로부터, 드롭된 신호들의 신호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도 5b는 애드된 신호들의 신호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광증폭기 모듈이,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를 증폭시킬 뿐만 아니라, 양방향에서 신호를 애드/드롭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도 1의 좌측 단자 6으로 역다중화된 신호를 드롭하였고, 드롭된 신호와 같은 파장의 신호를 좌측 단자 2에 애드하여 전송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드롭되고 애드된 신호들의 신호 스펙트럼을 얻었다. 다중화기의 단자 6으로부터 드롭된 신호는 약 -6 dBm의 신호 파워를 갖고 있으며, 단자 2에 애드된 신호도 거의 유사한 파워를 갖는다.
도 6은, 도 1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로부터 애드/드롭된 신호의 수신파워에 따라 측정한 비트 오율을 나타낸다. 신호의 애드/드롭에 따른 수신감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애드/드롭 없이 전송된 경우의 비트 오율도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호를 드롭하거나, 애드하여 전송한 경우에도 수신기의 수신 감도에 페널티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광증폭기 모듈은 양방향 신호의 증폭과 애드/드롭 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NxN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하나만 이용한 양방향 애드/드롭 증폭기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양방향 환형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 가닥의 광섬유와 애드/드롭 다중화기가 필요하거나 역다중화기와 다중화기를 각각 이용해야 하는 종래의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다중화기의 단점을 개선하고, 하나의 다중화기를 사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광통신망을 구현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7)

  1.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의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연결된 하나의 N x N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N x N 다중화기의 양편으로 입력시키는 두 개의 3단자 써큘레이터; 및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양방향 광증폭기; 로 구성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레일레이 후방산란과 반사, N x N 다중화기에서의 신호간의 혼선 등에 의해 생기는 수신감도의 페널티를 없애는 광 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광증폭기는 에르븀(Er) 첨가 광섬유 증폭기, 프라세오듐(Pr) 첨가 광섬유 증폭기 또는 반도체 레이저 광증폭기 중에서 선택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로 양방향 신호들이 크게 두 개의 파장대역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파장대역에 해당하는 두 개의 광대역 통과필터를 사용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필터로 양방향 신호들이 다른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파장대역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두 개의 동기화된 에탈론 필터를 사용하는 양방향 파장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6.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의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연결된 하나의 N ×N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N ×N 다중화기의 양편으로 입력하고, 수신감도의 페널티를 없애는 파장 선택 결합기(wavelength selective coupler); 및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양방향 광증폭기; 로 구성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7.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된 신호의 역다중화와 다중화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연결된 하나의 N ×N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파장 분할 다중 신호들의 경로를 분리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신호들을 각각 1개의 광섬유를 통하여 상기 N ×N 다중화기의 양편으로 입력시키는 두 개의 3단자 3dB 커플러; 및
    양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신호의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양방향 광증폭기; 로 구성되는,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KR1019980000063A 1997-01-05 1998-01-05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KR10033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4,774 US6188509B1 (en) 1997-01-05 1998-01-04 Simple bidirectional add/drop amplifier module based on a single multiplexer
KR1019980000063A KR100334432B1 (ko) 1998-01-05 1998-01-05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0063A KR100334432B1 (ko) 1998-01-05 1998-01-05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5030A KR19990065030A (ko) 1999-08-05
KR100334432B1 true KR100334432B1 (ko) 2002-11-22

Family

ID=1953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063A KR100334432B1 (ko) 1997-01-05 1998-01-05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88509B1 (ko)
KR (1) KR100334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918B1 (ko) * 1998-10-14 2006-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양한 채널 형성을 위한 애드 드롭 멀티플렉싱 장치 및 방법
JP3834237B2 (ja) * 1999-10-29 2006-10-18 富士通株式会社 光送信装置及び光中継装置
JP4498509B2 (ja) * 1999-11-16 2010-07-07 富士通株式会社 波長多重用光アンプ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6525849B1 (en) * 2000-01-28 2003-02-25 National Science Council Probe of two-way optical component network analyzer
US20010046350A1 (en) * 2000-02-25 2001-11-29 Tedesco James M. Configurable Wavelength routing device
KR100342517B1 (ko) * 2000-10-04 2002-06-28 윤종용 중간단소자를 공유하는 파장교대방식 양방향 애드/드롭다중화기 및 광증폭기 모듈
GB0013366D0 (en) * 2000-06-01 2000-07-26 Vipswitch Inc Optical communicator
KR100351672B1 (ko) * 2000-06-12 2002-09-11 한국과학기술원 전광자동이득조절 기능을 갖는 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KR100342427B1 (ko) * 2000-08-14 2002-07-02 윤덕용 다단 양방향 광증폭기
KR20020019689A (ko) * 2000-09-06 2002-03-13 윤종용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
US6608709B2 (en) 2000-10-03 2003-08-19 Gary Duerksen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 bidirectional add-drop multiplexing
US6532318B1 (en) * 2000-10-18 2003-03-11 Corning Incorporated Symmetric wavelength selective switch for interconnecting two WDM rings
IL140207A (en) * 2000-12-10 2007-09-20 Eci Telecom Ltd Module and method for configuring optical networks
KR100357627B1 (ko) * 2001-01-09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광전송 시스템
KR20030026507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아이텍 테크널러지 파장 분할 다중화 특성을 가지는 이더넷 미디어 컨버터 모듈
KR100454960B1 (ko) * 2002-05-16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교대 방식의 양방향 애드/드롭 다중화기
FR2853092A1 (fr) * 2003-03-31 2004-10-01 France Telecom Dispositif optique, notamment de suppression du bruit dit de double retro-diffusion rayleigh, et installation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20060177224A1 (en) * 2003-05-28 2006-08-10 Arkady Bablumya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CN102611497B (zh) * 2003-10-15 2016-05-11 埃科斯弗公司 用于测试光网络的方法和装置
WO2006096668A2 (en) * 2005-03-07 2006-09-14 Nettest North America, Inc. Passive optical network loss test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003283A1 (en) * 2005-06-29 2007-01-04 At&T Corp. Dynamic allocation of bandwidth in a bidirec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8181211B2 (en) * 2009-03-30 2012-05-15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Total bandwidth conditioning device
US9831948B2 (en) 2015-09-22 2017-11-28 Exfo Inc. Optical power measurement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US10270554B2 (en) 2015-09-22 2019-04-23 Exfo Inc. Optical power measurement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3465B (it) * 1995-01-27 1997-07-08 Pirelli Cavi Spa Sistema di telecomunicazione ottica bidirezionale comprendente un amplificatore ottico bidirezionale
US5633741A (en) * 1995-02-23 1997-05-27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channel optical fiber communications
US5926590A (en) * 1995-12-29 1999-07-20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Power equalizer in a multiple wavelength bidirectional lightwave amplifier
US5801879A (en) * 1996-10-29 1998-09-01 Corning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to supress Q-switching in an optical amplifying device
US5740289A (en) * 1996-12-30 1998-04-14 At&T Corp Optical arrangement for amplifying WDM signals
SE520943C2 (sv) * 1998-06-10 2003-09-16 Ericsson Telefon Ab L M Add/dropp-nod anordnad att anslutas i ett optiskt fibernät av wdm-ty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88509B1 (en) 2001-02-13
KR19990065030A (ko) 199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432B1 (ko) 하나의도파관열격자다중화기를이용한양방향애드/드롭광증폭기모듈
US5742416A (en)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with bidirectional optical amplifiers
US5812306A (en)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with bidirectional optical amplifiers
EP2297889B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including reconfigurable filters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252219B2 (ja) 光ノード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US6597482B1 (en)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system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subscriber networks using the same apparatus
US6452718B1 (en) WDM-channel equalizer
JP4294452B2 (ja) 双方向光通信用の光装置
US6400498B1 (en) Optical signal repeating and amplifying device and optical level adjusting device
JPH09116492A (ja) 波長多重光増幅中継伝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20020067526A1 (en)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US6081368A (en) Optical amplifier for bi-directional WDM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s
Kim et al. Bidirectional wavelength add-drop multiplexer using multiport optical circulators and fiber Bragg gratings
US655283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eadbands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34668A (ko) Wdm 전송 중계기, wdm 전송 시스템, 및 wdm 전송방법
US20030123137A1 (en) Optical in-line amplifier and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KR100342427B1 (ko) 다단 양방향 광증폭기
JP3591269B2 (ja) 超広帯域波長分散補償デバイス
Tran et al. A bidirectional optical add-drop multiplexer with gain using multiport circulators, fiber Bragg gratings, and a single unidirectional optical amplifier
JP3149916B2 (ja) 波長多重光中継増幅装置
EP0967752A2 (en) WDM transmission system
EP0959577A2 (en) Optical signal repeating and amplifying device and optical level adjusting device
JP3058265B2 (ja) 波長多重光伝送システムに用いる光合分波装置
KR100330411B1 (ko) 하나의 도파관열 격자 다중화기를 사용하는 파장교대방식양방향 애드/드롭 광증폭기 모듈
Takachio et al. 12.5-GHz-spaced super-dense WDM ring network handling 256 wavelengths with tapped-type OAD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3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006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318

Appeal identifier: 2002101000241

Request date: 2002011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2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1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008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01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3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2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4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