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2194B1 - 육류 구이기 - Google Patents

육류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194B1
KR100332194B1 KR1019990029000A KR19990029000A KR100332194B1 KR 100332194 B1 KR100332194 B1 KR 100332194B1 KR 1019990029000 A KR1019990029000 A KR 1019990029000A KR 19990029000 A KR19990029000 A KR 19990029000A KR 100332194 B1 KR100332194 B1 KR 10033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at
air
container
bl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235A (ko
Inventor
이근진
Original Assignee
이근진
스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0251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3219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진, 스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근진
Priority to KR1019990029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194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19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12)의 제어판(14)에 냉각수 보충부(62)가 설치됨으로써 냉각수의 보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수통(60)에 유량계(70)가 설치됨으로써 냉각수의 잔량확인이 가능하며, 육류(34-2)가 구워지는 불판(32)에 경사면(32A)과 절곡부(32B)가 형성되어 육류(34-2)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숯불로 떨어지지 않고 물받이(36)로 집결될 수 있고, 물받이(36)의 중앙부에는 물이 담겨지지 않도록 돌출됨으로써, 물 수용부(36A)의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으며, 숯불용기(24)의 저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유도부(35)에 의해 숯불로만 공급되어 숯불의 화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불판(32)을 순환한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의 냉각팬과 같은 구성요소와 숯불용기(34)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의 송풍팬과 같은 구성요소가 일체화됨으로써, 육류 구이기(10)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육류 구이기(10)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육류 구이기{MEAT ROASTER}
본 발명은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수 보충부와 유량계를 구비하고, 공기유도부를 구비한 숯불용기를 구비하며, 폐물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불판 및 물 수용부가 외곽에만 형성된 물받이를 구비하고,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숯불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가 일체화된 냉각 송풍부를 구비하여 기능이 향상된 육류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구이기는 숯불이나 가스불과 같은 열원으로 육류를 직접가열하여 굽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육류 구이기에는 파이프를 절곡시켜 형성한 불판 내부로 냉각수를 통과시켜 불판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육류가 불판의 과열로 인하여 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불판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육류 구이기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a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육류 구이기(1)는 본체(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부재(1-2)와, 상기 설치부재(1-2)의 내부 바닥면에 안착되는 물받이(2)와, 상기 물받이(2)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2)에 설치되는 숯불용기(3)와, 상기 숯불용기(3)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2)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이프가 절곡되어 형성된 불판(4)과, 상기 불판(4)에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냉각수통(5-1)의 냉각수를 펌핑하는 펌프(5-3), 순환된 냉각수를 열교환기(5-2)에서 냉각시키는 냉각장치(5-4)를 구비한 순환장치(5)와, 상기 숯불용기(3)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6-2), 상기 송풍팬(6-2)이 설치되는 송풍관(6-1), 상기 송풍팬(6-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3)와, 상기 구동모터(6-3)를 제어하는 스위치(6-4)를 구비한 송풍장치(6)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육류 구이기(1)는 상기 순환장치(5)에 의해 냉각수가 불판(4)을 순환하기 때문에 불판(4)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어 불판(4)의 과열로 인한 육류의 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송풍장치(6)에 의해 상기 숯불용기(3)의 화력을 조절하면서 육류를 적절하게 구워 요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육류 구이기(1)는 상기 냉각수통(5-1)에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1-1)로부터 상기 설치부재(1-2)를 분리하거나, 별도의 개폐부재(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여 상기 본체(1-1)의 내부를 개방한 후 냉각수를 보충하고 있었기 때문에 냉각수 보충작업이 불편하였고, 또한 상기 냉각수통(5-1) 에는 냉각수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냉각수의 잔량을 확인하기가 곤란하였던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육류 구이기(1)의 불판(4)은 단순히 수평 즉,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육류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숯불용기(3)의 숯불에 떨어져 연소됨으로써 유해한 연기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숯불용기(3)의 저부에 설치되는 물받이(3)도 단순히 평평하게 형성된 상태로 물이 담겨지고 있었기 때문에, 담겨지는 물이 상기 숯불용기(3)의 저부에위치하게 되어 상기 숯불용기(3)의 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담겨진 물이 쉽게 끓음으로써 발생한 수증기가 숯불의 화력을 저하시키고 있었으며, 물이 쉽게 증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숯불용기(3)의 저부에는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숯불용기(3)의 송풍공(3-1)으로만 공급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상기 송풍장치(6)로부터 공급되는 외부공기가 상기 설치부재(1-2)의 내부 여러곳으로 흩어짐으로써,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숯불의 화력조절이 곤란하였다.
특히,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4)을 순환하여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열교환기(5-2)에서 냉각시키도록 된 냉각수 냉각장치(냉각팬)(5-4)와, 상기 숯불용기(3)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송풍팬(6-2)과 모터(6-3), 그리고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6-4)를 구비한 송풍장치(6)가 다른 위치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육류 구이기(1)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였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상기 냉각장치(5-4)는 본체(1-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 열교환기(5-2)를 냉각시키도록 본체(1-1)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었고, 이러한 냉각장치(5-4)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나 작동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었으며, 상기 송풍장치(6)는 상기 설치부재(1-2)의 고정 설치된 송풍관(6-1)에 설치되어 별개로 작동되고 있었기 때문에, 육류 구이기(1)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게 됨은 물론, 육류 구이기(1) 자체의 크기가 커져야 했으며,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냉각수의 보충이 용이하고 냉각수의 잔량확인이 용이하게 가능하며, 육류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숯불로 떨어지지 않고 물받이로 집결될 수 있고, 물받이에 담겨지는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으며,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숯불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가 일체화되어 내부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육류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도록 된 순환장치에 의해 불판을 순환한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냉각수가 순환되는 불판에 열기를 공급하는 숯불용기로 공기를 공급시키는 송풍장치를 구비하여 육류를 구워 요리할 수 있도록 된 육류 구이기 있어서,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어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통으로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된 냉각수 보충부;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명창을 통하여 냉각수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수통에 설치되는 유량계; 상기 본체의 설치부재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저면에는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로만 공급되도록 공기유도부가 형성된 숯불용기; 상기 숯불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상부측에 안착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하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된 불판; 상기 숯불용기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불판으로부터 배출되는 폐물질이 집결되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외측에물 수용부가 형성된 물받이; 및 상기 본체의 내벽에 설치되어, 내설된 송풍팬의 작동으로 상기 열교환기를 냉각시키고 공기의 일부를 상기 숯불용기로 공급하도록 된 냉각 송풍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보충부는 상기 제어판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개가 결합된 중공형의 고정구; 및 일단이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수통의 입구측에 연결 설치된 보충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계는 상기 투명창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각수통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설치단; 상기 설치단의 내부로 하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단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지침이 설치된 나선형의 회전바; 및 상기 회전바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키는 부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도부는 상기 숯불용기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 상기 측면 유도부재의 전방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 상기 측면 유도부재의 후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의 후방면에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 및 상기 숯불용기의 저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된 와류 형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 송풍부는 다수개의 통풍공이 천공된 상기 내벽에 근접되도록 상기본체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중앙부에 유입공이 천공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재, 중공형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기 본체의 설치부재에 설치된 송풍관과 마주보도록 상기 유입공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브라켓을 구비한 하우징; 및 상기 설치브라켓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통풍공으로부터 외부공기가 흡입되도록 냉각/송풍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육류 구이기의 송풍장치를 도시한 일부확대도.
도 2는 본 고안에 발명에 의한 육류 구이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냉각수 보충부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유량계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유량계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며, 4c는 육류 구이기의 제어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숯불용기를 도시한 도면으로, 5a는 숯불용기의 측단면도이고, 5b는 숯불용기의 정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불판과 물받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도 6에 도시된 물받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육류 구이기의 냉각 송풍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8a는 냉각 송풍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8b는 열교환기를 포함한 냉각 송풍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냉각 송풍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본체 14 : 제어판
16 : 설치부재 18 : 내벽
18-1 : 통풍공 32 : 불판
32A : 경사면 32B : 절곡부
34 : 숯불용기 34A : 양측면
34B : 전방면 34C : 후방면
35 : 공기유도부 35A : 측면 유도부재
35B : 전방 유도부재 35C : 후방 차단판
35D : 와류 형성부재 36 : 물받이
36A : 물 수용부 40 : 열교환기
52 : 송풍관 60 : 냉각수통
62 : 냉각수 보충부 70 : 유량계
72 : 설치단 74 : 고정부재
75 : 지지부재 76 : 지침
77 : 회전바 78 : 부레
80 : 냉각 송풍부 82 : 송풍팬
84 : 프레임 86 : 하우징
87 : 팬 스위치 88 : 커버부재
88A : 유입공 89 : 설치브라켓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미설명 부호 "10"은 육류 구이기이고, "34-2"는 육류이며, "52-1"은 송풍관(52)에 설치되는 풍량조절기로, 핸들에 의해 작동되는 링크와 개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송풍관(52)의 내부를 개폐하게 된다.이하에서 나타나는 냉각장치는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구성되었던 종래기술에 의한 냉각팬과 모터,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냉각팬 작동 스위치와 같은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이고, 송풍장치는 송풍관(52)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었던 종래기술에 의한 송풍팬과 모터 그리고 송풍 스위치와 같은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류 구이기(10)는 냉각수 보충부(62)와, 유량계(70)와, 공기유도부(35)가 형성된 숯불용기(34)와, 경사면(32A)이 형성된 불판(32)과, 물 수용부(36A)가 형성된 물받이(36)와,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송풍장치가 일체화된 냉각송풍부(8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각수 보충부(62)는 도 3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류 구이기(10)의 본체(12) 상면에 형성되는 제어판(14)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통(60)으로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냉각수 보충부(62)는 상기 제어판(14)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개(62B)가 결합된 중공형의 고정구(62A)과, 일단이 상기 고정구(62A)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수통(60)의 입구측에 연결 설치된 보충호스(62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 보충부(62)로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깔대기(62D)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70)는 도 3 내지 도 4a,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명창(13)을 통하여 냉각수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수통(6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창(13)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각수통(6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설치단(72)과, 상기 설치단(72)의 내부로 하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는 고정부재(74)에 의해 상기 설치단(72)에 고정된 지지부재(75)와, 상기 지지부재(75)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지침(76)이 설치된 나선형의 회전바(77)와, 상기 회전바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바(77)를 회전시키는 부레(78)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77)는 부력에 의해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부레(78)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지침(76)이 회전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투명창(13)은 도 4a,4b,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투명창(13)에는 유량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눈금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불용기(34)는 도 2 및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의 설치부재(16)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저면에는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34-1)로만 공급되도록 공기유도부(3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공기유도부(35)는 상기 숯불용기(34)의 양측면(34A)에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35A)와,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의 전방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34)의 전방면(34B)에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35B)와,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의 후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34)의 후방면(34C)에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35C)과,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된 와류 형성부재(35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와 후방 차단판(35C)은 상기 물받이(36)의 물 수용부(36A)에 채워지는 물에 잠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숯불용기(34)가 설치부재(16)에 안착되어 설치되면,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부에는 전방부(F)를 제외하고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공기는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형성된 송풍공(34D)으로만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불판(32)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34-2)가 가열되는 부분으로 상기 숯불용기(3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6)의 상부측에 안착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면(32A)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2A)의 하단부에 절곡부(32B)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불판(32)은 조리중에 발생되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상기 숯불용기(34)의 숯불(34-1)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상기 경사면(32A)을 따라 흘러내린 후 상기 절곡부(32B)로 집결되어 상기 물받이(36)로 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물받이(36)는 도 2 및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6)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불판(32)으로부터 배출되는 폐물질이 집결되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외측에 물 수용부(36A)가 형성된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물이 수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의 외측부가 상기 중앙부에 상대적으로 함몰되어 물 수용부(36A)가 형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물이 용이하게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냉각 송풍부(80)는 도 2, 도 8a, 8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의 바닥에 송풍팬(82)을 구비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82)의 작동으로 상기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키고 공기의 일부를 상기 숯불용기(34)로 공급하도록 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각 송풍부(80)는 다수개의 통풍공(18-1)이 천공된 상기 내벽(18)에 근접되도록 상기 본체(12)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0)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프레임(84)과, 중앙부에 유입공(88A)이 천공되어 상기 열교환기(40)의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84)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재(88), 중공형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기 설치부재(16)에 설치된 송풍관(52)과 마주보도록 상기 유입공(88A)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브라켓(89)을 구비한 하우징(86)과, 상기 설치브라켓(89)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0)가 냉각되도록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일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관(52)으로 공급되도록 팬 스위치(87)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8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84)은 상기 본체(12)의 바닥에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0)는 상기 통풍공(18-1)에 근접되도록 상기 프레임(84)에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설치브라켓(89)의 크기는 상기 송풍관(5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설치브라켓(89)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만 상기 송풍관(52)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팬 스위치(87)는 도 3 및 도 4b,4c,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14)의 일측에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냉각수 순환파이프와 불판(32)을 탈,장착시키는 핸들의 하부에 설치되어 탈,장착 핸들을 "오프"위치에서 "온" 위치로 작동시키게 되면 순환파이프와 불판과 결합됨과 동시에 그 저면에 설치된 접점이 "온"되어 송풍팬(82)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상호 결합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류 구이기(10)의 냉각수통(60)에 냉각수를 보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14)에 고정 설치된 고정구(62A)로부터 마개(62B)를 제거하여 고정구(62A)의 입구를 개방한다.
상기 고정구(62A)의 입구가 개방되면, 상기 고정구(62A)의 입구로 냉각수를 주입하여, 주입되는 냉각수가 상기 보충호스(62C)를 통하여 상기 냉각수통(60)에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깔대기(62D)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고정구(62A)의 입구로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냉각수 보충부(62)를 통하여 상기 냉각수통(60)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계(70)의 부레(78)가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부레(78)의 이동으로 상기 지지부재(7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바(77)가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바(77)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회전바(77)에 부레(78)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레(78)가 부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바(77)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바(77)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바(77)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침(76)이 상기 부레(78)가 상부로 이동된 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회전된 지침(76)은 상기 본체(12)에 설치된 투명창(13)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투명창(13)에는 눈금을 설치하여 상기 지침(76)의 움직임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냉각수통(60)에 냉각수 보충부(62)를 통하여 냉각수가 용이하게 보충되고, 보충되는 냉각수의 확인작업이나 냉각수의 잔량확인이 상기 유량계(70)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 상기 본체(12)의 설치부재(16) 바닥면에 상기 물받이(36)를 안착시키고 상기 물 수용부(36A)에 물을 채운다.
상기 설치부재(16)의 바닥면에 물받이(36)가 설치되면, 상기 숯불용기(34)를 상기 설치부재(16) 내부의 안착부에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설치되는 공기유도부(35)의 측면 유도부재(35A)의 하단부와 후방 차단판(35C)의 하단부는 상기 물 수용부(36A)에 채워진 물에 잠기게 된다.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의 하단부와 후방 차단판(35C)의 하단부가 상기 물 수용부(36A)에 잠기게 되면, 상기 숯불용기(34) 저부의 양측부와 후방부는 밀폐되는 것이고,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와 전방 유도부재(35B)의 전방부는 상기 송풍관(52)의 주변에 밀착된다. 이는 상기 송풍관(5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부로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기유도부(35)를 구비한 숯불용기(34)가 설치부재(16)에 안착되어 설치되면, 상기 숯불용기(34)에 숯불(34-1)을 수납시키고 상기 설치부재(16)의 상부측에 경사면(32A)을 구비한 불판(32)을 설치하며, 상기 냉각수통(60)의 냉각수가 펌프에 의해 순환되도록 냉각수 순환파이프를 상기 불판(32)의 파이프 양단에 각각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핸들을 조작하여 순환파이프와 불판(32)을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육류 구이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게 되면, 최초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냉각수 순환장치는 작동하지 않게 되나, 상기 숯불용기(34)의 숯불(34-1)에 의해 상기 불판(32)이 가열되어 육류(34-2)를 조리할 수 있도로 된다.
이때, 상기 불판(32)에서 숯불(34-1)의 열기에 의해 구워지는 육류(34-2)에서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생성되어 상기 숯불(34-1)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상기 불판(32)의 경사면(32A)을 따라 불판(32)의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경사면(32A)으로 흘러내린 폐물질은 상기 경사면(32A)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곡부(32B)에 집결되어 고인 후, 상기 물받이(36)의 물 수용부(36A)로 떨어져 집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곡부(32B)와 물 수용부(36A)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부(32B)에서 떨어지는 폐물질은 상기 물 수용부(36A)로 떨어져 집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받이(36)의 중앙부에는 물이 채워지지 않도록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중앙부의 외측 주변에 상기 물 수용부(36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물이 쉽게 증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숯불용기(34)의 숯불(34-1)에 의해 불판(32)의 온도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냉각수 순환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냉각수통(60)의 냉각수가 상기 불판(32)을 순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불판(32)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수 순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스위치(87)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냉각 송풍부(80)도 작동하게 되어 상기 송풍팬(82)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송풍팬(82)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기(40)를 통과하는 냉각수는 상기 송풍팬(82)이 통풍공(18-1)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 의해 냉각되며,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송풍관(52)을 통하여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설치된 공기유도부(35)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86)의 설치브라켓(89)에 설치된 송풍팬(82)이 작동하게 되면, 상기 내벽(18)에 형성된 통풍공(18-1)을 통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열교환기(40)를 거쳐 하우징(86)의 유입공(88A)으로 유입된 후 상기 설치브라켓(89)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89)으로 배출된 공기중의 일부는 상기 설치브라켓(89)과 간격을 유지하여 마주보도록 설치된 송풍관(52)으로 유입되어 상기 숯불용기(34)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풍관(52)에 설치된 풍량조절기(52-1)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송풍관(5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송풍팬(82)의 작동으로 열교환기(40)의 냉각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숯불용기(34)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는 것은, 상기 열교환기(40)를 냉각시켰던 냉각장치와 상기 숯불용기(34)에 공기를 공급하였던 송풍장치가 일체화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송풍팬(82)에 의해 설치브라켓(89)으로 배출된 외부공기의 일부가 상기 송풍관(52)으로 유입되어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설치된 상기 공기유도부(35)에 의해 상기 송풍공(34D)으로만 공급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숯불용기(34)의 양측면(34A)을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가 폐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5A)의 상부를 상기 전방 유도부재(35B)가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5A)의 하방부를 상기 후방 차단판(35C)가 폐쇄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공기유도부(35)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숯불용기(34)가 설치부재(16)에 안착되면, 상기 각 측면 유도부재(35A)의 하단부와 후방 차단판(35C)의 하단부가 상기 물 수용부(36A)에 채워진 물에 잠겨지기 때문에 상기 공기유도부(35)의 하부도 폐쇄되어, 상기 송풍관(5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숯불용기(34)의 송풍공(34D)으로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육류 구이기(10)에 냉각수 보충부(62)를 설치함으로써 냉각수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고, 유량계(70)에 의해 냉갹수의 잔량을 확인할 수있으며, 상기 숯불용기(34)의 공기유도부(35)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34-1)로만 공급되어 숯불(34-1)의 화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류(34-2)의 조리시 발생하는 폐물질이 숯불(34-1)로 떨어져 연소되지 않고 물받이(36)에 집결될 수 있고, 열교환기(40)의 냉각장치와 송풍장치가 일체화되어 육류 구이기(10)의 내부구조가 단순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육류(34-2)를 조리하기 위한 열원을 숯불(34-1)로 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육류 구이기(10)의 열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 또는 전기 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육류 구이기(10)는 그 열원을 가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숯불용기(34)의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열원을 전기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으로 할 경우에는 송풍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삭제하여 그 내부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육류 구이기는 본체의 제어판에 냉각수 보충부가 설치되어 냉각수의 보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냉각수의 잔량확인이 가능하며, 육류가 구워지는 불판에 경사면과 절곡부가 형성되어 육류의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과 같은 폐물질이 숯불로 떨어지지 않고 물받이로 집결될 수 있고, 물받이의 중앙부에는 물이 담겨지지 않도록 돌출됨으로써, 물 수용부의 물이 쉽게 증발하지 않으며,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유도부에 의해 숯불로만 공급되어 숯불의 화력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불판을 순환한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숯불용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장치가 일체화됨으로써, 육류 구이기의 내부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육류 구이기의 제작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냉각수를 순환시키도록 된 순환장치에 의해 불판을 순환한 냉각수가 통과하는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구비하고, 냉각수가 순환되는 불판에 열기를 공급하는 숯불용기로 공기를 공급시키는 송풍장치를 구비하여 육류를 구워 요리할 수 있도록 된 육류 구이기 있어서,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어판(14)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통(60)으로 냉각수를 보충하도록 된 냉각수 보충부(62);
    상기 본체(12)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명창(13)을 통하여 냉각수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도록 상기 냉각수통(60)에 설치되는 유량계(70);
    상기 본체(12)의 설치부재(16)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저면에는 공급되는 공기가 숯불로만 공급되도록 공기유도부(35)가 형성된 숯불용기(34);
    상기 숯불용기(3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6)의 상부측에 안착되고,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경사면(32A)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2A)의 하단부에 절곡부(32B)가 형성된 불판(32);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설치부재(16)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불판(32)으로부터 배출되는 폐물질이 집결되도록 중앙부를 제외한 외측에 물 수용부(36A)가 형성된 물받이(36); 및
    상기 본체(12)의 바닥에 설치되어, 내설된 송풍팬(82)의 작동으로 상기 열교환기(40)를 냉각시키고 공기의 일부를 상기 숯불용기(34)로 공급하도록 된 냉각 송풍부(80)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보충부(62)는 상기 제어판(14)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고, 입구를 개폐하도록 마개(62B)가 결합된 중공형의 고정구(62A); 및
    일단이 상기 고정구(62A)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냉각수통(60)의 입구측에 연결 설치된 보충호스(62C)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계(70)는 상기 투명창(13)의 저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냉각수통(60)의 상부로 돌출 형성된 설치단(72);
    상기 설치단(72)의 내부로 하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상단부는 고정부재(74)에 의해 상기 설치단(72)에 고정된 지지부재(75);
    상기 지지부재(75)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지침(76)이 설치된 나선형의 회전바(77); 및
    상기 회전바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해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바(77)를 회전시키는 부레(78)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도부(35)는 상기 숯불용기(34)의 양측면(34A)에 설치되는 측면 유도부재(35A);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의 전방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34)의 전방면(34B)에 설치되는 전방 유도부재(35B);
    상기 측면 유도부재(35A)의 후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숯불용기(34)의 후방면(34C)에 설치되는 후방 차단판(35C); 및
    상기 숯불용기(34)의 저면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시키도록 된 와류 형성부재(35D)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송풍부(80)는 다수개의 통풍공(18-1)이 천공된 상기 내벽(18)에 근접되도록 상기 본체(12)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40)가 설치되도록 형성된 프레임(84);
    중앙부에 유입공(88A)이 천공되어 상기 열교환기(40)의 일측을 감싸도록 상기 프레임(84)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부재(88), 중공형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기 설치부재(16)에 설치된 송풍관(52)과 마주보도록 상기 유입공(88A)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브라켓(89)을 구비한 하우징(86); 및
    상기 설치브라켓(89)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40)가 냉각되도록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일부의 공기가 상기 송풍관(52)으로 공급되도록 팬 스위치(87)에 의해 작동하는 송풍팬(82)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류 구이기.
KR1019990029000A 1999-07-16 1999-07-16 육류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00A KR100332194B1 (ko) 1999-07-16 1999-07-16 육류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000A KR100332194B1 (ko) 1999-07-16 1999-07-16 육류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35A KR20010010235A (ko) 2001-02-05
KR100332194B1 true KR100332194B1 (ko) 2002-04-12

Family

ID=1960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0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32194B1 (ko) 1999-07-16 1999-07-16 육류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1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887B1 (ko) * 2007-02-16 2007-05-18 신명수 고기 구이기
KR100800193B1 (ko) * 2007-06-20 2008-02-01 박관철 고기구이기
CN107184108A (zh) * 2016-12-05 2017-09-22 罗江祺 一种具有炉头散热结构的烹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235A (ko)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79724A1 (ja) 蒸気発生装置及び加熱調理器
EP2418432A2 (en) Cooking apparatus
KR20220153478A (ko) 조리장치
JP4416720B2 (ja) 加熱調理器
WO2015182485A1 (ja) 加熱調理器
KR100332194B1 (ko) 육류 구이기
JP4476881B2 (ja) 加熱調理器
JP2010159920A (ja) 蒸気発生装置及び加熱調理器
US20040031791A1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ng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KR100809851B1 (ko) 구이기
KR101055878B1 (ko) 조리기기 및 스팀조리기기
CN113116176A (zh) 一种带蒸汽功能的食物处理机
CN217429814U (zh) 空气炸锅
JP2010159919A (ja) 蒸気発生装置及び加熱調理器
JP2003208969A (ja) 加熱調理器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JP3743934B2 (ja) 加熱調理器
JP2005518852A (ja) 食品調理および分配装置
JP5694090B2 (ja) 加熱調理器
KR100790044B1 (ko) 전기 호브의 냉각장치
JP3248139B2 (ja) 埋込み式加熱調理器
JP5996001B2 (ja) 加熱調理器
JP2006317019A (ja) 高周波加熱調理装置
JP2003208971A5 (ko)
JP4576296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PJ0206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09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02032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091231

Request date: 20090603

Appeal identifier: 2009100001359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603

Effective date: 20091231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0912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 date: 20090603

Decision date: 20091231

Appeal identifier: 200910000135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J2001 Appeal

Patent event date: 2009123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2I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Decision date: 20101020

Appeal identifier: 2010200000951

Request date: 2010022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01020

PJ1302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date: 20101123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100222

Decision date: 20101020

Appeal identifier: 2010200000951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