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30140B1 - 인터넷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140B1
KR100330140B1 KR1020000003199A KR20000003199A KR100330140B1 KR 100330140 B1 KR100330140 B1 KR 100330140B1 KR 1020000003199 A KR1020000003199 A KR 1020000003199A KR 20000003199 A KR20000003199 A KR 20000003199A KR 100330140 B1 KR100330140 B1 KR 100330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net
network
call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970A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장석중
이앤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중, 이앤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석중
Priority to KR102000000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140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없는 대역외 신호를 직접 게이트웨이로 보내지 않고 IARS(Internet Auto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고품질의 통화를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통화 내용인 통화 스트림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킨 인터넷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망과 공중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인터넷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공중 통신망 신호로 변환하고, 공중 통신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인터넷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인터넷망과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치되며,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있는 대역 이상의 신호인 대역외 신호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망으로 출력하며,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성이 요구되어 암호화를 요청받은 경우 통화 스트림을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인터넷 자동응답 시스템(IAR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폰 시스템{INTERNET PHONE SYSTEM}
본 발명은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하는 인터넷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공중 통신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동통신망 등에서 사용할 수 없는 대역외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고 음성자원을 암호화하여 인터넷에서 일반 공중 통신망으로 전화를 걸 수 있게 한 인터넷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값싸고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선을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모뎀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사용자수가 늘어남에 따라 컴퓨터 센터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전용통신망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통신망으로는 음성전화를 위한 공중전화망,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위한 무선 방송망 및 케이블 텔레비전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아날로그 신호를 취급하는 네트워크이었으므로 데이터 통신성능이 매우 좋지 않았다. 따라서 디지털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네트워크가 고안되어 왔으며,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데이터 통신은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의 통신뿐 아니라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의 정보전송에도 사용되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 인터넷의 등장으로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기술, 즉 음성편지, 화상회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전송, 인터넷폰, 인터넷 비디오 방송, 가상 현실응용 등이 출현하였다.
특히, 최근에 이르러서는 장거리 전화통신에 인터넷망을 이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통신은 공중전화망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다. 왜냐하면 공중 통신망을 이용한 전화통신의 경우, 한 통화에 대하여 데이터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하나의 회선을 할당하는 회선교환방식(circuit switching mode)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시간의 평균 60%나 되는 묵음기간이낭비될 수 밖에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화통신에서는 특정 통화에 회선을 전용으로 할당시키지 않고 데이터를 적당한 크기로 분할하여 여러 통화가 한 회선을 경제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패킷교환방식(packet switching mode)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중전화망의 경우에 비해 교환기당 사용할 수 있는 통신세션의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망은 거리 비례 사용료가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비용과 효율상의 문제 때문에 장거리 전화의 경우 인터넷에 음성신호를 실어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소위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가 최근들어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 공중 전화망과 인터넷망의 프로토콜은 그 특성이 상이하다. 즉 전화는 두 단말기가 통신을 위해 교환기의 일부분을 할당 받아 통신이 끝날 때까지 점유하게 되므로 실시간 응답 특성이 매우 좋은 반면, 인터넷 프로토콜은 패킷이 여러개의 전송망을 거쳐 목적지에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패킷별로 경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먼저 보낸 패킷이 나중에 보낸 패킷보다 착신자에게 더 늦게 도착할 수도 있고 심지어는 전달 도중에 무시되거나 파기될 수도 있다. 이런 비연결지향(Connectionless-Oriented)인 인터넷에 신뢰성을 보장해야 하는 연결지향(Connection-Oriented)의 공중 통신망 신호를 실어 보내는 일에는 일련의 프로토콜과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를 위해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H.323 프로토콜이 권장되고 있다.
H.323 프로토콜은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ITU에서 제정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원래 화상회의 표준 프로토콜을 위해 제안 되었으나 현재는 VoIP의 표준 프로토콜로 자리잡게 되었다. H.323 프로토콜은 단말기(Terminal), 게이트웨이(Gateway), 게이트키퍼(Gate Keeper) 및 MCU (Multipoint Control Unit)라는 네가지의 시스템 구성요소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단말기는 전화통화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인터페이스하는 컴퓨터(PC) 또는 전화기(Phone)이다.
게이트웨이는 단말기를 통해 공중 통신망 신호가 들어오면 공중 통신망 신호를 인터넷 신호로 바꾸어주고 반대로 인터넷 신호가 들어오면 공중 통신망 신호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키퍼는 게이트웨이와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과 정보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키퍼는 부정 사용자의 연결을 막거나 단말기별 이용요금의 정산시 사용된다. 특히 게이트키퍼는 통화제어(call control)에 관련된 채널만 갖고 미디어 전송을 위한 채널을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며 주소변환, 사용자 인증, 대역폭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MCU는 다자간 화상회의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종래의 일반적인 인터넷폰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 1에 도시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0과 60은 단말기(PC 또는 전화기)를, 20은 인터넷망을, 30은 H.323 프로토콜에 따르는 VoIP 게이트웨이를, 40은 패킷 교환기를 각각 나타내며, 50은 공중 통신망을 나타낸다. VoIP 게이트웨이(30)와 패킷 교환기(40)는 정보서비스 공급자(ISP : Information Service Provider)측에 구비되는 장비이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인터넷폰 시스템에서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위해 단말기(PC 또는 전화기)(10) 상의 송화부(도시생략)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그 음성신호는 단말기(10)에서 H.323 프로토콜에 맞게 인터넷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넷망(20)을 거쳐 VoIP 게이트웨이(30)의 IP 주소(IP Address)로 보내진다. 게이트웨이(30)는 인터넷망(20)을 통해 들어 온 인터넷 신호를 공중 통신망 신호로 변환하여 패킷 교환기(40)로 송신하고, ISP측의 패킷 교환기(40)는 공중 통신망 신호를 공중 통신망(50)에 송신하여 단말기(60)측의 가입자에게 송신함으로써 통화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터넷폰 시스템은 단말기(10)가 인터넷망(20)을 통해 H.323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화신호(call signal)를 VoIP 게이트웨이(30)로 직접 송출하여 패킷 교환기(40)와의 접속을 통해 다른 공중통신망 가입자와 전화를 거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터넷상에서의 송신을 위한 신호변환외에는 별다른 처리없이 바로 통화신호를 VoIP 게이트웨이(30)로 보내 통화를 성립시키기 때문에 통화내용 이외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음성서비스 등을 위한 음성자원(voice resource)을 실어 주거나 대역외 신호의 처리가 힘들어 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VoIP 게이트웨이는 단지 인터넷 신호를 음성이나 DTMF(Dual-Tone Multi-Frequency signalling)의 공중 통신망 신호로 바꾸어 주거나 이들 공중 통신망 신호를 인터넷 신호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할 뿐이기 때문이다.
결국, 종래의 인터넷폰 시스템에서는 VoIP 게이트웨이(30)가 공중 통신망(50)과 인터넷망(20) 사이에서 서로에게 필요한 신호의 전환만을 담당하고 게이트키퍼(도시생략) 또한 미디어 전송을 위한 별도의 채널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부가적인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H.323 프로토콜에서 권고하는 이상의 서비스가 필요하므로 ITU의 새 표준안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거나 H.323 프로토콜을 임의로 확장한 게이트웨이를 만들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것은 필연적으로 게이트웨이간 호환성에 문제를 야기시킬 것이고, 또한 이 확장 게이트웨이에서 처리한 공중 통신망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처리 통화당 비용이 높아진다. 따라서 인터넷 신호가 게이트웨이를 지나 공중 통신망 신호로 바뀌기 전에, 통화당 가격과 효율이 좋은 인터넷에서 처리할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H.323 프로토콜에서는 보안 개념이 거의 적용되지 않은 IPv4의 TCP/IP 에서 처리하므로 통화내용이 도청당할 위험이 있다. 비록 부정사용자를 가려낼 수 있도록 인증을 위한 게이트키퍼가 있지만, 이는 단말기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만 다룰 뿐 스트림(Stream) 형태의 통화내용에 대한 암호화는 전혀 다룰 수 없다. 따라서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을 요할 경우 스트림 형태의 통화내용을 암호화할 채널이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없는 대역외 신호를 직접 게이트웨이로 보내지 않고 IARS(Internet Auto Response System)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보다 저렴하고 고품질의 통화를 구현할수 있는 동시에, 통화 내용인 통화 스트림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한층 강화시킨 인터넷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H. 323 프로토콜을 이용한 종래의 인터넷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성한 인터넷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700 : 단말기 200 : 인터넷망
300 : IARS 310 : 스위칭 허브
320 : IP 리다이렉터 330 : 오디오스트림 서버
340 : 프로세서 350 : 디코더
360 : 인코더 400 : VoIP 게이트웨이
500 : 패킷 교환기 600 : 공중 통신망
상술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폰은 인터넷망과 공중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며, 인터넷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공중 통신망 신호로 변환하고, 공중 통신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인터넷폰 시스템을 전제로 하며, 상기 인터넷망과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치되며,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있는 대역 이상의 신호인 대역외 신호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공중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망으로 출력하며,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성이 요구되어 암호화를 요청받은 경우 통화 스트림을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인터넷 자동응답 시스템(IAR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IARS는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스위칭 허브와, 상기 스위칭 허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IP 리다이렉터와, 상기 IP 리다이렉터로부터 통화 시작신호나 통화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성정보신호를 상기 스위칭 허브로 출력하는 오디오 스트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ARS는, 대역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대역외 신호를 공중회로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암호화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암호화 요구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IARS는, 상기 프로세서가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스위칭 허브에 출력한 후, 이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된 통화내용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스위칭 허브에 수신되면 이를 해독하여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부터 암호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로 출력하는 인코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넷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00과 700은 단말기, 200은 인터넷망, 300은 IARS(Internet Auto Response System), 400은 H.323 프로토콜에 따르는 VoIP 게이트웨이, 500은 패킷 교환기, 600은 공중통신망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서 IARS(300), VoIP 게이트웨이(400) 및 패킷 교환기(500)는 정보제공업자(ISP)측에 구비되는 장비이다.
도 2에서 도 1과 다른 점은 인터넷망(200)과 VoIP 게이트웨이(400) 사이에 IARS(300)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 IARS(300)는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 공중통신망에서 취급할 수 없는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내용인 통화스트림을 암호화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인터넷폰 시스템의 구체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서 참조번호 100과 700은 단말기로서, 100은 PC인 경우를, 700은 전화기(phone)인 경우를 나타내며, 모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인코더/디코더(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번호 200은 인터넷망을 나타낸 것으로 이 인터넷망(200)에서는 중간 프로토콜로서 TCP(Transfer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IP(Internet Protocol)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번호 300은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내용을 암호화하기 위한 IARS로서, 인터넷망(200)을 통해 단말기(100)와 신호를 주고받는 스위칭 허브(310)와, 스위칭 허브(3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배해 주는 IP 리다이렉터(320)와, 인터넷망(200)을 통해 통화 시작신호와 통화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내부의 메모리(도시생략)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성정보를 제공해주는 오디오 스트림 서버(330)와, 공중 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없는 대역외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340)와, 인터넷망(200)측에서 보내져 온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하여 VoIP 게이트웨이(400)에 출력하는 디코더(350)와, 공중 통신망(600)측에서 보내져 온 통화내용을 암호화하여 스위칭 허브(310)로 송신하는 인코더(360)로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인터넷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100)에서 인터넷망(200)을 통해 정보 서비스 공급업자인 사업자측의 IARS(300)에 접속을 시도하면, IARS(300)의 스위칭 허브(310)는 전화호출이 있었음을 IP 리다이렉터(320)에 알려주고, 이 IP 리다이렉터(320)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스트림서버(330)로 하여금 미리 입력시켜 놓은 음성정보 등을 스위칭 허브(310)로 보낼 것을 명령한다. 오디오 스트림 서버(330)는 음성정보를 스위칭 허브(310)로 보내고, 스위칭 허브(310)는 오디오 스트림 서버(330)로부터 공급되는 음성정보를 인터넷망(200)을 통해 단말기(100)로 보냄으로써, 공중 통신망과의 통화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음성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음성정보 서비스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표준안이나 마이크로소프트의 스트림 서버 등을 이용하여 그대로 스트림으로 보내주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공중통신망에서 가능한 3000~4000Hz의 대역보다 훨씬 넓은 대역의 신호(이하, 대역외 신호라 함)에 걸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인터넷망(200)에 접속된 단말기에 사운드카드만 설치되어 있다면 전화보다 훨씬 고품질의 소리를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IARS(300)를 이용하면 단말기와 단말기 사이에서도 공중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음성 주파수 범위를 넘는 특정신호나 이벤트 신호와, 음성으로 전달될 수 없는 문자 메시지 신호, 영상정보신호, 및 동기화 정보 신호 등의 대역외(out-of-band)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100)로부터 인터넷망(200)을 통해 스위칭허브(310)에 상기한 대역외 신호가 수신되면 스위칭 허브(310)는 이 대역외 신호가 도달되었음을 IP 리다이렉터(320)에 알려주고, IP 리다이렉터(320)는 대역외 신호를 프로세서(340)에 보낸다. 프로세서(340)는 이들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다시 IP 리다이렉터(320)로 보낸다. IP 리다이렉터(340)는 이와 같이 처리된 대역외 신호를 VoIP 게이트웨이(370)에 송신한다. VoIP 게이트웨이(400)는 처리된 대역외 신호를 공중통신망에 적합한 공중 통신망 신호로 변환하여 패킷 교환기(500)로 보내고, 패킷 교환기(500)는 이 공중 통신망 신호를 공중 통신망(600)에 송신함으로써 공중통신망(600)과 연결된 가입자의 단말기(700)와 접속되어 대역외 신호에 대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상의 이유로 암호화가 필요한 경우의 본 발명의 인터넷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특정키를 이용하여 통화내용에 대한 암호화를 요청하면, 스위칭 허브(310)는 이 암호화 요구신호를 IP 리다이렉터(320)에 보낸다. IP 리다이렉터(320)는 이 암호화 요구신호를 프로세서(340)에 보내 암호화에 필요한 키를 요청한다. 프로세서(340)는 사용자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암호화 키를 스위칭 허브(310)에 보내고, 스위칭 허브(310)는 이 키를 인터넷망(200)을 통해 단말기(100)에 보낸다. 단말기(100)는 이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인코더(도시생략)에 의해 통화내용을 암호화한 다음 인터넷망(200)을 통해 암호화된 통화내용을 스위칭 허브(310)에 송신한다. 스위칭 허브(310)는 암호화된 통화내용을 IP 리다이렉터(320)로 보내고, IP 리다이렉터(320)는 암호화된 통화내용을 디코더(350)에 분배한다. 디코더(350)는 암호화된 내용을 복호하여 VoIP 게이트웨이(360)로 송신하고, VoIP 게이트웨이(400)는 복호된 신호를 패킷 교환기(500)를 거쳐 공중통신망(600)에 보냄으로써 공중통신망(600)에 접속된 단말기(700)의 가입자와, 인터넷망(200)에 연결된 단말기(100)의 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단말기(700)측으로부터의 암호화를 요하는 통화내용은 공중 통신망(600), 패킷 교환기(500)를 거쳐 VoIP 게이트웨이(400)에 도달되게 되는데, VoIP 게이트웨이(400)는 이 암호화를 요하는 통화내용을 인코더(360)로 보낸다. 인코더(360)는 VoIP 게이트웨이(400)로부터의 통화내용을 암호화하여 스위칭 허브(310)로 보내고, 스위칭 허브(310)는 이 암호화된 통화내용을 인터넷망(200)을 통해 단말기(100)로 보낸다. 단말기(100)에 보내져 온 암호화 신호는 단말기(100)의 내부에 장착된 디코더(도시생략)에 의해 복호되어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통화내용을 듣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인터넷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의 설명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PC-to-Phone 시스템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Phone-to-Phone 시스템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Phone-to-Phone 시스템의 경우에는 단말기(100)와 인터넷망(200)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공중통신망, 패킷 교환기, VoIP 게이트웨이 및 IARS가 단말기(100)측으로부터 차례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폰 시스템에 의하면, 인터넷망의 단계에서 IARS를 이용하여 종래의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없었던 대역외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내용을 암호화함으로써 저렴하고 고품질의 통화를 구현할 뿐아니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통해 각종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인터넷망과 공중 통신망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인터넷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공중 통신망 신호로 변환하고, 공중 통신망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는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인터넷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망과 상기 게이트웨이 사이에 설치되며, 공중통신망에서 처리할 수 있는 대역 이상의 신호인 대역외 신호가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상기 대역외 신호가 공중통신망을 통해 입력되는 경우에는 그 대역외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인터넷망으로 출력하며, 통화내용에 대한 보안성이 요구되는 경우 통화 스트림을 암호화하거나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인터넷 자동응답 시스템(IAR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ARS는,
    상기 인터넷망과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는 스위칭 허브와,
    상기 스위칭 허브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IP 리다이렉터와,
    상기 IP 리다이렉터로부터 통화 시작신호나 통화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음성정보신호를 상기 스위칭 허브로 출력하는 오디오 스트림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ARS는,
    대역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대역외 신호를 공중회로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 출력하고, 암호화 요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암호화 요구신호에 따라 미리 정해진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에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ARS는,
    상기 프로세서가 암호화키를 발행하여 스위칭 허브에 출력한 후, 이 암호화키에 따라 암호화된 통화내용이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스위칭 허브에 수신되면 이를 해독하여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VoIP 게이트웨이로부터 암호화 요구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암호화하여 상기 스위칭 허브로 출력하는 인코더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폰 시스템.
KR1020000003199A 2000-01-24 2000-01-24 인터넷폰 시스템 KR100330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199A KR100330140B1 (ko) 2000-01-24 2000-01-24 인터넷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199A KR100330140B1 (ko) 2000-01-24 2000-01-24 인터넷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970A KR20010073970A (ko) 2001-08-03
KR100330140B1 true KR100330140B1 (ko) 2002-03-27

Family

ID=1964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199A KR100330140B1 (ko) 2000-01-24 2000-01-24 인터넷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954B1 (ko) * 2002-03-21 2004-12-03 (주)애트리움씨앤아이 데이터 암호화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970A (ko) 200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3180B1 (en) Mechanisms for translating between two different voice-over-IP protocols
US6449269B1 (en) Packet voice telephony system and method
US6262978B1 (en) Call completion of video telephone/teleconference call as packet voice call
US67578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connections for H.323 VoIP calls
US6975713B1 (en) Providing multiple line functionality using alternative network telephony
MXPA04007864A (es) Metodo y aparato para reservar y liberar ancho de banda para una conexion de telefonia conectada por paquetes establecida sobre una red de cable de fibra/coaxial hfc.
US20090055878A1 (en) Accessing interactive services over internet
US8139604B2 (en) Proces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gnaling in voice/data integrated switching system
EP1521412B1 (en)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with circuit and packet switching
US7460523B2 (en) Client-server architecture for the delivery of broadband services
EP1985095B1 (en) Telephone cal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N1976376B (zh) 一种呼叫会话的方法、ip电话系统及ip电话终端
KR100330140B1 (ko) 인터넷폰 시스템
US20070189490A1 (en) Data redir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Internet protocol private branch exchange
Cisco Voice, Video, and Fax Overview
CN100446602C (zh) 一种传输手机按键信息的方法
KR100281421B1 (ko) 인터넷-차세대지능망간의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100534598B1 (ko) 접속설정 프로토콜 기반 인터넷전화 서비스 제공 기능을가지는셋탑박스 및 그 방법
KR100875025B1 (ko) 차세대 망에서 안내방송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010935A (zh) 在分组网络中对多媒体连接的有效数据侦听用的方法和设备
US9479593B2 (en) Medi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316312B1 (ko) 개인용 인터넷 전화서버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통화 시스템
AU2001100369A4 (en) Voice-on-dem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95094A (ko) 전화와 PC를 연동한 VoIP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KR100603582B1 (ko) 케이블망에서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VoIP 서비스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