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9285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285B1
KR100329285B1 KR1020000000875A KR20000000875A KR100329285B1 KR 100329285 B1 KR100329285 B1 KR 100329285B1 KR 1020000000875 A KR1020000000875 A KR 1020000000875A KR 20000000875 A KR20000000875 A KR 20000000875A KR 100329285 B1 KR100329285 B1 KR 100329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rotation
ro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423A (ko
Inventor
최승룡
Original Assignee
최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룡 filed Critical 최승룡
Priority to KR1020000000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928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2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모터와 기어 유니트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발생장치와, 회전발생장치의 기어 유니트와 일측단이 조립 연결되어 타측단에 형성된 세척봉이 기어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며 세척봉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물비누를 공급하는 제1저장부와, 제1저장부의 전단에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2저장부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물비누나 물과 접촉하지 않고 식기 세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물비누나 물을 사용하여 발생되는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washer for foodware}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직접 핸들링(handling)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용량이 큰 식기의 세척이 용이하게 하며 물이나 물비누 및 고무 장갑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기술의 발달로 식생활에 관련된 식기를 사용한 후 이를 보다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개발되었다. 식기 세척기는 사람들의 가사노동의 부담을 절감시키게 되었으며 이 결과 사람들은 보다 편리한 식생활을 향유하게 되었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 케이스(1), 본체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세척실(2), 세척실(2) 하방에 설치된 펌프(4) 및 안내관(6)으로 구성된다.
세척실(2)의 내부 및 하부에는 각각 수납바구니(3a)(3b)와 펌프(4)가 설치된다. 펌프(4)는 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물을 노즐(5a)(5b)에 의해 수납바구니(3a)(3b)에 수납된 식기로 분사하여 세척을 수행하게 된다. 세척될 식기를 수납하는 수납바구니(3a)(3b)는 세척실(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수납바구니(3a)와 세척실(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수납바구니(3b)로 구성된다. 수납바구니(3a)(3b)로 물을 분사하는 노즐(5a)(5b)은 하부 수납바구니(3a)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노즐(5a)과 상부 수납바구니(3b)의 하부에 근접 설치되는 상부 노즐(5b)로 이루어진다.
세척실(2)의 하방에 설치된 펌프(4)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노즐(5a)(5b)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관(6)이 설치된다. 안내관(6)은 펌프(4)의 출구단에서 둘로 분기되어 하나는 상측으로 직진하여 하부 노즐(5a)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측벽측으로 굴절된 후 측벽을 타고 세척실(2)의 상부로 연장된 후 중심측으로 다시 굴절되어 상부 노즐(5b)에 상측으로부터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될 식기를 수납바구니(3a)(3b)에 장착하여 세척함으로써 큰 용량 식기 세척이 블가능하여 직접 사람이 세척해야 해야 한다. 이로 인해 세척 작업자의 피부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직접 식기 세척기를 핸들링(handling)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직접 핸들링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식기 세척으로 인한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회전발생장치 11: 모터
12:제1기어 13:제2기어
20: 제1저장부 21: 회전봉
22: 물비누 송출탱크 23: 중공 샤프트
24: 세척봉 25: 연결 배관
26: 제1프로펠러 30: 제2저장부
31: 물 송출탱크 32: 제2프로펠러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는 모터와 기어 유니트(gear unit)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발생장치와, 회전발생장치의 기어 유니트와 일측단이 조립 연결되어 타측단에 형성된 세척봉이 기어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며 세척봉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물비누를 공급하는 제1저장부와, 제1저장부의 전단에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2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저장부는 회전발생장치의 기어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봉과 일측단에 상기 회전봉에 조립 연결되며 타측단은 세척봉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와 조립 연결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비누를 세척봉으로 공급하는 물비누 송출탱크와, 물비누 송출탱크의 내측에 장착되어 물비누를 상기 세척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발생하는 제1프로펠러로 구성되며, 제2저장부는 제1저장부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조립 연결되어 물을 세척되는 식기로 분사시키기 위한 제2프로펠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와 기어 유니트(12)(13)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발생장치(10)와, 회전발생장치(10)의 기어 유니트(12)(13)와 일측단이 조립 연결되어 타측단에 형성된 세척봉(24)이 기어 유니트(12)(13)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며 세척봉(24)에 형성된 노즐(24a)을통해 물비누를 공급하는 제1저장부(20)와, 제1저장부(20)의 전단에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2저장부(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의 외관은 도 2에서와 같이 외부 케이스(case)(10a)에 손잡이(10b)가 형성되며 손잡이(10b)의 상측에는 스위치(10c)가 설치된다. 스위치(10c)는 식기 세척기를 온/오프(on/off)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스위치(10c)를 온시키면 세척봉(24)이 회전하게 된다. 세척봉(24) 위에는 행주(24b)가 장착되며 세척봉(24)이 회전되면, 세척봉(24)에 장착되어 있으며 물비누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는 행주(24b)가 회전되어 식기에 남아 있는 음식물이나 기름찌거기를 제거하고 이후 물을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세척봉(24)은 회전발생장치(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세척봉(24)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위치(10b)를 온시키면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발생장치(1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발생장치(10)는 도 3에서와 같이 모터(11)와 기어 유니트(12)(13)로 구성된다. 모터(11)는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와 연결 접속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감압기(4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40a)이 형성된다.
안착홈(40a) 내측에는 식기 세척기 안착시 회전발생장치(10)에 구비된 제1전기접속부재(14a)를 접속시키기 위한 제2전기접속부재(41)가 형성된다. 제1전기접속부재(14a)와 제2전기접속부재(41)는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 암/수 부재로 형성된다. 안착홈(40a)에 식기 세척기를 안착시 제1전기접속부재(14a)와제2전기접속부재(41)의 전기 접속을 통해 회전발생장치(10)의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가 충전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충전된 전원은 회전발생장치(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감압기(40)에는 무선전원발생부(42)가 설치된다. 무선전원발생부(4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원 감압기(40)에서 소정 전압으로 감압하면 감압된 전원을 무선전원으로 발생시킨다. 무선전원발생부(42)에서 발생된 전원은 회전발생장치(10)의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서 수신받는다. 축전 및 무선전원수신부(14)에 전원이 수신되면 수신된 전원에 의해 모터(11)가 회전한다. 모터(11)의 회전에 의해 기어 유니트(12)(13)가 회전된다.
기어 유니트(12)(13)는 제1기어(12)와 제2기어(13)로 구성되며 제1기어(12)는 모터(11)의 회전 중심축과 연결되며 제2기어(13)는 제1기어(12)와 치차 결합되어 조립된다. 제2기어(13)의 회전 중심축에는 제1저장부(20)가 설치되어 조립된다. 제1저장부(20)의 일측단에는 제2기어(13)의 회전 중심축에 결합되어 접속되며, 타측단에 세척봉(24)이 형성된다. 세척봉(24)이 형성된 제1저장부(20)는 기어(21a)가 형성된 회전봉(21), 물비누 송출탱크(22), 세척봉(24)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shaft)(23), 연결 배관(25) 및 프로펠러(26)로 구성된다.
회전봉(21)은 기어(21a)가 형성되며 기어(21a)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에 제2기어(13)와 접속 연결된다. 제2기어(13)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봉(21)은 일단에 기어(21a)가 형성되며, 이 기어(21a)에 의해 제1프로펠러(26)가 회전된다.제1프로펠러(26)는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에 설치되며 회전봉(26a)의 일단에는 기어(26b)가 형성된다. 기어(21a)와 기어(26b)는 치차 결합되며 이 치차 결합에 의해 회전봉(21)이 회전되면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에 의해 제1프로펠러 회전봉(26a)에 조립 설치된 제1프로펠러(26)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1프로펠러(26)는 물비누를 저장하는 물비누 송출탱크(22)의 내측에 설치되며 물비누 송출탱크(22)의 일단에는 세척봉(24)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23)가 연결배관(25)으로 결합되어 조립된다. 세척봉(24)은 물비누 송출탱크(22)로부터 공급되는 물비누를 행주(24b)로 공급하기 위해 노즐(24a)이 형성된다.
세척봉(24)의 노즐(24a)을 통해 물비누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함과 동시에 물을 식기로 공급하기 위해 제2저장부(30)가 제1저장부(20)의 전단에 설치된다. 제2저장부(30)는 연결배관(33)에 의해 호스(51)가 연결되며, 호스(51)는 보조탱크(50)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제2저장부(30)는 물 송출탱크(31)와 물 송출탱크(31)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하는 제2프로펠러(32)로 구성된다.
보조탱크(50)는 식기 세척기의 전체적인 중량 및 사용의 편의를 위해 분리 구성되며 보조탱크(50)에 저장된 물은 호스(51)를 통해 물 송출탱크(31)로 공급된다. 물 송출탱크(31)로 공급된 물은 제2프로펠러(32)에 의해 호스(51)를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호스(51)를 통해 물을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제2프로펠러(32)는 중공 샤프트(23)의 외측에 설치된다. 중공 샤프트(23)의 외측에 설치된 제2프로펠러(32)는 중공 샤프트(23)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중공 샤프트(23)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2프로펠러(3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압력으로 물을 세척봉(24)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호스(51)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베어링(20b)(20c)(30a)(30b)은 회전봉(21)과 중공 샤프트(23)의 회전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거나 저장된 물이 외부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비누의 잔존량을 확인하기 위해 식기 세척기의 외부 케이스(10a)에 투명 마개(20a)가 형성된다. 투명 마개(20a)를 통해 확인한 결과, 제1저장부(20)에 물비누가 없으면 제1저장부(20)로 물비누를 채우게 된다. 제1저장부(20)에 물비누를 채우기 위해 투명 마개(20)를 연 후 물비누를 제1저장부(20)에 저장한다. 제1저장부(20)에 저장된 물비누는 물비누 송출탱크(22)의 뒤면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hole)(22a)를 통해 물비누 송출탱크(22)에 채워진다. 물비누 송출탱크(22)에 물비누가 채워지면 다시 투명 덮개(20a)를 닫아 제1저장부(20)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물비누가 채워지면 손잡이(10b)에 형성된 스위치(10c)를 사용자가 조작한다. 스위치(10c)가 조작되면 회전발생장치(10)로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1)가 회전하게 된다. 모터(11)가 회전되면 모터(11)의 회전 중심축에 연결된 기어 유니트(12)(13)의 제1기어(12)와 제2기어(13)가 회전한다.
제1기어(12)와 제2기어(13)가 회전하면 제2기어(13)의 회전 중심축에 접속연결된 회전봉(21)이 회전한다. 회전봉(21)의 회전에 의해 물비누 송출탱크(22)가 회전하며 물비누 송출탱크(22)의 회전과 함께 제1프로펠러(26)가 회전하게 된다. 제1프로펠러(26)의 회전에 의해 물비누 송출탱크(22)에 저장된 물비누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진다. 이 압력에 의해 물비누는 중공 샤프트(23)로 공급되어 중공 샤프트(23)에 형성된 세척봉(24)의 노즐(24a)를 통해 행주(24b)로 공급된다. 행주(24b)로 공급되는 물비누를 이용하여 세척봉(24)이 회전하면서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물비누를 이용한 식기 세척과 함께 물을 식기로 공급하게 된다.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은 보조탱크(50)에 일시 저장하여 사용하며, 보조탱크(50)에 저장된 물은 호스(51)를 통해 제2저장부(30)의 물 송출탱크(31)로 공급된다. 물 송출탱크(31)에 저장된 물은 세척봉(24)의 끝단까지 연장된 호스(51)를 통해 공급되며 호스(51)로 물을 분사시키기 위해 물 송출탱크(31) 내측에 설치된 제2프로펠러(32)가 회전하게 된다.
제2프로펠러(32)는 중공 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물 송출탱크(31)에 저장된 물을 식기로 분사시키기 위한 압력을 발생하게 된다. 제2프로펠러(32)의 회전압력에 의해 호스(51)를 통해 분사되는 물은 식기로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섹척봉(24)에 부착된 행주(24b)에 의해 물과 물비누를 이용하여 식기를 마무리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식기를 세척시 세척봉을 회전시켜 식기의 잔유물을 제거한 후 물비누와 물을 공급하여 기름 찌꺼기를 제거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물비누나 물이사용자의 손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기 세척시 물비누가 공급된 세척봉을 회전시켜 식기의 잔유물을 제거하고 이 후 물을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물비누나 물을 사용자가 직접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에 있어서,
    모터와 기어 유니트로 구성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발생장치;
    상기 회전발생장치의 기어 유니트와 일측단이 조립 연결되어 타측단에 형성된 세척봉이 기어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며 세척봉에 형성된 노즐를 통해 물비누를 공급하는 제1저장부; 및
    상기 제1저장부의 전단에 회전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제2저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부는 회전발생장치의 기어 유니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봉;
    일측단에 상기 회전봉에 조립 연결되며 타측단은 세척봉이 형성된 중공 샤프트와 조립 연결되어 회전봉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물비누를 세척봉으로 공급하는 물비누 송출탱크; 및
    상기 물비누 송출탱크의 내측에 장착되어 물비누를 상기 세척봉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정 압력을 발생하는 제1프로펠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장부는 제1저장부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조립 연결되어 물을 세척되는 식기로 분사시키기 위한 제2프로펠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00000875A 2000-01-10 2000-01-10 식기 세척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329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875A KR100329285B1 (ko) 2000-01-10 2000-01-10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875A KR100329285B1 (ko) 2000-01-10 2000-01-10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423A KR20010105423A (ko) 2001-11-29
KR100329285B1 true KR100329285B1 (ko) 2002-03-18

Family

ID=4581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87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9285B1 (ko) 2000-01-10 2000-01-1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92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9849U (ko) * 1980-05-21 1981-12-15
KR870001115A (ko) * 1985-07-16 1987-03-11 리차드 지 워터맨 초미립 이붕소화티탄 분말의 제조방법
KR960007067A (ko) * 1994-08-22 1996-03-22 클라우스 피셔 언더컷을 구비한 드릴 구멍을 생성하는 드릴링 장치
JPH08131392A (ja) * 1994-11-10 1996-05-28 Daisuke Takahashi 食器洗浄ブラシ
US5881418A (en) * 1997-12-15 1999-03-16 Enoch; Robert B. Hollow ware washing device
KR19990034918U (ko) * 1999-05-18 1999-09-06 정해득 파지용초음파식기세척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9849U (ko) * 1980-05-21 1981-12-15
KR870001115A (ko) * 1985-07-16 1987-03-11 리차드 지 워터맨 초미립 이붕소화티탄 분말의 제조방법
KR960007067A (ko) * 1994-08-22 1996-03-22 클라우스 피셔 언더컷을 구비한 드릴 구멍을 생성하는 드릴링 장치
JPH08131392A (ja) * 1994-11-10 1996-05-28 Daisuke Takahashi 食器洗浄ブラシ
US5881418A (en) * 1997-12-15 1999-03-16 Enoch; Robert B. Hollow ware washing device
KR19990034918U (ko) * 1999-05-18 1999-09-06 정해득 파지용초음파식기세척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423A (ko)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44B1 (ko) 청소기
US8261395B2 (en) Electric pan scrubber device
EP1266604B1 (en) Medical instrument washer
CN112779734B (zh) 一种洗衣机
KR200148059Y1 (ko) 진공청소기
TWI297264B (ko)
KR100329285B1 (ko) 식기 세척기
KR200223626Y1 (ko) 수동식 식기 세척기
CA3057407C (en) Compact and portable rotary brush dishwasher
CN2244378Y (zh) 超高压移动喷射式多功能洗碗机
KR100329358B1 (ko) 수동식 식기 세척기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KR200302253Y1 (ko) 비눗물 및 물 분사장치
KR101730085B1 (ko) 세제 분사기능을 갖는 변기솔
KR102680806B1 (ko) 누름식 자동 세제 배출량 조절 기능 갖는 청소용솔
KR100686117B1 (ko) 식기세척기
JP2506160Y2 (ja) 食器洗浄機用洗浄ノズル
CN220345607U (zh) 一种便于清洗的食品加工搅拌装置
WO2009131411A2 (ko) 두발 세정용 폼 분사장치
CN109199281B (zh) 具备水力空化机构的清洗器具
KR100193705B1 (ko) 급, 배수겸용 펌프를 가지는 식기 세척기
KR100712278B1 (ko) 식기 세척기용 분사장치
CN105662296A (zh) 蒸汽清洁装置
KR200143266Y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970000275Y1 (ko) 자동차용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