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7709B1 -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709B1
KR100327709B1 KR1019990061179A KR19990061179A KR100327709B1 KR 100327709 B1 KR100327709 B1 KR 100327709B1 KR 1019990061179 A KR1019990061179 A KR 1019990061179A KR 19990061179 A KR19990061179 A KR 19990061179A KR 100327709 B1 KR100327709 B1 KR 100327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ilicone
cosmetic composition
heavy water
fre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527A (ko
Inventor
한종섭
김형진
유영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9006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709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7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왁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미네랄계, 식물계, 동물계, 탄화수소계 오일이 배합되지 않고 실리콘 오일만을 사용하여 유화시킴으로써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고 발림성, 퍼짐성, 내수성, 화장지속성이 우수한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왁스를 함유하지 않고 화장의 답답함을 해소시킬 뿐 아니라 피부자극으로부터의 불안감을 완전히 개선하고 화장 지속성, 내수성, 특히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어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Water in silicon typ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왁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미네랄계, 식물계, 동물계, 탄화수소계 오일이 배합되지 않고 실리콘 오일만을 사용하여 유화시킴으로써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고 발림성, 퍼짐성, 내수성, 화장지속성이 우수한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화화장료 조성물 형태는 크게 수중유(O/W)유화형, 유중수(W/O)유화형으로 대별되는데, 수중유(O/W)유화형은 친수성 타입으로 사용감이 촉촉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장점으로 하는 반면 화장지속성 및 내수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친유성인 유중수(W/O)유화형 타입으로 화장지속성 및 내수성이 매우 우수하나 끈적임, 유분감, 왁시감 등으로 인하여 피부 부담감을 부여하고 발림성, 퍼짐성 등에서 약점을 지니고 있다. 종래의 유화 조성물에 배합되는 오일은 유동파라핀,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계 오일과에스테르(트리글리세라이드 포함)류의 오일, 올리브유, 면실류, 마카데미아유 등의 식물성 오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현재 수중유, 유중수 유화 타입에는 이러한 오일들을 다량 사용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의 저자극 화장품의 호응도가 매우 높아 저자극의 하이포알러지 제품이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익히 피부 자극성이 있다고 알려진 에스테르 오일과 동식물계 오일들을 사용하는 것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리콘 오일은 그들의 분자량과 구조에 의한 차이는 있으나 탄력적이며 입체적인 그들 특유의 구조 요인에 의하여 보편적으로 매우 가벼우며, 우수한 전연성, 퍼짐성 등의 사용감과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며, 뛰어난 내수성과 에몰리언트 효과를 지니고 있어 피부 안전성, 사용성, 화장효과 측면 등 다방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부여해 줄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내수성, 발림성 및 피부 안전성이 뛰어난 합성실록산류를 주기제로 한 화장료 조성물을 실리콘중수(W/S) 유화로서 분류하며,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는 미국공개특허 제5688831호, 제5143722호를 포함하여 다수 소개되고 있다. WO 제9603962호, WO 제9509598호에서는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수중유, 유중수 유화형 색조 화장료를 소개하고 있고, 일본공개특허86-159448호 및 95-83288호에서도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등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열거한 특허들은 본발명과는 달리 제형의 점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왁스를 사용하고, 실리콘 오일 이외의 오일과 혼용 사용하며 주유화제에서 본발명과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자극이나 부담을 줄 수 있는 왁스 및 탄화수소계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동식물계 오일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실리콘 오일만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안전성 및 사용성, 화장지속성, 내수성 등에서 우수한 화장효과를 갖는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을 3.0-30.0중량%, 실리콘계 및 비이온계 유화제 0.1-5.0중량%, 유화/분산 안정성 및 점도조절을 위하여 초미립 실리카 0.1-2.0중량%, 콘작 글루코만난 0.05-0.3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왁스(Wax)'에 대해 살펴보면, 통상 사용되는 왁스의 정의는 '지방산과 고급 1가 또는 2가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지칭하나 여기에는 상온에서 고체인 것도 있고 액체인 것도 있으며, 또한 대부분이 동식물 왁스로 한정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왁스란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알킬기를 갖는 유기물'로 폭넓게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왁스-프리(Wax-free)'란 위에서 정의된 범위의 모든 물질이 사용되지 않음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오일-프리(Oil-Free)'는 합성오일이면서 에스테르계 오일이 아닌 것만을 포함하는, 즉 실리콘류 오일만을 함유하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오일은 실리콘 오일로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오일 모두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로는 점도가 5-20씨에스의 디메치콘 또는 50-100씨에스인 폴리페닐메칠실록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배합량은 3.0-30.0중량%이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실리콘 오일로는 사이크로메치콘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배합량을 3.0-3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배합 비율은 중량비로 20-80% : 80-20% 범위 내에서 선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은 유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7.0-30.0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화제로는 비이온계 유화제와 실리콘계 유화제를 주기제로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실리콘 유화 제형에서는 반드시 실리콘계 유화제를 단독으로 또는 비이온계 유화제와 혼용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된 실리콘계 유화제로는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가 5.0-13.9인 디메치콘올, 디메치콘코폴리올 또는 실리콘글리콜코폴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실리콘계 유화제만을 주기제로 사용할 경우 HLB 8.0-13.0 범위의 디메치콘올, 디메치콘코폴리올을 사용하며, 비이온계 유화제와 혼용 사용시 실리콘글리콜코폴리머(HLB:3.0-8.0), 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HLB:3.0 -8.0) 또는 사이크로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HLB:3.0-8.0)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1종 이상의 것과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혼용 사용한다. 실리콘계 유화제의 배합량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5-5.0중량%이며, 비이온계 유화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특히 사용되는 분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분산 안정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사용이 필요하다. 고리형의 휘발성 실리콘과 직쇄형인 비휘발성 실리콘은 그들 특유의 구조로 인하여 상용성이 매우 좋지 못하기 때문에 이들 상용성을 높여 유화 안정도를 향상시키고, 실리콘계 오일에 분체의 균일하고 안정한 분산을 부여하기 위하여 실리콘계 유화제와 비이온 유화제의 배합비를 적절하게 혼용 사용하여야만 한다. 본발명에서는 실리콘계 유화제와 비이온 유화제의 배합비를 1:0.75-1:0.2 범위에서 조절 사용하였다.
또한, 유화 및 분산 안정화제와 점도조절을 위하여 초미립 실리카와 콘작 글루코만난을 사용하였다. 초미립 실리카는 무정형으로 틱소트로픽 성질을 제형에 부여함으로써 실리콘 유화 입자의 응집과 합일을 방지해줌은 물론 분산된 분체입자들의 응집을 차단함으로서 분산 안정화제 역할을 수행하고 특유의 3차원 격자구조를 형성하여 제형의 점도형성에 기여한다. 배합량은 총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가 적절하다. 0.1% 이하에서는 점도형성 및 분산안정화제의 역할이 미비하며 2.0% 이상에서는 제형의 점도 급상승으로 제조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콘작 글루코만난은 초미립 실리카와 점도조절 및 제형 안정성에 함께 기여한다. 유화 입자내의 안정한 네트웍을 형성시켜주며 사용성 측면에서도 촉촉함과 산뜻한 밀착감을 부여해주는 다기능 역할을 수행한다. 배합량은 0.05 0.3중량%가 적당하다.
이밖에 보습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습제로는 1,3-부틸렌글리콜,농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베타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감과 보습력 조절에 따라 1-2종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배합량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1.0-20.0중량%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분체로는 이산화티탄, 탈크, 마이카, 산화철, 카올린, 울트라마린, 산화크롬, 산화아연, 실리카들 중 적절한 화장효과를 고려하여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으로 제조된 제형은 비중이 1.0 - 1.5 범위내로 한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비교예와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의 예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서, 1) 원료 13-22를 70℃로 가열 혼합하고, 2) 원료 8-12를 1)의 혼합물에 투입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3) 원료 1-7을 75℃-80℃로 가열 완전 용해후 2)에 투입한 후 10분간 유화시키고, 4) 유화가 끝난후 30℃까지 냉각하여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제조한다.
실시예1-3 및 비교예 1-3의 원료 조성
원료명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1. 정제수2. 콘작 글루코만난3. 1,3-부틸렌글리콜4. 농글리세린5. 베타인6. 황산마그네슘7. 방부제 TO.100-5.05.0-0.5적량 TO.100-5.05.0-0.5적량 TO.100-5.05.0-0.5적량 TO.100-5.05.02.00.5적량 TO.1000.15.05.02.00.5적량 TO.1000.15.05.02.00.5적량
8.이산화티탄9.산화제이철10.황색산화철11.흑색산화철12.산화크롬 12.00.30.50.15- 12.00.30.50.15- 12.00.30.50.15- 12.00.30.50.15- 12.00.30.50.15- 6.0---0.5
13.사이크로메치콘14.디메치콘15.스쿠알란16.미네랄오일17.트리(카프릴,카프린산)글리세린18.실리카19.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20.밀랍21.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22.폴리옥시에칠렌메틸폴리실록산 --10.05.05.0-1.01.01.52.0 7.07.07.0---1.01.01.52.0 10.010.0----1.01.01.52.0 10.010.0---1.0--1.02.0 10.010.0---1.0--1.02.0 10.010.0---1.0--1.02.0
품질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안정성, 피부안전성, 사용감 전반에 대하여 20-35세 여성 50-60명을 대상으로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1) 장기보존 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경시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제시한 조건하에서 3개월까지의 경과 후 안정성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CYCLE평가는 45℃~-10℃ 범위에서 2일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며 관찰하는 순환온도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
1.매우나쁨(완전분리)
2.나쁨(부분분리, 면불량)
3.보통(미세분리,면 약간불량)
4.좋음(분리양호,면 경미불량)
5.매우좋음(분리양호,면양호)
장기보존 안정성 평가결과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45℃ 5 5 5 5 5 5
37℃ 5 5 5 5 5 5
실온 5 5 5 5 5 5
0℃ 5 5 5 5 5 5
CYCLE 5 5 5 5 5 5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3도 전반적으로 경시안정성이 매우 좋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초미립 실리카와 콘작 글루코만난과의 상호 네트워크가 실리콘 유화 및 분산 조성에 매우 안정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2) 피부 안전성
20-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팔 양쪽 상박부위에 첩포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2시간 경과 후에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안전성 평가 결과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양성반응수 5 3 2 1 1
% 10 6 4 2 2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이 비교예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어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 유화 제형이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실험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3) 사용감 평가
20-35세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4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와 비교예를 각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표 4의 항목에 대하여 사용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4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1. 매우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좋음
사용감 평가결과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유분감 1 3 3 4 5 4
밀착감 3 3 3 4 5 5
발림성 2 3 3 5 4 5
화장지속성 3 3 4 4 5 4
내수성 4 5 4 4 5 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 (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는 유분감, 왁시감, 끈적임 등의 화장불쾌감을 해소해 줄 뿐 아니라 밀착감, 발림성,화장 지속성, 내수성 등의 다양한 화장효과 항목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의 답답함을 해소 시킬뿐 아니라 피부자극으로부터의 불안감을 완전히 개선하고, 화장지속성, 내수성과 특히 부드러운 발림성이 본 발명의 특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하고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분감, 왁시감, 끈적임 등의 화장불쾌감을 해소해 줄 뿐 아니라 밀착감, 발림성,화장 지속성, 내수성등의 다양한 화장효과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의 답답함을 해소시킬 뿐 아니라 피부자극으로부터의 불안감을 완전히 개선하고 화장 지속성, 내수성, 특히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는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어 화장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왁스를 함유하지 않고 실리콘 오일, 유화제, 점증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 유화시키고, 보습제 및 분체를 함유하며, 비중이 1-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Wax)는 상온에서 고체 또는 반고체인 알킬기를 갖는 유기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휘발성 실리콘오일로 사이크로메치콘을 전체중량의 3.0-30.0중량% 함유하고, 비휘발성 실리콘오일로는 점도가 5-20씨에스인 디메치콘 또는 50-100씨에스인 폴리페닐메칠실록산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중량의 3.0-30.0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오일의 배합비율이 중량비로 20-80%: 80-20%의 범위내에서 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실리콘계 유화제와 비이온계 유화제를 혼용 사용하고, 그 배합비는 1:0.75-1:0.2 범위에서 조절 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실리콘계 유화제는 실리콘글리콜코폴리머(HLB:3.0-8.0),라우릴메치콘코폴리올(HLB:3.0-8.0),또는 사이크로메치콘 디메치콘코폴리올(HLB:3.0-8.0)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비이온계 유화제는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 (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제형 안정화 및 점도 조절제로 초미립 실리카 0.1- 2.0중량%,콘작 글루코만난 0.05-0.3중량%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프리(Oil-Free)형 실리콘중수(W/S)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019990061179A 1999-12-23 1999-12-23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0327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179A KR100327709B1 (ko) 1999-12-23 1999-12-23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179A KR100327709B1 (ko) 1999-12-23 1999-12-23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527A KR20010057527A (ko) 2001-07-04
KR100327709B1 true KR100327709B1 (ko) 2002-03-09

Family

ID=1962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179A Expired - Lifetime KR100327709B1 (ko) 1999-12-23 1999-12-23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532A (ko) 2014-11-19 2014-12-09 문지영 어린이용 튜브 겸용 구명 자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937B1 (ko) * 2006-06-16 2013-02-07 (주)아모레퍼시픽 얼굴 및 전신 도포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761A (ko) * 1990-06-29 1992-01-30 김광호 디램셀의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제조방법
JPH04159204A (ja) * 1989-12-07 1992-06-02 Unilever Nv 化粧品組成物
JPH04226906A (ja) * 1990-05-10 1992-08-17 Unilever Nv 化粧品組成物
KR0118767B1 (en) * 1993-10-04 1997-10-17 Pacific Co Ltd Oil-free type water in oil emulsify cosmetic composition
KR19990038862A (ko) * 1997-11-07 1999-06-05 성재갑 안료를 함유한 수중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9204A (ja) * 1989-12-07 1992-06-02 Unilever Nv 化粧品組成物
JPH04226906A (ja) * 1990-05-10 1992-08-17 Unilever Nv 化粧品組成物
KR920001761A (ko) * 1990-06-29 1992-01-30 김광호 디램셀의 적층형 캐패시터 및 제조방법
KR0118767B1 (en) * 1993-10-04 1997-10-17 Pacific Co Ltd Oil-free type water in oil emulsify cosmetic composition
KR19990038862A (ko) * 1997-11-07 1999-06-05 성재갑 안료를 함유한 수중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0532A (ko) 2014-11-19 2014-12-09 문지영 어린이용 튜브 겸용 구명 자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527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35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US5015469A (en) Water-in-oil emulsion type cosmetics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JP2000515428A (ja) 固形状化粧用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調製におけるアルキルジメチコーンコポリオール型の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の使用および得られた固形状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
JPH0532363B2 (ko)
WO2015021689A1 (zh) 一种油包水型粉底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H11255618A (ja) アセキサム酸を含むリップケア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1932297B1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JP2002302418A (ja) 油中水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並びにその化粧品用、製薬用または衛生用の使用
JP2011126810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化粧料
KR101959580B1 (ko)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KR100327709B1 (ko) 왁스를 함유하지 않는 오일-프리형 실리콘중수 유화형화장료 조성물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41147B1 (ko) 오일-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KR19990042883A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KR100377261B1 (ko) 고분자 유화 타입의 오일-프리형 수중유 조성물
KR100528785B1 (ko) 왁스-프리 실리콘중수 유화형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0120276B1 (ko) 오일-프리형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JP4183872B2 (ja) 二層型化粧料
JPH02258710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H07206629A (ja) 乳化化粧料
JPH0372942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934774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KR100316600B1 (ko) 왁스를포함하지않는(wax-free)수중실리콘(s/w)유화형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6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