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6045B1 -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045B1
KR100326045B1 KR1019990003511A KR19990003511A KR100326045B1 KR 100326045 B1 KR100326045 B1 KR 100326045B1 KR 1019990003511 A KR1019990003511 A KR 1019990003511A KR 19990003511 A KR19990003511 A KR 19990003511A KR 100326045 B1 KR100326045 B1 KR 10032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ata
signal
downlink
up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066A (ko
Inventor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0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0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0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너 유니트에서 다른 트랜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에서 수신하여 도너 유니트를 통해 다른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CDMA/FDD 트랜시버에 있어서, 리모트 유니트에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Q 채널 변조에 사용되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도너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어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업 링크의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 리모트 유니트에서 다운 링크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는 단계 및 도너 유니트로 전송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에서 발생한 상기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에서, 업 링크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다운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복조하고, 다운 링크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업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변복조 함으로써, 주파수 변복조를 위한 회로를 간단히 하고 이에 따른 전기/기구적인 장치를 줄이며, 사용하지 않는 채널들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어 늘어나는 통신 양에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odulation and demodulation in CDMA/FDD transceiver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CDMA/FDD 트랜시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광 링크(optical link)를 가진 DCS/PCS(Digital Cellular System/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 트랜시버(Transceiver)의 도너 유니트(donor unit, 100)와 리모트 유니트(remote,150)의 구성과 상호 연결을 보여준다.
도너 유니트(100)는 다른 기지국(혹은 다른 기지국의 도너 유니트)에서 받은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예들 들면 PCS 폰 단말기)에 전송한다. 또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150)를 통해 받아 다른 기지국(혹은 다른 기지국의 도너 유니트)으로 전송한다. 보통은 도너 유니트와 리모트 유니트는 서로 다른 모듈로 구성되며, 두 유니트는 광섬유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너 유니트에서 리모트 유니트의 데이터 흐름을 다운 링크(down link)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인 리모트 유니트에서 도너 방향의 데이터 흐름을 업 링크(up link)라고 한다. 기지국 입장에서 보면 다운 링크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고, 업 링크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
기지국내의 트랜시버에 도너 유니트와 리모트 유니트가 다 있을 경우도 있겠지만, 고속도로, 산간 지역과 같이 통신을 요청하는 호(call)가 별로 없어서 호를 위한 채널 유니트나 동시에 호를 받아들일 수 있는 채널 엘리먼트(channel element)가 많이 필요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소형의 기지국을 세우거나 리모트 유니트만을 기지국 외부의 도로변 등에 설치하게 된다. 이런 리모트 유니트를 RF 유니트 혹은 슬래이브 유니트(slave unit)라고도 한다. 이 경우 도너 유니트와 리모트 유니트는 상당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트랜시버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다운 링크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미도시)에서 전달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analog baseband, 102)를 통과하여 I 채널과 Q 채널로 입력되면 각 채널별로 주파수 변조(104, 106)를 한다. I 채널을 변조하는 때에는 F1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며, Q 채널을 주파수 변조할 때에는 F2 주파수를 이용한다. 이 F1, F2 주파수는 주파수 합성기(108)에서 공급한다. 주파수 변조된 신호들이 전기적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110)되어 광섬유를 통해 도너 유니트(100)에서 리모트 유니트(150)로 전송되면 광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112)되어 각 주파수별로 분리되며, 분리된 주파수별로 복조부(114)에서 복조된다. 변조할 때에 F1 주파수를 사용한 신호는 F1 주파수를 주파수 합성기(118)에서 공급받아 복조되며, 변조할 때에 F2 주파수를 사용한 신호는 F2 주파수를 주파수 합성기(118)에서 공급받아 복조된다. 이 복조된 신호들은 Tx I/Q 변조부(120)에서 I/Q 변조를 위한 주파수 합성기(122)에서 발생한 LO_Tx 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되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된다. LO_Tx 주파수는 1930~1990 MHz를 사용한다.
업 링크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되어 다이버시티(diversity)들(124, 126)에서 주파수합성기(122)의 LO_Rx 주파수를 이용해서 수신된 신호는 주파수 변조부(128, 130)를 통해 변조된다. LO_Rx 주파수는 1611~1671 MHz를 사용한다. 변조를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는 주파수 합성기(132)에서 발생하는 F3, F4 이다. 변조된 신호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E/O 변환부(134)를 통해 변환되어 리모트 유니트(150)에서 도너 유니트(100)로 전송된다.
이 전송된 광신호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O/E 변환부(136)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신호들은 주파수 F3을 사용해서 변조된 신호는 주파수 F3을 이용해서, 주파수 F4를 사용해서 변조된 신호는 주파수 F4를 이용해서 복조부(138, 140)에서 각각 복조된다. 이 주파수 F3, F4 는 주파수 합성기(142)에서 공급한다. 복조된 신호들은 각각 I/Q 복조부(144, 146)로 전달되어 다른 기지국 등으로 전송된다.
이런 종래의 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변조와 복조를 위해서 다소 복잡하고 규모가 큰 회로들을 필요로 하며, 성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합성을 위해서는 별도의 PLL(phase-looked loop) 합성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PLL 합성 블록에는 PLL용 IC, 루프 필터(loop filter),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들을 기본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발생하는 주파수가 수천 MHz대의 고주파이므로 이 고주파로 인한 타 회로의 장애를 막기 위해 차폐용 벽이나 커버(cover)까지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주파수 하나를 발생하기 위해 이런 세트가 하나 필요하게 되면, 도 1의 경우에는 F1에서 F4까지의 주파수가 도너 유니트, 리모트 유니트에 각 2개씩 필요하므로, 주파수 변조/복조를 위한 주파수가8개 필요하게 되어 이에 따라 주파수 발생과 차폐를 위한 전기/기구적인 하우징(housing)이 8 세트나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국부 발진 주파수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이용하는 CDMA/FDD 트랜시버의 업 링크 및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CDMA/FDD 트랜시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의 업 링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방법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업 링크 관련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의 다운 링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방법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관련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유니트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CDMA/FDD 트랜시버 업 링크 변복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에서 수신하여 도너 유니트를 통해 다른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CDMA/FDD 트랜시버의 업 링크 변복조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유니트에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Q 채널 변조에 사용되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도너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어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업 링크의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 리모트 유니트에서 다운 링크용(LO_Tx)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는 단계; 및 도너 유니트로 전송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에서 발생한 상기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변조를 하는 단계는,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는 2개이며, 한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신호는 직접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른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신호는 주파수 변조를 하여 광신호로 변조하여 도너 유니트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파수 복조 단계는 전송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신호 중 주파수 변조를 해서 광신호로 변조되어 전송된 신호만을 주파수 복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CDMA/FDD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은, 도너 유니트에서 다른 트랜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CDMA/FDD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에 있어서,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 링크용 주파수(LO_R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도너 유니트에서 발생하는 단계; 도너 유니트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로 보낼 다운 링크의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는 단계; 및 리모트 유니트로 전송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에서 사용되는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파수 변조 단계는, 다운 링크의 데이터는 I 채널과 Q 채널이며, I 채널과 Q 채널 중 한 채널은 직접 광신호로 변조하고 다른 채널은 주파수 변조를 하여 광신호로 변조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파수 복조 단계는, 전송된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화된 신호 중 주파수 변조를 해서 광신호로 변조되어 전송된 신호만을 주파수 복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모트 유니트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업 링크 데이터를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복수의 다이버시티를 포함하고, 이 업 링크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를 통해 다른 트랜시버에 전송하며, 도너 유니트를 통해 다른 트랜시버에서 받은 I-Q 채널 다운 링크 데이터를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를 이용하여 I-Q 채널 변조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I-Q 변조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유니트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어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업 링크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는 주파수 변조부; 및 도너 유니트로부터 수신한 다운 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여 상기 I-Q 변조부로 전달하는 주파수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에 상기 다이버시티는 2개이며, 상기 주파수 변조부는 상기 2개의 다이버시티를 통해 수신된 신호들 중 한 신호는 주파수 변조하며 다른 신호는 주파수 변조하지 않으며, 주파수 변조된 신호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는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주파수 다중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CDMA/FDD 트랜시버에 있어서, 다른 트랜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다운 링크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업 링크 데이터를 리모트 유니트에서 수신하여 다른 트랜시버로 전송하는 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된 업 링크 데이터를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복수의 다이버시티를 포함하고, 이 업 링크 데이터를 상기 도너 유니트에 전송하며, 도너 유니트를 통해 받은 I-Q 채널 다운 링크 데이터를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를 이용하여 I-Q 채널 변조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I-Q 변조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CDMA/FDD 트랜시버에 있어서, 도너 유니트는, 상기 업 링크용 주파수(LO_R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1 주파수 합성기; 상기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제2 주파수 합성기; 상기 제2 주파수 합성기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리모트 유니트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주파수 복조하는 업 링크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제1 주파수 합성기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I-Q 채널 다운 링크 데이터를 주파수 변조하는 다운 링크 주파수 변조부를 포함하며, 리모트 유니트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어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된 업 링크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를 하는 업 링크 주파수 변조부; 및 도너 유니트로부터 수신한 다운 링크 데이터를 상기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여 상기 I-Q 변조부로 전달하는 다운 링크 주파수 복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의 업 링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너 유니트에서 LO_Tx 주파수를 발생한다(200 단계). 이 주파수는 리모트 유니트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Q 채널 변조에 사용되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와 같은 값이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업 링크 데이터는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된 신호가 리모트 유니트에서 다운 링크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된다(210 단계). 그리고 주파수 변조되어 도너 유니트에서 수신된 신호가 주파수 복조된다(220 단계). 이때의 주파수 복조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참조 번호 200 단계에서 발생한 주파수 LO_Tx를 사용한다.
도 3은 도 2의 방법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업 링크 관련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너 유니트(330)와 리모트 유니트(340)에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리모트 유니트(340)에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와 업 링크용 주파수(LO_Rx)를 생성하는 주파수 합성기(302),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이버시티들(304, 306), LO_Tx 주파수를 사용하여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308), 주파수가 다른 신호들을 한 신호선에 실어주는 주파수 다중화부(310) 및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E/O 변환부(312)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너 유니트(340)에는 리모트 유니트에서 사용자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Q 채널 변조에 사용되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주파수 합성기(300),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O/E 변환부(314),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별로 나누는 주파수 분할부(316), 주파수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318) 및 I/Q 복조를 위한 I/Q 복조부(320, 322)가 포함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CDMA/FDD 트랜시버의 업 링크변복조 방법과 그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의 한 기지국의 채널 번호는 1200개이며, 그 중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은 42개가 있다. 한 기지국이 42개의 주파수 할당을 다 사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채널 할당이 아닌 채널 번호가 1158개가 있어 주파수 자원은 풍부하다. 사용하지 않고 있는 주파수 할당이나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활용하면 신호의 변조에 필요한 별도의 주파수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FDD는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가 다르므로, 송신에 사용되는 주파수와 수신에 사용되는 주파수가 달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한 것이다. 즉, 리모트 유니트에서 업 링크의 송신을 위한 변조에 다운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이용하며, 리모트 유니트에서 업 링크로 도너 유니트로 보내진 데이터를 다운 링크에 사용되는 주파수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복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도너 유니트(330)의 주파수 합성기(300)는 리모트 유니트(340)에서 다운 링크의 I-Q 채널 변조를 위해 사용되는 다운 링크용 주파수(LO_T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발생한다(200 단계).
리모트 유니트(340)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2개의 다이버시티들(304, 306)을 통해 수신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LO_Rx를 리모트 유니트의 주파수 합성기(302)가 공급한다.
페이딩(fading)이란 전파의 수신에 있어서 수신 전계 강도가 시간적으로 급격하게 변동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반사, 회절, 산란 등과 같은 다중 경로를 통해 전파된 신호들의 상호 간섭에 의해 발생한다. 페이딩에는 전송 대역폭 중에서 어느 부분 대역에 대해 페이딩하는 선택성 페이딩과 전송 대역의 모든 주파수에 대해 수신 전계가 대체로 균일하게 변동하는 동기성 페이딩이 있다. 페이딩에 덜 영향을 받는 특별한 변조나 수신 기법을 사용하여야 페이딩 효과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이버시티라 불리는 수신기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다이버시티는 페이딩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장치이다.
다이버시티들(304, 306)을 통과한 신호 중 한 신호는 주파수 변조부(308)에서 주파수 변조(210 단계)된 후에 다이버시티를 통과한 후 변조되지 않은 다른 신호와 주파수 다중화부(310)에서 주파수 다중화된다.
다이버시티들(304, 306)을 통과한 신호들을 전송에 편하도록 주파수를 변조한 후에 각 변조된 신호를 각각 광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각 광신호를 각각 도너 유니트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방법보다 이하 설명할 방법을 사용하면 본 발명의 적용하는 이점이 커지게 된다.
리모트 유니트(340)에서 도너 유니트(33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광섬유망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 광섬유망을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들게 되므로 여러 가지 신호를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한 후에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방법으로 주파수 분할 다중 전송(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광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므로 다이버시티들(304)을 통과한 신호를 동시에 하나의 광섬유를 통해전송하려면 한 신호는 다이버시티를 통과한 그대로 사용하며 나머지 신호는 주파수 변조하여 두 신호의 주파수대를 다르게 하면 동시에 한 선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한 신호만을 주파수 변조하면 두 신호를 다 주파수 변조하는 것보다 간단해지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것도 한 신호에 대해서만 복조를 하면 되므로 역시 회로의 구성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주파수 다중화부(310)에서는 상기 두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한다.
이 다중화된 전기적인 신호가 E/O 변환부(312)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도너 유니트(330)로 전송된다.
도너 유니트(330)에서는 이 광신호를 O/E 변환부(314)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이 변환된 신호는 주파수 다중화된 신호이며, 이 신호는 주파수 분할부(316)에서 주파수별로 나누어진다.
주파수 분할된 후에 리모트 유니트(340)의 주파수 변조부(308)에서 변조된 주파수의 신호는, 변조될 때에 사용된 주파수와 같은 값을 가지며 참조 변호 200 단계에서 생성된 LO_Tx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주파수 복조부(318)에서 복조된다(220 단계). 그리고 리모트 유니트(340)에서 변조되지 않은 신호와 상기 복조된 신호는 I/Q 복조부(320, 322)로 각각 입력되어 I-Q 채널 복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의 다운 링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너 유니트에서 LO_Rx 주파수를 발생한다(400 단계). 이 주파수는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업 링크용 주파수(LO_Rx)와 같은 값이다. 데이터를 도너 유니트에서 리모트 유니트로 보내기 위해 위의 LO_Rx를 이용해서 주파수 변조를 한다(410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다운 링크 데이터가 리모트 유니트에서 수신되고, 이 수신된 신호가 리모트 유니트에서 업 링크용 주파수 LO_Rx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된다(420 단계).
도 5는 도 4의 방법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관련 장치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너 유니트(530)와 리모트 유니트(540)에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
도너 유니트(530)에는 리모트 유니트의 다이버시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 링크용 주파수(LO_R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생성하는 주파수 합성기(500), 다운 링크 데이터가 I 채널과 Q 채널로 나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502), 주파수를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504), 주파수가 다른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하는 주파수 다중화부(506) 및 전기적인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E/O 변환부(508)가 포함되어 있다.
리모트 유니트(540)에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O/E 변환부(510), 입력되는 신호를 주파수별로 나누는 주파수 분할부(512), 변조된 주파수를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514), 주파수 복조에 필요한 주파수 LO_Rx를 생성하는 주파수 합성기(516) 및 주파수 합성기(516)의 업 링크용 주파수 LO_Tx를 이용해서 Tx I-Q 변조를 하는 Tx I-Q 변조부(518)가 포함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CDMA/FDD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과 그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주파수 합성기(500)는 리모트 유니트(540)의 다이버시티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업 링크용 주파수(LO_Rx)와 같은 값의 주파수를 생성한다(400 단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미도시)에서 전달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502)를 통과하여 I 채널과 Q 채널로 입력되면, 이 중 한 채널은 주파수 변조부(504)에서 변조되며(410 단계), 이 변조된 신호와 I 채널과 Q 채널 중 변조되지 않은 신호가 주파수 다중화부(506)에서 다중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 한 신호만을 주파수 변조하고, 두 신호를 다중화하는 것에 대한 이점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주파수 다중화된 신호는 E/O 변환부(508)에서 광신호로 변환되어 도너 유니트(530)에서 리모트 유니트(540)로 전송된다.
리모트 유니트(540)에서는 O/E 변환부(510)가 위의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신호가 주파수 분할부(512)에서 분할되어 도너 유니트에서 변조되었던 신호(본 실시예에서는 Q 채널)는 주파수 복조부(514)에서 복조된다(420 단계). 이 복조에 사용되는 주파수 LO_Rx는 주파수 합성기(516)에서 공급한다.
복조되지 않은 신호(I 채널)와 복조된 신호(Q 채널)가 다운 링크의 전송을 위해 Tx I/Q 변조부(518)에서 변조되며, 이 변조를 위한 주파수 LO_Tx가 주파수 공급기(518)에서 공급된다.
본 발명은 업 링크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다운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복조하고, 다운 링크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업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변복조 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유니트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5에 사용되었던 참조 번호들은 그대로 사용해서 업 링크 변복조 장치와 다운 링크 변복조 장치가 리모트 유니트에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리모트 유니트의 각 블록별 기능과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3과 도 5에 사용되었던 참조 번호들은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도너 유니트와 리모트 유니트를 포함하는 CDMA/FDD 트랜시버에서 업 링크 변복조 장치와 다운 링크 변복조 장치가 동시에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각 블록별 기능과 동작은 이미 위에서 설명하였다.
도 6의 리모트 유니트와 도 7의 트랜시버를 도 1과 비교해본다.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리모트 유니트에서는 주파수 합성기를 2개(302, 516) 사용하였으나 이 주파수 합성기는 종래의 리모트 유니트(150)인 도 1의 경우에도 사용해야 하는 것이므로 데이터 변복조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추가로 사용되는 주파수 합성기는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CDMA/FDD 트랜시버의 도 7의 경우 주파수 합성기가 도너 유니트에서 참조 번호 300, 500의 두 개만 더 사용되어 종래의 도 1과 비교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트랜시버에서는 6개의 주파수 합성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CDMA/FDD 트랜시버에서 주파수 변조와 복조를 위한 회로가 간단해지며, 주파수합성기에 수반되는 전기적인 그리고 기구적인 장치들을 줄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채널 할당이나 채널 번호에 해당하는 국부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어 통신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CDMA/FDD 트랜시버 변복조에 있어서, 업 링크를 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다운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변복조하고, 다운 링크를 위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업 링크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변복조 함으로써, 주파수 변복조를 위한 회로를 간단히 하고 이에 따른 전기/기구적인 장치를 줄이며, 사용하지 않는 채널들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어 통신 양이 늘어나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Claims (15)

  1. (a) 두개의 업 링크용 데이터를 리모트 유닛에서 수신하는 두개의 다이버시티로 각각 입력시키는 단계;
    (b) 상기 리모트 유닛에서 다운 링크용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두개의 다이버시티 중 어느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하고 다른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주파수 변조하지 않는 단계;
    (d) 상기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데이터를 다중화하고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리모트 유닛에서 도너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도너 유닛에서 상기 리모트 유닛의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전송받은 다중화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데이터로 주파수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상기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만을 상기 발생된 리모트 유닛의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업 링크 변복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전송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기적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리모트 유닛에서 도너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광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받든 도너 유닛은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광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업 링크 변복조 방법.
  4. (a) 아이채널과 큐채널의 데이타를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도너 유닛에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도너 유닛에서 리모트 유닛의 업 링크용 반송파와 주파수가 동일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두개의 데이터중 한 개의 데이터만을 상기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변조하여, 상기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단계;
    (d)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도너 유닛에서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리모트 유닛에서 업 링크용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전송받은 다중화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데이터로 주파수를 기존으로 구분하여, 상기 주파수 변조된 데이터만을 상기 발생된 리모트 유닛의 반송파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
  5. 삭제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전송할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기적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도너 유닛에서 리모트 유닛으로 전송하고, 상기 광신호로 변환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받든 리모트 유닛은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광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다운 링크 변복조 방법.
  7.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두개의 채널로 다이버시티를 통해서 업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는 데이타수신부;
    업 또는 다운 링크용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합성부;
    상기 두개의 다이버시티 중 어느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다운링크용 반송파를 이용해서 주파수 변조하고 다른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주파수 변조하지 않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신호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신호를 다중화시키는 다중화부;상기 다운링크용 데이터를 주파수를 기준으로하여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다운 링크용 데이터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업 링크용 반송파를 이용해서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다중화된 업 링크용 데이터 또는 상기 주파수 복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리모트 유닛.
  8. 삭제
  9. 삭제
  10.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부는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광신호로 전송받아 광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업 링크용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리모트 유닛.
  11. 업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하여 두개의 채널로 상기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타수신부;
    리모트 유닛에서 사용하는 업 또는 다운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합성부;
    두 개의 채널로 수신한 상기 다운 링크용 데이터중 1개 채널의 데이터만을 업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해서 주파수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채널의 데이터와 주파소 변조되지 않은 채널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주파수 다중화부;
    상기 업 링크용 데이터를 주파수를 기준으로하여 주파수 변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업 링크용 데이터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를 다운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해서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 또는 상기 주파수 복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도너 유닛.
  12. 삭제
  13. 삭제
  14. 제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부는 업 링크용 데이터를 광신호로 전송받아 광신호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는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에서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도너 유닛.
  15.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두개의 채널로 다이버시티를 통해서 업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는 데이타수신부;
    업 또는 다운 링크용 반송파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합성부;
    상기 두개의 다이버시티 중 어느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다운링크용 반송파를 이용해서 주파수 변조하고 다른 하나의 다이버시티 출력은 주파수 변조하지 않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신호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신호를 다중화시키는 다중화부;
    상기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다운 링크용 데이터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업 링크용 반송파를 이용해서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
    상기 다중화된 업 링크용 데이터 또는 상기 주파수 복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리모트 유닛과
    업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으며,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수신받여 두개의 채널로 상기 다운 링크용 데이터를 분류하는 데이타수신부;
    리모트 유닛에서 사용하는 업 또는 다운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 합성부;
    두개의 채널로 수신한 상기 다운 링크용 데이터 중 1개 채널의 데이터만을 를 업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해서 주파수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채널의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채널의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주파수 다중화부;
    상기 업 링크용 데이터를 주파수를 기준으로하여 주파수 변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와 주파수 변조되지 않은 업 링크용 데이터로 분할하는 주파수 분할부;
    상기 주파수 변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를 다운 링크용 반송파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해서 주파수 복조하는 주파수 복조부; 및
    상기 주파수 변조된 다운 링크용 데이터 또는 상기 주파수 복조된 업 링크용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도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
KR1019990003511A 1999-02-03 1999-02-03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26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511A KR100326045B1 (ko) 1999-02-03 1999-02-03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511A KR100326045B1 (ko) 1999-02-03 1999-02-03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66A KR20000055066A (ko) 2000-09-05
KR100326045B1 true KR100326045B1 (ko) 2002-03-07

Family

ID=1957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5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6045B1 (ko) 1999-02-03 1999-02-03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0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865A (ja) * 1991-10-21 1993-04-27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US5493583A (en) * 1993-05-05 1996-02-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Wireless data transceiver
JPH1056420A (ja) * 1996-08-08 1998-02-24 Kokusai Electric Co Ltd Cdma適応変調方法とそのシステム
US5850393A (en) * 1995-11-09 1998-12-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tter re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4865A (ja) * 1991-10-21 1993-04-27 Fuji Photo Film Co Ltd 熱転写受像材料
US5493583A (en) * 1993-05-05 1996-02-2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Wireless data transceiver
US5850393A (en) * 1995-11-09 1998-12-1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ransmitter re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1056420A (ja) * 1996-08-08 1998-02-24 Kokusai Electric Co Ltd Cdma適応変調方法とそ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066A (ko)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9845B (fi) Koppling foer alstring av saendningssignal i en radiotelefon
KR970002745B1 (ko) 향상된 데이타 스트림 전송방법과 데이타 스트림 전송 데이타 처리시스템
US5291474A (en) Procedure for forming frequencies of a digital radio telephone
EP2302853A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GB2186156A (en) A receiver for frequency hopped signals
JPH03198439A (ja) 狭帯域変調uhf/マイクロ波通信システム
EP0398688B1 (en) Procedure for forming frequencies of a digital radio telephone
KR100313748B1 (ko) 주파수 변환기 및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EP0533435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with frequency divider used during emission and stopped during reception
US4155039A (en) Two-way transmission system between a main station and secondary stations
KR19990081412A (ko) 단일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변환 중계장치 및 광신호 전송방법
KR100326045B1 (ko) 씨디엠에이/에프디디 트랜시버의 변복조 방법 및 그 장치
CA2356415A1 (en) Radio system, antenna arrangement and polarization modulator for generating a transmit signal with changing polarization
US65226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a carrier wave frequency of one channel between two carrier wave frequencies of another channel
US5669067A (en) Remotely controllable variable intermediate frequency transceiver
US5715520A (en) Frequency offset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transceiver
JPH04257126A (ja) 送受信装置
JPH06164427A (ja) 無線通信装置
FI112997B (fi) Tiedonsiirtolaite tietokoneiden tietoverkkoja varten, erityisesti langaton tiedonsiirtolaite
KR100322841B1 (ko) 마이크로셀룰라 시스템에서의 동기신호 공급장치 및 그 방법
JPS581580B2 (ja) 多重化スペクトラム拡散変調方式
JP2003037868A (ja) 通信装置
JP2593020B2 (ja) 無線通信装置
CN109167635B (zh) 多路通道信号转换装置
JPH06188791A (ja) ダイバーシチ信号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9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00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20123

Appeal identifier: 2001101003312

Request date: 2001100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0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0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06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201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228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