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4471B1 -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471B1
KR100324471B1 KR1019990039852A KR19990039852A KR100324471B1 KR 100324471 B1 KR100324471 B1 KR 100324471B1 KR 1019990039852 A KR1019990039852 A KR 1019990039852A KR 19990039852 A KR19990039852 A KR 19990039852A KR 100324471 B1 KR100324471 B1 KR 100324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encoding
code amount
area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3222A (ko
Inventor
나카무라켄
이케다미츠오
Original Assignee
미야즈 준이치로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즈 준이치로,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즈 준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0002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4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특히 부호화 대상인 픽쳐의 각 부분마다의 목표 부호량을 결정함으로써 고성능의 부호화를 실현하는 동화상의 부호화기술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 목표 부호량 결정부(12)는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 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한다. 각 영역에 대응하여 설치된 각 단위 부호화부(1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12)가 결정한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moving pictur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computer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호화 대상인 화상의 각 부분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함으로써 고성능의 부호화를 실현하는 동화상의 부호화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일본에서 이미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평10-270794호 공보에 기초하고 있으며, 상기 일본출원의 기재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반영되어 있다.
종래의 MPEG 2의 테스트 모델 5 등에 나타나 있는 부호량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부호량을 제어하였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픽쳐란, 프레임 또는 필드 등에 대응하는 처리단위를 말한다. 그리고, 매크로 블록은, 16×16 화소로 이루어지며, 부호량제어의 최소단위인 처리단위이다.
(1) 이전에 처리한 예컨대 I픽쳐, P픽쳐, B픽쳐 등과 같은 각 픽쳐 형태의 픽쳐의 복잡함 지표와 이용가능한 G0P(Group 0f Picture)내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해당 픽쳐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한다. 여기서, 복잡함 지표란 그 픽쳐의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이다.
(2) 픽쳐내에서 좌측위로부터 우측아래를 향해 래스터순으로 각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가 진행된다. 이 때, 상기 픽쳐의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발생부호량과 목표부호량의 차이에 따른 값에 의해 상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계수의 양자화 파라미터(또는 양자화 스텝)가 결정된다. 발생부호량과 목표부호량의 차이가 크면 양자화 스텝이 큰값으로 결정되어 발생부호량이 작아지고, 반대로 발생부호량과 목표부호량의 차이가 작으면 양자화 스텝이 작은 값으로 결정되어 발생부호량이 커진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의 발생부호량이 제어된다. 여기서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목표부호량은,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픽쳐의 전체 매크로 블록수로 나눈 다음, 픽쳐의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상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수를 곱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픽쳐내의 각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파라미터는, 픽쳐의 최초로 처리되는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 발생한 부호량과 그 픽쳐 전체의 목표부호량으로부터 산출되는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목표부호량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었다.
그리고, 상기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목표부호량은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픽쳐의 전체 매크로 블록수로 나눈 다음, 픽쳐의 가장 처음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수를 곱한 것이다. 따라서, DCT의 대상인 패턴의 성질이 픽쳐내에서 크게 편재할 때, 그 편재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따라, 발생부호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이 생기고, 발생부호량이 적은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화질의 열화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픽쳐내의 매크로 블록을 래스터순으로 부호화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픽쳐의 복수의 부분을 병렬로 부호화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부호화 제어방법을 적용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을 병렬로 부호화하는 부호화방법, 부호화장치 및 그 기록매체에 있어서는, 동일 시각상의 픽쳐내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화상내용이 영역에 따라 복잡하거나 단순하거나 하여도 각 영역을 담당하는 부호화부의 개체가 다르므로, 각각의 부호화부로서는 최적의 부호량의 배분 또는 양자화 스텝의 결정을 한다고 해도, 부호화 시스템 전체로 보았을 때 반드시 최적의 부호량의 배분 또는 양자화 스텝이라고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특히, 비트율 등과 같은 부호화의 제약조건은 부호화 시스템 전체로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전체로서의 부호화효율이 충분히 양호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리고, 특정 영역의 화상이 복잡한 경우 다른 영역에 비하여 그 영역만이 극단적으로 부호량이 부족하거나, 반대로 특정 영역이 단순한 경우 다른 영역에 비하여 그 영역에 부호량이 과다하게 할당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부호화효율의 저하, 즉 화질의 저하가 시각적으로도 매우 감지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DCT의 대상인 화상패턴의 복잡함이 픽쳐내의 각 매크로 블록에 따라 크게 다를 때, 그 편재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기가 곤란하므로 발생부호량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이 생기고, 발생부호량이 적은 부분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화질의 열화가 심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종래, 픽쳐내의 매크로 블록을 래스터순으로 부호화처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므로, 픽쳐를 적당히 복수의 부분으로 나누고, 나눈 후의 각 부분을 병렬로 부호화처리하는 경우에는, 픽쳐의 최초로 처리되는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 발생한 부호량과 그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으로부터 산출되는 최초의 매크로 블록으로부터 처리중인 매크로 블록까지의 목표부호량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양자화 파라미터에 의해 발생부호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a는 도 5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b는 도 5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a는 도 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b는 도 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a는 도 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0b는 도 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2a는 도 11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2b는 도 11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a는 도 13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4b는 도 13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6a는 도 15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6b는 도 15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8a는 도 1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8b는 도 1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0a는 도 1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0b는 도 1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 내의 목표부호량 결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픽쳐의 각 부분의 부호화정보를 픽쳐부호화처리가 종료할 때마다 집계하고, 그 정보에 따라 각 부분의 적절한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절한 목표부호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분의 발생부호량 또는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정보 등을 집계하고, 그 곱으로부터 각 부분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구한 다음, 그 비율에 따라 목표부호량을 계산한다. 각 단위부호화부는 상기 목표부호량에 따라 각 부분을 동시에 부호화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기에 적합한 경우로는, 복수의 단위부호화부가 분할된 픽쳐의 각 부분을 각각 병렬로 부호화하는 경우와, 하나의 부호화장치내에서 부호화제어처리만을 분할된 픽쳐의 각 부분마다 행하는 경우, 및 복수의 단위부호화부가 통일적인 제어하에서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부호화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중에서 설명되는 특징의 모든 조합이 발명의 해결수단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입력화상 분할부(10), 복수의 단위부호화부(11), 목표부호량 결정부(12) 및 스트림 재구성부(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 부호화방법으로는 블록단위의 부호량 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것을 이용한다.
이하, 도 2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화상 분할부(10)에 있어서, 입력화상 시퀀스(14)의 각 픽쳐는 복수의 분할화상(15)으로 공간적으로 분할된다(S10). 이 때, 분할은, 픽쳐내에 마련되어 있는 각 매크로 블록의 영역을 분할하지 않도록 행한다. 분할방법은, 매크로 블록의 영역내를 분할하지 않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무방하다. 각 분할화상(15)은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11)에 분배되고, 각 단위부호화부(11)에 있어서 부호화된다(S11).
이하의 단계 S12 내지 Sl3은, 각 단위부호화부(11)에 있어서 병렬로 실행된다. 각 단위부호화부(l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12)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각 분할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목표부호량(16)을 입력받은 다음, 각 분할화상 픽쳐를 부호화한다. 즉, 각 단위부호화부(11)는, 담당하는 분할화상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16)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분할화상 픽쳐에 포함되는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S12). 보다 구체적으로는, MPEG 2 테스트 모델 5의 매크로 블록마다의 부호화 제어방법에 의해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11)는, 픽쳐부호화 종료시, 움직임보상 예측오차의 분산값(움직임 보상을 하지 않는 부호화처리 모드인 경우에는 입력화상의 분산값)등의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12)에 전달한다(S13). 각 단위부호화부(l1)로부터 출력된 각 스트림(18)은 스트림 재구성부(13)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림(19)으로 재구성된다(S14).
목표부호량 결정부(12)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2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단위부호화부(11)가 출력하는 예측오차 분산값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예측오차 분산값을 구한다(S15). 다음, 과거의 픽쳐의 픽쳐전체의 예측오차 분산값과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의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16). 예측오차의 분산값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11)에 있어서의 예측오차의 분산값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그 단위부호화부(11)의 목표부호량(16)으로 한다(S17).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11)가 처리할 분할화상 픽쳐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한 다음, 각각의 단위부호화부(11)가 처리할 분할화상 픽쳐의 목표부호량(16)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11)에 전달한다(S18).
이상에 있어서는, 픽쳐의 예측오차 분산값을 과거의 픽쳐로부터 구하였으나, 처리중인 픽쳐의 움직임 보상이 종료된 시점에서 예측오차 분산값을 구하고, 그 정보를 그 시점에서 집계한 다음, 그 정보에 따라 각 단위부호화부(11)에 있어서 DCT 계수의 양자화, 즉 부호량제어를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측오차 분산값의 분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부호량이 많이 필요한 영역에는 보다 많은 목표부호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부호량 배분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복수의 부호화부가 픽쳐의 각 영역(분할화상 픽쳐)을 병렬로 부호화하는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각 부호화부간에 픽쳐단위로 부호량을 배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복수의 부호화부를 가지는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보다 양호한 화질의 부호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여기서는, 복잡함 지표의 비율에 비례하여 각 부호화부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였으나, 복잡함 지표의 제곱근의 비율에 비례하여 각 부호화부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거나, 혹은 각 부호화부에 배분되는 부호량이 어느 값 이상 또는 어느 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로서,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때의 동화상 부호화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복수의 입력화상 시퀀스(23)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부호화부(20), 목표부호량 결정부(21) 및 다중화부(MUX부)(22)로 구성된다.
이하, 도 4a의 흐름도에 따라 도 2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각 화상 시퀀스(23) 내의 픽쳐는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20)에 입력되고(S20), 각 단위부호화부(20)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부호화된다. 이 때, 각 단위부호화부(20)는, 목표부호량 결정부(21)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의 픽쳐목표 부호량(24)을 입력받은 다음 픽쳐를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20)는, 부호화할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입력된 목표부호량(24)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픽쳐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 (S21). 각 단위부호화부(20)는, 픽쳐부호화가 종료하면 움직임보상 예측오차의 분산값 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21)에 전달한다(S22). 다만, 움직임보상을 하지 않는 부호화처리 모드인 경우에는 입력화상의 분산값을 이용한다. 각 단위부호화부(20)로부터 출력된 각 비트 스트림(26)은 MUX부(22)에 있어서 하나의 비트 스트림(27)으로 통합된다(S23).
목표부호량 결정부(21)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4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단위부호화부(20)가 출력하는 예측오차 분산값(또는 입력신호 분산값)(25)의 합계로부터 전체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예측오차의 분산값(이하, 전체 픽쳐의 예측오차 분산값이라 한다)을 구한다(S24). 과거의 각각의 픽쳐 형태의 화면전체에 있어서의 예측오차의 분산값과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25).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20)의 예측오차의 분산값과 함께, 각단위부호화부(20)의 예측오차의 분산값의 합계를 산출한다(S26). 산출한 예측오차의 분산값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20)에 있어서의 예측오차의 분산값의 비율과 상술한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화상 시퀀스(23)의 픽쳐의 목표부호량(24)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20)의 픽쳐의 목표부호량(24)을 결정한 다음, 단위부호화부(20)가 처리할 픽쳐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20)에 제공한다(S27).
이상에 있어서는, 픽쳐의 예측오차 분산값을 과거의 픽쳐로부터 구하였으나, 처리중인 픽쳐의 움직임 보상이 종료한 시점에서 예측오차 분산값을 구하고, 그 정보를 그 시점에서 집계한 다음, 그 정보에 따라 각 단위부호화부(20)에 있어서 DCT 계수의 양자화, 즉 부호량제어를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복잡함으로부터 각 화상 시퀀스에 할당할 목표부호량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시퀀스의 픽쳐단위의 통일적인 비율제어가 실현된다. 또한, 한정된 비트율 중에서 보다 부호량이 많이 필요한 시퀀스에는 보다 많은 목표부호량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비트율 중에서 각 화상 시퀀스의 고화질의 부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입력화상 분할부(30), 복수의 단위부호화부(31), 목표부호량 결정부(32) 및 스트림 재구성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부호화방법으로는 블록단위의 부호량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하, 도 6a의 흐름도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화상 분할부(30)에 있어서, 입력화상 시퀀스(34)의 각 픽쳐는 복수의 분할화상(35)으로 공간적으로 분할된다(S30). 이 때, 분할은, 픽쳐내에 마련되어 있는 각 매크로 블록의 영역을 분할하지 않도록 행한다. 각 분할화상(35)의 시퀀스는,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31)에 분배되고(S31),각 단위부호화부(31)에 있어서 부호화된다.
이하의 단계 S32 내지 S33은, 각 단위부호화부(31)에 있어서 병렬로 실행된다. 각 단위부호화부(3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32)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각 분할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목표부호량(36)을 입력받은 다음, 각 분할화상 픽쳐를 다음과 같이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31)는, 담당하는 분할화상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35)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분할화상 픽쳐에 포함되는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S32). 이러한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를 반복하여 픽쳐부호화가 종료하면, 각 단위부호화부(31)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37)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32)에 전달한다(S33). 각 단위부호화부(31)로부터 출력된 각 스트림(38)은 스트림 재구성부(33)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림(39)으로 재구성된다(S34).
목표부호량 결정부(32)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6b에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단위부호화부(31)가 출력하는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을 구한다(S35).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31)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분할화상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구한다 (S36). 이상에서 설명한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과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곱하여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 37). 그리고, 과거의 픽쳐의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38).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31)가 처리할 분할화상 픽쳐의 복잡함 지표로서 단위부호화부(31)가 출력하는 픽쳐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산출함과 동시에, 각 단위부호화부(31)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39). 이상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31)에 있어서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단위부호화부(31)가 처리할 픽쳐의 목표부호량(36)으로 한다(S40).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31)가 처리할 분할화상 픽쳐의 목표부호량(36)을 결정한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31)가 담당하는 분할화상 픽쳐를 처리할 때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31)에 제공한다(S41).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영역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부호량의 배분에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표는 동일한 화상패턴이면 어떠한 양자화를 행하였는지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이 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지표의 비율에 따라 부호량배분을 행함으로써 각 영역(분할화상픽쳐)의 양자화의 정도가 거의 평균화되므로, 화면전체의 평균적인 화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이용하고 있으나, 각 파라미터를 제곱하여 곱을 취한 값, 또는 그와 같은 값끼리의 합 등을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그리고, 그 지표에 비례한 부호량배분이 아니라, 예컨대 배분이 아주 적어질 경우에는, 그것을 제한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부호화부가 병렬로 부호화를 하는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부호화부간에 픽쳐단위로 적절한 부호량을 배분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로서,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때의 동화상 부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복수의 입력화상 시퀀스(43)에 대응하는 복수의 단위부호화부(40), 목표부호량 결정부(41) 및 다중화부(MUX부)(42)로 구성된다.
이하, 도 8a의 흐름도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각 화상 시퀀스(43) 내의 픽쳐는,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40)에 입력되고(S50), 각 단위부호화부(40)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부호화된다. 이 때 각 단위부호화부(40)는, 목표부호량 결정부(41)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의 픽쳐목표 부호량(44)을 입력받은 다음 픽쳐를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40)는, 부호화할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입력된 목표부호량(44)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픽쳐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 (S51). 각 매크로 블록의 부호화를 반복하여 픽쳐부호화가 종료하면, 각 단위부호화부(40)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45)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41)에 전달한다(S52). 각 단위부호화부(40)로부터 출력된 각 비트 스트림 (46)은, MUX부(42)에 있어서 하나의 비트 스트림(47)으로 통합된다(S53).
목표부호량 결정부(4l)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8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단위부호화부(40)가 출력하는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전체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발생부호량(이하, 전체 픽쳐의 발생부호량이라 한다)을 구한다(S54).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40)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픽쳐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전체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이하, 전체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라 한다)를 구한다(S55).
이상에서 설명한 전체 픽쳐의 발생부호량과 전체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취함으로써, 전체 픽쳐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56). 그리고, 과거의 픽쳐의 전체 픽쳐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57).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40)의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으로부터 복잡함 지표를 구함과 동시에, 각 단위부호화부(40)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58).
상기와 같은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40)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화상 시퀀스(43)의 픽쳐목표 부호량(44)으로 한다(S59).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40)의 픽쳐의 목표부호량(44)을 결정한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40)가 처리할 픽쳐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40)에 제공한다(S60).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픽쳐단위의 통일적인 비율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부호량의 배분에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지표는 동일한 화상패턴이면 어떠한 양자화를 행하였거나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다 적절한 부호량배분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입력화상 분할부(50), 복수의 단위부호화부(51), 목표부호량 결정부(52) 및 스트림 재구성부(5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부호화방법으로 블록단위의 부호량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하, 도 10a의 흐름도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화상 분할부(50)에 있어서, 입력화상 시퀀스(54)의 각 픽쳐는, 복수의 분할화상(55)으로 공간적으로 분할된다(S70). 이 때 분할은, 픽쳐내에 마련되어 있는 각 매크로 블록의 영역을 분할하지 않도록 행한다. 각 분할화상(55)의 시퀀스는,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51)에 분배되고(S71), 이하의 단계 S72 내지 S73에 의해 각 단위부호화부(51)에 있어서 병렬로 부호화된다.
각 단위부호화부(5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52)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각 분할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목표부호량(56)을 입력받은 다음, 각 분할화상 픽쳐를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51)는, 담당하는 분할화상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56)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분할화상 픽쳐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S72). 분할화상 픽쳐의 부호화가 종료하면, 각 단위부호화부(51)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57)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52)에 전달한다(S73). 각 단위부호화부(51)로부터 출력된 각 스트림(58)은 스트림 재구성부(53)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림(59)으로 재구성된다(S74).
목표부호량 결정부(52)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10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단위부호화부(51)가 출력하는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을 구한다(S75). 그리고, 각 단위부호화부(51)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분할화상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구한다(S76). 이상에서 설명한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과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취함으로써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77). 그리고, 과거의 각각의 픽쳐 형태의 화면전체가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78).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51)의 복잡함 지표로서 각 단위부호화부(51)가 출력하는 픽쳐발생 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산출함과 동시에, 각 단위부호화부(5l)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79). 이러한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51)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그 단위부호화부(51)의 목표부호량(56)으로 한다(S80).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51)에 있어서의 분할화상 픽쳐의 목표부호량(56)을 결정한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51)가 동일한 픽쳐 형태의 픽쳐를 처리할 때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51)에 제공한다(S81).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량배분에 사용하는 과거의 픽쳐를 해당 픽쳐 형태의 픽쳐 형태와 동일한 것을 가지는 픽쳐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픽쳐 형태에 있어서의 DCT 대상의 픽쳐패턴의 차이에 있어서의 영향을 고려한 부호량 배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부호화부가 병렬로 부호화를 하는 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에 있어서, 각 부호화부간에 픽쳐단위의 적절한 부호량 배분을 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향상된다.
[제6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할화상을 복수의 단위부호화부에서 병렬로 부호화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부호화부에서 시분할로 각 분할화상을 부호화한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입력화상 분할부(60),부호화부(61),목표부호량 결정부(62) 및 스트림 재구성부(63)로 구성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부호화방법으로 블록단위의 부호량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하, 도 12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1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력화상 분할부(60)에 있어서, 입력화상 시퀀스(64)의 각 픽쳐는 복수의 분할화상(65)으로 공간적으로 분할된다(S90). 이 때 분할은, 픽쳐 내에 마련되어 있는 각 매크로 블록의 영역을 분할하지 않도록 행한다. 각 분할화상(65)의 픽쳐는 각각의 부호화부(61)로 차례대로 전송된 다음(S91), 부호화부(61)에 있어서 부호화된다. 다만, 부호화부(61)를 실현하기 위한 실체는 하나만 존재하므로, 각 화상 시퀀스의 픽쳐는 시분할로 시간적으로 직렬로 부호화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부호화부(61)는, 복수의 시퀀스의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억매체를 가지고 있다.
부호화부(6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62)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분할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목표부호량(66)을 입력받은 다음, 각 픽쳐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부(61)는, 부호화처리할 분할화상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66)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분할화상 픽쳐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S92).
각 분할화상 픽쳐의 부호화가 종료하면, 부호화부(61)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67) 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62)에 전달한다(S93). 이상의 단계 S91 내지 S93을 전체 분할화상에 대한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한다. 부호화부(61)로부터 출력된 각 분할화상 시퀀스의 스트림(68)은 스트림 재구성부(63)에 있어서 하나의 스트림(69)으로 재구성된다(S94).
목표부호량 결정부(62)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12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부호화부(61)가 출력하는 각 분할화상의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을 구한다(S95). 그리고, 부호화부(61)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분할화상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구한다(S96). 이상에서 설명한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과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취함으로써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97). 그리고, 과거의 픽쳐의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 중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98).
다음, 각 분할화상의 복잡함 지표로서 부호화부(61)가 출력하는 픽쳐발생 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산출함과 동시에, 부호화부(61)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99). 이러한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분할화상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분할화상의 목표부호량(66)으로 한다(S100).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분할화상의 픽쳐에 대한 목표부호량(66)을 결정한 다음, 부호화부(61)가 동일한 픽쳐 형태의 분할화상 픽쳐를 처리할 때의 목표부호량으로서 부호화부(61)에 제공한다(S101).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량 배분에 사용하는 과거의 픽쳐를 해당 픽쳐 형태의픽쳐 형태와 동일한 것을 가지는 픽쳐로 한정하고 있다. 따라서, 픽쳐 형태에 있어서의 DCT 대상인 화상패턴의 차이에 있어서의 영향을 고려한 부호량 배분을 할 수 있으므로 화질이 향상된다.
[제7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는, 처리화상 내에 복수의 영역을 설정한 다음, 발생 부호량을 제어하는 처리만을 각 영역마다 따로따로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방법으로 처리 블록 단위의 부호량 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발생부호량 제어부로서 DCT 계수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양자화부(72)가 적합한다.
이하, 도 14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3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움직임 보상부(70)는, 입력화상 시퀀스(75)에 대하여 움직임 보상을 한 다음(S110), 그 결과인 예측오차 화상(76)을 DCT부(71)로 전송한다. DCT부(71)는, DCT 계수(77)를 구하여 각 영역마다의 양자화부(72)로 전송한다(S 11l). 각 양자화부(72)는 픽쳐의 각 영역내의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결정을 시작할 때, 목표부호량 결정부(73)로부터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78)을 입력받은 후에 시작한다. 다만, 양자화부(72)는 복수개 존재하며, 그들이 병렬로 동작한다.
각 양자화부(72)는, 각 영역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 결정부(73)로부터입력된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78)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영역내의 각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112). 각 양자화부(72)는 그 영역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결정이 종료하면, 그 영역의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79)를 목표부호량 결정부(73)에 전달한다(S113). 가변길이 부호화부(74)는, 결정된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가변길이 부호화를 행한다(S114).
목표부호량 결정부(73)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14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목표부호량 결정부(73)는, 각 영역의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을 구한다(S115). 다음, 목표부호량 결정부(73)는, 각 영역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영역의 크기로부터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구한다(S116). 다음,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과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구한다(S117). 그리고, 과거의 각각의 픽쳐 형태에 있어서의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118).
다음, 각 영역의 복잡함 지표로서 영역이 출력하는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산출함과 동시에, 각 영역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119). 이러한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영역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으로 한다(S120).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영역의 목표부호량(78)을 결정한 다음, 동일한 픽쳐 형태를 처리할 때의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영역을 담당하는 양자화부(72)에 제공한다(S121).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각각의 픽쳐처리시마다 부호화대상의 각 부분의 과거의 특성을 반영한 부호량이 각 부분에 목표값으로서 할당되므로, 화상전체의 부호량의 배분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절해져,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픽쳐부호화 개시시마다 픽쳐내에 설정한 복수의 영역마다의 적절한 목표부호량을 과거의 픽쳐의 영역마다의 정보로부터 결정하고, 그에 따라 영역마다 부호량제어를 행함으로써 보다 고화질의 부호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양자화부에서 병렬로 양자화를 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영역의 DCT 계수는 하나의 양자화부(82)에서 시분할로 시간적으로 직렬로 처리된다. 도 15의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처리화상 내에 복수의 영역을 설정한 다음, 발생부호량을 제어하는 처리만을 각 영역마다 따로따로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부호화방법으로 처리 블록단위의 부호량제어가 가능한 부호화방법 구체적으로는 MPEG 1, MPEG 2 또는 H.26x 등과 같은 국제표준 부호화방법에 대응한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발생부호량 제어부로 DCT계수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양자화부(82)가 적합한다.
이하, 도 16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5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움직임 보상부(80)는, 입력화상 시퀀스(85)에 대하여 움직임 보상을 행한 다음(S130), 그 결과인 예측오차 화상(86)을 DCT부(81)로 전송한다. DCT부(81)는 DCT 계수(87)를 구하여(S131), 양자화부(82)로 전송한다. 양자화부(82)는 픽쳐의 각 영역내에 있어서의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결정을 목표부호량 결정부(83)로부터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88)이 입력된 후에 시작한다. 다만, 양자화부(82)를 실현하기 위한 실체는 하나이므로, 각 영역의 양자화는 이하에 설명하는 처리에 의해 시분할로 시간적으로 직렬로 행해진다.
양자화부(82)는, 각 영역의 발생부호화량이 목표부호량 결정부(83)로부터 주어진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88)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영역내의 각 매크로 블록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한다(S132). 양자화부(82)는, 각 영역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결정이 종료하면, 그 영역의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89)를 목표부호량 결정부(83)에 전달한다(S133). 이상의 단계 Sl32 내지 S133을 전체 영역에 대한 처리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한다. 가변길이 부호화부(84)는, 양자화부(82)에 의해 결정한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가변길이 부호화를 행한다(S134).
목표부호량 결정부(83)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16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목표부호량 결정부(83)는, 각 영역의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을 구한다(S135). 각 영역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영역의 크기로부터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를 구한다(S136). 다음, 화면전체의 복잡함 지표로서, 이상에서 설명한 픽쳐전체의 발생부호량과 픽쳐전체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구한다(S137). 그리고, 과거의 각각의 픽쳐 형태의 픽쳐전체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으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138).
다음, 각 영역의 복잡함 지표로서, 각 영역이 출력하는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산출함과 동시에, 각 영역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 (S139). 이러한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영역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픽쳐전체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으로 한다(S140).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영역의 목표부호량(89)을 결정한 다음 동일한 픽쳐 형태를 처리할 때의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영역을 담당하는 양자화부(82)에 제공한다(S141).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각각의 픽쳐처리시마다 부호화대상의 각 부분의 과거의 특성을 반영하여 부호량이 각 부분에 목표값으로서 할당되므로, 픽쳐전체의 부호량의 배분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절해져,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픽쳐부호화 개시시마다 픽쳐내에 설정한 복수의 영역마다의 적절한 목표부호량을 과거의 픽쳐의 영역마다의 정보로부터 결정하고, 그에 따라 영역마다 부호량제어를 행함으로써 고화질의 부호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제9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로서,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다중화하여 전송할 때의 동화상 부호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복수의 입력화상 시퀀스(93)에 대응하는 복수의단위부호화부(90), 목표부호량 결정부(91) 및 다중화부(MUX부)(92)로 구성된다.
이하, 도 18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7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화상 시퀀스(93) 내의 픽쳐는,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90)에 입력되고(S 150), 각 단위부호화부(90)에 있어서 이하의 처리에 의해 부호화된다. 이 때, 각 단위부호화부(90)는, 목표부호량 결정부(91)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픽쳐의 픽쳐목표 부호량(94)이 입력받은 후에 픽쳐를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90)는, 부호화할 픽쳐의 발생부호량이 입력된 목표부호량(94)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픽쳐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 (S151). 픽쳐부호화가 종료하면, 각 단위부호화부(90)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95)와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91)에 전달한다(S152). 각 단위부호화부(90)로부터 출력된 각 비트 스트림(96)은, MUX부(92)에 있어서 하나의 비트 스트림(97)으로 통합된다(S153).
목표부호량 결정부(91)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18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목표부호량 결정부(91)는, 각 단위부호화부(90)가 출력하는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전체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발생부호량(이하, 전체 픽쳐의 발생부호량이라 한다)을 구한다(S154). 그리고, 각 단위부호화부(90)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픽쳐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전체 화상 시퀀스의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이하, 전체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라 한다)를 구한다(S155). 이상에서설명한 전체 픽쳐의 발생부호량과 전체 픽쳐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취함으로써 전체 픽쳐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156). 그리고, 과거의 픽쳐의 전체 픽쳐의 복잡함 지표와 처리중인 GOP의 나머지 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157).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90)의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으로부터 복잡함 지표를 구함과 동시에, 각 단위부호화부(90)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158). 이러한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어느 단위부호화부(90)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전체 픽쳐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화상 시퀀스(93)의 픽쳐목표부호량(94)으로 한다(S159).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90)의 픽쳐의 목표부호량(94)을 결정한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90)가 처리하는 동일한 픽쳐 형태의 픽쳐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90)에 제공한다(S160).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시퀀스를 픽쳐단위의 통일적인 비율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부호량의 배분에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표는 동일한 화상패턴이면 어떠한 양자화를 행하였는지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다 적절한 부호량 배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픽쳐 형태에 의한 화상의 복잡함의 편재도 픽쳐 형태별 부호량배분 결정처리를 함으로써 문제없이 처리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화상 부호화장치는, 전단에서 이미 만들어진 복수의 비디오오브젝트 시퀀스를 통일적인 비율제어 하에서 부호화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부호화방법으로는 MPEG 4을 이용한다.
이하, 도 20a의 흐름도에 따라 도 19에 도시한 동화상 부호화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각 비디오 오브젝트 시퀀스(104) 내의 비디오 오브젝트 플레인(이하, VOP라 한다)은 각각에 대응하는 각 단위부호화부(l01)로 입력되고(S170), 각 단위부호화부(101)에 있어서 부호화된다. 그리고, 여기에서, 비디오 오브젝트 내의 VOP란 통상의 화상 시퀀스 내의 픽쳐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때, 각 단위부호화부(101)는, 목표부호량 결정부(102)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VOP의 목표부호량(105)을 입력받은 후 VOP를 부호화한다. 각 단위부호화부(10l)는, 부호화할 VOP의 발생부호량이 목표부호량 결정부(102)로부터 입력된 목표부호량(105)과 일치하도록 부호량을 제어하면서, 그 VOP의 각 매크로 블록을 부호화한다(S171). VOP 부호화가 종료하면, 각 단위부호화부(101)는, 발생부호량, 평균양자화 파라미터(106) 등과 같은 정보를 목표부호량 결정부(102)에 전달한다(S172). 각 단위부호화부(101)로부터 출력된 각 비트 스트림(l07)은 MUX부(103)에 있어서 하나의 비트 스트림(l08)으로 통합된다(S173).
목표부호량 결정부(102)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동작을 한다. 이를 도 20b에 도시한 흐름도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목표부호량 결정부(102)는, 각 단위부호화부(101)가 출력하는 발생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전체 오브젝트 시퀀스의 VOP의 발생부호량(이하, 전체 VOP의 발생부호량이라 한다)을 구한다(S174). 그리고, 각 단위부호화부(101)가 출력하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각 VOP의 크기의 비율로부터, 전체 오브젝트 시퀀스의 VOP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이하, 전체 VOP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라 한다)를 구한다(S175). 이상에서 설명한 전체 VOP의 발생부호량과 전체 VOP의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취함으로써 전체 VOP의 복잡함 지표를 구한다(S176). 그리고, 과거의 VOP의 전체 VOP의 복잡함 지표와 나머지 이용가능한 부호량의 합계로부터 지금부터 처리할 전체 VOP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한다(S177).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101)의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으로부터 복잡함 지표를 구함과 동시에, 각 단위부호화부(101)의 복잡함 지표의 합계를 산출한다(S178). 이 복잡함 지표의 합계에 대한 각 단위부호화부(101)의 복잡함 지표의 비율과 상술한 전체 VOP의 목표부호량의 곱을 각 비디오 오브젝트 시퀀스(104)의 VOP의 각 단위부호화부(101)에 대한 목표부호량(105)으로 한다(S179). 이와 같이 하여, 각각의 단위부호화부(l01)의 VOP의 목표부호량(105)을 결정한 다음, 각 단위부호화부(101)가 처리할 동일한 부호화 형태의 VOP의 목표부호량으로서 각 단위부호화부(101)에 전송한다(S180).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 시퀀스를 VOP 단위의 통일적인 비율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발생부호량과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의 곱을 부호량의 배분에 이용하고 있는데, 이 지표는 동일한 화상패턴이면 어떠한 양자화를 행하였는지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이 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다 적절한 부호량배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제3, 제5 실시예에 있어서, 도 2a, 도 2b, 도 6a, 도 6b 및 도 10a, 도 10b의 흐름도에 나타낸 부호화순서 및 도 1, 도 5, 도 9의 블록도에 나타낸 입력화상 분할부(10, 30, 50), 단위부호화부(11, 31, 51), 목표부호량 결정부(12, 32, 52), 스트림 재구성부(13, 33, 53)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RO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가 읽도록 하여 실행함으로써 입력화상 시퀀스의 부호화를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2, 제4, 제9 및 제10 실시예에 있어서, 도 4a, 도 4b, 도 8a, 도 8b, 도 18a, 도 18b 및 도 20a, 도 20b의 흐름도에 나타낸 부호화순서 및 도 3, 도 7, 도 19의 블록도에 나타낸 단위부호화부(20, 40, 90, 101), 목표부호량 결정부(21, 41, 91, 102), MUX부(22, 42, 92, 103)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RO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가 읽도록 하여 실행함으로써 입력화상 시퀀스의 부호화를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6 실시예에 있어서, 도 12a, 도 12b의 흐름도에 나타낸 부호화순서 및 도 11의 블록도에 나타낸 입력화상 분할부(60), 부호화부(61), 목표부호량 결정부(62), 스트림 재구성부(63)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RO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가 읽도록 하여 실행함으로써 입력화상 시퀀스의 부호화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7, 제8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a, 도 14b 및 도 16a, 도 16b의 흐름도에 나타낸 부호화순서 및 도 13 및 도 15의 블록도에 나타낸 움직임 보상부(70, 80), DCT부(71, 81), 양자화부(72, 82), 목표부호량 결정부(73, 83), 가변길이 부호화부(74, 84)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CD-ROM,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상기 컴퓨터가 읽도록 하여 실행함으로써 입력화상 시퀀스의 부호화를 행하여도 좋다.
상술된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다양한 구성을 가지는 부호화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고화질의 부호화를 가능하게 하는 부호화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픽쳐의 각 부분에 대한 처리시마다 부호화대상의 각부분에 있어서의 과거의 특성을 반영한 부호량이 목표값으로서 각 부분에 할당되므로, 화상 전체의 부호량의 배분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적절해져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픽쳐부호화 개시시마다 픽쳐내에 설정한 복수의 영역마다의 적절한 목표부호량을 과거의 픽쳐의 영역마다의 정보로부터 결정하고, 이에 따라 영역마다 부호량제어를 함으로써 보다 고화질의 부호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 영역의 목표부호량을 설정하기 위한 구성이 새로이 요구되는데, 각 영역내의 부호량 제어방법은 새로이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실장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픽쳐의 부호화처리 개시시 각 부호화부에 목표부호량을 부여한 다음에는 각 부호화부가 독립적으로 부호화처리를 할 수 있으므로, 픽쳐의 각 부분을 복수의 단위부호화부가 병렬로 부호화하는 부호화장치 및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단위부호화부를 이용하여 부호화처리를 병렬로 행하는 부호화 시스템의 적절한 부호량제어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부호화에 필요한 처리량이 과다해지는 등 실장상의 문제가 있어 픽쳐를 분할하고, 분할한 각 부분을 복수의 부호화부에서 부호화해야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부호화 제어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부호화부에 의해 픽쳐의 전체 영역을 부호화하는 경우와 같거나 그 이상의 화질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 이외에도 이상과 같은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화상 시퀀스에 대하여 통일적인 부호량제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화상의 부호화에 있어서 고화질의 부호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복수의 부호화장치로 이루어지는 동화상의 부호화에 있어서는, 고성능 및 고화질의 부호화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목표 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부호화 처리정보에서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는 목표부호량 결정부; 및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상기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행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2.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각 영역마다 병렬로 부호화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목표 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부호화 처리정보에서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는 목표부호량 결정부; 및
    상기 픽쳐의 각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상기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병렬로 행하는 복수의 부호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는, 상기 부호화처리정보로서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부호화처리정보로서 사용하는 복잡함을 나타내는지표는,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발생부호량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5.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구하여 픽쳐 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이용하여,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는 목표부호량 결정부; 및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행하는 부호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부호화처리정보를 집계하는 픽쳐로서, 부호화처리할 픽쳐와 동일한 픽쳐 형태를 가지는 픽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6.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를 각 영역마다 병렬로 부호화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구하여 픽쳐 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이용하여,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는 목표부호량 결정부; 및
    상기 픽쳐의 각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병렬로 행하는 복수의 부호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목표부호량 결정부가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부호화처리정보를 집계하는 픽쳐로서 부호화처리할 픽쳐와 동일한 픽쳐 형태를 가지는 픽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장치.
  7.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목표 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부호화 처리정보에서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처리정보로서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9. 제 16항에 있어서,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발생부호량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복잡함 지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10.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에 있어서,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구하여, 픽쳐 전체의 목표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이용하여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고,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상기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부호화처리정보를 집계하는 픽쳐로서 부호화처리할 픽쳐와 동일한 픽쳐 형태를 가지는 픽쳐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부호화방법.
  11.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픽쳐의 영역마다의 부호화처리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마다 픽쳐 전체의 목표 부호량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와 영역마다의 부호화 처리정보에서 픽쳐의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 및
    컴퓨터가, 결정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2.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부호화처리정보로서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에 따라 목표부호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평균양자화 파라미터와 발생부호량의 곱으로 나타내어지는 복잡함 지표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14.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픽쳐에 대하여 각 영역마다 부호화를 행하고, 또한 한개의 부호화 비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결정한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따라 픽쳐의 각 영역에 대한 발생 부호량이 상기 각 영역마다의 목표부호량에 일치하도록 픽쳐의 각 영역의 부호화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복잡함을 나타내는 지표를 산출하기 위한 부호화 처리정보를 집계하는 픽쳐으로서 부호화처리할 픽쳐와 동일한 픽쳐 형태를 가지는 픽쳐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19990039852A 1998-09-25 1999-09-16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Expired - Lifetime KR100324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79498A JP3393595B2 (ja) 1998-09-25 1998-09-25 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動画像符号化方法
JP10-270794 1998-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222A KR20000023222A (ko) 2000-04-25
KR100324471B1 true KR100324471B1 (ko) 2002-02-27

Family

ID=1749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852A Expired - Lifetime KR100324471B1 (ko) 1998-09-25 1999-09-16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93595B2 (ko)
KR (1) KR100324471B1 (ko)
GB (1) GB23449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12079D0 (en) * 1999-05-24 1999-07-21 Motorola Ltd An image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4534106B2 (ja) * 2000-12-26 2010-09-01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システム及び方法
JP3914212B2 (ja) * 2004-03-05 2007-05-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194334B2 (ja) * 2015-06-10 2017-09-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方法及び映像符号化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8981A (ja) * 1993-03-11 1994-09-22 Hitachi Denshi Ltd 画像データ符号化装置
JPH06303590A (ja) * 1993-04-13 1994-10-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並列処理画像符号化方法及び復号化方法
BE1007808A3 (nl) * 1993-11-30 1995-10-24 Philips Electronics Nv Inrichting voor het coderen van een videosignaal.
US5969764A (en) * 1997-02-14 1999-10-19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Adaptive video coding method
US6023296A (en) * 1997-07-10 2000-02-08 Sarnoff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 based rate control in a coding system
US5986712A (en) * 1998-01-08 1999-11-1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ybrid global/local bit rate control
WO1999038316A2 (en) * 1998-01-26 1999-07-29 Tiernan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vanced television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222A (ko) 2000-04-25
GB2344954B (en) 2003-04-09
GB9922507D0 (en) 1999-11-24
JP2000102003A (ja) 2000-04-07
JP3393595B2 (ja) 2003-04-07
GB2344954A (en) 200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2917B2 (en) Quant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encoding/decoding
CN1130921C (zh) 对视频信息预测编码的方法和装置
KR101651299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CN105284112B (zh) 用于确定量化参数的值的方法和装置
EP1341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attern vectors for video and image coding and decoding
CN112565757B (zh) 基于通道差异化的点云属性编码及解码方法、装置及系统
KR20050105271A (ko) 비디오 인코딩
US2011018876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770476B2 (ja) ビデオ符号化に於いてレート制御を正確に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225343B (zh) 一种视频编码的码率控制方法及装置
US20040234150A1 (en) Quantization matrix adjusting method for avoiding underflow of data
CN101107862A (zh) 编码装置及具备编码装置的动态图像记录系统
JP2003032677A (ja) 動画像圧縮符号化装置
CN1110776C (zh) 压缩来自视频图像的数字数据的方法和设备
CN115174907B (zh) 视频压缩码率控制的方法及装置
KR100324471B1 (ko) 동화상 부호화장치, 동화상 부호화방법 및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O2015050483A1 (en) Encoder and method for video processing
FI97591B (fi) Kuvankoodauslaite
Yuan et al. Global rate-distortion optimization of video-based point cloud compression with differential evolution
CN116320396A (zh) 限制运动矢量差的偏移量取值范围的数据压缩方法和装置
KR100624404B1 (ko) 사람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CN110677646A (zh) 一种基于cpu+gpu混合编码的帧内编码预测方法
JP2000270323A (ja) 画像信号の符号化制御装置
JPH02264585A (ja) 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
JPH0671333B2 (ja) 画像信号の符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031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