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14B1 - Hose Clamp and Pipe - Google Patents
Hose Clamp and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1614B1 KR100321614B1 KR1019990041754A KR19990041754A KR100321614B1 KR 100321614 B1 KR100321614 B1 KR 100321614B1 KR 1019990041754 A KR1019990041754 A KR 1019990041754A KR 19990041754 A KR19990041754 A KR 19990041754A KR 100321614 B1 KR100321614 B1 KR 100321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se
- clamp
- pipe
- forc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호스를 접속 파이프와 체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클램프에 있어서, 호스 클램프 내부에 클램프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가지도록 하여, 호스가 체결될 파이프에 구성된 돌출부위에 체결함으로써, 체결력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for clamping a hose, particularly in a clamp used to fasten a rubber hose with a connecting pipe, wherein a protrusion formed in a pipe to which the hose is to be fastened by having a guide groove in the clamp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hose clamp. By fastening above, it is related with the hose clamp which clamps the clamping force and drawing force which remarkably strengthened, and the hose clamp which markedly strengthens the pulling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스 체결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호스를 접속 파이프와 체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클램프에 있어서, 호스 클램프 내부에 클램프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가지도록 하여, 호스가 체결될 파이프에 구성된 돌출부위에 체결함으로써, 체결력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체결용 클램프 및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for clamping a hose, particularly in a clamp used to fasten a rubber hose with a connecting pipe, wherein a protrusion formed in a pipe to which the hose is to be fastened by having a guide groove in the clamp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ide the hose clamp. By fastening above, it is related with the hose clamp and the pipe which are characterized by providing the hose clamp which remarkably strengthened the clamping force and the drawing force, and the hose clamp which markedly strengthened the pulling force.
일반적으로 고무호스와 접속 파이프를 연결하는데는 금속외피를 호스와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가압 압착하는 스웨이징(swaging) 방식과 호스 클램프를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ethod of connecting a rubber hose and a connection pipe is mainly used by a swaging method and a method of using a hose clamp that presses and compresses a metal shell to a connection portion of a hose and a pipe.
스웨이징 방식은 고압이 인가되는 곳에 사용이 가능하고 장시간에 걸쳐 체결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 호스의 교체 혹은 수리가 필요할 경우 호스 이외의 금구류(metal fittings)도 함께 교체 되어야 하며, 호스 조립시 스웨이징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품의 제조가도 높아지게 된다.The swaging method can be used where high pressure is applied and the clamping forc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but when the hose needs to be replaced or repaired, metal fittings other than the hose must be replaced together.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lso high because of the need for a gaging process.
반면, 클램프를 사용하는 방식은 스웨이징 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압이 인가되는 경우에 사용 가능하며 호스와 파이프 연결시 클램프를 사용하여 비교적 손쉽게 체결할 수 있으며, 수리 및 교환도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반복적인 압력이 장시간 인가될 경우 호스가 파이프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lamp method can be used when relatively low pressure is applied compared to the swaging method, and can be fastened relatively easily by using a clamp when connecting a hose and a pipe,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repair and replace. However, since the fastening force is relatively weak,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ose is released from the pipe when repeated pressure is applied for a long time.
이하에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일반적인 호스 클램프(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금속 평판재를 구부려 원형 고리상으로 만들고, 원형 고리상의 한쪽 말단부(11)를 고리상의 외측으로 구부리고 그 곳에 홈(12)을 만들어 폭이 좁은 다른 한쪽의 말단부(13)를 통과시킨 다음 외측으로 구부린 형상을 가지고 있어,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서로 교차하는 양 말단을 접근시키면 원형 고리상의 내경이 증가하여 호스의 외측에 끼울 수 있으며, 양 말단의 접근을 해제시키면 금속 판재의 탄성으로 파이프와 체결이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general hose clamp 10 is made of a circular plate by bending a metal flat material as shown in FIG. 1, bending one end portion 11 of the circular ring to the outside of the ring and forming a groove 12 therein to make the other narrow. It has a shape which is bent outwardly after passing through one end portion 13, and by using a suitable tool to approach both end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the inner diameter of the circular ring increases and can b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hose, the access of both ends When released, the metal plate has a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pipe with elasticity.
호스를 파이프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나타낸 파이프(20)에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야 하며, 파이프(20)의 말단부에 완만한 돌출부(21)를 형성하여 호스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In order to fasten the hose to the pipe, a hose (not shown) must first be inserted into the pipe 20 shown in FIG. 2, and a gentle protrusion 21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pipe 20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hose. do.
호스의 삽입은 주로 파이프(20)의 두번째 돌출부(22)까지 이루어지고 두 돌출부(21, 22) 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호스 클램프를 체결함으로써, 파이프 및 호스의 내부에 유체가 흐를 경우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체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어 호스가 팽창, 수축을 반복하더라도 호스의 유동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호스가 파이프(20)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insertion of the hose is mainly up to the second protrusion 22 of the pipe 20 and between the two protrusions 21, 22 by fastening the hose clamps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hereby fluid flows inside the pipe and the hose. In addition to preventing leakage, the fluid is applied to prevent the flow of the hose even if the hose is repeatedly expanded and contracted,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hos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pipe 20 even in a long time use.
하지만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자동차등과 같이 반복적인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고 또한 높은 주변 온도 및 파이프와 호스의 내부로 이동되는 유체에 의한 고무의 노화가 발생하는 조건하에서 특히 파이프와 호스의 내부로 전달되는 유체에 의한 반복적인 압력이 작용할 경우 호스와 파이프의 체결력이 약해짐으로 인하여 호스가 파이프로 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is structure alone is affected by repetitive vibrations such as automobiles, and also fluid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pipes and hoses, especially under conditions where high ambient temperatures and aging of rubber are caused by fluids moving inside the pipes and hoses. When the repeated pressure acts, the hose is often separated from the pipe due to the weakening of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hose and the pipe.
이러한 호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기술로는 주로 클램프의 조임력을 향상시키고 그 힘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어져 왔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detachment of the hose, a variety of method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ior art mainly to improve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 and to maintain the force for a long time.
호스 클램프(10)의 체결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클램프로 사용되는 금속 평판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금속 판재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면 호스를 체결하기 위하여 클램프를 변형시켰을 경우 클램프가 영구변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판재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에는 제약이 따르게 된다.In order to strengthen the clamping force of the hose clamp 10,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used as the clamp, but if the thickness of the metal sheet becomes too thick, the clamp may cause permanent deformation if the clamp is deformed to fasten the hose. Therefore, there is a restriction in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plate.
또한, 도 1에 보인 클램프의 외측에 또다른 평판재를 덧대어 체결력을 증가시킨 이중 클램프를 사용하거나, 도 3에서와 같이 클램프(10)의 외부에 나선형상의 탄성체(14)를 부가함으로써 체결력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he clamping force can be increased by using a double clamp, which is provided with another flat material outside the clamp shown in FIG. 1 to increase the clamping force, or by adding a spiral elastic body 14 to the outside of the clamp 10 as shown in FIG. Increasing methods are also used.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는 있으나, 클램프 본체 이외의 부가적으로 외측의 클램프 및 나선형상의 보조재료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료비 및 공정비용의 상승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 하지 못하다.However, this method can enhance the tightening force, bu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requires the use of the outer clamp and the spiral auxiliary material in addition to the clamp body, which causes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and process cost.
즉, 도 1과 도 2의 호스 클램프 및 파이프 형태는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질 경우 호스가 파이프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클램프의 조임력 증가가 필요하나, 금속 평판재의 두께를 증가시켜 조임력을 높일 경우 호스 체결을 위하여 원형 고리상의 클램프의 직경을 증가시킬 경우 클램프가 소성변형을 일으키어 파이프에 체결후 조입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 이중의 클램프를 사용하거나 탄성 보강체를 클램프에 부가하는 방식은 재료비 및 공정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며 작업공정도 늘어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That is, the hose clamps and pipes of FIGS. 1 and 2 form a case in which the hose is released from the pipe when repeated pressure is applied. In order to prevent such separation,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 needs to be increased, but the thickness of the metal plate is increased. If you increase the tightening force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clamp on the circular ring to tighten the hose, the clamp may cause plastic deformation, the tightening input may be weakened after fastening to the pipe, using a double clamp or elastic reinforcement The method of adding to the clamp causes a rise in material costs and process costs, and increases the work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고무호스를 접속 파이프와 체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클램프 및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호스 클램프 및 파이프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체결력 및 인발력을 유지토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n the clamp and the pipe used to fasten the rubber hose with the connecting pipe, the problem that the hose clamp and pipe had, while at the same time excellent tightening force And to maintain the pulling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호스 클램프 내부에 클램프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가지도록 하여, 호스가 체결될 파이프에 구성된 돌출부위에 체결함으로써, 체결력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 및 인발력을 현저히 강화시킨 호스 클램프 및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By providing a guide gro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lamp inside the hose clamp, and fastening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ipe to which the hose is to be fastened, thereby providing a hose clamp and a pipe that significantly strengthens the clamping force and the pulling force, and a hose clamp and the pipe that significantly enhances the pulling force There is this.
도 1은 종래의 호스 클래프.1 is a conventional hose clap.
도 2는 종래의 파이프의 호스 체결부.2 is a hose fastening portion of a conventional pipe.
도 3은 종래의 탄성 보강체로 강화된 호스 클램프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of a hose clamp reinforced with a conventional elastic reinforcemen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호스 클램프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돌기부를 갖는 파이프의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pipe having a projec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 호스 클램프의 정면도.Figure 6a is a front view of the hos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 호스 클램프의 배면도.Figure 6b is a rear view of the hos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a, 1b: 호스 체결용 클램프 2, 3: 돌기편1a, 1b: Hose clamp 2, 3: protrusion
4: 가이드 홈 10: 호스 체결용 클램프4: guide groove 10: clamp for hose connection
20: 파이프20: pipe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호스 클램프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se c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 호스 클램프의 정면도.Figure 6a is a front view of the hos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 호스 클램프의 배면도로써,Figure 6b is a rear view of the hos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같이, 호스 클램프(10)는 1장의 금속 평판재를 구부려서 원형 고리상으로 된 클램프의 본체(1a, 1b)의 한쪽 끝단을 외측으로 구부려 돌기편(2)을 형성하고, 이 돌기편(2)의 내부를 통과하는 홈(5)을 형성하고, 다른 한 끝 단부를 이 홈(5)을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이 끝단을 외부로 구부려 돌기편(3)을 형성함과 동시에 클램프의 본체(1a, 1b)에 원주방향으로 적당한 폭을 가지는 가이드 홈(4)을 형성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ose clamp 10 bends one metal flat material to bend one end of the main bodies 1a and 1b of the clamp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to the outside to form the projection piece 2, and the projection piece (2) forms a groove (5)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allows the other end to move through the groove (5), and then bend this end to the outside to form the projection piece (3) Guide grooves 4 having an appropriate wid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main bodies 1a and 1b of the clamp.
단, 호스 클램프(10)의 가이드 홈(4)의 폭은 파이프(20)의 돌출부(23)의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사용되는 호스의 두께에 따라 적당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4 of the hose clamp 10 is general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20, bu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hose used.
상기의 호스 클램프(10)와 함께 사용되는 파이프(20)는 도 5와 같이 파이프의 말단부에 호스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진 돌출부(21) 및 그 반대편으로는 호스의 삽입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22)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클램프와 파이프가 체결되는 부위) 또 하나의 돌출부(2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pe 20 used together with the hose clamp 10 is a sloped protrusion 21 for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the hose to the distal end of the pipe as shown in Figure 5 and to fix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hose to the other side At the same time to form a protrusion 22 for the other (between the clamping portion and the pipe fasten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another protrusion 23.
돌출부(23)는 호스의 삽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특정 각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돌출부(23)의 폭과 높이 또한 호스의 직경 및 두께에 따라 적당히 조정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clined for ease of insertion of the hose,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angle, and the width and height of the protrusion 23 may also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the hose.
또한,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10) 및 파이프(20)를 사용하여 더욱 높은 체결력 및 인발력을 얻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의 본체부(1a, 1b)의 외측에 고리상의 판재를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d a ring-shaped plat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a, 1b) of the hose clamp using the hose clamp 10 and the pip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btain a higher clamping force and pull force Do.
상기와 같이 구성된 호스 클램프(10) 및 파이프(20)는 호스와 체결되었을때 가이드홈(4)이 파이프의 돌출부(23)에 위치하게 되어 돌출부(23)의 양쪽에서 조임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종래의 호스 클램프 및 파이프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월등한 체결력 및 인발력을 가지게 되어 반복적으로 고압이 인가되는 자동차 호스 등의 부품에 사용될 경우 제품의 수명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hose clamp 10 and the pipe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4 is located in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when the hose is fastened to exert a tightening force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23,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ife and stability of the product when used in parts such as automotive hoses that are repeatedly applied to high pressure as having a superior clamping force and pull force than when using a hose clamp and a pipe.
한편,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10) 및 파이프(20)를 이용하여 호스를 체결하고자 할 경우 먼저 호스를 파이프(20)에 최고 우측의 돌출부(22)까지 끼워 넣은 다음 클램프를 호스의 외측에 끼우고 돌기편(2, 3)을 각각 접근시켜 클램프의 직경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호스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클램프(10)의 가이드 홈(4)을 파이프의 돌출부(23)에 위치시킨 다음 돌기편(2, 3)의 접근을 해제하면 클램프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조임력을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ose is to be fastened using the hose clamp 10 and the pip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se is first inserted into the pipe 20 up to the protrusion 22 of the rightmost side, and then the clamp is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hose. It is possible to move on the hose in the state where the diameter of the clamp is increased by approaching the protruding pieces 2 and 3, respectively, and the guide groove 4 of the clamp 10 is placed on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and then the protruding piece ( When 2, 3) is released, the clamping force is obtained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clamp.
이때 클램프의 본체(1a, 1b)가 파이프의 돌기부위(23)에 위치시킨 다음 돌기편(2, 3)의 접근을 해제하면 클램프(1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조임력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main body (1a, 1b) of the clamp is located on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and then release the access of the protrusion (2, 3) will have a tightening forc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clamp (10).
또한, 이때 클램프의 본체(1a, 1b)가 파이프(20)의 돌기부위(23)의 양쪽에서 각각 조임력을 발휘하게 된다.Further, at this time, the main bodies 1a and 1b of the clamp exert a tightening force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23 of the pipe 20.
즉, 파이프의 돌출부(23)가 또하나의 장애물을 형성하고, 그 둘레 양쪽으로 클램프의 본체(1a, 1b)가 조임력을 발휘하여 진동 및 반복적인 압력의 인가에 따른 호스의 움직임이 최소화 되며, 고압이 인가되는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체결력 및 인발력을 유지할 수 있어 호스가 파이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forms another obstacle, and the main bodies 1a and 1b of the clamp exert a tightening force on both sides of the pipe to minimize the movement of the hose due to the vib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repetitive pressure.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under the condition that high press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xcellent clamping force and pull force to prevent the hose from leaving the pipe.
본 발명의 호스 클램프(10)의 직경 및 폭은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클램프의 가이드 홈(4)의 폭 및 파이프(20)의 돌출부(23)의 폭은 체결될 호스의 직경 및 두께에 따라 적당하게 조정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호스 클램프(10)의 가이드 홈(4)의 폭이 파이프(20)의 돌기부에 비하여 넓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meter and width of the hose clamp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y value, 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4 of the clamp and the width of the protrusion 23 of the pipe 20 and the diameter of the hose to be fastened and Although i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it is generally preferred that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4 of the hose clamp 10 is wider than the protrusion of the pipe 20.
또한, 더욱 체결력을 얻기 위하여 도 4의 호스 클램프 본체(1a, 1b)의 외부에 고리모양의 판재를 부가하여 조임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tightening force by adding a ring-shaped plate to the outside of the hose clamp bodies 1a and 1b of FIG.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고무호스를 접속 파이프와 체결하는데 사용되어지는 클램프 및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호스 클램프 및 파이프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체결력 및 인발력을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hose clamps and pipes in clamps and pipes used to fasten rubber hoses to connecting pipes,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excellent clamping force and pull-out force even in long-term use. to provid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1754A KR100321614B1 (en) | 1999-09-29 | 1999-09-29 | Hose Clamp and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41754A KR100321614B1 (en) | 1999-09-29 | 1999-09-29 | Hose Clamp and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9119A KR20010029119A (en) | 2001-04-06 |
KR100321614B1 true KR100321614B1 (en) | 2002-02-02 |
Family
ID=1961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175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1614B1 (en) | 1999-09-29 | 1999-09-29 | Hose Clamp and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2161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172B1 (en) | 2006-09-19 | 2008-05-28 | 주식회사 세명기업 | Clamp Bonding Device for Automotive Rubber Hose |
KR101622961B1 (en) | 2014-12-19 | 2016-05-20 |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 Clamp for mounting ho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42275B (en) * | 2015-07-09 | 2017-05-31 | 安徽省光明粮油工业有限公司 | A kind of petroleum pipeline iron clad device of applicable multiple diameter |
CN106481620B (en) * | 2016-10-31 | 2018-06-01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Rotary type fixing support assembly |
KR101856392B1 (en) | 2016-12-28 | 2018-05-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ciprocating compressor |
-
1999
- 1999-09-29 KR KR1019990041754A patent/KR1003216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33172B1 (en) | 2006-09-19 | 2008-05-28 | 주식회사 세명기업 | Clamp Bonding Device for Automotive Rubber Hose |
KR101622961B1 (en) | 2014-12-19 | 2016-05-20 |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 Clamp for mounting ho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29119A (en) | 2001-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63802B2 (en) | Device for hose fitting | |
US10352488B2 (en) | Connection system for connecting PEX tubing to a fitting which includes a clamp | |
JP4929864B2 (en) | Piping joint device | |
US5029907A (en) | Band for effecting a seal | |
EP0633991B1 (en) | Flexible pipe joint | |
SK278545B6 (en) | The connecting element for quick connection of the flexible tubing and pipe | |
US20170152974A1 (en) | Hose-line connector and line assembly | |
SK281437B6 (en) | High-pressure hose joint with nippl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 |
US4969240A (en) | Expandible elastic clamping strap for end portions of hoses and the like | |
CN102478137B (en) | Clamp for hose | |
US7108291B2 (en) | Clip coupling | |
KR100321614B1 (en) | Hose Clamp and Pipe | |
US6773040B2 (en) | Spacer-less type pipe joint and packing ring used for the same | |
WO2020031981A1 (en) | Hose clamp | |
US4699404A (en) | Flexible PVC coupling--"Flexfix" | |
CN214699612U (en) | Self-opening spring hoop | |
US5605355A (en) | Device for coupling a pipe on an insert having a zone of weakness | |
ITBS20000058A1 (en) | COMPRESSION FITTING FOR PIPES | |
JP2006300127A (en) | Fastener | |
JP2001041373A (en) | Expansion tube coupling | |
CN212564728U (en) | hose clamp | |
CN211667318U (en) | Pipe fitting capable of being connected in bidirectional clamping and pressing mode | |
KR0163238B1 (en) | Hose clamps | |
JPH10252959A (en) | Separation prevention fitting | |
JPH09112775A (en) | Resin tube connecting structural body and resin tube pressing method there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2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