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970B1 - 마찰클러치 - Google Patents
마찰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20970B1 KR100320970B1 KR1019920022385A KR920022385A KR100320970B1 KR 100320970 B1 KR100320970 B1 KR 100320970B1 KR 1019920022385 A KR1019920022385 A KR 1019920022385A KR 920022385 A KR920022385 A KR 920022385A KR 100320970 B1 KR100320970 B1 KR 100320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spring
- friction clutch
- diaphragm spring
- pressur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0—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 F16D13/71—Pressure members, e.g. pressure plates, for clutch-plates or lamellae; Guiding arrangements for pressure members in which the clutching pressure is produced by spring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6)
- 하우징(2),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지만 하우징(2)에 대해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압력판(3)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압력판(3)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분리하중에 의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접촉압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상기 하우징(2)상의 지지하중에 의하여 지지되는 회전베어링(5)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베어링(5)이 조정장치(1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조정장치(16)가 조정기구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한 마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장치(16)가 하우징(2) 및 다이아프렘스프링(4)사이에서 자동으로 작동되고, 회전베어링(5)을 향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가압하기 위한 센서스프링(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작동경로에 걸쳐 특성곡선이 감소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도 8).
-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하중에 대하여 상호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3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정해진 설치위치에 위치하고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하지 않을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경로에 걸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가해지고 지지하중과 상호작용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크지만, 마모작용에 의한 원추형상이 변화할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경로중 일부영역에 걸쳐서, 지지하중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가하는 하중보다 지지하중이 더 작도록, 지지하중 및 다이아프렘스프링의 하중이 서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한 개이상의 센서스프링(13)에의해 가해지고, 하우징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 또는 지지패드(12)의 마모에 기인한 조정작용에 대해, 상기 센서스프링(13)이 센서스프링(13)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가 다이아프렘스프링(4) 및 하우징(2)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가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이 한 개의 센서스프링(13)에 의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8 항에 있어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체의 반경방향높이에, 지지하중을 가하는 상기 센서스프링(1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두 개의 지지패드(11,12)들사이 및 하우징(2)위에서 회전하며 지지되고, 상기 지지패드들 중 압력판(3)을 향하는 지지패드(11)가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향해 탄성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0 있어서, 지지하중에 의해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1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이동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하중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분리하중 및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대응하중사이에 하중평형이 형성될 때까지,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0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위에 작용하는 대응하중이 센서스프링에 의해 발생되고, 상기 센서스프링은 정해진 조정영역에 대하여 일정한 하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4 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센서스프링(13)이 센서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0 항에 있어서, 탄성하중을 받는 지지패드(11)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부에 제공되는 지지패드(12)가 압력판(3)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반대방향으로 구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를 추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조정기구가 스프링(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는 원형의 조정링(17)을 가지고, 마찰클러치(1)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링(17)이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 축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조정장치(16)는 축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사부(18) 및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8 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조정링(17)위에 경사부(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원형의 조정링(17)이 지지패드(12)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9 항에 있어서, 경사부(18)는 해당 카운터경사부(24)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카운터경사부(24)가 링모양의 지지링(2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경사부(18)를 지지하는 조정링(17) 및 하우징(2)사이에서 상기 지지링(25)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23 항에 있어서, 하우징(2)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하우징평면부(2a)내에 상기 카운터경사부(24)가 직접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7)가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상기 조정장치(16)가 자유륜과 같이 작동하고, 마찰클러치가 연결되는 방향에 대해 자동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적어도 경사부(18)가 4°도 내지 20°도의 경사각(2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들이 지지링(25)의 카운터경사부(24)와 마찰결합하여 자동구속되는 경사각(23)이 상기 경사부(18)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를 지지하는 한 개이상의 부품 또는 카운터경사부(24)를 지지하는 부품이 조정방향으로 탄성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는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조정링(17)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속도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속도에 의존하여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의 작동이 특정속도이상에서 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가 공회전속도이하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장치(16)는 속도가 영일 때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9 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경사부(18) 또는 카운터경사부(24)를 가지고, 하우징(2)에 대해 이동가능한 조정장치의 구성부품들이 탄성인장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인장력은 원주방향의 하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3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가하는 센서스프링(13)이 외측변부(13a)에 의해 하우징(2)위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센서스프링(513)을 위해 하우징지지부(502a)가 하우징(502)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라이닝서스펜션(1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39 항에 있어서, 라이닝서스펜션(10)의 운동경로에 걸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의해서 압력판위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하중-경로의 특성곡선과 근사한 하중-경로의 특성곡선을 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구성된 라이닝서스펜션(10)이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마찰클러치(1)의 분리상태에서, 마찰클러치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작동시키기 위한 하중이 - 150 Nm 내지 +15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 카운터압력판(6)에 대해 클러치디스크(8)를 분리한 후에,하중-경로에 관한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특성곡선은 양의 값으로부터 음의 값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마찰클러치(1)가 연결상태일 때,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는 링모양의 지지패드(12)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될 수 있으며,-마찰클러치(1)가 분리된 상태일 때,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지지패드(12)내에서 회전될 수 있고,-마찰클러치(1)가 분리되는 과정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탄성요소가·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의 판스프링(9),·분리하중에 대해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지지하는 센서스프링(13),·조정장치(16)의 조정기능을 형성하는 스프링(26),·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사이에 제공된 라이닝서스펜션(10)들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탄성요소가 분리하중과 상호작용하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분리하중과 일치하는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위한 회전베어링의 지지체가 상기 하우징(2)에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와 독립적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통해서 압력판(3)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상기 조정장치(16)에 의해 발생되며,-링모양을 가진 탄성의 원형체(4a)를 가지고, 상기 원형체로부터 내측반경방향으로 구성되고 작동수단을 형성하는 스프링작동부(4b)들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에 구성되고,-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하우징(2)에 대하여 이중아암레버에 의해 고정되며,-마찰클러치가 분리되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압력판(3)과 떨어진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면위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 및 압력판(3)을 향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의 측면위에 작용하는 축방향하중이 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 다이아프렘스프링(4)을 위한 회전베어링의 지지체가 상기 하우징(2)에 구성되며, 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구성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와 독립적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통해서 압력판(3)을 편향시키는 일정한 하중이 상기 조정장치(16)에 의해 발생되며,-분리하중을 제외한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들이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고,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는 동안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와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대하여 제한된 크기만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압력판(3),-하우징(2) 및 압력판(3)사이에서 작동하는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구성되고,-상기 압력판(3) 및 카운터압력판(6)사이에 고정될 수 있는 클러치디스크(8)를 향해 상기 압력판(3)이 편향되며,-클러치디스크(8)의 마찰라이닝(7)들위에 발생하는 마모를 보상하는 조정장치(16)가 구성되고,-마찰클러치가 분리된 상태에서,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되고 링모양의 영역으로 다이아프렘스프링을 편향시키는 링모양의 지지체위에서 다이아프렘스프링이 지지될 수 있고,-마찰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압력판(3)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될 때, 분리하중을 제외한 다이아프렘스프링위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든 하중들이 결과지지하중을 발생시키고, 하우징의 측부위에 제공된 지지체를 향해 상기 결과 지지하중이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을 축방향으로 편향시키며,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고 마찰라이닝들위에 마모가 발생하지 않을 때, 하우징(2)의 측부에서 지지체가 구성된 반경방향높이에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이중아암레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와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와 동일하고,다이아프렘스프링(4)을 통해 마찰라이닝(7)들이 이완되고 마찰라이닝(7)들위에 충분한 마모가 발생할 때, 압력판(3)위에 지지된 링모양의 영역주위에서 상기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전체 회전영역중 일부영역에 걸쳐서 단일아암레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아프렘스프링(4)위에 작용하는 분리하중의 크기보다 상기 결과지지하중의 크기가 더 작고, 상기 일부영역의 전후에서 상기 다이아프렘스프링(4)이 이중아암구조의 레버로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4138806 | 1991-11-26 | ||
DEP4138806.2 | 1991-1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401A KR930010401A (ko) | 1993-06-22 |
KR100320970B1 true KR100320970B1 (ko) | 2002-06-24 |
Family
ID=6445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23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9657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KR101992002238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0970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223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9657B1 (ko) | 1991-11-26 | 1992-11-26 | 마찰클러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2) | KR100429657B1 (ko) |
RU (1) | RU2137955C1 (ko) |
ZA (2) | ZA92914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7362B1 (ko) * | 1997-11-21 | 2001-05-02 | 박호군 | 이온빔을이용한산화물기판표면의전처리방법및이를이용한질화물박막형성방법 |
KR100809738B1 (ko) * | 2007-03-12 | 2008-03-06 |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 진공청소기 |
EP2825787B1 (de) * | 2012-03-16 | 2017-11-1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eibungskupplung mit fliehkraftpendel |
FR3054275B1 (fr) * | 2016-07-25 | 2018-08-10 | Valeo Embrayages | Ensemble pour un dispositif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28883A (en) * | 1978-04-27 | 1980-10-21 | Borg-Warner Corporation |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
US4207972A (en) * | 1978-05-26 | 1980-06-17 | Borg-Warner Corporation | Automatic wear compensato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
DE3518781A1 (de) * | 1985-05-24 | 1986-11-27 |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 Selbstnachstellende kupplung |
-
1992
- 1992-11-25 ZA ZA929144A patent/ZA929144B/xx unknown
- 1992-11-25 RU RU92004443A patent/RU2137955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2-11-25 ZA ZA929145A patent/ZA929145B/xx unknown
- 1992-11-26 KR KR1019920022384A patent/KR10042965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2-11-26 KR KR1019920022385A patent/KR10032097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0401A (ko) | 1993-06-22 |
RU2137955C1 (ru) | 1999-09-20 |
KR100429657B1 (ko) | 2004-08-25 |
ZA929144B (en) | 1994-05-25 |
ZA929145B (en) | 1994-05-25 |
KR930010402A (ko) | 1993-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29653B1 (ko) | 마찰클러치(명칭정정) | |
KR100326410B1 (ko) | 마찰클러치 | |
KR100326408B1 (ko) | 마찰클러치 | |
JP3715660B2 (ja) | 摩擦クラッチ | |
US5641048A (en) | Friction clutch | |
US6085882A (en) | Friction clutch | |
GB2264989A (en) | Friction clutch | |
RU2143619C1 (ru) | Фрикционное сцепление | |
KR100481200B1 (ko) | 마찰클러치 | |
KR100320970B1 (ko) | 마찰클러치 | |
EP0795695B1 (en) | Clutch cover assembly with a wear compensation mechanism | |
KR100671672B1 (ko) | 마찰 클러치 | |
GB2294301A (en) | Friction clutch | |
JP3638422B2 (ja) |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 |
US6325193B1 (en) | Friction clutch with an adjustment limiting device | |
US6460675B1 (en) | Slip clutch with a linear friction wear take-up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 |
CA2446423C (en) | Friction clutch | |
GB2305475A (en) | Friction clutch | |
EP1105655A1 (en) | Friction clutch with wear adjustment and constant lift device | |
JP3519081B6 (ja) | クラッチユニット | |
GB2372079A (en) | Constant lift mechanism for wear adjustable clutch | |
GB2304160A (en) | Friction clutch | |
WO2000034675A2 (en) | Friction clu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1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105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