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0633B1 -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633B1
KR100320633B1 KR1019990037696A KR19990037696A KR100320633B1 KR 100320633 B1 KR100320633 B1 KR 100320633B1 KR 1019990037696 A KR1019990037696 A KR 1019990037696A KR 19990037696 A KR19990037696 A KR 19990037696A KR 100320633 B1 KR100320633 B1 KR 10032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cap
cap assembly
pie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394A (ko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19990037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63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63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72Details of hand grip, tear- or lift-tab
    • B65D2517/5075Hand grip with finge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용구를 이용하여 캔용기를 여는 과정에서 손톱 등이 손상될 소지를 제거하고, 먼지 또는 이물질이 캔용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캔용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캔의 상부 개구를 밀봉시키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캔의 개구에 시밍되어지되 일측에 일정 크기의 타원형 노치를 형성하여 개구편이 형성되도록 한 캡; 캡의 개구편 일측에 하부에서 상측으로 펀칭을 통해 형성한 돌기; 및 돌기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개구편을 캡으로부터 절리시킬 때 임의로 가해지는 힘 이상에서도 돌기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로 이루어지며, 개구용구의 후단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돌기에 근접한 부분의 노치부터 절리되어 개구편이 상측으로 절리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개구용구를 손가락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였고, 개구편이 상측으로 절리되기 때문에 개구편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값이 싼 합성수지로 개구용구를 제조하기 때문에 캔용기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캡어셈블리를 국산화시킴으로서 국내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캔용기의 캡어셈블리{CAP ASSEMBLY OF CAN}
본 발명은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수나 음용식을 저장시키는 캔용기를 열 때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편에 묻은 먼지나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캔용기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용기는 음료수 또는 음용수와 같은 각종 내용물을 캔의 내부에 밀폐 상태로 장기간 보관 후 캔 따개용 고리를 이용하여 마개부를 오픈시켜 캔의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손쉽게 음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캔용기 중에서 도 1 과 도 2 에서는 음료수를 저장시킨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단면도와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고, 도 3 에서는 캔용기의 오픈 동작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어셈블리(2)는 일측이 개구된 캔(3)에 시밍되어 캔용기를 밀봉시키는 것으로, 캔(3)에 시밍되는 캡(4), 캡(4)에 형성된 돌기(5)를 압착시켜 고정된 개구용구(6)로 구성된다. 개구용구(6)에는 손잡이걸림공(6a)이 형성된다.
캡(4)에는 곡선으로 형성된 노치(7)에 의해 개구편(8)이 구성되고, 캡(4)의 중심부에는 돌기(5)가 형성된다. 돌기(5)에는 개구용구(6)의 타발편(6b)이 압착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캡어셈블리(2)가 장착된 캔용기를 오픈하는 과정은 먼저, 개구용구(6)의 손잡이걸림공(6a)측을 손톱으로 약간 들어 틈새를 형성시킨 후 손가락으로 개구용구(6)를 잡고 상측으로 잡아 올리면, 리벳팅된 타발편(6b)을 지점으로 한 지렛대 작용에 의해 개구용구(6)의 선단이 개구편(8)에 압력을 가하고, 이어서 노치(7)가 절개되면서 개구편(8)이 캔(3)의 내부로 꺽여 들어가 개구부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하게 된다.
도 4 와 도 5 는 종래 다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와 평면도로, 이 캡어셈블리(11)는 캔(12)의 상부에 시밍된다.
캡어셈블리(11)는 캡(13), 캡(13)에 형성된 돌기(14)를 압착시켜 고정된 개구용구(15)로 구성된다. 개구용구(15)에는 손잡이걸림공(15a)이 형성된다.
캡(13)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노치(16)에 의해 마개뚜껑(17)이 구성되고, 마개뚜껑(17)의 일측적소에는 돌기(14)가 형성된다. 돌기(14)에는 개구용구(15)의 타발편(15b)이 압착 고정된다.
도 6 와 도 7 에서는 종래 다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부설된 개구용구의 작동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캔용기를 오픈하는 과정은 개구용구(15)의 손잡이걸림공(15a)측을 손톱으로 약간 들어 틈새를 형성시킨 후, 손가락으로 개구용구(15)를 잡고 상측으로 잡아 올리면 리벳팅된 타발편(15b)을 지점으로 한 지렛대 작용에 의해 개구용구(15)의 선단이 노치(16)에 인접한 마개뚜껑(17)으로 압력을 가해 노치(16)가 일부 절개된다.
이어서, 개구용구(15)의 손잡이걸림공(15a)에 손가락을 끼우고 상측으로 당겨서 노치(16)의 나머지 부분을 절리시켜 마개뚜껑(17)을 연 후, 개구부를 통해 내용물을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서는 지렛대 작용을 이용하여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개구용구와 캡(또는 캡)의 틈새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극히 협소하게 형성된 틈새로 손가락을 집어 넣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손가락을 집어 넣기 위한 전 단계로 손톱을 사용하여 개구용구를 약간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손톱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는 등 많은 불편이 있다.
또한,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이 내용물이 담긴 하부로 꺾이기 때문에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의 표면에 묻어 있던 먼지 또는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위생에도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국내 사용되고 있는 음료용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의 경우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캔용기 제조비용에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기존의 캔용기에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개구편의 선단을 먼저 절리시킨 후 개구용구를 이용하여 상향으로 잡아 당기는 힘을 통해 개구편을 절리시키는 기술을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를 채용하여 개구편 전체를 상향으로 절리시키는 기술로 개선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개구편을 절리시킬 수 있도록 한 캔용기의 캡어셈브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용구를 이용하여 캔용기를 여는 과정에서 금속재의 개구용구보다 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를 채용하여 손가락을 걸어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개구편이 캡으로부터 절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캔용기에서 금속재의 개구용구 후단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손톱 등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캔용기에서 개구편의 선단을 먼저 하향으로 절리시킬 때 개구편 표면의 이물질이 캔용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잇도록 함에 있다.아울러,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를 채용함으로써 개구편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캔용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종래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종래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부설된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종래 다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종래 다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종래 다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부설된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은 도 4 에 이은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부설된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 은 도 8 에 이은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부설된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 는 도 11 에 이은 개구용구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40:캔 22,42:캡어셈블리
24:캡 26,50:개구용구
26a,50a:손잡이걸림공 28,44:노치
30:개구편 32,48:돌기
46:마개뚜껑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캔의 상부 개구를 밀봉시키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캔의 개구에 시밍되어지되 일측에 일정 크기의 타원형 노치를 형성하여 개구편이 형성되도록 한 캡; 캡의 개구편 일측에 하부에서 상측으로 펀칭을 통해 형성한 돌기; 및 돌기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개구편을 캡으로부터 절리시킬 때 임의로 가해지는 힘 이상에서도 돌기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로 이루어지며, 개구용구의 후단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돌기에 근접한 부분의 노치부터 절리되어 개구편이 상측으로 절리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전술한 구성에서 개구용구의 일측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돌기는 그 상단이 개구용구의 상부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함이 적절하다.전술한 돌기는 그 끝단의 압착을 통해 결합공의 직경보다 큰 돌기머리를 형성시켜 개구편으로부터 개구용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이 적절하다전술한 개구용구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된다.한편, 전술한 구성에서 개구편을 형성하는 노치의 시작점과 끝점은 일정 거리로 이격 형성하여 개구편을 절리시킨 후 개구편의 후단이 캡에 붙어 있도록 함이 적절하다.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도 8 은 본 발명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캡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20은 캔으로서, 예를 들면 딥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일측이 개구된 캔(20)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20)의 개구에 시밍(seaming)되어 캔(20)을 밀봉시키는 본 발명의 캡어셈블리(22)는 알루미늄으로 된 모재를 프레스(press)시킨 캡(24), 캡(24)에 결합되는 개구용구(26)로 구성된다.
캡(24)에는 곡선으로 노치(28)가 형성되어 노치(28)를 테두리로 한 개구편(30)이 구성되고, 개구편(30)의 일측 적소에는 개구편(3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펀칭시켜 개구편(30)의 상면으로 돌출된 돌기(32)가 형성된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노치(28)에 인접한 곳에 형성된다. 노치(28)의 시작점(28a)과 끝점(28b)은 이격되어 개구편(30)이 절리된 후 개구편(30)의 일측이 캡(24)에 붙어있게 된다.
특히, 노치(28)의 곡선 모양이 어떠하냐에 따라 개구용구(26)로 개구편(30)을 딸 수 있음이 판가름지기 때문에 약간의 힘만으로도 응력이 집중되어 노치(28)의 어느 한 곳이 절리될 수 있도록 돌기(32)의 주변 노치(28)를 취약하게 설계한다.
개구용구(26)는 대략 링 모양으로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걸림공(26a)이 후단에 형성되고, 선단 적소에는 결합공(26b)이 형성된다. 결합공(26b)으로는 상술한 돌기(32)가 삽입되어 개구용구(26)의 표면 위로 돌출되고, 삽입된 후 돌기(32)의 끝단을 압착시켜서 결합공(26b)의 직경보다 큰 돌기머리를 형성함으로서 개구용구(26)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개구용구(26)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인장강도가 커서 좀처럼 절단되지 않는다. 이처럼 구성된 캡어셈블리(22)는 도 10 과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우선, 개구용구(26)의 일측을 손가락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개구용구(26)가 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손톱이 상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어서, 손잡이걸림공(26a)에 손가락을 걸고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노치(28)가 절개되면서 개구편(30)이 절리되는데, 개구편(30)이 상측으로 열려지기 때문에 개구편(30)에 묻어 있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캔(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다른 실시예로서 캔용기의 캡어셈블리를 도 12 에 단면도로 도시한다.
캔용기는 음용수를 저장하는 통상의 통조림용기로서, 캔(40)의 상부를 캡(42)으로 밀봉시킨 용기이다.
캡(42)은 캔(40)의 상부에 시밍되어 일체로 되며, 시밍 이전에 모재를 프레스시켜 판상으로 된 캡(42)을 형성시킨다.
캡(42)에는 캔(40)의 둘레를 따라 노치(44)가 형성되어 노치(44)를 테두리로 한 마개뚜껑(46)이 구성된다. 노치(44)는 그 형상에 따라 취약한 부분이 달라지기 때문에 마개뚜껑(46)을 좀 더 용이하게 따기 위해서는 노치(44)의 일부분에 응력이집중되도록 설계한다.
마개뚜껑(46)의 일측적소에는 돌기(48)가 형성되어지되 마개뚜껑(46)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펀칭시켜 마개뚜껑(46)의 상면으로 돌출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노치(44)의 인접한 곳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개구용구로 노치(44)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돌기(48)의 주변 노치(44)를 취약하게 설계한다. 노치(44)의 시작점과 끝점은 이격되어 마개뚜껑(46)이 절리된 후 마개뚜껑(46)의 일측이 캡(42)에 붙어 있게 된다.
한편, 개구용구(50)는 대략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손잡이걸림공(50a)을 가지며 적소에 결합공(50b)이 형성된다. 결합공(50b)으로는 상술한 돌기(48)가 삽입되어 개구용구(26)의 표면 위로 돌출되고, 삽입된 후 돌기(48)의 끝단을 압착시켜서결합공(26b)의 직경보다 큰 돌기머리를 형성함으로서 개구용구(50)가 빠지지 않게 한다.
이러한 개구용구(50)는 합성수지로 제조되어 연성이 뛰어나면서도 인장강도가 커서 좀처럼 절단되지 않는다.
도 13 과 도 14 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캡어셈블리(42)에 부설된 개구용구(50)의 작동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개구용구(50)의 일측을 손가락으로 들어 올린다. 이때,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개구용구(50)가 연성이 뛰어난 합성수지로 제조되기 때문에 손톱이 상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어서, 손잡이걸림공(50a)에 손가락을 걸고 상측으로 잡아 당기면 노치(44)가 절개되면서 마개뚜껑(46)이 절리되는데, 마개뚜껑(46)이 상측으로 열려지기 때문에 마개뚜껑(46)에 묻어 있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캔(4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캡어셈블리들은 지렛대 작용으로 개폐되는 모든 캔용기에 적용 가능하며 개구용구의 형상이나 재질은 캔용기의 재질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여 앞서 기술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종래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의 일측적소에 돌기를 형성하고, 이 돌기에 연성이 뛰어한 개구용구를 압착 고정시켜 잡아 당겨서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이 상측으로 절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개구용구를 손가락으로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손톱이 손상되는 것을 제거하였고, 개구편(마개뚜껑)이 상측으로 절리되기 때문에 개구편(또는 마개뚜껑)에 묻은 먼지 또는 이물질이 캔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조가 용이하고 값이 싼 합성수지로 개구용구를 제조하기 때문에 캔용기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캡어셈블리를 국산화시킴으로서 국내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게 된다.

Claims (5)

  1. (정정) 캔의 상부 개구를 밀봉시키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캔의 개구에 시밍되어지되 일측에 일정 크기의 타원형 노치를 형성하여 개구편이 형성되도록 한 캡;
    상기 캡의 개구편 일측에 하부에서 상측으로 펀칭을 통해 형성한 돌기; 및
    상기 돌기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 상기 개구편을 상기 캡으로부터 절리시킬 때 임의로 가해지는 힘 이상에서도 상기 돌기와 분리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합성수지재의 개구용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용구의 후단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상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돌기에 근접한 부분의 노치부터 절리되어 상기 개구편이 상측으로 절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2. (정정)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용구의 일측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돌기는 그 상단이 상기 개구용구의 상부면 이상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3. (정정)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그 끝단의 압착을 통해 상기 결합공의 직경보다 큰 돌기머리를 형성시켜 상기 개구편으로부터 상기 개구용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4. (정정)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용구에 손가락을 걸기 위한 걸림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5. (정정)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편을 형성하는 노치의 시작점과 끝점을 일정 거리로 이격 형성하여 상기 개구편을 절리시킨 후 상기 개구편의 후단이 캡에 붙어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KR1019990037696A 1999-09-06 1999-09-06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32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696A KR100320633B1 (ko) 1999-09-06 1999-09-06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696A KR100320633B1 (ko) 1999-09-06 1999-09-06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394A KR20010026394A (ko) 2001-04-06
KR100320633B1 true KR100320633B1 (ko) 2002-01-19

Family

ID=196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6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0633B1 (ko) 1999-09-06 1999-09-06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6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394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188Y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뚜껑
US5273176A (en) Reclosable cover for a beverage can
US7017769B1 (en) Lid for canned beverages avoiding pollution both to beverage and environment
CN103167988B (zh) 金属饮料罐的罐端部、具有该罐端部的金属饮料罐及其制造和使用方法
KR100616705B1 (ko)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RO120833B1 (ro) Recipient de formă conică şi capac
KR100320633B1 (ko) 캔용기의 캡어셈블리
US6244455B1 (en) Easy opening closure member assembly for a beverage container
EP1284908B1 (en) Lid for beverage cans with reinforced seal
KR100329127B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JP4221101B2 (ja) バルブ取り付け構造
KR200218672Y1 (ko) 마개용 탭이 함께 형성된 캔뚜껑구조
KR102574804B1 (ko) 캔뚜껑의 오픈기능을 갖는 위생커버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53051Y1 (ko) 음료용 캔의 절취장치
KR100787298B1 (ko) 개폐식 슬라이딩 캔엔드
CN218618186U (zh) 一体式防伪湿巾包装
KR200498577Y1 (ko) 다기능 오프너
KR200175431Y1 (ko) 캔 따개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100525963B1 (ko) 스트로가 내장된 캔
KR20090009476U (ko) 액체용기 뚜껑
KR100337432B1 (ko) 개폐 구조의 음료수 캔
KR200341591Y1 (ko) 캔 뚜껑
JPS5942346Y2 (ja) 缶体容器の安全キヤ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501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10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