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0608B1 -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608B1
KR100320608B1 KR1020000030333A KR20000030333A KR100320608B1 KR 100320608 B1 KR100320608 B1 KR 100320608B1 KR 1020000030333 A KR1020000030333 A KR 1020000030333A KR 20000030333 A KR20000030333 A KR 20000030333A KR 100320608 B1 KR100320608 B1 KR 100320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pin
cor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5159A (ko
Inventor
나우주
Original Assignee
나우주
주식회사 엘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우주, 주식회사 엘지에스 filed Critical 나우주
Priority to KR102000003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608B1/ko
Publication of KR2001002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6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2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29C45/401Ejector pin construction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코어교체식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2단 금형에 있어서, 로케이트링이 결합되는 상고정판의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서로의 일부가 중첩되는 이중의 원형으로 형성하여 사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여건에 따라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3단 금형에 있어서, 분리부가 있는 록크핀과 분리부가 없는 록크핀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미리 다수의 록크핀구멍들을 보유한 상고정판과 런너 스트리퍼판으로 개량하여 사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여건에 따라 록크핀들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사출 금형의 몰드베이스를 여러 제품의 금형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으로 이루어지면서 하나의 파팅라인을 가진 2단금형에 있어서, 상고정판(103)에 로케이트링 결합홈(102)을 형성하되, 중심의 위치가 다른 복수개의 원형 결합홈(102a)(102b)을 일부가 중첩되는 모양으로 형성하여,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달리한 채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으로 이루어지면서 2개의 파팅라인을 가진 3단금형에 있어서, 상고정판(103)에 가로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록크핀 구멍(303)과, 상기 록크핀 구멍에 각각 하나씩 끼우되, 하측 끝단에 분리부를 갖도록 형성된 록크핀(302)들과, 분리부가 없이 형성된 록크핀(302')들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한 런너 스트리퍼판(305)은 상기 상고정판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배열의 록크핀 구멍(303)들을 보유하는 것으로 하여 제품의 여건에 따라 런너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부를 가진 록크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Description

코어교체식 사출금형{CORE CHANGE TYPE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사출금형 중에서 제품의 형상 모양에 직접 관계되는 부분만을 따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코어교체식 금형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고정판에서 로케이트링의 조립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2단 금형과, 상고정판 및 런너 스트리퍼판에서 록크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3단 금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사출 금형은 상측 금형과 하금형으로 구성되는 바, 성형된 제품을 인출할 때, 상, 하 금형이 하나의 파팅라인으로 분리되는 2단 금형이 있고, 2개의 파팅라인으로 분리되는 3단 금형이 있다.
2단 금형의 구조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상부측 베이스판넬인 상고정판(1)과, 상기 상기 상고정판(1)의 하층부에서 제품(2) 상측부분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상원판(3)과, 상기 상원판(3)의 하층부에서 제품 하측부분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하원판(4)과, 상기 상원판(3) 및 하원판(4)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는 받침판(5)과, 상기 받침판(5) 하층부의 양측단에 고정되어 이젝팅부(6)가 움직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리(7)와, 상기 다리(7)의 하층부에서 금형의 하측 베이스판넬인 하고정판(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젝팅부(6)는 밀핀(9)을 위치시키는 핀지지판(10)과, 상기 핀지지판(10)에 밀착 고정되어 밀핀(9)을 지지하는 밀판(11)으로 구성된다.
한편, 3단 분할을 하는 3단 금형의 구조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고정판(1)과, 상원판(3)과, 하원판(4)과, 받침판(5)과, 다리(7)와, 하고정판(8)과, 그리고 이젝팅부(6)의 밀핀(9), 핀지지판(10), 밀판(11)으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2단 금형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며, 상기 상고정판(1)과 상기 상원판(3)의 사이에 런너를 제공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2)과 붙어 있는 굳어진 런너(12)를 이젝팅 시키는 런너 스트리퍼판(13)이 추가로 구성되고 있다.
미설명 부호 14는 당김봉, 15는 삼단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금형의 동작을 도3 및 도4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단 금형의 경우는 도 3의 (a)와 같이 금형이 닫혀진 상태에서 액화된 사출액의 사출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냉각계통의 냉각수 순환으로 사출된 사출액이 굳어지면서 도 3의 (b)와 같이 1차적인 금형의 개방으로 상고정판(1)/상원판(3)의 분리가 이루어져 성형된 제품(2)이 노출된다.
이어서, 도 3의 (c)와 같이 하원판측에 붙어 있는 제품(2)이 핀지지판(10)과 밀판(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밀핀(9)의 전진에 의해 떨어져 나오게 되는 과정으로 사출 제품(2)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3단 금형의 경우는 도 4의 (a)와 같이 금형이 닫혀진 상태에서 액화된 사출액의 사출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냉각계통의 냉각수 순환으로 사출된 사출액이 굳어지면서 도 4의 (b)와 같이 1차적인 금형의 개방으로 상고정판(1)/런너 스트리퍼판(13)의 분리가 이루어져 성형된 제품(2)과 붙어 있던 굳어진 런너(12)가 제품(2)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c)와 같이 2차적인 금형의 개방으로 상원판(3)과 하원판(4)의 분리가 되면서 성형된 제품(2)을 노출 시킴과 동시에 런너 스트리퍼판(13)과 연결된 당김봉(14)을 당기게 되어 런너 스트리퍼판(13)을 상고정판(1)과 분리시키면서 록크핀(미도시)에 붙어 굳어진 런너(12)를 탈락시키게 된다.
이어서, 도 4의 (d)와 같이 하원판측에 붙어 있는 제품(2)이 핀지지판(10)과 밀판(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밀핀(9)의 전진에 의해 떨어져 나오게 되는 과정으로 사출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사출작업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2단 금형 및 3단 금형의 구조에 있어, 10만개 이상의 제품을 성형하는 대량생산용 금형은 성형해 내야 되는 사출 수량이 많기 때문에 몇 달 또는 몇 년씩 사용되며, 한번 제작한 금형을 교체하거나 새로이 제작해야 되는 필요성이 거의 없다.
그러나. 1만개 이내의 제품을 성형하는 소량 생산용 금형의 경우는 일반적인 10만개 이상의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양산용 금형과 확연히 다르다.즉, 소량 생산용 금형의 경우, 필요한 사출수량을 1달 이내에 모두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라이프 사이클이 매우 짧다.
따라서, 소량생산용 금형의 경우 성형해야 할 제품이 바뀜에 따라 금형 전체를 새롭게 제작 해야 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많은 제작 비용이 들게 되며, 금형 전체를 새로 제작하는 만큼 제작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한편, 근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품의 형상 모양에 따라 주요 부분만을 따로 카셋트식으로 교체하는 방식, 즉, 주요부분을 가이드를 갖는 카셋트로 제작하고, 상기 카셋트가 측면에서 결합되도록 금형 본체에 가이드홈과 카셋트 홈을 형성하여 카셋트가 금형본체에 가이드와 가이드홈에 의해 결합되며, 측면으로 교체할 수 있는 쾌속금형이 일본 특개평 4-35156호에 소개되어 있다.그러나 제품의 형상모양에 관련되는 주요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한다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는다.첫째, 2단 금형의 경우,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출액이 공급되는 탕구(Gate)의 위치가 제품의 형상에 맞지 않고 불합리하더라도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다.즉, 2단 금형을 완전히 새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탕구의 위치가 제품의 형상 모양에 맞게 적절한 위치로 배치될 것이나, 주요부분만을 교체하는 카셋트 교체식 금형의 경우에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탕구 구조는 물론 런너의 위치가 바람직한 금형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둘째, 3단 금형의 경우, 굳어진 런너를 제품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런너 플레이트판상에 형성된 런너에 록크핀의 분리부가 위치하도록 조립하여 사용하는데 이들 록크핀의 위치를 제품에 맞게 가변시킬 수 없다.즉, 3단 금형을 완전히 새로 제작하는 경우, 록크핀이 상고정판 및 런너 스트리퍼판을 관통하여 런너 플레이트상에 형성된 런너 내에 록크핀이 분리부가 위치하도록 제작하는데, 주요부분만을 교체하는 카셋트금형의 경우에는 이러한 록크핀들의 위치를 적절히 바꿀 수 없기 때문에 양호한 상태의 배치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2단 금형에 있어서, 로케이트링이 결합되는 상고정판의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서로의 일부가 중첩되는 이중의 원형으로 형성하여 사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여건에 따라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3단 금형에 있어서, 분리부가 있는 록크핀과 분리부가 없는 록크핀들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미리 다수의 록크핀구멍들을 보유한 상고정판과 런너 스트리퍼판으로 개량하여 사출하고자 하는 제품의 여건에 따라 록크핀들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사출 금형의 몰드베이스를 여러 제품의 금형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상기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측에 로케이트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과, 상기 상고정판의 하층부에서 상코어가 결합되는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상원판과, 상기 상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코어가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받침편판을 결합시킨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 하로 움직이며,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을 위치 시키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핀지지판편을 결합시킨 핀지지판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 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는 몸체로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밀판편을 결합시킨 밀판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하고정판편을 결합시킨 하고정판으로 구성되는 2단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고정판은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형성하되,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중심의 위치가 다른 2개의 원형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하는데 있다.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측에 로케이트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과, 상기 상고정판의 하측부의 런너 스트리퍼판과, 상기 런너 스트리퍼판의 하층부에서 런너 플레이트와 상코어가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상원판과, 상기 상원판에 결합된 런너 플레이트와 상코어를 체결구의 체결력을 받아 고정하는 상코어 고정편과, 상기 상원판의 하부층에서 하코어가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받침편판을 결합시킨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 하로 움직이며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을 위치시키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핀지지판편을 결합시킨 핀지지판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는 몸체로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밀판편을 결합시킨 밀판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하고정판편을 결합시킨 하고정판으로 이루어진 3단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고정판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록크핀 구멍과, 상기 록크핀 구멍에 끼우되, 분리부를 갖도록 형성된 록크핀들과, 분리부가 없이 형성된 록크핀들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런너 스트리퍼판은 상기한 상고정판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배열의 록크핀 구멍들을 보유하는 것으로 하여 제품의 여건에 따라 런너를 분리할 수 있는 분리부를 가진 록크핀들의 위치를 자유로이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2단 금형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3단 금형 구성도.
도 3 은 종래의 2단 금형이 열리는 순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금형이 닫혀져서 사출이 된 상태이고,
(b)는 1차적으로 금형이 열려져 제품이 노출된 상태이며,
(c)는 이젝팅부에 의해 제품이 탈락되는 상태이다.
도 4 는 종래의 3단 금형이 열리는 순서를 보인 도면으로,
(a)는 금형이 닫혀져서 사출이 된 상태이고,
(b)는 1차적으로 금형이 열려져 제품과 붙어 있던 굳어진 런너가 떨어진 상태이고,
(c)는 2차적으로 금형이 열려져 제품이 노출되며 런너가 탈락되는 상태이고,
(d)는 굳어진 제품이 탈락되는 상태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2단 금형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3단 금형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2단 금형 상고정판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3단 금형 상고정판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록킹핀으로,
(a)는 분리부가 있는 록크핀이고, (b)는 분리부가 없는 록크핀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
101 : 로케이트링 102 : 결합홈
103 : 상고정판 104 : 상코어
105 : 상원판 107 : 상코어 고정편
108 : 하코어 109 : 하원판110 : 런너 플레이트 201 : 받침판편
202 : 받침판 203 : 밀핀
204 : 핀지지판편 205 : 핀지지판206 : 밀판편 207 : 밀판
208 : 하고정판편 209 : 하고정판
305 : 런너 스트리퍼판 306 : 다리
이하 본 발명의 코어교체식 금형의 주요 구성 및 작동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2단 금형을 보면,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으로 이루어 지므로 종래의 2단 금형과 대동소이하다.즉, 상측 금형은 상측에 로케이트링(1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103)과, 상기 상고정판의 하층부에서 상코어(104)가 결합되는 걸림턱을 가지면서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상원판(105)으로 이루어진다.또, 하측 금형은 상기 상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코어(108)가 결합되도록 걸림턱을 가지면서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한 하원판(109)과,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도록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받침판편(201)을 결합시킨 받침판(202)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상, 하로 움직이며,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203)을 위치 시키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핀지지판편(204)을 결합시킨 핀지지판(205)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 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는 몸체로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밀판편(206)을 결합시킨 밀판(207)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시켜 형성한 결합구멍에 결합되어 체결구로 고정한 하고정판편(208)을 결합시킨 하고정판(209)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들 상, 하 금형의 사이는 하나의 파팅라인으로 상, 하 분리된다.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주요 구성은 상기한 상고정판(103)에 로케이트링 결합홈(102)을 형성하되,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중심의 위치가 다른 복수개의 원형 결합홈(102a)(102b)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이와 같이 하면, 로케이트링(101)의 위치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로케이트링(101)에서 내려가는 탕구(게이트)의 위치를 바꿀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는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모양을 감안하여 탕구의 위치를 달리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요긴하다.그리고 도면상에서는 원형 결합홈(102a)(102b)의 갯수를 2개로 예시하였으나, 로케이트링(101)을 얹을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이상의 갯수 3개, 4개로 하면 그만큼 가변시킬 수 있는 위치가 많아진다.경우에 따라서는 결합홈(102)의 위치를 달리하는 다수개의 상고정판(103)을 한 셋트로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즉, 결합홈(102)의 위치를 중앙에 갖는 상고정판, 결합홈(102)의 위치를 중앙보다 좌측편에 갖는 상고정판, 결합홈(102)의 위치를 중앙보다 우측편에 갖는 상고정판, 결합홈(102)의 위치를 중앙보다 상측편에 갖는 상고정판, 결합홈(102)의 위치를 중앙보다 하측편에 갖는 상고정판을 각각 셋트로 제작한 후,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탕구의 위치가 정해졌을 때, 그 위치에 맞게 로케이트링(101)을 조립할 수 있는 상고정판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이 또한 간편할 수 있다.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부분 교체식 2단 금형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고정판(103)의 로케이트링(101)을 원하는 방향으로 옮겨 탕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품의 여건에 어울리게 탕구를 배열할 수 있어 새로 제작하는 경우의 금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3단 금형을 보면, 역시 상측 금형과 하측 금형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인 구성요소는 상기 2단 금형과 비슷하다.즉, 상측 금형은 상측에 로케이트링(1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103)과, 이 상고정판 하측부의 런너 스트리퍼판(305)과, 상기한 런너 스트리퍼판의 하층부에서 중앙에 런너 플레이트(110) 및 상코어 결합부를 가지는 상원판(105)과, 상기한 상원판의 런너 플레이트(110) 및 상코어 결합부에 조립하되, 상코어 고정편(107) 및 체결구(106)로써 고정되며 교체 가능한 런너 플레이트 및 상코어(104)로 이루어 진다.그리고 하측 금형은 상기한 상원판의 하부층에서 하코어 결합부를 가지는 하원판(109)과, 상기한 하원판의 하코어 결합부에서 고정하되, 교체 가능한 하코어(108)와,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되, 중앙에 받침판편(201)을 결합시킨 받침판(202)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203)과, 상기 밀핀들을 지지하는 핀지지판편(204)을 포함하는 핀지지판(205)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 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도록 하되, 밀판편(206)을 포함하는 밀판(207)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중앙에 조립된 하고정판편(208)을 포함하는 하고정판(209)으로 이루어 진다.따라서, 스트리퍼판(305)과 상원판(105)의 사이에 1차 파팅라인이 있고, 하원판(109)과, 상원판(105)의 사이에 2차 파팅라인이 있어 2개의 파팅라인을 가진다.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기의 상고정판(103)과, 상기의 런너 스트리퍼판(305)에 있다.즉, 상기한 상고정판(103)은 가로 세로방향을 따라 임의의 간격으로 다수의 록크핀 구멍(303)을 형성하고, 상기 록크핀 구멍에 각각 하나씩 끼우되, 하측 끝단에 분리부를 갖도록 형성된 록크핀(302)들과, 분리부가 없이 형성된 록크핀(302')들을 다수 끼우도록 하고, 상기한 런너 스트리퍼판(305)은 상기 상고정판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배열의 록크핀 구멍(303)들을 보유하는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다.이와 같이 하면, 제품의 형상 모양 여건에 따라 런너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록크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정할 수 있다.
즉, 상고정판과 런너 스트리퍼판(305)을 밀착시켜 조립하되, 미리 가로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 등간격으로 다수의 록크핀 구멍(303)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모양에 따라 런너(12)가 정해지면, 그 런너가 있는 위치의 구멍(303)에 분리부(301)를 가진 록크핀(302)들을 먼저 조립하고, 그 외의 나머지 구멍에는 사출액 누출을 막을 수 있게 분리부를 가지지 않은 록크핀(302')들을 조립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고정판(103) 및 런너 스트리퍼판(305)은 결국,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모양에 맞게 런너(12) 분리용 록크핀(302)위치를 정할 수 있어, 새로 제작하는 경우의 금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하여 분해/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단 금형의 경우, 상코어(104)를 상원판(105)에 조립할 때는 먼저, 상코어(104)는 상코어의 크기에 맞게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에 끼워 넣은 다음 상기 상원판(105)의 위로 상고정판(103)을 보울트 체결한다. 또 하코어(108)를 하원판에 조립할 때도 먼저 하코어(108)를 하원판(109)의 결합구멍으로 끼우고, 이들을 받침판(202) 위에 얹은 상태에서 이젝트부를 포함하는 전체를 조립하면 되는 것이며, 그 조립방법은 종래의 금형과 같다.
3단 금형의 경우, 상원판(105)의 중앙 결합구멍으로 상코어(104)를 넣기 전에 먼저 런너 플레이트(110)를 보울트로 체결하고, 일체화 된 상태에서 결합구멍으로 넣고, 런너 플레이트(110) 위로 상코어 고정편(107)을 얹어 보울트 체결구(106)로써 체결한다.
또 하코어(108)를 하원판에 조립할 때도 먼저 하코어(108)를 하원판(109)의 결합구멍으로 끼우고, 이들을 받침판(202) 위에 얹은 상태에서 이젝트부를 포함하는 전체를 조립하면 되는 것이며, 그 조립방법은 종래의 금형과 같다.
그리고 상원판(105)의 상측에서는 런너 스트리퍼판(305)과 상고정판(103)을 조립하되, 필요한 위치의 록크핀(302)들을 같이 조립한다. 즉, 런너가 있는 부분에는 분리부(301)를 가진 록크핀(302)들을 조립하고, 런너가 없는 부분에는 분리부가 없는 록크핀(302')들을 조립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코어 삽입 형태가 원판에 홈을 가공하고 측편으로부터 삽입하는 형태가 아니라 코어자리가 관통되어 있는 원판에 뒤에서부터 조립하여 상코어(104)는 상코어 고정편(107)으로 고정을 시키고 하코어(108)는 가해지는 사출압력을 지지하는 받침판(202)의 지지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것이다.따라서, 런너 플레이트(110), 상코어(104) 및 하코어(108)는 상원판(105) 및 하원판(109)으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판(202)은 걸림턱을 갖는 결합구멍을 관통시켜 형성하였으며 여기에 받침판편(201)이 결합되도록 하여 상/하원판(105,109)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면서 그 힘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받침판편(201)은 받침판(202)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결국, 받침판편(201)을 관통하게 되는 밀핀(203)의 위치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여러 제품의 금형제작시 받침판편(201)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핀지지판(205)과 밀판(207)은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핀지지판(205)에는 핀지지판편(204)이 결합되어 밀판(207)과의 고정력으로 고정이 되도록 하였고 밀판(207)에는 밀판편(206)을 결합시킨 뒤 체결구(106')에 의해 밀판(207)에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핀지지판편(204) 및 밀판편(206)은 핀지지판(205) 및 밀판(207)으로 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하고정판(209)은 걸림턱을 가지며 관통된 결합구멍을 형성하였고 이 결합구멍에 하고정판편(208)이 결합되어 체결구(106')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하고정판편(208)은 하고정판(209)으로부터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원판(105)으로부터 상코어(104)를, 하원판(109)로부터 하코어(108)를, 받침판(202)으로부터 받침판편(201)을, 핀지지판(205)으로부터 핀지지판편(204)을, 하고정판(209)으로부터 하고정판편(208)을 각각 분해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교체 되는 이들의 구성 부품만을 새로이 가공하여 조립함으로서 양산용 금형에 비해 매우 적은 수의 부품만 가공하여 금형을 완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고정판(103), 상원판(105), 하원판(109), 받침판(202), 핀지지판(205), 밀판(207), 하고정판(209) 등의 몰드베이스와 런너 스트리퍼판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스틱 사출 금형의 몰드베이스를 여러 금형에 대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금형의 제작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부분 교체식 2단 금형을 사용하게 되면, 상고정판의 로케이트링을 원하는 방향으로 옮겨 탕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제품의 여건에 어울리게 탕구 및 런너를 배열할 수 있어 새로 제작하는 경우의 금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그리고 또, 본 발명의 부분 교체식 3단 금형을 사용하게 되면 생산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 모양이 변하여도 런너 분리를 위한 록크핀의 위치를 그에 맞게 가변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역시 금형을 새로 제작하는 경우와 버금가는 상태의 금형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상측에 로케이트링(1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103)과, 상기한 상고정판의 밑에 조립하되, 중앙에 상코어 체결부를 가지는 상원판(105)과, 상기한 상원판의 상코어 결합부에 조립되는 상코어(104)로 이루어진 상측 금형; 그리고
    상기한 상측 금형의 상원판 직하부에서 하코어 결합부를 가지는 하원판(109)과, 상기 하원판의 하코어 결합부에 조립되는 하코어(108)와,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되, 중앙에 받침판편을 결합시킨 받침판(202)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203)과, 상기 밀핀들을 지지하는 핀지지판편(204)을 포함하는 핀지지판(205)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 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도록 하되, 밀판편을 포함하는 밀판(207)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중앙에 조립된 하고정판편을 포함하는 하고정판(209)으로 이루어진 하측 금형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파팅라인을 가진 2단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고정판(103)은 로케이트링 결합홈(102)을 형성하되, 중심의 위치가 다른 복수개의 원형 결합홈(102a)(102b)을 일부가 중첩되는 모양으로 형성하여, 로케이트링의 위치를 달리한 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2. 상측에 로케이트링(10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로케이트링 결합홈을 가지는 상고정판(103)과, 상기한 상고정판 하측부의 런너 스트리퍼판(305)과, 상기한 런너 스트리퍼판의 하층부에서 중앙에 런너 플레이트 및 상코어 결합부를 가지는 상원판(105)과, 상기한 상원판의 런너 플레이트 및 상코어 결합부에 조립되고, 상코어 고정편 및 체결구로써 고정되는 런너 플레이트 및 상코어(104)로 이루어진 상측 금형; 그리고
    상기한 상원판의 하부층에서 하코어 결합부를 가지는 하원판(109)과, 상기한 하원판의 하코어 결합부에 조립되는 하코어(108)와, 상기 하원판의 하층부에서 하원판에 가해지는 사출력을 지지하되, 중앙에 받침편판을 결합시킨 받침판(202)과,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하원판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하여 제품을 이젝팅 시키도록 구성된 밀핀(203)과, 상기 밀핀들을 지지하는 핀지지판편(204)을 포함하는 핀지지판(205)과, 상기 핀지지판의 하층부에서 밀핀을 지지하며, 핀지지판과 고정되어 함께 상, 하로 움직이도록 하되, 밀판편을 포함하는 밀판(207)과, 상기 밀판의 하부에서 금형 전체를 지지하고, 중앙에 조립된 하고정판편을 포함하는 하고정판(209)으로 이루어진 하측 금형으로 구성하여 2개의 파팅라인을 가진 3단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상고정판(103)은 가로 세로방향을 따라 임의의 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록크핀 구멍(303)과, 상기 록크핀 구멍에 각각 하나씩 끼우되, 하측 끝단에 분리부를 갖도록 형성된 록크핀(302)들과, 분리부가 없이 형성된 록크핀(302')들을 다수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한 런너 스트리퍼판(305)은 상기 상고정판과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배열의 록크핀 구멍(303)들을 보유하는 것으로 하여 제품의 여건에 따라 런너를 분리하기 위해 분리부를 가진 록크핀들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3. 삭제
KR1020000030333A 2000-06-02 2000-06-02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Expired - Lifetime KR10032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33A KR100320608B1 (ko) 2000-06-02 2000-06-02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333A KR100320608B1 (ko) 2000-06-02 2000-06-02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677A Division KR100320609B1 (ko) 2001-10-16 2001-10-16 2단과 3단으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한 코어 교체식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59A KR20010025159A (ko) 2001-04-06
KR100320608B1 true KR100320608B1 (ko) 2002-02-06

Family

ID=196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333A Expired - Lifetime KR100320608B1 (ko) 2000-06-02 2000-06-02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6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168B1 (ko) 2008-01-11 2010-04-06 평화산업주식회사 코어 교체형 금형
KR101053889B1 (ko) * 2010-12-10 2011-08-04 이호형 카메라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KR101386090B1 (ko) * 2012-05-14 2014-04-16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금형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86B1 (ko) * 2013-05-09 2014-12-09 주식회사 이엠텍 코어 교체형 금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313A (ja) * 1983-11-16 1985-06-12 Etsuhisa Abe 射出成形用カセツト金型及びカセツト金型ユニツト
JPS61272120A (ja) * 1985-05-28 1986-12-02 Abe Kosakusho:Kk カセツト・イン・カセツト金型
JPS63179718A (ja) * 1987-01-21 1988-07-23 Fujitsu Ltd 射出成形用金型
JPH03222707A (ja) * 1990-01-30 1991-10-01 Hitachi Lighting Ltd 射出成形型
JPH04351516A (ja) * 1991-05-28 1992-12-07 Fuji Xerox Co Ltd 複合製品成形用金型および複合製品成形用金型装置
JPH0550470A (ja) * 1991-08-23 1993-03-02 Mita Ind Co Ltd 射出成形用カセツト金型
JPH115234A (ja) * 1997-06-17 1999-01-12 Citizen Electron Co Ltd ランナーロックピン
JPH11240045A (ja) * 1998-02-25 1999-09-0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射出成形用金型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313A (ja) * 1983-11-16 1985-06-12 Etsuhisa Abe 射出成形用カセツト金型及びカセツト金型ユニツト
JPS61272120A (ja) * 1985-05-28 1986-12-02 Abe Kosakusho:Kk カセツト・イン・カセツト金型
JPS63179718A (ja) * 1987-01-21 1988-07-23 Fujitsu Ltd 射出成形用金型
JPH03222707A (ja) * 1990-01-30 1991-10-01 Hitachi Lighting Ltd 射出成形型
JPH04351516A (ja) * 1991-05-28 1992-12-07 Fuji Xerox Co Ltd 複合製品成形用金型および複合製品成形用金型装置
JPH0550470A (ja) * 1991-08-23 1993-03-02 Mita Ind Co Ltd 射出成形用カセツト金型
JPH115234A (ja) * 1997-06-17 1999-01-12 Citizen Electron Co Ltd ランナーロックピン
JPH11240045A (ja) * 1998-02-25 1999-09-07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射出成形用金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168B1 (ko) 2008-01-11 2010-04-06 평화산업주식회사 코어 교체형 금형
KR101053889B1 (ko) * 2010-12-10 2011-08-04 이호형 카메라 렌즈 성형용 금형장치
KR101386090B1 (ko) * 2012-05-14 2014-04-16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금형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5159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7442A1 (en) Customizable mold system
US20020079612A1 (en) Snap fastener with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 of the same
KR100320608B1 (ko) 코어교체식 사출금형
KR100320609B1 (ko) 2단과 3단으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한 코어 교체식 사출금형
CN211729971U (zh) 一种二次注塑模具
CN210011255U (zh) 一种多角度抽芯新型注塑模具
CN218906200U (zh) 深孔板网格推板顶出结构及应用该结构的模具
JPH02111513A (ja) 二色射出成形用金型
CN217573899U (zh) 一种具有交叉角度脱模结构的模具
JP3353028B2 (ja) 樹脂成形金型
JP2001232664A (ja) 3プレート金型用ランナーチェンジユニット
CN216126521U (zh) 可浇铸手柄盖和卡块的模具
JP4005195B2 (ja) 射出成形金型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JPH06254911A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80004359U (ko) 금형 조립체
JP2000141418A (ja) カセット式金型装置
KR20090004318U (ko) 사출성형장치의 밀핀
KR101386090B1 (ko) 금형 조립체
CN213383093U (zh) 电子产品用组合式连接件组装模具结构
CN218314938U (zh) 一种四色家电外壳注塑模架
KR900005720Y1 (ko) 사출금형의 자석을 이용한 볼트인서트장치
KR101158613B1 (ko) 사출금형
CN213055839U (zh) 静脉针针柄模具用出料装置
CN111469358B (zh) 一种注塑模具的二次缩core结构
JPH05117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01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0101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8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9

PC1801 Expiration of term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4-oth-PC1801

Not in force date: 202006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EXPIRATION_OF_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