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0083B1 -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 Google Patents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83B1
KR100320083B1 KR1019950703004A KR19950703004A KR100320083B1 KR 100320083 B1 KR100320083 B1 KR 100320083B1 KR 1019950703004 A KR1019950703004 A KR 1019950703004A KR 19950703004 A KR19950703004 A KR 19950703004A KR 100320083 B1 KR100320083 B1 KR 10032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valve element
outlet
valve
orif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3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700467A (en
Inventor
멕스웰호레이스제이
Original Assignee
타이코 플로우 컨트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플로우 컨트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플로우 컨트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6070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4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8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73Multiple-way safety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2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associated with one or more sp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496Self-proportioning or correlating systems
    • Y10T137/2559Self-controlled branched flow systems
    • Y10T137/2574Bypass or relief controlled by main line fluid condition
    • Y10T137/2579Flow rate responsive
    • Y10T137/2582Including controlling main line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718Dividing into parallel flow paths with recombining
    • Y10T137/86759Reciprocating
    • Y10T137/86791Piston
    • Y10T137/86799With internal flow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자동 재순환 밸브(10)는 유입부(16), 주 유출부(18), 및 재순환 유출부(20)를 갖는다. 유입부(16)와 주 유출부(18) 사이의 유입량에 반응하는 주 밸브 요소(28)와 주 밸브 요소(28)의 유입량에 반응하는 바이패스 요소(32)는 재순환 유출부(20)로의 유체 유입량을 조절한다. 바이패스 요소(32)는 유체가 재순환 유출부(20)로 흐르도록 하는 오리피스(52a, 52b)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52a, 52b)는 바이패스 요소(32)상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을 상쇄하도록 배치된다.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10 has an inlet 16, a main outlet 18, and a recycle outlet 20. The main valve element 28 that reacts to the inflow between the inlet 16 and the main outlet 18 and the bypass element 32 that responds to the inflow of the main valve element 28 to the recycle outlet 20. Adjust fluid inflow. Bypass element 32 includes orifices 52a and 52b that allow fluid to flow to recycle outlet 20. The orifices 52a and 52b are arranged to counteract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bypass element 32.

Description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본 발명의 배경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 재순환 밸브, 특히 원심 펌프 시스템에서 바이패스 재순환 유동을 조절하는 재순환 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in particular a recirculation valve that regulates bypass recycle flow in a centrifugal pump system.

재순환 밸브는 원심 펌프 응용분야에 있어 펌프 과열을 방지하고 유압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흔히 사용된다. 펌프 과열은 펌프에 의해 생성된 열 에너지가 펌프를 통과하는 유체로 전달되는데 기인한다. 적절히 설계된 시스템에서의 정상적 동작 조건 (펌핑된 유체에 대한 정상적인 다운스트림 유동의 요구 상태) 동안, 전달된 열을 흡수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한 유체의 유동이 펌프를 통과하고 그에 따라 과열이 방지된다. 그러나 적은양의 유동이 요구되는 기간 동안에는, 더 느리게 이동하거나 또는 정체된 유체가 펌프내에서의 체류시간 동안 더 많은 양의 열을 흡수하므로 내부의 유체의 온도는 계속적으로 증가된다. 펌프내의 유체의 온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의 증기압이 증가하고, 펌프 임펠러(impeller) 및 하우징을 손상할 수 있는 공동현상(cavitation)을 야기한다.Recirculation valves are commonly used in centrifugal pump applications to prevent pump overheating and maintain hydraulic stability. Pump overheating is due to the transfer of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pump into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pump. During 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a properly designed system (required state of normal downstream flow to the pumped fluid), sufficient fluid flow passes through the pump and thus prevents overheating to absorb and transfer the transferred heat. However, during periods when a small amount of flow is required,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side continues to increase as slower moving or stagnant fluid absorbs more heat during residence time in the pump. As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in the pump increases, its vapor pressure increases, causing cavitation that can damage the pump impeller and the housing.

유동이 적은 상태는 또한 종래의 내부 재순환으로 알려진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유동이 적은 상태에서, 펌프내에 유압 이상(hydraulic anomalies)이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유압 이상은 낮은 유동율에서 최적의 펌프 내부 구조(internalgeometry)에 미치지 못함에 대한 유체의 반응이고, 일반적으로 펌프하우징 방출 근방에서 유체가 임펠러를 방출하는 영역에서 시작된다. 내적 재순환(internal recirculation)이라고 알려진 이러한 현상은 펌프 임펠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공동현상을 초래한다.Low flow conditions can also result in a phenomenon known as conventional internal recycling. In low flow conditions, hydraulic anomalies can occur in the pump. These hydraulic abnormalities are the response of the fluid to less than optimal pump internal geometry at low flow rates, and generally begin in the region where the fluid discharges the impeller near the pump housing discharge. This phenomenon, known as internal recirculation, causes cavitation that can damage the pump impeller.

재순환 밸브는 적은 다운스트림 유동 요구 기간 동안 펌프가 충분한 유체 유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펌프 과열을 방지하고 유압 안정성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순환 밸브의 형태는 미국특허 제 4,095,611호 및 미국특허 제 4,941,502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조정 유동 밸브(modulating flow valve)이다. 이들 특허는 유입부, 주 유출부, 재순환 유출부, 주 유입량 요소, 및 슬롯형의 오리피스를 갖춘 바이패스 요소를 갖는 밸브를 개시한다. 이 밸브들은 펌프의 하류에 위치한다. 유체는 유입부를 통하여 펌프로부터 밸브로 유입되고, 다운스트림 요구(downstream demand)를 만족하기 위하여 주 유출부를 통해 밸브를 빠져나간다. 재순환 유출부는 저압 저장기 또는 유체가 주 유출부에서 적은 유동을 요구하는 기간 동안 조절되는 펌프 유입부와 같은 제 2 유체 경로에 연결된다.The recirculation valve prevents pump overheating and maintains hydraulic stability by providing a second path that allows the pump to maintain a sufficient fluid flow rate for low downstream flow demand periods. A commonly used form of recirculation valve is a modulating flow valve as disclosed in US Pat. No. 4,095,611 and US Pat. No. 4,941,502. These patents disclose valves having an inlet, a main outlet, a recycle outlet, a main inflow element, and a bypass element with a slotted orifice. These valves are located downstream of the pump. Fluid enters the valve from the pump through the inlet and exits the valve through the main outlet to meet downstream demand. The recycle outlet is connected to a second fluid path, such as a low pressure reservoir or a pump inlet that is regulated for a period of time where the fluid requires less flow at the main outlet.

주 밸브 요소는 밸브 유입부와 주 유출부 사이의 유동율에 반응한다. 정상적인 다운스트림 요구 기간 동안, 주 밸브 요소에 걸친 압력 차이는 밸브 요소를 개방시켜 주 유출부로의 유동을 허용하고, 반면 동시에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폐쇄하고 재순환 유출부에 유체 유입을 방지한다. 역으로, 적은 다운스트림 요구 기간 동안에는, 주 밸브 요소는 폐쇄(시팅)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바이패스 요소가개방되며 재순환 유출부를 통한 제 2 경로로의 유입을 허용한다. 또한, 주 밸브 요소는, 시팅된 경우, 펌프가 차단될 때 펌프 임펠러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의 역할을 한다.The main valve element responds to the flow rate between the valve inlet and the main outlet. During normal downstream demand periods, the pressure differential across the main valve element opens the valve element to allow flow to the main outlet, while at the same time closing the bypass valve element and preventing fluid inflow to the recycle outlet. Conversely, during a small downstream demand period, the main valve element returns to the closed (sitting) position, thereby opening the bypass element and allowing the inlet to the second path through the recycle outlet. In addition, the main valve element, when seated, serves as a check valve that prevents reverse rotation of the pump impeller when the pump is shut off.

이러한 재순환 밸브의 사용과 관련한 문제는 바이패스 요소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가까워짐에 따라, 바이패스 요소에 작용하는 불균형적인 유체 압력이 바이패스 요소의 이동을 불안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밸브의 재순환 및 체킹(checking) 성능을 손상시킨다. 바이패스 밸브 요소는 중공축(hollow shaft)의 벽면에 슬롯형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는데, 적은 유동을 요구하는 기간동안 유체가 상기 중공축을 통해 밸브 유입부로부터 재순환 유출부로 흐른다. 오리피스는 폐쇄 위치에서 오리피스를 차단하는 고정 밸브 부재에 대하여 중공축을 조절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된다. 특히 바이패스 요소가 바이패스 개방 또는 폐쇄 위치에 접근하는 경우, 오리피스의 벽면을 따라 작용되는 유체 압력은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바이패스 요소의 이동성을 불안정하게 하고 재순환 밸브의 성능을 손상시킬 수 있는 축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net force)을 야기한다.A problem associated with the use of such recirculation valves is that as the bypass element approaches the open or closed position, the unbalanced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bypass element may destabilize the movement of the bypass element. This impairs the recirculation and checking performance of the valve. The bypass valve element includes a slotted orifice on the wall of the hollow shaft,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from the valve inlet to the recycle outlet through the hollow shaft for a period of time requiring less flow. The orifice is opened and closed by adjusting the hollow shaft relative to a fixed valve member that blocks the orifice in the closed posi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fluid pressure acting along the wall of the orifice is not constant, especially when the bypass element approaches the bypass open or closed position. This results in net force acting on the axis which may destabilize the mobility of the bypass element and impair the performance of the recirculation val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재순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recirculation val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부드럽게 작동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갖는 재순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irculation valve having a bypass valve element that operates more smooth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신뢰성 있는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리피스상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의 균형을 맞추는 재순환 밸브용 바이패스 밸브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ypass valve element for a recirculation valve that balances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orifice in order to provide more reliable performance.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새로운 특성은 다음의 설명 부분 및 다음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언급될 것이고 기술적으로 숙련된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숙지할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별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하여 실현되고 얻어진다.Additional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on the basis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o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r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과열 또는 유압 유체 불안정성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원심 펌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입부, 주 유출부, 재순환 유출부, 유입부와 주 유출부 사이의 유동에 반응하는 주 밸브 요소, 및 유입부와 재순환 유출부 사이의 유체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주 밸브 요소에 반응하는 바이패스 요소를 갖는 밸브를 포함한다. 바이패스 요소는 재순환 유체가 흐르도록 개방되는 제 1 및 제 2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두 오리피스의 개구는 하나의 오리피스 개구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다른 하나의 개구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에 의하여 상쇄되도록 배열되어, 이로써 주된 유동 변화에 따라 균일하게 이동하는 더 부드럽게 동작하는 바이패스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재순환 밸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to protect the centrifugal pump from damage due to overheating or hydraulic fluid inst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nlet, a main outlet, a recycle outlet, a main valve element that reacts to the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outlet, and a reaction to the main valve element to regulate the fluid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recycle outlet. And a valve having a bypass element. The bypass ele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orifices that open to allow the recycle fluid to flow. The openings of the two orifices are arranged such that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one orifice opening is offset by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other opening, thereby providing a smoother operating bypass element that moves uniformly in response to the main flow change.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recirculation valve.

다음의 상세한 설명 뿐만 아니라 앞서의 요약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도시된 상세한 장치 및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arrangements shown.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밸브 요소의 폐쇄된 위치 및 바이패스 요소의 완전히 개방된 위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sed position of the main valve element and the fully open position of the bypass el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제 2도는 일부 개방 상태에 대하여 도시된 바이패스의 부분 확대도이다.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bypass shown for some open states.

도면을 참조하면, 제 1도는 주된 본체(12) 및 주된 본체(12)에 부착된 보닛부(bonnet piece)(14)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 재순환 제어 밸브(10)가 도시되어 있다. 보닛부(14)는 나사홈을 내거나, 나사 연결 또는 볼트 연결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주된 본체(12)에 부착될 수 있다. 재순환 밸브(10)는 펌핑된 유체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원심 펌프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유입부(16)와, 다운스트림 펌프 요구(downstream pump demand)의 소스를 향해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는 주 유출부(18)와, 그리고 펌핑된 유체가 낮은 다운스트림 펌프 요구 기간동안 저압 저장기로 향하거나 또는 펌프 유입부으로 되돌아 오도록 하는 재순환 유출부(20)를 갖는다. 유입부 및 2개의 유출부에 대하여 플랜지 연결이 도시되었지만, 임의의 적당한 파이프 연결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1 shows a regulating recirculation control valv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main body 12 and a bonnet piece 14 attached to the main body 12. The bonnet portion 14 may be attached to the main body 12 by any suitable means, including threaded grooves or threaded connections or bolted connections. The recirculation valve 10 has an inlet 16 connected downstream of the centrifugal pump to receive the pumped fluid and a main outlet for allowing the fluid to flow toward a source of downstream pump demand ( 18) and a recirculation outlet 20 which causes the pumped fluid to be directed to or returned to the low pressure reservoir for a low downstream pump demand period. Although flange connections are shown for the inlet and the two outlets, any suitable pipe connecting means can be used.

유입부(16)와 주 유출부(18) 사이의 연장부는 다음에 설명될 주 밸브요소(28)에 의해 나누어진 하부 주 통로(24) 및 상부 주 통로(26)를 포함하는 주 통로(22)이다. 바이패스 통로(30)는 하부 통로(24)로부터 재순환 유출부(20)로 연장되고 다음에 설명될 바이패스 밸브 요소(32)에 의하여 하부 주 통로와 분리된다.The extension between the inlet 16 and the main outlet 18 includes a main passage 22 comprising a lower main passage 24 and an upper main passage 26 divided by a main valve element 2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The bypass passage 30 extends from the lower passage 24 to the recycle outlet 20 a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main passage by a bypass valve element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주 통로(22) 내에 위치하고 유체 유동에 반응하여 이동하는 주 밸브요소(28)와, 상기 주 밸브 요소(28)의 이동에 반응하여 하부 주 통로(24)와 재순환 통로(30) 사이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도록 위치된 바이패스 요소(32)를 포함하는 내부 밸브 요소가 재순환 유동을 조절한다.A main valve element 28 located within the main passage 22 and moving in response to fluid flow and a fluid flow between the lower main passage 24 and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valve element 28. An internal valve element comprising a bypass element 32 positioned to control the recirculation flow is regulated.

주 밸브 요소(28)는 원형 밸브 디스크(34), 상부 표면(36), 및 주 밸브 요소가 완전히 폐쇄된 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 시트(40)에 접촉하여 주 밸브 요소(28)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표면(38)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시트(40)는 주된 밸브 본체(12)의 일부로 형성되지만, 분리하여 교체가능한 시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main valve element 28 contacts the valve seat 40 to seal the main valve element 28 when the circular valve disc 34, the upper surface 36, and the main valve element are in a fully closed position. Sealing surface 38. The seat 40 as shown is formed as part of the main valve body 12, but may also include a separably replaceable seat element.

원통형 축(42)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32)는 주 밸브 요소(28)에 부착되어 함께 이동한다. 축(42)은 밸브(10)의 수직 중심 축선(44)을 따라서 하부 주 통로(24) 내에 삽입된다. 축(42)은 분리 요소(50)에 의하여 분리되고 나사홈이 형성되거나 용접된 플러그(51a, 51b)에 의하여 말단에서 봉합된 하부 축 챔버(46) 및 상부 축 챔버(48)와 같은 두 개의 중공 챔버를 포함한다. 하부 축 챔버(46)는 슬롯형 오리피스(52a)를 통하여 하부 주 통로(24)와 소통되고, 원형 통공(54a)을 통하여 재순환 통로(30)와 소통된다. 마찬가지로, 역으로는, 상부 축 챔버(48)는 원형 통공(54b)을 통하여 하부 주 통로(24)와 소통되고, 슬롯형 오리피스(52b)를 통하여 재순환 통로와 연결된다.Bypass valve element 32 comprising cylindrical shaft 42 is attached to main valve element 28 and moves together. The shaft 42 is inserted into the lower main passage 24 along the vertical center axis 44 of the valve 10. The shaft 42 is divided into two, such as the lower shaft chamber 46 and the upper shaft chamber 48, which are separated by the separating element 50 and sealed at the ends by plug grooves 51a and 51b which are threaded or welded. And a hollow chamber. The lower shaft chamber 46 communicates with the lower main passage 24 through the slotted orifice 52a and with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through the circular aperture 54a. Likewise, the upper shaft chamber 48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main passage 24 through the circular through hole 54b and is connected with the recirculation passage through the slotted orifice 52b.

일체형 몸체 축 가이드(57)에 부착된 원통형 축 가이드 부싱(56a, 56b)은 수직 축선(44)을 따라 바이패스 요소의 수직 이동을 허용하도록, 바이패스 요소(32)를 지지하고 안내한다. 본체(12)의 일부로 형성된 일체형 몸체 축 가이드(57)는 재순환 통로(30)의 일부로써 그것과 소통되는 환형의 중앙 공동을 형성한다.Cylindrical shaft guide bushings 56a, 56b attached to the integral body shaft guide 57 support and guide the bypass element 32 to allow vertical movement of the bypass element along the vertical axis 44. The integral body shaft guide 57 formed as part of the body 12 forms an annular central cavity in communication with it as part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바이패스 요소(32)의 수직 이동은 바이패스 요소(32)가 부착된 주 밸브 요소(28)의 이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주 밸브 요소(28)는 완전 폐쇄 위치와 완전 개방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데, 완전 폐쇄 위치에서는 밀폐 표면(38)이 밸브 시트(40)에 접촉하게 되고, 완전 개방 위치에서는 상부 주 통로(26)에 삽입되어 있고 보닛부(14)에 부착된 보닛 허브(62)의 하부 표면(60)에 상부 표면(36)이 맞닿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 허브(62)는 보닛부(14)의 일부로 형성된다.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ypass element 32 is controlled by the movement of the main valve element 28 to which the bypass element 32 is attached. The main valve element 28 can move between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 fully open position, in which the sealing surface 3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valve seat 40 and in the fully open position the upper main passage 26. The upper surface 36 abuts against the lower surface 60 of the bonnet hub 62, which is inserted in and attached to the bonnet portion 14. As shown, the bonnet hub 62 is formed as part of the bonnet portion 14.

한쪽 끝은 보닛 허브(62)에, 다른 쪽 끝은 주 밸브 요소(28)에 연결된 나선형 스프링(64)이 주 밸브 요소(28)를 완전 폐쇄 위치로 전진시켜 압축상태가 된다.A spiral spring 64 connected at one end to the bonnet hub 62 and at the other to the main valve element 28 advances the main valve element 28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becomes compressed.

밸브(10)의 특성 및 성능은 각 적용시의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환형 밸브 삽입물(65)은 밸브 디스크(34)와 유체가 흐르는 밸브 본체(12)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변경하기 위하여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될 수 있다. 이것은 밸브 요소(28)를 통과하는 유동율과 관련하여 밸브 요소(28)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삽입물은 개별적인 요구에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금속판과 같은 임의의 적당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밸브(10)는 재순환 유출부(20)에 오리피스 판(67)을 추가함으로써 재순환 통로(30)내의 개별적인 유동압력 및/또는 유동율로 만들어 질 수 있다.Th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the valve 10 can be modified to meet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application. The annular valve insert 65 may be added as shown in FIG. 1 to change the space between the valve disc 34 and the inner wall of the valve body 12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This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alve element 28 in relation to the flow rate through the valve element 28. Inserts can be formed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and can be made of any suitable material, such as a metal plate. The valve 10 can be made at a separate flow pressure and / or flow rate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by adding an orifice plate 67 to the recirculation outlet 2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 밸브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고, 그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1도를 참조하면, 유입부(16)는 펌프의 유출부에 연결되고, 주 유출부(18)는 다운스트림 요구의 소스에 연결되고, 재순환유출부(20)는 저압저장소 또는 펌프의 유입부측에 연결된다.Wit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circulation valv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ts operation is described. Referring to FIG. 1, the inlet 16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pump, the main outlet 18 is connected to the source of the downstream demand, and the recycle outlet 20 is the inlet of the low pressure reservoir or pump. It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side.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밸브 요소(28)는 유입부(16)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에 대한 다운스트림 요구가 없기 때문에 폐쇄되어 있다. 다운스트림 요구가 없는 경우, 상부 주 통로(26)와 하부 주 통로(24) 내에서의 유체 압력은 같으므로, 밸브 디스크(34)상의 유체 압력을 서로 상쇄하고, 스프링(64)이 주 밸브 요소(28)를 완전 폐쇄 위치로 밀어내는 것을 허용한다. 바이패스 요소(32)는 주 밸브 요소(28)와 함께 이동하여,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해 하향 이동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valve element 28 is closed because there is no downstream demand for fluid entering through the inlet 16. If there is no downstream demand, the fluid pressure in the upper main passage 26 and the lower main passage 24 are the same, so that the fluid pressures on the valve disc 34 cancel each other, and the spring 64 is the main valve element. Allow 28 to be pushed out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Bypass element 32 moves with main valve element 28 and moves downward toward the fully open position.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 바이패스 요소(32)는 하부 주 통로(24)로부터 재순환 통로(30)로의 유체 유입을 허용하고, 그에 따라 유체는 유입부(16)로 유입되어 재순환 유출부(20)로 향한다. 축 챔버(46, 48)는 재순환 유입을 위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경로를 제공한다. 유체는 슬롯형 오리피스(52a)를 통해 하부 주 통로(24)로부터 하부 축 챔버(46)로 유입될 수 있고, 원형 통공(54a)을 통해 재순환 유출 통로(30)로 빠져나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체는 원형 통공(54b)을 통해 하부 주 통로(24)로부터 상부 축 챔버(48)로 유입될 수 있고, 슬롯형 오리피스(52b)를 통해 재순환 출구 통로(30)로 빠져나갈 수 있다. 양 축 챔버 통로들은 유입부(16)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대하여 동등한 조건으로 접근 가능하다.In the fully open position, the bypass element 32 permits fluid inflow from the lower main passage 24 into the recycle passage 30, whereby fluid flows into the inlet 16 and the recycle outlet 20 Headed to. Axial chambers 46 and 48 provide two independent paths for recycle inlet. Fluid may enter the lower shaft chamber 46 from the lower main passage 24 through the slotted orifice 52a and exit to the recycle outlet passage 30 through the circular aperture 54a. Alternatively, fluid may enter the upper axial chamber 48 from the lower main passage 24 through the circular through hole 54b and exit to the recycle outlet passage 30 through the slotted orifice 52b. have. Both shaft chamber passages are equally accessible to the fluid coming from the inlet 16.

주 유출부(18)의 유체 다운스트림에 대한 요구에 근거하여, 하부 통로(24)와 상부 통로(26) 사이에 압력 차가 형성되어, 밸브 디스크(34)상에 결과적인 순수(net) 유체 압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유체 압력이 스프링(64)에 의하여 밸브 디스크(34)상에 가해진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주 밸브 부재(28) 및 이에 부착된바이패스 요소(32)는 축선(44)을 따라 주 밸브 부재의 완전 개방 위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상적인 다운스트림을 요구하는 조건하에서, 결과적인 순수 압력은 주 밸브 요소(28)를 그의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에 충분할 만큼 크고, 이로써 부착된 바이패스 요소는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Based on the need for fluid downstream of the main outlet 18, a pressure differen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assage 24 and the upper passage 26, resulting in net net fluid pressure on the valve disc 34. Create When this fluid pressure exceeds the pressure exerted on the valve disc 34 by the spring 64, the main valve member 28 and the bypass element 32 attached thereto are connected to the main valve member along the axis 44.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fully open position. Under conditions requiring normal downstream, the resulting net pressure is large enough to move the main valve element 28 to its fully open position, whereby the attached bypass element moves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바이패스 요소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도시되지 않음), 슬롯형 오리피스(52a, 52b)는 축 가이드 부싱(56a, 56b)과 인접하게 정렬되어 슬롯형 오리피스(52a, 52b)가 완전히 덮여지며, 이로써 이들을 통한 유체 유입이 차단된다.When the bypass element is fully closed (not shown), the slotted orifices 52a and 52b are aligned adjacent to the axial guide bushings 56a and 56b so that the slotted orifices 52a and 52b are completely covered. Fluid inflow through them is blocked.

완전 개방과 완전 폐쇄의 사이에서, 바이패스 요소(32)는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즉, 슬롯형 오리피스(52a, 52b)는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가이드 부싱(56a, 56b)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진다. 재순환 유체는 바이패스 요소(32)를 통하여 흐르고, 그 유동율은 축 가이드 부싱(56a, 56b)에 의해 덮여지지 아니한 슬롯형 오리피스의 면적에 의존한다. 바이패스 요소가 중간 위치에 있는 동안에, 슬롯형 오리피스(52a, 52b)의 벽면상에 유체 압력이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 압력은 다음에 논의될 바과 같이, 주 밸브 요소와 바이패스 요소의 안정적인 이동(steady movement)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쇄될 수 있다.Between fully open and fully closed, the bypass element 32 is partially open. That is, the slotted orifices 52a, 52b are partially covered by the shaft guide bushings 56a, 56b as shown in FIG. The recycle fluid flows through the bypass element 32, the flow rate of which depends on the area of the slotted orifice not covered by the axial guide bushings 56a, 56b. While the bypass element i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it has been found that fluid pressure acts on the walls of the slotted orifices 52a, 52b. These pressures can be counteracted to provide steady movement of the main valve element and bypass element, as will be discussed next.

바이패스 요소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하부 통로(24)내의 고압 유체는 유체 압력이 실질적으로 낮아지는 재순환 통로(30)로 흐른다. 유체의 압력 강하는 주로 제한된 구멍을 통하여 유동함에 따라 발생하고, 상기 제한된 구멍이란 바이패스 요소(32)가 제 1도에서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 슬롯형 표면(52a, 52b)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바이패스 요소(32)가 제 2도에서와 같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경우 축 가이드 부싱(56a, 56b)에 의하여 덮여지지 않은 슬롯형 오리피스(52a, 52b)의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도시의 편의상, 점선(66a, 66b)은 축 가이드 부싱(52a, 52b)의 가장자리를 나타내는데, 바이패스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경우 제한적인 구멍의 상단을 규정한다.When the bypass element is in the open position (not completely closed), the high pressure fluid in the lower passage 24 flows into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where the fluid pressure is substantially lowered. The pressure drop of the fluid occurs mainly as it flows through the restricted holes, which are defined by the slotted surfaces 52a and 52b when the bypass element 32 is fully open as in FIG. Or if the bypass element 32 is partially open as in FIG. 2, it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slotted orifices 52a, 52b not covered by the axial guide bushings 56a, 56b. For convenience of illustration, dashed lines 66a and 66b represent the edges of the shaft guide bushings 52a and 52b, which define the upper end of the restrictive hole when the bypass is partially open.

제 1도를 참조하면, 바이패스 요소(32)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제한적인 구멍은 바닥 벽면(68a) 및 슬롯형 오리피스(52a)의 상부 벽면(70a)에 의해 형성된다. 이 벽면들은 축 벽면 두께(72) 및 슬롯형 오리피스 폭(74)에 의하여 규정된다. 바닥 벽면(68a)과 상부 벽면(70a)은 모두 하부 통로측(24)상의 고압 유체, 및 축 챔버(46)측상의 저압 유체에 노출된다. 바닥면(68a)상에 작용하는 압력은 상부 벽면(70a)상의 압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이다. 이들 두 압력은 서로 상쇄되고, 따라서 오리피스로 부터 바이패스 요소(32)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은 없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bypass element 32 is fully open, a restrictive hole is formed by the bottom wall surface 68a and the top wall surface 70a of the slotted orifice 52a. These wall surfaces are defined by the axial wall thickness 72 and the slotted orifice width 74. The bottom wall surface 68a and the upper wall surface 70a are both exposed to the high pressure fluid on the lower passage side 24 and the low pressure fluid on the shaft chamber 46 side. The pressure acting on the bottom surface 68a is equal in magnitude and opposite in direction to the pressure on the top wall surface 70a. These two pressures cancel each other, so there is no net pressure acting on the bypass element 32 from the orifice.

바이패스 요소가 완전히 개방된 경우 슬롯형 오리피스(52b)는 상기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상부 벽면(70b)상의 유체 압력은 바닥면(68b)상의 압력을 상쇄하고 결과적으로 오리피스로부터 바이패스 요소(32)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은 없다.The slotted orifice 52b operates similarly to the above when the bypass element is fully open. The fluid pressure on the top wall surface 70b offsets the pressure on the bottom surface 68b and consequently there is no net pressure acting on the bypass element 32 from the orifice.

바이패스 요소(32)가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 오리피스(52a, 52b)는 축 가이드 부싱(56a, 56b)에 의해 완전히 덮여짐을 알 수 있다. 슬롯형 오리피스(52a)의 바닥 및 상부 벽면은 저압 유체에 대해서만 동일하게 노출되는 한편, 슬롯형 오리피스(52b)의 바닥 및 상부 벽면은 고압 유체에 대해서만 동일하게 노출된다.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오리피스의 벽면상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은 상쇄되고 바이패스 요소(32)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은 없다.It can be seen that when the bypass element 32 is completely closed, the orifices 52a and 52b are completely covered by the shaft guide bushings 56a and 56b. The bottom and top walls of slotted orifices 52a are equally exposed only for low pressure fluids, while the bottom and top walls of slotted orifices 52b are equally exposed only to high pressure fluids. As in the fully open position,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wall surface of each orifice is canceled and there is no net pressure acting on the bypass element 32.

그러나, 바이패스 요소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각 슬롯형 오리피스상에 순수 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제 2도를 참조하면, 제한적인 구멍은 슬롯형 오리피스(52a)의 바닥 벽면(68a) 및 축 가이드 부싱(56a)의 가장자리(66a)에 의하여 규정된다. 이들 제한적 구멍에 걸쳐서 압력 강하가 발생한다. 각 슬롯형 오리피스(52a)의 상부 벽면(70a)은 재순환 통로(30)의 저압 유체와 압력이 유사한 저압 유체에만 영향을 받게 되고, 반면에 바닥 벽면(68a)은 하부 통로(24)의 고압 유체에 주로 영향을 받게 된다. 상부 벽면(70a)과 바닥 벽면(68a) 사이에 나타나는 이러한 압력 차이는 각 슬롯형 오리피스(52a)의 내벽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을 초래하여, 바이패스 요소(32)를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해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낸다. 만약 상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과적인 압력은 바이패스 요소(32)의 바람직한 이동을 방해할 것이다.However, if the bypass element is partially open, pure pressure may act on each slotted orifice. Referring to FIG. 2, the restrictive hole is defined by the bottom wall 68a of the slotted orifice 52a and the edge 66a of the shaft guide bushing 56a. A pressure drop occurs over these limiting holes. The upper wall 70a of each slotted orifice 52a is affected only by a low pressure fluid that is similar in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fluid of the recirculation passage 30, while the bottom wall 68a is a high pressure fluid of the lower passage 24. Mainly affected. This pressure difference appearing between the top wall 70a and the bottom wall 68a results in a net pressure acting on the inner wall of each slotted orifice 52a, lowering the bypass element 32 toward the fully open position. Push it in the direction. If not canceled, the resulting pressure will hinder the desired movement of the bypass element 32.

슬롯형 오리피스(52a)상의 순수 압력을 상쇄하기 위한 수단은, 오리피스(52a)상에 작용하는 압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압력을 가하는 제 2 세트의 슬롯형 오리피스(52b)에 의하여 제공된다.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적인 구멍은 축 가이드 부싱(56b)의 가장자리(66b) 및 슬롯형 오리피스(52b)의 하단(68b)에 의하여 규정되고, 이들에 걸쳐서 고압 축 챔버(48)로부터 저압 재순환 통로(30)로의 압력 강하가 발생한다. 상부 벽면(70b)은 하부 통로(24)의 고압 유체의 압력과 유사한 상부 챔버(48)의 고압 유체에만 노출되고, 반면에 바닥 벽면(68b)은 주로 재순환 통로(30)의 저압 유체에 노출된다. 벽면(70b, 68b) 사이의 압력 차이는 오리피스(52a)상에 작용하는 압력과 크기는 같지만 완전 폐쇄 위치를 향해 상방으로 바이패스 요소(32)를 밀어내도록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순수 압력을 초래하고, 따라서 오리피스(52a)상의 압력을 상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일한 크기, 같은 수의 슬롯형 오리피스(52b)가 오리피스(52a)를 상쇄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상쇄하는 오리피스의 실제 수는, 한 방향의 슬롯형 오리피스의 그룹상에 작용하는 전체 순수 압력의 합이 다른 방향의 슬롯형 오리피스의 다른 그룹상에 작용하는 순수 압력의 합에 의하여 상쇄되기만 하면, 반드시 동수일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슬롯형 오리피스상에서 작용하는 압력의 상쇄는 바이패스 요소가 설계된 바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Means for canceling the pure pressure on the slotted orifice 52a are provided by a second set of slotted orifices 52b that exert pressures of the same magnitude and opposite direction as the pressure acting on the orifice 52a. . As shown in FIG. 2, the restrictive holes are defined by the edge 66b of the shaft guide bushing 56b and the lower end 68b of the slotted orifice 52b, and across them the high pressure shaft chamber 48. Pressure drop to the low pressure recirculation passage 30 occurs. The upper wall 70b is only exposed to the high pressure fluid of the upper chamber 48 which is similar to the pressure of the high pressure fluid of the lower passage 24, while the bottom wall 68b is mainly exposed to the low pressure fluid of the recycle passage 30. .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walls 70b, 68b is the same as the pressure acting on the orifice 52a but results in a pure pressure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push the bypass element 32 upwards towards the fully closed position and Therefore, the pressure on the orifice 52a is canceled ou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ame size, the same number of slotted orifices 52b are provided to offset the orifices 52a. However, the actual number of canceling orifices may only be offset by the sum of the total pure pressures acting on the groups of slotted orifices in one direction by the sum of the pure pressures acting on different groups of slotted orifices in the other direction. It does not have to be equal. This offset in pressure acting on the slotted orifice allows the bypass element to move stably as designed.

또한 본 실시예는 주 밸브 요소(28)의 움직임을 비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분리 부재(50) 및 플러그(51a) 상에 작용하는 임의의 유체 압력을 상쇄할 수 있다. 외부 플러그 표면(76)상에 작용하는 하부 통로(24)의 고압 및 내부 플러그 표면(78)상에 작용하는 챔버(46)의 저유체 압력으로부터 초래되는 순수 압력은 플러그(51a)를 완전한 개방 위치로 밀어낸다. 이것은, 분리기 표면(80)상에 작용하는 상부 챔버(48)의 고압 및 분리기 표면(82)상에 작용하는 하부 챔버(46)의 저압으로 인하여 밸브 요소(28)를 완전 폐쇄 위치로 밀어내는, 순수 압력에 의해 상쇄된다.The present embodiment can also counteract any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separating member 50 and the plug 51a, which can make the movement of the main valve element 28 unstable. The pure pressure resulting from the high pressure of the lower passage 24 acting on the outer plug surface 76 and the low fluid pressure of the chamber 46 acting on the inner plug surface 78 causes the plug 51a to be in the fully open position. Push it out. This pushes the valve element 28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due to the high pressure of the upper chamber 48 acting on the separator surface 80 and the low pressure of the lower chamber 46 acting on the separator surface 82. Offset by pure pressur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이러한 개시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지거나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isclosure, and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or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3)

유입부 ;Inlet; 주 유출부 ;Main outlet; 재순환 유출부 ;Recycle outlet; 상기 유입부와 상기 주 유출부 사이의 유동에 반응하는 주 밸브 요소;A main valve element responsive to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outlet; 상기 유입부와 상기 재순환 유출부 사이의 유체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주 밸브 요소의 이동에 반응하며, 오리피스 구멍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 ; 및A bypass valve element responsive to the movement of the main valve element for regulating fluid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recycle outlet and including an orifice hole; And 상기 오리피스 구멍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을 상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쇄 수단은 상기 바이패스 밸브 요소 내에 제 2 오리피스 구멍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재순환 밸브.Means for canceling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orifice aperture, wherein the offset means comprises a second orifice aperture within the bypass valve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이패스 밸브 요소는 2개의 중공 챔버를 포함하고,The bypass valve element comprises two hollow chambers, 상기 제 1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2개의 중공 챔버 중 제 1 중공 챔버와의 유통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2개의 중공 챔버 중 제 2 중공 챔버와의 유통을 허용하도록 위치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The first orifice aperture permits flow with a first hollow chamber of the two hollow chambers, and the second orifice aperture is positioned to permit flow with a second hollow chamber of the two hollow chambers.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밸브 요소와 상기 주 밸브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된 밸브 벽면 사이에서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공간을 제어하기 위한 삽입물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3. 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sert for controlling the space through which fluid flows between the main valve element and a valve wall located adjacent the main valve element. 제 2항에 있어서, 재순환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오리피스 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3. 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orifice plate through which the recirculation fluid fl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밸브 요소와 상기 주 밸브 요소에 인접하게 위치된 밸브 벽면 사이에서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공간을 제어하기 위한 삽입물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2. 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ert for controlling the space through which fluid flows between the main valve element and a valve wall located adjacent the main valve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재순환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오리피스 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rifice plate through which the recirculation fluid flow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밸브 요소와 상기 주 밸브 요소에 인접하게 배치된 밸브 벽면 사이에서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공간을 제어하기 위한 삽입물을 더 포함하는 자동 재순환 밸브.2. The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insert for controlling the space through which fluid flows between the main valve element and a valve wall disposed adjacent the main valve elem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 요소는 제 1 및 제 2 중공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제 1 중공 챔버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제 2 중공 챔버를 통과하는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위치되는 자동 재순환 밸브.2. The bypass valve element of claim 1, wherein the bypass valve element comprises first and second hollow chambers, wherein the first orifice hole is positioned to allow fluid flow through the first hollow chamber, and the second orifice hole Is a recirculation valve positioned to allow fluid flow through the second hollow chamber. 유입부, 주 유출부, 재순환 유출부, 및 상기 유입부와 상기 주 유출부 사이의 유동에 반응하는 주 밸브 요소를 갖는 자동 재순환 밸브의 재순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바이패스 밸브 요소로서,A bypass valve element for controlling the recirculation flow of an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having an inlet, a main outlet, a recycle outlet, and a main valve element responsive to the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outlet, 축 ;Axis; 상기 축 내부의 제 1 중공 챔버 ; 및A first hollow chamber inside the shaft; And 상기 유입부와 상기 재순환 유출부 사이에서 상기 챔버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는 제 1 및 제 2 오리피스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오리피스 구멍이 상기 제 2 오리피스 구멍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을 상쇄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A first and second orifice aperture allowing fluid flow through the chamber between the inlet and the recycle outlet, wherein the first orifice aperture cancels the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second orifice aperture. Pass valve element.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축 내부에 제 2 중공 챔버를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llow chamber inside the shaft, 상기 제 1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제 1 중공 챔버와의 유통을 허용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구멍은 상기 제 2 중공 챔버와의 유통을 허용하는 바이패스 밸브 요소.The first orifice hole permits flow with the first hollow chamber and the second orifice hole permits flow with the second hollow chamber. 유입부 ;Inlet; 주 유출부 ;Main outlet; 재순환 유출부 ;Recycle outlet; 상기 유입부와 상기 주 유출부 사이의 유동에 반응하는 주 밸브 요소; 및A main valve element responsive to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outlet; And 상기 유입부 및 상기 재순환 유출부 사이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주 밸브 요소에 반응하는 바이패스 요소를 포함하고,A bypass element responsive to said main valve element for regulating flow between said inlet and said recycle outlet, 상기 바이패스 요소는,The bypass element, 제 1 및 제 2 중공 챔버를 갖는 축,A shaft having first and second hollow chambers, 상기 유입부와 상기 제 1 챔버 사이의 유통을 허용하는 상기 제 1 챔버내의 제 1 오리피스 구멍, 및A first orifice hole in the first chamber to allow flow between the inlet and the first chamber, and 상기 제 2 챔버 및 상기 재순환 유출부 사이의 유체 연결을 허용하는 상기 제 2 챔버 내의 제 2 오리피스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오리피스 구멍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상기 제 1 오리피스 구멍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을 상쇄하는, 유체 압력 상쇄를 위한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A second orifice hole in the second chamber that allows fluid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chamber and the recycle outlet, wherein a fluid pressure acting on the second orifice hole acts on the first orifice hole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for fluid pressure cancell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재순환 유체가 통과하여 흐르는 오리피스 판을 더 포함하는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12. The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n orifice plate through which the recirculation fluid flow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상기 주 유출구 및 상기 재순환 유출구와 일체인 밸브 몸체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자동 재순환 밸브.12. The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valve body integral with said inlet, said main outlet, and said recirculation outlet.
KR1019950703004A 1993-01-21 1993-12-22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Expired - Lifetime KR1003200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06,934 1993-01-21
US08/006934 1993-01-21
US08/006,934 US5333638A (en) 1993-01-21 1993-01-21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PCT/US1993/012508 WO1994017463A1 (en) 1993-01-21 1993-12-22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467A KR960700467A (en) 1996-01-20
KR100320083B1 true KR100320083B1 (en) 2002-04-22

Family

ID=2172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3004A Expired - Lifetime KR100320083B1 (en) 1993-01-21 1993-12-22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333638A (en)
EP (1) EP0681716B1 (en)
JP (1) JP3373519B2 (en)
KR (1) KR100320083B1 (en)
AT (1) ATE178146T1 (en)
AU (1) AU690536B2 (en)
BR (1) BR9307816A (en)
CA (1) CA2153404C (en)
CZ (1) CZ285041B6 (en)
DE (1) DE69324169T2 (en)
DK (1) DK0681716T3 (en)
ES (1) ES2133536T3 (en)
FI (1) FI110344B (en)
HU (1) HU218805B (en)
NO (1) NO310004B1 (en)
PL (1) PL172810B1 (en)
SK (1) SK282615B6 (en)
WO (1) WO199401746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3237A (en) * 1994-07-11 1995-07-18 Woodward Governor Company Dedrooped bypass valve
US5549131A (en) 1995-01-23 1996-08-27 Keystone International Holdings Corp.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US5675880A (en) * 1996-08-29 1997-10-14 Bethlehem Steel Corporation Descaling system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teel and corresponding method
AU747592B2 (en) * 1998-03-13 2002-05-16 Unitec Institute Of Technology Improved pumping apparatus and methods
US8215330B2 (en) * 2007-03-30 2012-07-10 Tyco Valves & Controls, LP Adjustable recirculating valve
US20080236674A1 (en) * 2007-03-30 2008-10-02 Tyco Valves & Controls, Inc. Adjustable recirculating valve
DE112008001640A5 (en) * 2007-07-18 2010-04-0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Flow control valve for a hydraulic system for controlling a belt pulley belt drive
IT201900002165A1 (en) * 2019-02-14 2020-08-14 Alfa Srl Dispensing machine for fluid products and its components
US11000863B2 (en) * 2019-03-26 2021-05-11 Pentair Flow Technologies, Llc Push valve assembly and method
IT202000006997A1 (en) * 2020-04-02 2021-10-02 Alfa Srl Dispensing valve of a dispensing machine for fluid products
CN111946635B (en) * 2020-07-21 2022-03-04 自贡自高阀门有限公司 Low-pressure circulating valve for cooling centrifugal pum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78A (en) * 1866-12-11 Improvement in steam valves
US1555851A (en) * 1923-07-02 1925-10-06 Burton C Van Emon Valve
DE1653778C3 (en) * 1967-06-01 1979-08-16 H. Schroeder & Co, 5251 Elbach Free-wheeling check valve for centrifugal pumps, especially for boiler feed pumps
US4095611A (en) * 1977-01-17 1978-06-20 Yarway Corporation Modulating flow control valve assembly
US4244388A (en) * 1979-07-09 1981-01-13 Crane Co. Combination valve
SE454619B (en) * 1986-10-10 1988-05-16 Kaelle Eur Control AUTOMATIC RECYCLING VALVE
US4779639A (en) * 1986-11-03 1988-10-25 Keystone International Holdings Corp.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EP0267364B1 (en) * 1986-11-03 1992-04-01 Keystone International Holdings Corp.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US4941502A (en) * 1989-05-31 1990-07-17 Keystone International Holdings Corp. Low pressure recirculation valve
US4967783A (en) * 1990-02-22 1990-11-06 Keystone International Holdings Corp. Recirculation valve with pilot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24169T2 (en) 1999-07-22
JPH08505971A (en) 1996-06-25
HUT73009A (en) 1996-06-28
HU9502157D0 (en) 1995-09-28
CZ186895A3 (en) 1999-05-12
WO1994017463A1 (en) 1994-08-04
US5333638A (en) 1994-08-02
SK92095A3 (en) 1996-02-07
DE69324169D1 (en) 1999-04-29
ES2133536T3 (en) 1999-09-16
EP0681716A1 (en) 1995-11-15
AU690536B2 (en) 1998-04-30
EP0681716B1 (en) 1999-03-24
FI953452A7 (en) 1995-07-17
DK0681716T3 (en) 1999-10-11
EP0681716A4 (en) 1996-10-09
NO952880D0 (en) 1995-07-20
FI953452A0 (en) 1995-07-17
SK282615B6 (en) 2002-10-08
FI110344B (en) 2002-12-31
PL309981A1 (en) 1995-11-13
CZ285041B6 (en) 1999-05-12
NO952880L (en) 1995-07-20
CA2153404C (en) 2005-11-22
JP3373519B2 (en) 2003-02-04
PL172810B1 (en) 1997-11-28
NO310004B1 (en) 2001-04-30
ATE178146T1 (en) 1999-04-15
KR960700467A (en) 1996-01-20
CA2153404A1 (en) 1994-08-04
HU218805B (en) 2000-12-28
BR9307816A (en) 1995-11-14
AU5985794A (en) 1994-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4526B (en) Balance internal part regulator
EP0591873B1 (en) High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KR100320083B1 (en)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CS270418B2 (en) Pressure limiting valve for hydraulic outfit of face
US5172716A (en) Recirculation valve
EP0702632B1 (en) Two stage pressure control valve
US3896844A (en) Fluid flow regulating apparatus
JPH0823771B2 (en) Line pressure regulator
KR100361200B1 (en) Improved Automatic Recirculation Valve
KR102502817B1 (en) Pressure reducing valve
US4296771A (en) Quiet impulse steam trap
JPH10299939A (en) Temperature regulating valve of combination faucet with differential pressure balancer
JP2961345B2 (en) Pilot type steam trap
JP2961343B2 (en) Pilot type steam trap
JPS62283268A (en) Fixed pressure valve device
JPH03265914A (en) Pilot type pressure reduc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8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62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