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20071B1 -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 Google Patents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071B1
KR100320071B1 KR1019990033401A KR19990033401A KR100320071B1 KR 100320071 B1 KR100320071 B1 KR 100320071B1 KR 1019990033401 A KR1019990033401 A KR 1019990033401A KR 19990033401 A KR19990033401 A KR 19990033401A KR 100320071 B1 KR100320071 B1 KR 10032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wall
base end
sea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7737A (ko
Inventor
양형칠
Original Assignee
양형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칠 filed Critical 양형칠
Priority to KR101999003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07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7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사석 방파제등의 구조로 방파제를 구축할 시 넓은 면적과 깊이로 기초해저면을 굴토하고 양질의 사석으로 치환하여야 함에 따라 엄청난 양의 사석이 필요하나 자연자원의 부존량이 부족하고 작업공기가 길어짐에 따라 공사비용이 높아지며 해상에서의 공사로 인한 위험이 상존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상에서 기초단, 방파벽면, 상부캡을 콘크리트로 대량 성형생산하여 현지에서 조립작업을 하므로서 직립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발명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방파제{An assembling - form upright breakwater equiped with artificial nests for fish}
본 발명은 부두등의 해안에서 일정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구축하여 항내해의 정온을 유지하므로서 부두등에 접안한 각종 선박의 안전을 도모하고 또한 부두의 각종 시설물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구축하는 방파제에 대한 분야로서 통상 가장일반적으로 구축되는 사석방파제(W)는 첨부한 도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저기초면(L)을 구비함에 있어 사석 방파제체는 상부 콘크리트 캡을 기준으로 3:1의 기울기로 내외해측에 각각 경사면이 되도록 사석으로 제체를 구축하게되는 바 이를 위하여 먼저 기초가 될 해저면의 연약지반(S)을 굴토한 다음, 이 굴토된 공간에 양질의 사석으로 치환하여 기초를 구비하고 이 기초 상면에 구배 3:1의 기울기로 방파제체를 구축하여 이 경사 사석면에 사석보다 입도가 큰 피복석으로 피복하며 이 피복석 상면에 테트라포드등의 소파블럭을 거치하므로서 일정한 길이의 방파제를 구축하게 된다.
상기과 같이 사석 방파제등의 구조로 방파제를 구축할 시 넓은 면적과 깊이로 기초해저면을 굴토하고 양질의 사석으로 치환하여야 함에 따라 엄청난 양의 사석이 필요하나 자연자원의 부존량이 부족하고 작업공기가 길어짐에 따라 공사비용이 높아지며 해상에서의 공사로 인한 위험이 상존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상에서 기초단, 방파벽면, 상부캡을 콘크리트로 대량 성형생산하여 현지에서 조립작업을 하므로서 직립 방파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발명에 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 사석 방파제의 단면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조립식 직립 방파제의 단위 유니트를 조립 및 분해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조립식 직립 방파제의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조립식 직립방파제의 상부캡을 제외한 상태의 평단면도으로서 도 2 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W.일반사석방파제 L.해저기초면 S.해저연약지반
1.직립방파제 10.기초단 11,11a,11b,11c.좌우측벽
12,12a.중간격벽 13,13a,13b,13c.지지벽 20,20a.방파벽체
21.하측벽 22,22a,22b,22c.수직격벽 23.벽면
24.해수통수공 30.상부캡 31.상면중도부
32,32a.걸림턱 40.앙카 40a.계선주
통상 방파제는 그 구조상 사석제(捨石堤),직립제(直立堤), 혼성제(混成堤)로 구분하는 바 본 발명은 사석제와 같이 기초 해저면을 넓게 치환하지 않고 방파제체 하면만을 기초 경화 처리를 하고 수직으로 제체를 구축하는 직립제의 일종으로서 이 직립제 방파제를 기초단, 방파벽체, 상부캡등으로 각각 지상에서 콘크리트 블럭 상태로 형틀에서 성형하여 설치 현장으로 이동한 다음 조립하여 방파제 단위 유니트를 구비하고 이러한 단위 유니트들을 밀착연설하므로서 방파제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안출한 발명으로서 이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직립식 방파제(1)를 구축하기 위한 방파제 단위 유니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와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가지는 콘크리트재의 기초단(10)을 구성하되 기초단(10)상면에 첨부한 도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단(10) 중도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적으로 일정한 두께와 높이의 좌, 우 측벽(11)(11a)(11b)(11c)을 입설하고 이 좌,우측벽(11)(11a)(11b)(11c)사이의 중도부에 좌우측벽(11)(11a)(11b)(11c)과 같은 형상의 중간격벽(12)(12a)을 역시 대칭적으로 돌설하고 이 좌우측벽(11)(11a)(11b)(11c)선단과 앞으로 설명할 방파벽체(20)하측벽(21)이 삽입될 수 있는 사이를 두고 외측으로 다수개(도면 도 1 및 도 3 에는 좌우 각 2 개씩 도시됨)의 지지벽(13)(13a)(13b)(13c)을 입설하여 기초단(10)을 구성하고 이 기초단(10)의 좌우측벽(11)(11a)(11b)(11c)과 중간격벽(12)(12a)의 두께 상면에 괘지 되는 콘크리트재의 2 개 1 조의 동일한 구조의 방파벽체(20)(20a)를대칭적으로 입설하되 2 개 1 조가 일측의 직립식 방파제체가 되고 2 개 1 조의 방파벽체(20)는 서로 대칭적으로 동일구조이므로 하나의 방파벽체(20) 구조만 설명하면, 방파벽체(20) 내측 방향으로 다수개(도면상으로는 5 개)의 수직 격벽(22)(22a)(22b)(22c)(22d)이 방파벽체(20) 하부선단과 동일한 길이로 돌설하되 수직격벽(22)와 (22b)와 (22d)의 하단은 기초단 상면에 돌설된 좌, 우 측벽(11)(11a)(11b)(11c)의 상부선단과 중간격벽(12) 상부선단에 계합되도록 하는 길이로 돌설하며 방파벽체(20)(20a) 전면에는 수직격벽(22)(22a)(22b)사이의 벽면(23)에 상하좌우로 다수개의 일정직경의 해수 통수공(24)을 관통천설한 구조체로 방파벽체(20)(20a)를 구성하며 이러한 방파벽체(20)(20a)를 다수개(도면상으로 4 개) 서로 대향되게 위치되게 하여 이 방파벽체(20)하측벽(21)을 기초단(10)상면에 입설된 지지벽(13)과 좌우측벽(11)사이에 삽설조립하고 방파벽체(20)와 방파벽체(20a)상면에는 콘크리트 재의 상부캡(30)을 재치하게 되는 바 상부캡(30)은 상면중도부(31)가 융기되고 전후평면에는 걸림턱(32)(32a)이 형성되게 하여 이 걸림턱(32)(32a)이 방파벽체(20)와 벽체(20a) 상단부에 계합, 연설되며 기초단(10)과 기초단(10) 상면에 입설된 방파벽체(20)(20a)와 상부캡(30)은 다수개의 앙카(40)를 수직으로 개재시키므로서 기초단(10)과 방파벽체(20)와 상부캡(30)을 견고하게 해저면에 고착고정시키게 하여 이러한 직립 방파제 단위 유니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연설하므로서 본 발명상의 조립식 직립 방파제가 구축된다.
여기서 첨부한 도면 도 4 의 'p'공간이 물고기의 산란, 서식처인 인공어초 구역이 된다.
그런데 앙카 상부선단은 상부캡(30) 상면에 돌출되게 하여 소형선박등을 정박할 수 있게 계선주(40a)로 사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상에서 거푸집에 의하여 동일한 형상의 기초단(10)과 방파벽체(20), 그리고 상부캡(30)을 각각 대량성형제작하여 방파제를 구축할 현장으로 이송하여 대형바지선등의 크레인으로 각부를 조립하게 되는 바, 방파제체가 입설되는 위치의 해저면만을 기초처리하므로서 종래 기초치환 및 방파제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한 엄청난 양의 양질의 사석이 필요없고 기초치환공사가 필요없음에 따라 방파제 구축공기의 단축 및 방파제의 구조가 통일되고 질서정연함으로 외관이 미려하고 방파제 기초단의 좌우측벽(11)(11a)(11b)(11c)과 중간격벽(12)(12a)사이의 공간에는 미역, 다시마등의 각종 해초가 식생되어 물고기의 서식 및 산란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인공어초로서의 부가적인 기능을 하므로서 친수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방파제를 기준으로 내해와 외해의 해수는 방파벽체(20)면에 천설된 다수개의 해수통수공(24)을 통하여 교류되면서도 외해로부터 가해지는 파랑은 다수개(본 발명상으로는 4 개)의 방파벽체에 의하여 방파 및 소파가 되어 내해의 수면은 항상 정온을 유지하므로서 정박중인 선박 및 각종 항내 시설물에 대한 위해가 해소되는 쾌적한 항만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해안의 부두등으로 부터 일정거리로 외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축되는 직립식 방파제(1)를 구축함에 있어서 해저면에 안치되는 콘크리트 성형제재로 된 방파제 기초단(10)을 안치하되 기초단(10)은 일정한 가로와 세로 길이 및 두께로 되고 그 상면 중도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일정한 두께와 높이의 좌, 우 측벽(11)(11a)(11b)(11c)을 입설하고 이 좌우측벽(11)(11a)(11b)(11c)사이의 중도부에 동일형상의 중간격벽(12)(12a)을 대칭되게 입설하며 좌, 우 측벽(11)(11a)(11b)(11c)과 일정거리로 이격하여 지지벽(13)(13a)(13b)(13c)을 돌설하여 기초단(10)을 구비하고 이 기초단(10)의 좌, 우측벽(11)(11a)(11b)(11c)와 지지벽(13)(13a)(13b)(13c)사이에 방파벽체(20)의 하측벽(21)이 삽설조립되게하고 방파벽체(20)면에는 다수개의 해수통수공(24)을 상하좌우로 천설하며 방파벽체(20)(20a) 배면의 해수통수공(24)이 천설되지 않은 면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수직격벽(22)(22a)(22b)(22c)(22d)을 돌설하되 수직격벽(22)와 (22b)와 (22d)의 길이는 기초단(10)에 입설된 좌우측벽(11)(11a)(11b)(11c)상단두께부에 계합되는 길이로 짧게 하며 방파벽체(20)20a)상면에는 중도부(31)가 융기되고 전후 평면에는 걸림턱(32)(32a)이 형성되게 하여 이 걸림턱(32)(32a)이 방파벽체(20)(20a) 상단부에 재치되는 상부캡(30)을 조립하여서 되는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방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해저면으로부터 기초단(10)과 방파벽체(20)와 상부캡(30)을 다수개의 앙카(40)로서 결착고정되게하여서 되는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방파제.
KR1019990033401A 1999-08-13 1999-08-13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KR100320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01A KR100320071B1 (ko) 1999-08-13 1999-08-13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401A KR100320071B1 (ko) 1999-08-13 1999-08-13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37A KR20010017737A (ko) 2001-03-05
KR100320071B1 true KR100320071B1 (ko) 2002-01-10

Family

ID=1960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401A KR100320071B1 (ko) 1999-08-13 1999-08-13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0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83B1 (ko) 2006-01-20 2006-06-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해상 케이슨 앵커 결속 방파제의 구조
KR102202567B1 (ko) * 2020-05-12 2021-01-12 김석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523B (zh) * 2019-01-08 2020-08-18 中国海洋大学 一种阶梯型透空式防波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683B1 (ko) 2006-01-20 2006-06-1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해상 케이슨 앵커 결속 방파제의 구조
KR102202567B1 (ko) * 2020-05-12 2021-01-12 김석문 블록 결합형 방파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737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5406A (en) Artificial ocean reef module and method of module construction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US4503649A (en) Modular block structures for breakwaters, harbor dams and the like
KR100320071B1 (ko)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KR100350096B1 (ko) 연약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KR100363227B1 (ko) 해수 순환 방파제
RU120972U1 (ru) Основание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ого сооружения
KR100374176B1 (ko) 해수교환방파제
KR200234585Y1 (ko) 인공어초가 구비된 해수교환 방파제
RU2302730C2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риф
KR100619574B1 (ko) 직립제 및 혼성제 혼용 방파제 구조
KR200318155Y1 (ko) 연약지반상에 구축되는 경량방파제
KR100374177B1 (ko) 깊은 수심의 방파제 구조
KR20030018382A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KR200178547Y1 (ko) 연약 지반에 구축되는 방파제 구축 구조
KR200267989Y1 (ko)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KR200284920Y1 (ko)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212550Y1 (ko) 해안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JPH0653631U (ja) リーフブロック
KR200324511Y1 (ko) 소파블럭
JPH03241111A (ja) 潜堤
KR200262769Y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KR100491111B1 (ko)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215812Y1 (ko) 조류 소통 방파제
KR200210091Y1 (ko) 해수교환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