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9651B1 - 고주파유도가열을이용하는자동판굽힘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유도가열을이용하는자동판굽힘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9651B1
KR100319651B1 KR1019980039466A KR19980039466A KR100319651B1 KR 100319651 B1 KR100319651 B1 KR 100319651B1 KR 1019980039466 A KR1019980039466 A KR 1019980039466A KR 19980039466 A KR19980039466 A KR 19980039466A KR 100319651 B1 KR100319651 B1 KR 10031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ed
high frequency
traveling
steel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0068A (ko
Inventor
다카유기 가와노
요시아기 이노우에
류우이치로 기쿠츠기
가즈아키 오타
후쿠미 하마야
히데츠구 고이와
쇼지 가와카도
다케시 나가하마
다키지로 시마모토
야스카즈 이데
Original Assignee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820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47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2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815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820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971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08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79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6108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727784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스다 노부유키,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스다 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3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965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with progr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combined with heating or cooling of the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고주파 가열 유도를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시스템은 가열할 부재인 강판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며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한 많은 유니버셜 폴을 구비하며, 강판의 상방에 있어서 고주파 가열 헤드의 고주파 가열 코일을 강판의 표면과 고주파 가열 코일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는 소정의 가열 라인을 따라 자동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강판이 가열되어 소망의 형상으로 강판을 자동적으로 굽힘가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AUTOMATIC PLATE BENDING SYSTEM USING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an automatic plate bending system)에 관한 것이며, 특히 선체의 외부 패널과 같은 복잡한 곡면을 가진 강판의 굽힘가공에 적용하기에 유용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외부 패널은 추진저항을 감소시켜 수중을 효율적으로 항해하기 위해서 복잡한 비전개성 곡면을 가진 약 10㎜ 내지 30㎜ 두께의 강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곡면의 외부 패널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선형 가열이라고 하는 가공법이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왔다. 이러한 가공법은 가스 버너 등을 이용하여 강판의 표면을 국부적으로 가열해서 발생된 소성 변형으로 인한 강판의 면외각변형(extraplane angular deformation) 또는 면내수축변형(intraplane shrinkage deformation)을 야기시키고, 이들 변형을 조합하여 소망하는 형상을 얻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많은 조선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선체의 외부 패널로서 사용되는 강판을 굽힘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 종래 기술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굽힘가공에 이용되는 목형을 강판에 배치한 것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양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선체의 외부 패널의 프레임 라인(외부 패널용 프레임재를 부착하는 위치에 있어서 프레임재를 따라 연장하는 라인; 이하 동일함)을 목표 형상으로 추종하는 다수(도면에서는 10개)의 목형(1)이 강판(2)상에 배치된다. 다음에, 조작자는 각 목형(1)과 강판(2)을 시각 관찰로 비교하고, 양자의 형상의 차이, 예를 들면 목형(1)과 강판(2) 사이의 간극을 고려한다. 이러한 고려사항을 의거하여, 조작자는 어느 위치를 가열하면 강판(2)이 목표 형상에 근접하게 되는가를 연구한다. 그 결과, 조작자는 각 가열 위치(가열점)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수직면(도 2에서와 동일면)에서 목형(1)을 강판(2)의 프레임 라인을 따라 전동시킨다.이러한 전동 동안에 목형(1)과 강판(2)의 접촉 지점이 확인되면 각 상태에 있어서 목형(1)과 강판(2) 사이의 간극을 고려하여 가열점이 결정된다.
다음에, 각 가열점을 어떻게 함께 결합하는가를 고려하여 목표 형상과 유사한 강판(2)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가열 라인이 결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가열 라인(3)은 강판(2)의 표면상에 쵸크 등으로 표시되며, 강판(2)은 가열 라인(3)을 따라 가스 버너로 가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강판(2)은 조작자의 많은 경험에 의거하여 결정된 가열 라인(3)을 따라 조작자에 의해 가스 버너로 가열된다. 그 결과, 사전결정된 곡선 표면이 얻어진다. 가열 라인(3)의 결정을 합리적으로 행하기 위한 능력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약 5년의 경험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숙련된 기술자의 고령화 및 부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굽힘가공 작업에 있어서는 강판(2)에 대한 목형(1)의 제작, 설치 및 제거 등과 같은 부대 작업에 많은 작업 시간이 소모되며, 그에 따라 전체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 게다가, 가스 버너 자체를 이용하는 가열 작업은 냉각수의 증발과 관련된 증기의 발생을 포함한 고온 다습의 환경에서의 중노동의 작업이다. 따라서, 판 굽힘가공 작업의 자동화를 실현하는 장치의 출현이 기대되고 있다.
숙련된 기술자의 부족을 해결하고,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경험을 통해 취득한 조작자의 고려사항을 고려하여 굽힘가공 작업을 개선하고, 이론화하고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강판과 같은 판 재료의 굽힘가공은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프레스로 성형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상으로 판 재료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스 버너에 의한 고온 굽힘가공이 이용된다. 가스 버너를 이용하는 작업은 소음, 고온 및 연소 가스로 인해서 열악한 작업 환경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최근에 고주파 유도 가열이 연구되었다. 고주파 유도 가열은 강판과 같은 가열할 부재내에 전자기 유도에 의해 맴돌이 전류를 발생하고, 맴돌이 전류 손실을 이용하여 열을 가한다. 따라서, 고주파 유도 가열에 있어서 고주파 가열 코일이 필요하다.
도 4는 강판(1)과 같은 가열할 평판형 부재를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고주파 가열 코일(02)이 강판(1)에 대향되게 간극(ΔT)을 거쳐 설치되어 화살표(A)의 방향으로 이동 장치(04)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간극(ΔT)은 약 5㎜이다. 고주파 가열 코일(02)은 디스크부(03)를 거쳐 바형 지지 아암(05)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지지 아암(05)은 이동 장치(04)의 가이드부(04a)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고주파 가열 코일(02)은 지지 아암(05)과 함께 일체적으로 수직방향에서 선형으로 이동된다. 이동 장치(04)의 이동 속도는 이동 속도 제어기(06)에 의해 제어되며, 가이드 레일(07)을 따라 수평 선형으로 이동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08)는 정합 트랜스이며, 참조번호(09)는 고주파 전원이다.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기로 소망의 일정한 가열을 성취하기 위해서, 고주파 가열 코일(02)과 강판(1) 사이의 간극(ΔT)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강판(1)으로의 열 입력이 고주파 가열 코일(02)로 공급된 전류, 주파수 및 고주파 가열 코일(02)의 이동 속도에 따라 파라미터로서 간극(ΔT)에 의해 간단히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주파 유도 가열시에는 고주파 가열 코일(02)과 강판(1) 사이의 간극(ΔT)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시키기 위해서, 종래 기술에 따른 고주파 유도 가열기는 고주파 가열 코일(02) 근방에 배치된 레이저 센서를 구비하며, 이 레이저 센서에 의해 고주파 가열 코일(02)과 강판(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지지 아암(05)을 연장 또는 수축시켜 고주파 가열 코일(02)과 강판(1) 사이의 간극(ΔT)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러나, 레이저 센서는 고온 또는 증기에 취약하다. 따라서, 예컨대 강판(1)의 온도가 800℃까지 상승하는 경우 발생된 복사열로부터 또는 가열된 강판(1)이 냉각수로 냉각될 때 발생되는 증기로부터 레이저 센서를 보호하기가 어렵다. 또한, 레이저 광은 증기에 의해 방해되며 그에 따라 계측 에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강판을 고온 굽힘가공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가열을 포함한다. 즉 선형 형태로 가열하는 라인 가열과, 원형 형태로서 사전결정된 점으로 가열하는 점 가열과, 지그재그 형태로 가열하는 위빙 가열 및 삼각형 형태로 가열하는 솔잎형 가열이 있다.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가열을 성취하기 위해서, 가열 형태에 적합한 다양한 코일이 사용되도록 준비되며, 코일은 가열의 형태에 부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즉, 부착 형태 코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착 형태 코일에 있어서, 가열 형태에 부합하는 많은 코일이 제조되어야 하며, 가열 형태가 변경될 때마다 코일을 교체해야 한다. 이것은 요구 비용을 상승시키고 작동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강판을 선체의 외부 패널과 같은 복잡한 곡선 표면을 가진 목표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굽힘가공할 수 있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강판 굽힘가공시에 가열점 및 가열 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방법 및 장치는 목형을 이용하지 않고 가열점 및 가열 라인을 결정할 수 있으며, 가열점 및 가열 라인의 자동 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고주파 가열 코일용의 설치 간극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가열할 부재로부터의 복사열 및 증기의 역영향을 받지 않고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 사이의 간극을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단일 형태의 코일로 다양한 형태의 가열을 실행할 수 있는 고주파 가열 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실현된다.
1) 본 발명의 장치는,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a longitudinally traveling trolley)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a travel system)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a high frequency heating coil)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universal poles)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a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목형 등을 사용하지 않고 또는 조작자에 의한 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판 굽힘가공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굽힘가공 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상승되며, 조작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는다.
2) 본 발명의 장치는,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a shape measuring unit)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외에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주행 장치를 자동적으로 이용하여 가열할 부재의 형상이 계측된다.
3)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된다.
4)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된다.
5)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된다.
실시예 3) 내지 5)에 따르면, 고주파 가열 코일과 부재 사이의 간극은 가열할 부재와 강제볼의 접촉, 자력의 작용 또는 고압 가스의 분사에 의해 발생된 반력의 작용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6)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형태의 고주파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열이 실행될 수 있다.
7) 본 발명의 장치는,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예 1) 및 2)와 관련하여 기술한 본 발명의 효과 외에 가열할 부재의 과잉 굽힘가공이 방지된다.
8) 본 발명의 장치는,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각 가열점에 있어서의 가열량을 계산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 또는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리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에서의 가열량이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의 특정 라인상에서의 모든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가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더우기, 가열 라인 및 굽힘가공 각도(가열량)가 동시에 결정될 수 있다. 그외에, 적당한 가열 라인이 가열점상의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전결정된 강판의 자동 굽힘가공이 가열 라인상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고주파 가열기의 가열 유닛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해 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하기 전후의 강판의 형상을 윤곽선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가열하기 전의 윤곽선을 도시한 것으로 강판의 형상과 목표 형상 사이의 차이를 칼라의 차이로 표시했다. 강판의 중앙의 청색부는 목표 형상으로부터 5㎜의 차이가 있으며, 강판의 단부의 적색부는 50㎜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중앙에서 가장 먼 곳에서 목표 형상으로부터의 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도 5b는 본 발명의 가열 라인을 따라 강판을 가열한 후의 윤곽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색이 현저하게 넓어서, 형상이 목표 형상에 현저하게 근접해 있다. 즉, 충분히 유용한 가열 라인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목형을 사용하지 않고 결정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장치는,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을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분할하고,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을 목표 형상의 곡률에 대응하는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유사하게 분할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및 강판의 개별적인 세트 굽힘가공 각도에 의거하여 각 구간에 대해서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수를 결정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다른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는 그 밑변이 목표 형상에 대한 근사한 접는선을 구성하는 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와 동일하며,
각 구간의 계측 형상의 원호를 이등변삼각형의 수로 나누어 원호상의 각 지점을 형성하고,
각 지점상의 좌표를 가열점으로서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공할 대상인 강판의 표면 형상과 목표 형상의 편차가 각 이등변삼각형의 밑변과 다수의 특정 이등변삼각형의 인접한 이등변삼각형의 밑변 사이의 각도에 의해 계획된 기하학 문제로서 파악된다. 따라서, 강판의 특정 라인상의 모든 가열점이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선체(a ship hull)의 외부 패널이 되는 강판을 굽힘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종래 기술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관한 강판의 굽힘가공시에 사용하기 위한 목형(a wooden pattern)을 강판에 설치한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결정된 가열 라인을 강판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과 관련된 고주파 유도 가열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실험 결과를 도시하기 위해 형상 라인으로 강판의 형상을 재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으로서 고주파 가열기(Ⅰ)를 추출 및 확대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고주파 가열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주파 가열 헤드의 코일부를 확대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고주파 가열 헤드를 확대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1에서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예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1에서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와 관련된 디스플레이 유닛(43)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가공할 강판(2)의 블랭크 레이아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1에서의 가열 라인 결정 유닛(44)에 의해 실행된 처리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가열점의 결정을 위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7은 가열 라인의 결정을 위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①,
도 18은 가열 라인의 결정을 위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②,
도 19는 가열 라인의 결정을 위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③,
도 20은 가열 라인의 결정을 위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1은 가열 라인의 결정을 위한 제 3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2는 도 11에서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인 곡률비교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목표 형상의 원호가 반경(R1내지 Rn)의 원호를 구성하는 미세한 영역으로 분할된 상태],
도 23은 도 11에서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인 곡률비교법의 원리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도 22에 도시한 원호중 하나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되는 동시에 함께 결합된 다수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되는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상태),
도 24는 도 11에서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인 곡률비교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다수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경우의 목표 형상과 실측 형상의 비교),
도 25는 가열점의 결정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①,
도 26은 가열점의 결정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②,
도 27은 가열점의 결정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③,
도 28은 가열점의 결정을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④,
도 29a 내지 도 29d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코일부(24b)를 이용한 가열 형태의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30은 코일부(24b)의 설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1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31은 코일부(24b)의 설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2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32는 코일부(24b)의 설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3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33은 코일부(24b)의 설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4 변형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목형 2, 2' : 강판
3, 3' : 가열 라인 11, 12 : 주행 트롤리
14, 15 : 종방향 주행 트롤리 16, 17 : 횡방향 주행 트롤리
16', 16" : 롤러 라인 20, 21 : 유니버셜 폴
22 : 형상 계측 유닛 24 : 고주파 가열 헤드
28 : 에어 실린더 45 : 제어 유닛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평행한 주행 레일(11, 12)은 바닥면상에 수직설치된 다수의 프레임 레그(13)상에 장착되며, 주행 레일(11, 12) 사이에 걸쳐 있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는 이러한 주행 레일(11, 12)(X축 방향으로)을 따라 주행한다. 횡방향 주행 트롤리(16, 17)는 고주파 가열기(Ⅰ, Ⅱ)를 탑재하고,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상에 제공된 횡방향 주행 레일(14a, 15b)상에서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의 주행 방향에 직각인 방향(즉 Y축 방향)으로 주행한다. 이러한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 및 횡방향 주행 트롤리(16, 17)는 수평면(XY 평면)내에서 자유자재로 주행하는 주행 장치를 구성한다. 동력 공급 벨트(18, 19)는 고주파 가열기(Ⅰ, Ⅱ)에 전력, 고압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한다. 유니버셜 폴(20, 2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열될 부재인 강판(2)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주행 레일(11, 12) 사이의 다수의 소정 위치에서 바닥면상에 수직으로 수직설치되며, 유니버셜 폴 자체의 선단부는 조정가능하다. 즉, 수평면(XY 평면)에서의 각 유니버셜 폴(20 또는 21)의 위치(X좌표 및 Y좌표)는 사전결정된 위치에 사전설정되며, 각 유니버셜 폴(20 또는 21)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는 구동 모터와 같은 내장 구동원에 의해 조정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장치는 2개의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 및 2개의 고주파 가열기(Ⅰ, Ⅱ)를 구비하며, 2개의 작업 영역을 제공하여 굽힘가공이 각각의 작업 영역에서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롤리, 가열기 및 작업 영역의 수는 물론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15) 및 고주파 가열기(Ⅰ, Ⅱ)와 같은 각 작업 영역내의 구성 요소는 정확하게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및 고주파 가열기(Ⅰ)와 같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제 1 작업 영역과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인 고주파 가열기(Ⅰ)를 추출 및 확대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주행 레일(14a)상에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16)는 형상 계측 유닛(22) 뿐만아니라 고주파 가열기(Ⅰ)를 지지한다. 형상 계측 유닛(22) 및 고주파 가열기(Ⅰ)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16)와 일체로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형상 계측 유닛(22)은 횡방향 주행 트롤리(16)에 고정된 가이드(23)를 따라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형상 계측 유닛(22)은 강판(2)의 표면과 접촉하는 하단부를 구비하며, 이 하단부의 표면의 형상을 추적하고, 그 변위를 차동 트랜스와 같은 센서로 검출하고, 이에 의해 강판(2)의 표면 형상의 실측 데이타를 공급한다. 고주파 가열기(Ⅰ)는 고주파 가열 헤드(24), 고주파 가요성 수냉 케이블(25), 정합 트랜스(26), 전력 케이블(27), 에어 실린더(28), 에어 호스(29) 및 냉각수 호스(30)를 구비한다. 고주파 가열헤드(24)는 그 고주파 가열 코일의 가열면이 강판(2)의 표면에 대향되도록 에어 실린더(28)의 피스톤 로드(28a)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에어 실린더(28)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고주파 가열 헤드(24)는 강판(2)에 접촉 및 분리된다. 또한, 고주파 가열 헤드(24)는 에어 실린더(28) 및 정합 트랜스(26)와 함께 횡방향 주행 트롤리(16)에 고정된 주행 레일(3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다.
고주파 가열 헤드(24)의 고주파 가열 코일은 전력 케이블(27), 정합 트랜스(26) 및 고주파 가요성 수냉 케이블(25)을 거쳐 전력이 공급되며, 또한 냉각수 호스(30)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된다. 에어 실린더(28)는 에어 호스(29)를 통해 고압 공기가 공급된다. 전력 케이블(27), 냉각수 호스(30) 및 에어 호스(29)는 전력 공급 벨트(18)에 결합된다(도 6).
도 8은 고주파 가열 헤드(24) 및 그 근접부를 추출해서 도시한 것으로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가열 헤드(24)는 디스크부(24a)를 거쳐 에어 실린더(28)(도 7 참조)의 피스톤 로드(28a)에 고정된다. 고주파 가열 헤드(24)는 디스크부(24a)의 중앙부에 고정된 코일부(24b)와, 코일부(24b)의 외주연을 따라 디스크부(24a)에 고정된 다수의 강제볼부(24c)를 구비한다. 강제볼부(24c)는 가열될 표면인 강판(2)의 표면에 접촉하여 고주파 가열기(Ⅰ)의 이동에 따라 강판(2)의 표면을 따라 고주파 가열 헤드(24)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며, 코일부(24b)와 강판(2)의 표면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고주파 가열 동안에 강판(2)에 대한 열입력 양은 코일부(24b)에 공급된 전류, 그 주파수, 코일부(24b)의 이동 속도 및 상술한 간극으로 구성되는 파라미터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소망하는 균일한 가열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수 요건이다. 도 8에서, 참조부호(32)는 노즐로서, 코일부(24b)의 가열 동안에 냉각수 호스(33)를 거쳐 가열부에 냉각수를 공급한다.
도 9는 도 8의 고주파 가열 헤드(24)의 코일부(24b)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24b)는 강판(2)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자속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부(24b)는 대체로 원형으로서, 나선형으로 성형된 동판을 포함하는 유도부(24d)와, 이 유도부(24d)의 갭을 충전하기 위한 절연재(24e)로 구성된다. 코일부(24b) 둘레에는 코어부(24f)가 제공되며, 이 코어부(24f)는 폴리아이론 코어(a polyiron core)로 형성되어 자로(a magnetic path)로서 형성되도록 작용한다. 코일부(24b)의 원형 형상은 동형의 피가열 부재인 강판(2)을 가열할 때 사용된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진 것이다. 따라서, 코일부(24b)는 가스 버너에 의한 가열과 마찬가지로 가열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부(24b)의 직경은 52㎜이며, 코어부(24f)의 직경은 84㎜이다.
도 10은 도 8의 고주파 가열 헤드(24)를 확대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24f)는 코일부(24b)가 면하는 리세스를 구비한 디스크형 부재이다. 코어부(24f)는 코일부(24b)에 의해 발생된 자속의 자로로서 작용한다. 파이프(24g, 24h)는 코어부(24f)를 통해 수직으로 관통하며, 파이프(24g, 24h)를 통해 유동하는 냉각수로 코일부(24b)를 냉각한다.디스크부(24a)는 링형상 부재이며, 이 부재는 그 중앙부에 코어부(24f)를 끼워맞춰 고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절연재료(24e)는 냉각수로 코일부(24b)를 냉각하는 동시에 냉각되며, 그에 따라 내열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유도 가열 전류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20㎑ 내지 30㎑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할 부재가 강판이기 때문에, 주파수는 자속의 침투 깊이, 가열 효율에 의해 적당히 결정될 수 있지만, 가열 조건에 따라 수 ㎑ 변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 주파수의 범위는 강판에 대해서 수 ㎑ 내지 60㎑이지만,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50㎑ 내지 100㎑가 바람직할 수 있다. 물론, 최적의 주파수는 가열될 부재의 두께에 따라 다양하다. 두께가 약 10 내지 30㎜인 강판의 경우에, 코일부(24b)의 최적의 직경은 약 52㎜이며, 이 치수는 종래의 가스 버너 가열에 의한 강판 굽힘가공용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동일하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점 결정 유닛(41)은 강판의 목표 형상 데이타 및 계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사전결정된 처리(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함)를 행함으로써 강판(2)의 가열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목표 형상 데이타는 CAD(42)에 의해 부여된 설계 데이타로서 3차원 좌표 데이타로서 주어지며, 강판 실측 데이타는 형상 계측 유닛(22)에 의거하여 구해진 강판(2)상의 3차원 좌표 데이타로서 주어진다. 가열 라인 결정 유닛(44)은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의 정보에 의거하여 사전결정된 처리(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함)를 실행함으로써 강판(2)상의 가열 라인(3)을 결정한다(도 3 참조; 이하 동일). 가열 라인 결정 유닛(44)에 의해 결정된 가열 라인(3)은 3차원 좌표에서 점열을 포함한 데이타로서 제어 유닛(45)으로 보내진다. 제어 유닛(45)은 가열 라인(3)상의 점열 데이타에 의거하여 종방향 주행 트롤리(14) 및 횡방향 주행 트롤리(16)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Ⅲ)의 주행을 제어함으로써 강판(2)의 가열 수단인 코일부(24b)의 위치를 제어한다. 따라서, 강판(2)의 유도 가열은 코일부(24b)를 가열 라인(3)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되며, 이에 의해 강판(2)의 굽힘가공을 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 유닛(45)은 본 발명의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 뿐만아니라 주행 장치(Ⅲ)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어의 예로는 코일부(24b)로 공급하는 전류 제어, 에어 실린더(28)의 구동 제어, 냉각수의 공급에 관련된 제어 및 유니버셜 폴(20)의 위치 제어 등이 있다. 특히 유니버셜 폴(20)의 위치 제어에 있어서, 강판(2)의 초과 굽힘가공도 방지된다. 상세하게, 제어 유닛(45)은 강판(2)이 굽힘가공될 때 강판(2)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 유니버셜 폴(20)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다음에, 이러한 반응 이동 후에 유니버셜 폴(20)중 어떤것이 강판(2)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20)의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자동 강판 굽힘가공 장치에 의한 가열 작업이 정지된다.
초과 굽힘가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유니버셜 폴(20)과 접촉되는 강판(2)의 목표 형상을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45)은 수평면에서의 각 유니버셜 폴(20)의 위치 및 그 선단부의 위치와,CAD(42)에 의해 주어진 설계 데이타 및 형상 계측 유닛(22)에 의해 주어진 강판 실측 데이타를 3차원 좌표 데이타로서 기억한다. 이들 데이타에 의거해서, 제어 유닛(45)은 강판(2)과 각 유니버셜 폴(20)의 접촉 위치에서 강판(2)의 목표 형상의 좌표 데이타를 계산하여 각 유니버셜 폴(20)의 목표 선단부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강판(2)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는 유니버셜 폴(20)의 이동은 강판(2)과 유니버셜 폴(20)의 접촉력이 사전결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유니버셜 폴(20)의 선단부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의한 초기에 굽힘가공된 상태에 있어서, 전체 유니버셜 폴(20)은 강판(2)에 접촉하지 않는다. 유니버셜 폴(20)이 강판(2)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유니버셜 폴(20)의 반응 이동에 대한 상술한 제어는 강판(2)이 굽힘가공이 진행될 때 이들 유니버셜 폴(20)에 접촉한 후에 실행된다. 초기 상태에서, 유니버셜 폴(20)은 강판(2)의 목표 형상에 대해 약 60%의 굽힘에 대응하는 굽힘가공된 표면과 일치하도록 조정된 선단부 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유니버셜 폴(20)상에서, 굽힘가공 롤 등에 의해 1차 냉간 굽힘가공이 가해진 강판(2)은 거친 위치설정 작동에 의해 위치된다. 다음에, 목표 형상의 80% 정도의 형상을 목표로 해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의해 제 1 굽힘가공 작업이 실행된다.
디스플레이 유닛(43)은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의해 각종의 처리와 관련된 정보를 가시화하며, 또 처리에 필요한 정보의 외부 입력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1')는 설명을 위한 가상적 목형이며, 참조부호(2')는 유사한 가상적 강판이다. 용어 "가상적(virtual)"이란 것은 목형 또는 강판이 현실적으로 현존하는 것이 아니고, 디스플레이 유닛(43)상의 가시적 형태로 표시된 전자적 데이타 또는 그래픽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본 예의 처리는 종래 작업자가 행한 것과 같이 목형(1')을 회전시키는 동안에 강판(2')과 목형(1')의 접촉지점을 확인해서 가열점을 결정한다. 따라서, 이것을 "접촉지점 확인법"이라고 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가공할 대상인 강판(2')은 1차 굽힘가공이 가해진 굽힘가공된 형상중 하나로 전제한다. 마이크로 스케일로 관찰할 경우, 이러한 강판(2')은 부드럽게 변화하는 곡선 표면을 갖는 것이 아니라 어떤 선형 부분에서 평탄한 표면의 집합이 된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2')은 판폭 방향에 있어서 중심선에 있는 M 라인상에서 개시되는 특정 범위에서 평탄한 표면을 형성하며, 특정 위치(b)에서 10°의 각도를 갖도록 굽힘가공된다. 이와 반대로, 목형(1')이 갖는 목표 형상이 도 12a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목형(1')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부터 프레임 라인을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목형(1')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2')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에, 강판(2')상의 접촉지점은 A, B로서 표시되어 있으며, 목형(1')의 접촉지점은 C, D로서 표시되어 있다. 다음에, 목형(1')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도 12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된다.
목형(1')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면, 접촉지점(A, B)에 연결된 직선 라인(U)과, 접촉지점(C, D)에 연결된 직선 라인(V)을 얻으면, 양 직선(U, V)의 교점(P) 및 직선(U, V)이 교차하는 각도(θ)를 구한다. 이러한 교차점(P)에 의거해서, 가열점이 결정된다. 각도(θ)(도 12d에서 3°)를 가열점에서 굽힘가공 각도로서 간주된다. 실제로, 교차점(P)은 강판(2')에 도달할 때까지 도 12d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열 위치가 결정된다. 강판(2')은 이러한 가열 위치에서 가열됨으로써 가열 위치에서 개시하여 각도(θ)로 굽힘가공된다. 이것은 도 12e에 도시된 경우이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가열에 의해 강판(2')의 접촉지점(B)이 접촉시에 목형(1')의 접촉지점(D)과 접촉하게 되며, 그에 따라 강판(2')의 형상이 목표 형상[목형(1')의 형상]에 근접하게 된다. 정확하게 말하면, 교차점(P)과 이에 의거한 가열 위치 사이의 오정열이 있다(수직 방향에서의 위치인 Z축 좌표가 상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굽힘가공에 있어서, 교차점(P)으로부터 접촉지점(B, D)까지의 직선 라인(U, V)의 길이는 각도(θ)에 비해 충분히 크다. 따라서, 교차점(P)과 이에 의거한 가열 위치는 동일 위치로 취급해도 실제적으로 어떠한 지장도 없다.
다음에, 목형(1')의 접촉지점(C)과 접촉지점(A)이 접촉한 상태가 상술한 초기 위치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를 나타내도록 동일한 조작(도 12b 내지 도 12d에 도시된 조작)이 실행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가열점 및 가열점에 있어서의 굽힘 각도(θ)가 결정된다. 목형(1')이 강판(2')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이러한 조작을 반복하면, 가열점 및 가열점에서의 굽힘 각도(θ)가 연속적으로 결정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가열점이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디스플레이 유닛(43)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3a는 초기 위치이고, 도 13b는 목형(1')이 한번 회전된 경우이고, 도 13c는 목형(1')이 2번 회전된 경우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서 처리할 대상인 강판(2)의 블랭크 레이아웃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취한 반경(R)의 원통형 표면의 일부인 가상 강판(2')이 본 실시예에서 가정한 것이다. 이러한 굽힘가공하여 원통형 표면을 근사적으로 형성하는 데에는, 원통의 중심축을 따라 표면이 굽힘가공되어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롤러 기준 라인(16')은 목표 형상이 원통형 표면으로 간단히 간주할 경우 중심축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규정된다. 도 14는 판폭 방향에서의 중심선인 M 라인이 롤러 기준 라인(16')과 교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롤러 기준 라인(16') 및 M 라인은 항상 이러한 관계는 아니다. 강판(2)이 예를 들면 선체의 외부 패널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롤러 기준 라인(16') 및 M 라인이 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도 15a 내지 도 15d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14)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예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경우의 가열 라인의 결정은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을 가상적 직선 라인으로 연결하고, 직선과 가상 동판(2')상에 그어진 가상 롤러 라인(16")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직선 라인이 사전결정된 평행도를 나타내는 가열점을 동일한 그룹끼리 그룹화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러한 그룹화는 가열점을 롤러 라인(16') 위 아래로 나눔으로써 실행된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 F1내지 F7은 가상 프레임 라인을 나타낸다. 부호(F)에 붙은 아래첨자는 프레임 라인 번호를 나타낸다. 각 프레임 라인(F1내지 F7)에 직각으로 좁게 표시된 많은 점은 가열점이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개시점(1)이 설정된다. 이러한 개시점(1)으로부터 가상 직선 라인(도 15a 내지 도 15c에서 점선)은 각 프레임 라인(F1내지 F7)상의 가열점쪽에 그려진다. 가열점은 프레임 라인 번호가 보다 작은쪽으로 및 롤러 라인(16")에 보다 근접한 순서로 설정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 라인(F1내지 F7)상의 가열점쪽에 그려진 가상 직선 라인의 각각의 롤러 라인(16")에 대한 평행도가 검사된다. 평행도를 부여하거나, 그 직선 라인이 사전결정된 각도 이하의 각도에서 롤러 라인(16")에 교차하는 가열점은 동일한 그룹으로 함께 그룹화한다. 도 15a는 개시점(1)을 기준으로한 평행도에 대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이 프레임 라인(F3, F4)상에 존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개시점(1)을 기준으로한 그룹화가 종료된 경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절차에 따라 개시점(1)을 기준으로한 그룹화가 실행된다. 도 15b는 개시점(1)을 기준으로 그룹(1)에 속하는 가열점이 고정되고, 개시점(2)을 기준으로 가열점이 학인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에, 이미 그룹화된 가열점은 개시점으로서 사용되지 않으며 그룹화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에서, 롤러 라인(16") 아래에 있는 가열점은 그룹화된다. 그룹화 작업이완료된 후에, 직선 라인(또는 곡선)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그룹에서 가열점열로부터 구해지며, 이러한 라인은 가상적 가열 라인(3')으로서 표시된다. 가열 라인(3')은 이것이 직선인 경우에는 최소 제곱법에 의해 또는 곡선인 경우에는 스플라인 보간법 등에 의해 구해진다.
도 16은 접촉지점 확인법에 의해 가열점을 구한 경우의 가열점 결정 유닛(41)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절차(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점은 프레임 라인상에서 구해지지만, 물론 이것을 구하기 위한 방법은 이러한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런, 프레임 라인은 프레임 재료가 부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라인이다. 따라서, 그 위치에서의 데이타가 설계 데이타로서 저장된다. 가열점을 구하는데 프레임 라인을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데이타의 유용성에 유리하다. 상술한 절차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CAD 데이타와 같은 설계 데이타를 내장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을 3차원 데이타로서 입력한다(단계 S1).
2) 처리할 대상인 강판의 형상을 실측해서 그 3차원 좌표 데이타를 구한다(단계 S2). 이것은 레이저 계측 및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의 화상 처리와 같은 기존의 계측법에 의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3) 각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단계 S14내지 단계 S14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 단계 S3에 대한 블럭에서 표시된 "루프(loop)"라는 것은 해당 단계(이 경우에단계 S3)보다 후의 처리를 한번의 루프라고 간주해서 그 루프에 속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프레임 라인마다 순차적으로 반복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단계 S3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는 "1"로서 표시되고, 흐름도는 다음 단계 S4의 처리로 이동한다. 또한, "FLMAX"는 최대의 프레임 라인 번호를 의미한다(이하 동일).
4) 최초에는 가열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점 번호의 초기값은 j=0으로 설정된다(단계 S4).
5) 목표 형상의 위치 및 자세를 기록한다(단계 S5).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목표 형상의 기준점(프레임 라인의 목표 형상을 도시하는 곡선과 시선 사이의 교차점, 즉 M 라인을 도시하는 가상적 목형의 점)의 좌표와, 시선의 경사(수평 라인 또는 수직 라인을 기준으로한 경사 각도)를 기록한다. 이때의 상태는 종래의 목형을 이용하는 작업에 있어서 조작자가 목형의 목표 형상을 따라 연장하는 부분의 중심점을 강판의 M 라인상에 위치시키고 시선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초기 상태에 대응한다.
6) 목표 형상을 강판을 따라 회전시키고(단계 S6), 목표 형상이 강판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그 회전을 반복한다(단계 S7). 회전 동안에 2개 점에서 목표 형상 및 강판이 접촉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단계 S8), 상술한 "접촉지점 확인방법의 원리"에 기술된 처리를 실행하여 교차점(P)의 좌표 및 그 각도(θ)를 결정한다(단계 S9, S10, S11, S12).
7) 가열점 번호에 "1"이 부가되고, 사전결정된 프레임 라인상의 각 가열점의 데이타를 작성한다(단계 S13, S14). 가열점상의 이들 데이타는 각 프레임 라인 번호 및 각 가열점 번호를 특정화하여 3차원 좌표 및 각도 데이타로서 부여된다.
8) 판정 단계(단계 S7)에서 강판의 단부가 도달된 것이 검출되는 경우, 이때의 프레임 라인 번호가 가열점 결정 처리가 실행되는 프레임 라인의 수의 최대값(FLMAX)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프레임 라인 번호가 i<FLMAX인 경우, 다음 번호의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단계 S1내지 S14에서의 처리를 반복한다. 흐름이 단계 S4로 복귀할 때마다 프레임 라인 번호(i)에 1을 부가한다. 프레임 라인 번호가 i>FLMAX인 경우, 가열점을 구하기 위한 사전결정된 처리가 모든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종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열점 결정 처리는 종료된다(단계 S15, 단계 S16).
9) 단계 S8의 처리에 의해 2개 점에서 접촉한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흐름은 단계S5의 처리로 복귀하며, 단계 S5내지 S7에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단일 처리로 일정 각도로 목표 형상이 회전되고, 단계 S5내지 S7에서의 처리는 2개 점에서 접촉이 검출될 때까지 반복된다. 따라서, 가열점을 결정할 프레임 라인을 따라 연장하는 강판의 형상이 평면인 경우, 접촉지점이 결정되지 않은 단계 S7의 처리에서 강판의 단부에 도달된 것이 검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가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판단되며, 흐름은 다음 프레임 라인에 대한 처리로 이동한다. 전체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2개 지점에서 접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즉 전체 강판이 평면인 경우, "접촉지점 확인법"에 의해 가열점을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에 의해 가열점을 결정할 대상인 강판은 굽힘가공 롤 등에 의해 1차 굽힘가공이 이뤄져야 한다.
단계 S6의 처리에 따르면, 강판을 따라 목표 형상이 회전되지만, 강판이 목표 형상을 따라 회전된다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요약하면, 2개의 접촉지점이 얻어지도록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서 가열점을 결정하는 목적은 필요한 형상 변화를 부여하기 위한 가열 위치 및 가열 강도(강판에 부여된 열량)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가열 강도와 각도(θ) 사이에는, 사전결정된 관련성이 있으며, 이것은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각도(θ)가 판명된 시점에 가열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물론 각도(θ)가 데이타로서 기록된다면 후에 필요한 경우에 가열 강도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계 S14에서, 가열점을 구하기 위한 처리와는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지만, 각도(θ)에 관한 데이타와 함께 각도(θ)에 대한 가열 강도를 구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결정된 가열점을 기준으로 가열 라인을 구하는 경우의 가열 라인 결정 유닛(44)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절차(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절차를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처리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된다.
1) 가열점의 데이타가 입력된다(단계 S21). 구체적으로, 도 16의 단계 S14에서 구한 각 프레임 라인에 있어서 각 가열점의 3차원 좌표 및 각도 데이타가 입력된다.
2) 최초에는 사전결정된 그룹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그룹 번호(g)의 초기 값으로서 g=0으로 설정된다(단계 S22).
3) 각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단계 S24내지 S25의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23).
4)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의 상측 가열점의 수가 HPU(i)>0인가 판단한다(단계 S24). "상측 가열점 수(the number of the upper heating points ; HPU)"란 가열점을 롤러 라인(16") 상하에 있는가를 결정한 경우 롤러 라인(16") 상측에 있는 가열점의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각 프레임 라인과 롤러 라인(16")의 교차점보다 Y좌표가 큰 가열점을 상측 가열점이라고 한다. 따라서, 상측 가열점이 존재한다면, HPU(i)>0이다. 이 경우에, 흐름은 단계 S25의 처리로 이동된다.
5)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의 각 상측 가열점에 대해서 단계 S26내지 단계 S38의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25). 즉, 가열점 번호 j=1∼HPU(i)의 각 가열점에 대해서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여 그룹화를 실행한다.
6) 그룹화가 종료했는가 또는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한다(단계 S26). 구체적으로, 판정된 가열점에 그룹 번호(g)가 부여되었는가가 판단된다.
7) 단계 S26에서의 판단 결과가 판정의 대상이 되는 가열점이 그룹화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면, 그룹 번호(g)에 "1"을 부가한다(단계 S27). 그룹 번호(g)의 초기값은 "0"이기 때문에, 최초의 프레임 라인에 관련된 최초 가열점에 대한 처리로서 그룹 번호 g=1이 부여된다.
8) 처리의 대상인 가열점에 단계 S27에서 부여된 그룹 번호(g)가 부여된다(단계 S28).
9) 그룹에 속하는 가열점의 수는 "1"로서 표시된다(단계 S29).
10) 단계 S27내지 S29에서의 처리에 의해 개시점이 결정된다.
11) 프레임 라인 번호(i)보다 늦은 프레임 라인 번호(i)의 각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단계 S31내지 S37에서의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30). 이들 프레임 라인 번호는 k=(i+1)∼FLMAX이다.
12) 프레임 라인 번호(k)의 프레임 라인상의 각 상측 가열점에 대해서 단계 S32내지 S36에서의 처리가 실행된다(단계 S31).
13) 프레임 라인 번호(k)의 프레임 라인상의 사전결정된 가열점의 그룹화가 종료되었는가 또는 그렇지 않은가를 판단한다(단계 S32). 구체적으로, 판단된 가열점에 그룹 번호(g)가 부여되었는가 판단한다.
14) 단계 S32에서의 판단 결과가 판단된 가열점이 그룹화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 개시점으로부터 보아서 롤러 라인(16")에 평행한 위치에 이러한 가열점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S33). 예를 들면, 개시점이 되는 가열점 및 판단할 대상인 가열점을 직선으로 함께 연결하고, 롤러 라인(16")에 대한 이러한 직선 라인의 각도가 검출된다. 이러한 각도가 사전결정된 값보다 작다면, 평행한 위치에서 문제의 가열점을 판단한다. 변형예로서, 동일한 판단은 직선 라인의 각 단부와 롤러 라인(16") 사이의 거리를 실측하고, 실측된 거리가 특정 범위내에 각각 존재하는가를 검출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15) 단계 S33에서의 판단 결과 판단 대상인 가열점이 롤러 라인(16")에 대해 평행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이러한 가열점은 그 개시점의 가열점과 동일한 그룹 번호(g)가 부여된다(단계 S34).
16) 단계 S34에서 부여된 그룹 번호(g)의 가열점의 수에 "1"을 부가한다(단계 S35).
17) 단계 S35에서의 처리가 완료된 경우, 또는 단계 S32에서의 처리에 의해 판단된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된 경우, 또는 단계 S33에서의 처리에 의해 사전결정된 평행도를 갖지 않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 라인 번호(k)의 프레임 라인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 가열점의 가열점 번호(l)가 최대값 HPU(k) 보다 크게 될때까지 단계 S32내지 S35의 처리가 반복된다(단계 S36). 흐름이 단계 S36에서 S32로 복귀할 때마다, 가열점 번호에 "1"을 부가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소정 프레임 라인상의 가열점의 그룹화가 실행된다.
18) 단계 S36의 처리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k)의 프레임 라인상의 모든 상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단계 S31내지 S36에서의 처리는 프레임 라인 번호(k)가 최대값 FLMAX 보다 크게 될 때까지 반복된다(단계 S37). 흐름이 단계 S37로부터 단계 S31로 복귀할 때마다, 프레임 번호(k)에 "1"이 부가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가 i 이후의 모든 프레임 라인에 대한 상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실행된다.
19) 단계 S26의 처리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의 판단 대상이 되는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되었다고 검출된 경우 또는 단계 S37의 처리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 이후의 전체 프레임 라인에 대한 상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되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에 속한다고 판단된 가열점의 가열점 번호(j)가 최대값 HPU(i)보다 크게 될 때까지 단계 S26내지 S38의 처리가 반복된다(단계 S38). 흐름이 단계 S38에서단계 S26으로 복귀할 때마다, 가열점 번호에 "1"이 부가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의 상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실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처리가 실행된다.
20) 단계 S24의 처리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에 상측 가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된 경우 또는 단계 S38의 처리에서 개시점이 속해 있는 프레임 라인상의 모든 상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각 프레임 라인상의 하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정확하게 동일한 절차에 의해 실행된다. 즉, 단계 S24내지 S38의 처리에 대응하는 단계 S39내지 S53의 처리는 하측 가열점에 대해서 실행된다. 단계 S39에서, "하측 가열점의 수(the number of the lower heating points ; HPL)"는 가열점이 롤러 라인(16")을 기준으로 상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상측 가열점과 역의 관계인 가열점의 수이다. 이와 반대로, HPL은 가열점의 수가 롤러 라인(16") 아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각 프레임 라인과 롤러 라인(16")의 교차점 보다 Y좌표가 작은 가열점은 하측 가열점으로 간주된다.
21) 단계 S39의 처리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의 프레임 라인상에 하측 가열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 또는 단계 S53의 처리에서 개시점이 속하는 프레임 라인상에 모든 하측 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레임 라인 번호가 FLMAX 보다 큰가를 판단한다. 프레임 라인 번호가 FLMAX 보다 작다면, 단계 S24내지 S53의 처리는 각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반복된다. 이러한 절차가 모든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완료되는 경우, 즉 모든 프레임 라인에 속하는 모든가열점의 그룹화가 완료되는 경우, 흐름은 다음 처리로 이동된다(단계 S54).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처리를 실행한다.
22) 그룹화된 각 가열점 그룹에 있어서, 각 그룹의 가열점은 연속적으로 함께 연결되어 직선이 되거나, 직선 또는 곡선은 가열점의 좌표값에 의거하여 최소 제곱법, 스플라인 보간법 등에 의해 계산되어 가열 라인을 구한다(단계 S55및 S56). 단계 S55에 있어서, "GNO"는 그룹의 수의 최대값을 가리킨다.
23) 그룹 번호가 ≥ GNO의 관계로 검출된 경우, 즉 가열 라인(3)이 모든 그룹에 대해서 결정된 것으로 검출된 경우, 모든 처리가 완료된다(단계 S57및 S58).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처리 동안에 각 가열점의 가열 강도[굽힘가공 각도(θ)]를 고려한 실시예이며, 가열 강도의 정보는 가열 라인의 정보내로 입력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계 S56의 다음의 처리에 의해 결정된 가열 라인에 대해서 가열 라인의 분포가 계산된다(단계 S59). 가열 강도는 가열점에 있어서 굽힘가공 각도(θ)와는 별개로 직접 구해지거나, 가열점의 굽힘가공 각도(θ)의 정보에 의거해서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열 라인(3)상의 가열점은 최고로 적당한 열량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고주파 가열에 의해 굽힘가공하는 경우에, 고주파 가열 코일에 공급된 전류를 제어해서 강판(2)에 대한 입력 열량을 제어함으로써 간단히 이뤄질 수 있다.
도 21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처리 동안에 각 가열점에서 [굽힘가공 각도(θ)에 의해 결정된] 가열 강도를 취하고, 이러한 가열 강도는 그룹화의 조건에 입력시킨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3또는 단계 S48다음의 처리에서 가열 강도가 개시점에서의 가열 강도(사전결정된 허용범위내에 있는 것을 포함한 가열 강도)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단계 S60). 이러한 판단 결과가 문제의 가열점이 동일한 가열 강도를 갖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면, 이러한 가열 지점은 관련 그룹에서 제외된다. 환언하면, 동일한 가열 강도를 갖는 조건으로, 개시점의 그룹 번호와 동일한 그룹 번호가 가열점에 부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가열 라인(3)상의 가열점은 동일한 열량으로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주파 가열에 의해 굽힘가공하는 경우에, 단일 가열 라인(3)에 대해서 고주파 가열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최고로 적당하게 강판에 입력되는 열량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어 "가상적(virtual)"이란 것은 현존하는 것이 아니고, 디스플레이 유닛(43)상의 가시적 형태로 표시된 전자적 데이타 또는 그래픽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기술 사상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한을 가할 필요가 없다.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작업자가 작도로 작성하는 목형 및 강판도 이러한 가상적 개념에 포함된다.
도 22 내지 도 24는 가열점 결정 유닛(41)에 의해 실행된 처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처리는 각 프레임 라인과 같은 사전결정된 라인상의 강판(2)의 굽힘가공된 형상이 다수의 곡률의 원호의 집합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목표 형상의 원호는 그 원호부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실측된 형상의 원호를 양 원호의 곡률에 의거해서 비교된다.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가열점이 결정된다. 이러한 방법을 "곡률비교법(the curvature comparison method)"이라 한다.
도 22 및 도 23은 곡률비교법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목표 형상의 원호(기준 라인인 M 라인의 우측반부가 도시됨)를 반경이 R1∼ Rn인 원호의 일부인 미소한 구간(D1, Dn)으로 분할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반면에,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분할 원호중 하나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도 23에서 수 m)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형상은 다수의 미소한 구간(D1내지 Dn)으로 분할되며, 이들 미소한 구간(D1내지 Dn)을 원호의 일부로서 간주하고, 곡률 또는 반경은 각 구간(D1내지 Dn)에 대해 표시되며, 각 구간(D1내지 Dn)의 원호의 길이(l1내지 ln)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목표 형상을 특정화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간(D1내지 Dn)내의 목표 형상 데이타가 강판 실측 데이타와 비교된다면, 목표 형상과 강판의 형상을 일치시키기 위한 강판(2)의 변형량은 2개 형태의 데이타 사이의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열 굽힘가공의 변형은 가열점에서 굽힘가공된다. 즉, 각 미소한 구간의 원호를 직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R)의 원호를 동일한 변을 분할한 것을 함께 연결한 m개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경우, 원호의 길이(l)는 수학식 1로 주어진다.
[수학식 1]
l=2θ·R·m
수학식 1에서, θ는 이등변삼각형의 밑변 사이의 각도이다.
도 24는 목표 형상의 하나의 구간의 원호를 동일한 변을 분할한 것을 함께 연결한 m개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No)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드를 2점쇄선으로 도시한 것과, 이러한 구간에 대응하는 실측된 형상의 하나의 구간의 원호를 동일한 변을 분할한 것을 함께 연결한 m개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Nc)에 의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드를 실선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Po1, P02), (Po2P03), (Po3P04) . . . . . 을 연결한 직선이 접는선(No)을 형성하고, 점(Pc1, Pc2), (Pc2, Pc3), (Pc3Pc4) . . . . . 을 연결한 직선이 접는선(Nc)을 형성한다. θo는 접는선(No)의 각 변이 인접한 변과 형성하는 각도이며, θc는 접는선(Nc)의 각 변이 인접한 변과 형성하는 각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실측된 형상에 의거한 접는선의 각 변을 Δθ(=θoc)로 굽힘가공되는 경우, 목표 형상에 의거해서 접는선의 각 변과 일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목표 형상과 강판(2)의 실측 형상의 비교 대상인 구간의 길이를 lo로 하고, 이 구간에서의 목표 형상의 원호의 반경을 Ro로 한다. 이러한 원호가 동일한 변을 분할한 것을 함께 연결한 m개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No)에 의해 개략적으로 될 때, 수학식 2의 관계는 수학식 1로부터 구해진다.
[수학식 2]
lo=2θO·Ro·m
한편, 비교할 구간에 대응하는 부분의 실측 형상에 의거한 원호의 반경을 Rc라고 한다. 이러한 원호가 동일한 변을 분할한 것을 함께 연결한 m개의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Nc)에 의해 개략적으로 될 때, 수학식 3의 관계는 수학식 1로부터 구해진다.
[수학식 3]
lc=2θc·Rc·m
실측 형상을 목표 형상으로 가열가공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방법에서 실측 형상에 대한 접는선(Nc)의 m개 변을 굽힐 필요가 있다. 이때에 굽힘가공 각도가 Δθ로 표시되는 경우, 굽힘가공 각도(Δθ)는 접는선(Nc)의 인접한 변에 의해 형성된각도와, 접는선(No)의 인접한 변에 의해 형성된 각도 사이의 차이로서 주어진다. 즉, 굽힘가공 각도(Δθ)는 수학식 4로 표시된다.
[수학식 4]
Δθ=θo- θc= (lo/2Ro·m) - (lo/2Rm)
= {lo(Rc- Ro)}/(2·Ro·Rm)
여기에서 비교할 접는선의 길이는 동일하며, lo= lc이다.
단일 강판(2)의 가열시에 있어서, 가열량[예를 들면, 고주파 가열의 경우 전류와 같은 파라미터에 의거한 입력 열량 및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강판(2) 사이의 간극]을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면 그 효율이 높다. 가열량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 굽힘가공 각도(Δθ)는 강판(2)의 특성(재료, 두께 등)으로부터 유도된다. 즉, 사전결정된 굽힘가공 각도(Δθ)는 소망의 가열량을 결정함으로써 결정되며, 각 접는선(No, Nc)의 변의 수(m)가 수학식 5로 주어진다.
[수학식 5]
m = {lo(Rc- Ro)}/(2·Ro·Rc·Δθ)
이것은 굽힘가공 각도(Δθ)가 주어진다면 길이(lc)를 수학식 5로부터 계산된 수(m)로 나누면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면, 가열점은 길이(lc)를 가열 거리(lc/m)로 분할한 각 위치로서 구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목표 형상의원호의 반경(Ro), 이에 대응하는 실측 형상의 원호의 반경(Rc), 양 원호의 길이(lo)(비교할 구간의 길이) 및 굽힘가공 각도(Δθ)가 주어진다면, 대응하는 가열점의 3차원 위치 좌표는 기하학적 문제에 대한 연산처리의 해로 구할 수 있다.
한편, 강판(2)이 평판인 경우, 수학식 5에서의 반경(Rc)이 무한대가 되어, m을 구할 수가 없다. 따라서, 수학식 5는 수학식 6으로 변형된다.
[수학식 6]
m = {lo(RC- Ro)}/(2·Ro·Rc·Δθ)
= {lo(l - Ro/Rc)}/(2·Ro·Δθ)
수학식 6에서 Rc를 무한대로 하면 (Ro/Rc)는 제로가 됨으로써 수학식 7이 구해진다.
[수학식 7]
m = lo/(2·Ro·Δθ)
수학식 7은 반경(Ro)에 내접하고 그 인접한 밑변이 각도(Δθ)를 형성하는 이등변삼각형내의 원호의 길이(lo)에 대한 이등변삼각형의 수(m)를 구하는 것과 동일하다. 요약하면, 평판이 굽힘가공되는 경우, 가열 거리는 목표 형상의 반경(Ro) 및 굽힘가공 각도(Δθ)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술한 곡률비교법에 의해 가열점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가열점 결정유닛(41)은 판독한 목표 형상에 의거하여 하기의 데이타, 즉 ① 각 프레임 라인상의 기준 라인의 위치 데이타, ② 처리 대상이 되는 강판(2)의 단부의 위치 데이타, ③ 각 프레임 라인상의 강판(2)의 굽힘가공된 형상이 다수의 곡률의 원호의 집합으로 간주되는 경우 각 구간에 있어서의 원호상의 곡률 데이타, ④ 각 구간과 인접한 구간 사이의 경계점의 위치 데이타를 작성한다. 상기 ③의 곡률 데이타는 설계시에 지정된 수치이며, 또는 이러한 수치가 지정되지 않았다면, 데이타는 목표 형상 데이타의 점열 데이타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유사하게, ① 내지 ④에 대응하는 데이타도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로부터 작성된다. 이때에, ③의 데이타는 목표 형상의 각 구간에 대응한다.
가열점 결정 유닛(41)은 목표 형상 및 실측 형상의 데이타 ① 내지 ④를 처리하고, 도 22 내지 도 24를 기준으로 설명한 곡률비교법에 의해 가열점을 설명한다. 관련된 구체적인 절차의 실시예를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열점은 프레임 라인상에서 구해지지만, 이를 구하는 방법은 물론 이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레임 라인은 프레임 재료가 부착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라인이다. 따라서, 그 위치의 데이타는 설계 데이타로서 저장된다. 가열점을 구할 때 프레임 라인을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데이타의 유용성에서 유리하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처리가 실시된다.
1) CAD 데이타와 같은 설계 데이타는 로드되어 강판의 목표 형상을 3차원 데이타로 입력되고, 또한 각 프레임 라인을 구성하는 각 구간내의 원호의 곡률 데이타 및 각 구간과 인접한 구간 사이의 경계점의 지점상의 위치 데이타와 같은 데이타 ① 내지 ④의 작성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1).
2) 처리할 대상인 강판(2)의 형상이 실측되어 그 3차원 좌표 데이타를 구하며, 또한 목표 형상에 대한 데이타 ① 내지 ④의 작성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 강판(2)의 형상의 실측은 레이저 계측 및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의 화상 처리와 같은 기존의 계측법에 의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3) 가열 변형 각도인 굽힘가공 각도(Δθ)가 설정된다(단계 S3).
4) 단계 S5내지 단계 S41에서의 처리는 각 프레임 라인에 대해 실행된다(단계 S4). 단계 S4에 대한 블럭에서 표시된 "루프(loop)"라는 것은 해당 단계(이 경우에 단계 S4)보다 후의 단계에서의 처리를 한번의 루프라고 간주해서 그 루프에 속하는 처리는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프레임 라인마다 순차적으로 반복조작되는 것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단계 S4에서, 프레임 라인 번호(i)는 "1"로서 표시되고, 흐름도는 다음 단계 S5의 처리로 이동한다. "FLMAX"는 최대의 프레임 라인 번호를 의미한다(이하 동일).
5) 최초에는 상측 가열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열점 번호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된다(단계 S5). "상측 가열점"이란 가열점이 기준 라인 상하에 있는 것을 결정한 경우 강판(2)의 목표 형상을 근사적으로 원통의 일부로 간주할 때의중심축의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인 기준 라인[예를 들면, 도 14에 의거하여 후에 상술하게 될 가열 라인 결정법의 설명을 이용하여 롤러 기준 라인(16')상의 점]상의 가열점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기준 라인상의 점의 좌표보다 큰 Y좌표를 가진 가열점을 상측 가열점이라 간주한다.
6) DM으로부터 DMAX의 각 비교할 구간에 대해 단계 S7내지 단계 S22에서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6). "DM"은 개시 기준 위치인 M 라인이 존재하는 구간의 번호를 가리킨다. "DMAX"는 구간 번호의 최대값을 가리킨다.
7) 구간이 최초 기준 위치인 M 라인이 존재하는 구간인가를 판단한다(단계 S7).
8) 단계 S7에서의 처리 결과 M 라인이 존재하는 구간인 경우에는, 기준점이 M 라인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의거해서, 이러한 위치는 설정된다(단계 S8).
9) 단계 S7에서의 처리 결과 M 라인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인 경우에는, 기준점이 M 라인에 보다 근접한 구간의 단부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의거해서, 이러한 위치는 설정된다(단계 S9).
10) 반경(Rc)은 관련 구간상의 실측 데이타로부터 구해진다(단계 S10).
11) Rc가 반경 Rmax보다 큰가를 판단한다(단계 S11). 반경(Rmax)은 강판이 평판(반경=무한대)으로서 간주되기에 충분히 큰 값으로 설정된다.
12) 단계 S11의 처리 결과 Rc> Rmax인 경우, 처리할 대상인 강판(2)은 평판으로서 간주된다. 따라서, 수학식 7에 의거한 계산이 실행되어 관련 구간에 속하는 접는선의 변의 수(m)를 결정한다(단계 S12).
13) 단계 S11의 처리 결과 Rc≤ Rmax인 경우, 수학식 7에 의거한 계산이 실행되어 관련 구간에 속하는 접는선의 변의 수(m)를 결정한다(단계 S13). 구한 m의 값은 소수점 이하는 버리고 정수값이 되도록 처리한다.
14) 변의 수(m)가 1보다 큰가를 판단한다(단계 S14).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처리가 실행된다.
15) 단계 S14의 처리 결과 m>1인 경우, 가열 거리(l=lo/m)의 길이(l)가 계산된다(단계 S15). m≤1인 경우, 이것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변이 관련 구간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굽힘가공의 위치로서 사용해야 하는 정점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차는 다음 구간에 대한 처리로 이동한다.
16) 관련 구간에 속하는 접는선의 각 변에 대해 단계 S17내지 단계 S21의 처리를 행한다(단계 S16).
17) 관련 구간에 있어서 기준점으로부터 가열 거리의 길이(l)로 이격된 지점이 이 구간내에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단계 S17).
18) 단계 S17의 처리 결과 구간내에 이러한 지점이 존재하는 경우 상측 가열점 번호에 "1"을 부가한다(단계 S18). 이 처리 결과 이러한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흐름은 다음 구간에 대한 처리로 이동한다.
19) 단계 S18의 처리와 관련된 상측 가열점 번호와 더불어, 이러한 가열점의 좌표값이 기록된다(단계 S19).
20) 기준점은 단계 S19에서 결정된 가열점으로 변경된다(단계 S20).
21) 구간에 속하는 변의 번호가 k≥m이 될 때까지 단계 S17내지 S20의 처리가 반복된다(단계 S21). 흐름이 단계 S21로부터 단계 S17의 처리로 복귀할 때마다, 변 번호(k)에 "1"이 부가된다.
22) 단계 S21의 처리 결과 k≥m인 경우, 단계 S17의 처리 결과 구간내에 사전결정된 지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단계 S14의 처리가 m≤1인 경우에는, 구간 번호가 j>DMAX가 될 때까지 단계 S7내지 S21의 처리가 반복된다(단계 S22). 흐름이 단계 S22로부터 단계 S7의 처리까지 복귀할 때마다 구간 번호(j)에 "1"이 부가된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처리가 실행된다.
23) 단계 S5내지 S40의 처리와 동일한 처리가 하측 가열점에 대해서도 실행된다(단계 S23내지 S40).
24) 단계 S40의 처리가 j>DM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것은 어떤 프레임 라인에 대해서 상측 가열점 및 하측 가열점이 결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흐름은 단계 S5의 처리로 복귀하며, i>FLMAX가 될때까지 단계 S5내지 S40의 처리는 반복된다(단계 S41). 흐름이 단계 S41로부터 단계 S5의 처리로 복귀할 때마다, 프레임 라인 번호(i)에 "1"이 부가된다. i>FLMAX인 경우 모든 처리가 완료된다(단계 S42).
곡률비교법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에 의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기 위한 가열 라인 결정 유닛(44)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절차는 상술한 실시예(도 17 내지 도 19)에 대한 흐름도에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즉, 도 26의 단계 S19및 도 28의 단계 S37에서 구한 각 프레임 라인상의 가열점의 3차원 데이타는 도 17의 단계 S21에서 "가열점의 시퀀스 입력(Enter sequence of heating points)"으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는 코일부(24b)(도 8)를 구비하며, 강판(2)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자속을 발생하기 위한 코일부(24b)의 형상은 강판(2)을 가열할 때 사용된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는 가열 라인(3)을 따라 가열하는 라인을 포함해서 다양한 형태의 가열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d는 상술한 실시예와 관련된 코일부(24b)를 이용하여강판(2)을 가열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에서, 코일부(24b)의 이동 궤적은 2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9a는 선형 가열을 도시한 것이다. 임의의 길이의 직선형 가열은 코일부(24b)를 선형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도 29b는 점 가열을 도시한 것이다. 점 가열의 경우에, 코일부(24b)는 나선형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열이 임의의 반경을 가진 원형 형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29c는 위빙 가열(weaving heating)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위빙 가열의 경우에, 코일부(24b)는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함으로써 임의의 폭을 가진 파형 형으로 가열될 수 있다. 도 29d는 솔잎형 가열을 도시한 것이다. 솔잎형 가열의 경우에, 임의의 삼각형 형상은 코일부(24b)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지그재그 폭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가열될 수 있다.
코일부(24b)를 이용하는 유도 가열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부(24b)와 가열할 부재인 강판(2) 사이의 간극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고주파 가열 헤드(24)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강제볼부(24c)를 구비하고 있다. 간극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수단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자력 또는 고압 가스에 의한 반동력을 이용함으로써 일정한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
도 30은 코일부(24b)가 장착되는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1 변형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 간극 유지 구조체는 코일부(24b)의 외주연부상에 배치되어 코일부(24b)를 둘러싸는 자석(51)을 구비하고 있다. 자석(51)은 디스크부(24a)에고정된다. 가열할 부재인 강판(2)은 자석(51)에 대향된 표면이 강판(2)에 면하는 자석(51)의 표면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나타내도록 자화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부(24b)는 자석(51)과 강판(2)의 자화된 표면 사이에서 작동하는 자기적 반발력에 의해 부양되며, 이에 의해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도 31은 코일부(24b)가 장착되는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2 변형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 간극 유지 구조체는 자력원(52)이 강판(42) 아래에 배치되는 점이 도 30에 도시된 제 1 변형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자력원(52)은 강판(42)을 자화하며, 그 결과 자석(51)에 대향된 강판(42)의 표면의 극성은 자석(51)의 대향 표면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이 된다. 따라서, 코일부(24b)는 자석(51)과 강판(2)의 자화된 표면 사이에서 작동하는 자기적 반발력에 의해 부양되며, 이에 의해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자석(51)에 대향된 강판(42)의 부분이 항상 양호하게 자화되도록, 자력원(52)은 코일부(24b)가 이동할 때 자석(51) 아래에 위치되도록 코일부(24b)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되는 것이 양호하다.
도 32는 코일부(24b)가 장착되는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3 변형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 간극 유지 구조체는 코일부(24b)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노즐(53)을 구비하며, 이 노즐을 통해 강판(2)의 표면쪽으로 수직하방으로 고압 공기(56)를 분사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코일부(24b)는 고압 공기(56)의 분사에 의한 반력에 의해 부양되며, 이에 의해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노즐(53)은 디스크부(24a)에 고정된다.
도 33은 코일부(24b)가 장착되는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체의 제 4 변형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 간극 유지 구조체는 코일부(24b)를 커버(54)로 커버한다. 커버(54)는 하방으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며, 그 상부는 디스크부(24a)에 고정되어 있다. 커버(54)는 그 상면의 일부를 관통해서 그 커버(54)에 부탁된 파이프(55)를 구비하며, 고압 공기(56)는 파이프(55)를 통해 커버(54)내로 공급된다. 또한, 커버(54)에 공급된 고압 공기(56)는 상술한 개구에 대향된 강판(2)의 표면쪽으로 분사된다. 따라서, 코일부(24b)는 고압 공기(56)의 분사에 의해 발생된 반력에 의해 부양되며, 이에 의해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술한 변형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변형 실시예에서, 자석(51)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일 수 있다. 전류에 의해 자력을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제어성을 고려해서 전자석이 바람직하다. 제 1 내지 제 4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부(24b)의 위치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로 실측된다. 이러한 실측에 의해 구해진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강판(2)에 대한 코일부(24b)의 위치를 검출해서 코일부(24b)와 강판(2)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가 실행된다. 이러한 제어는 제 1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51) 또는 강판(2)의 자력을, 또는 제 2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51) 또는 자력원(52)의 자력을 그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피드백 제어함으로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제 3 및 제 4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어는 고압 공기(56)의 분사의 양 또는 압력을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형 등을 사용하지 않고 또는 조작자에 의한 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판 굽힘가공이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굽힘가공 작업의 효율이 현저하게 상승되며, 조작에 많은 비용이 들지 않으며, 또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부재 사이의 간극은 가열할 부재와 강제볼의 접촉, 자력의 작용 또는 고압 가스의 분사에 의해 발생된 반력의 작용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한 형태의 고주파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열이 실행될 수 있으며, 가열할 부재의 과잉 굽힘가공이 방지되며, 강판의 특정 라인상에서의 모든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가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 라인 및 굽힘가공 각도(가열량)가 동시에 결정될 수 있고, 적당한 가열 라인이 가열점상의 정보에 의거하여 자동적으로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결정된 강판의 자동 굽힘가공이 가열 라인상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고주파 가열기의 가열 유닛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강판의 특정 라인상의 모든 가열점이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1)

  1.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an automatic plate bending system)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a longitudinally traveling trolley)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a travel system)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a high frequency heating coil)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universal poles)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a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a shape measuring unit)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5.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6.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9.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0.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1.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2.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3.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4.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5.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6.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19.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0.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1.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2.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3.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4.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5.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6.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7.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8.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강제볼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강제볼을 가열할 부재의 표면과 접촉시킴으로써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29.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0.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 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자석과 가열할 부재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1.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2.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평행한 레일 사이에 걸쳐 있고 이들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종방향 주행 트롤리와, 이 종방향 주행 트롤리상에서 상기 레일의 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주행하는 횡방향 주행 트롤리를 구비하여 수평면에서 자유롭게 주행하는 주행 장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에 일정한 간극을 두고 대향되고,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유도 가열하기 위한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의 형상을 계측하도록 횡방향 주행 트롤리에 부착된 형상계측 유닛과,
    가열할 부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레일 사이의 특정된 다수의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그 자체의 선단부의 높이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구성된 유니버셜 폴과,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고주파 가열 코일이 사전결정된 가열 라인을 따라 가열할 부재를 가열하고, 또한 사전결정된 계측 데이타에 의거하여 주행 장치의 수평면내에서의 주행을 제어하여 주행 장치를 거쳐 형상 계측 유닛이 사전결정된 계측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의 표면 사이의 간극은 고주파 가열 코일의 근방에 고압 가스 분사 유닛을 설치하고 그리고 이 고압 가스 분사 유닛에 의해 분사되는 고압 가스를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분사할 때의 반력에 의해 확보되며,
    상기 고주파 가열 코일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가열할 부재가 굽힘가공됨에 따라 가열할 부재의 형상의 변화에 반응하여 각각의 유니버셜 폴이 이동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며, 이러한 반응 이동후에 어떤 유니버셜 폴이 가열할 부재의 목표 형상 데이타에 의거하여 결정된 각 유니버셜 폴에 대한 목표 선단부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열 작업을 정지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3. 고주파 가열 코일 장치에 있어서,
    가열할 부재를 유도 가열하는 자속(a magnetic flux)을 발생하는 코일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 부분은 그 형상이 원형이며, 그 직경은 가열할 동일 부재를 가열할 때 사용될 가스 버너의 화염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고주파 가열 코일 장치.

  34. 고주파 가열 코일의 설치 간극 유지 장치(a mounting clearance retaining system)에 있어서,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을 배치하며, 상기 자석에 대향된 가열할 부재의 표면이 상기 부재에 면하는 자석의 표면의 극성과 동극이 되도록 가열할 부재를 자화시켜서, 상기 자석과 가열할 부재의 자화된 대향 표면 사이에서 작동하는 자기적인 반력으로 고주파 가열 코일을 부양시킴으로써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설치 간극 유지 장치.

  35. 고주파 가열 코일의 설치 간극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자석과, 가열할 부재의 하방에 자력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자석에 대향된 가열할 부재의 표면이 상기 부재에 면하는 자석의 표면의 극성과 동극이 되도록 부재를 자력원에 의해 자화시켜서, 상기 자석과 가열할 부재의 자화된 대향 표면 사이에서 작동하는 자기적인 반력으로 고주파 가열 코일을 부양시킴으로써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설치 간극 유지 장치.

  36. 고주파 가열 코일의 설치 간극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노즐을 통해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수직 하방으로 고압 공기와 같은 고압 가스를 분사하고, 이에 의해 고압 가스의 분사에 의해 발생된 반력으로 고주파 가열 코일을 부양시킴으로써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설치 간극 유지 장치.

  37. 고주파 가열 코일의 설치 간극 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고주파 가열 코일의 둘레에 하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커버내에 고압 공기와 같은 고압 가스를 공급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대향된 가열할 부재의 표면을 향해 상기 커버내로부터 그 개구부를 통해 고압 가스를 분사하고, 이에 의해 고압 가스의 분사에 의해 발생된 반력으로 고주파 가열 코일을 부양시킴으로써 고주파 가열 코일과 가열할 부재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설치 간극 유지 장치.

  38.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39.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0.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1.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2.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3.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4.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각 가열점에있어서의 가열량을 계산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5.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각 가열점에 있어서의 가열량을 계산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6.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 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리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에서의 가열량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7.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목표 형상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목형을 강판 형성 실측 데이타로 형성된 가상적 강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사전결정된 기준 위치로부터 상기 강판의 단면을 포함한 평면내에서 프레임 라인과 같은 강판상의 특정 라인을 따라 회전시켜서, 목형과 강판을 2개의 지점에서 접촉한 경우 강판상의 접촉지점을 A, B로 표시하고 목형상의 접촉지점을 C, D로 표시하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기준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목형 또는 강판이 기준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상기 접촉지점(A, B)을연결한 직선(U)과 상기 접촉지점(C, D)을 연결한 직선(V)을 구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점에 의거하여 가열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하고,
    양 직선(U, V)의 교차 각도에 의거하여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 각도를 계산하고,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가열점, 또는 가열점 및 굽힘가공 각도를 구한 후에, 이 가열점의 결정시에 이용된 기준점 측면상의 접촉지점(A, C)을 서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새로운 기준점으로 접촉지점을 사용하도록 상술한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특정 라인을 따라 강판의 단부까지의 각 가열점, 또는 각 가열점 및 각 굽힘가공 각도를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강판의 1차 굽힘가공 동안에 포함된 롤러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고,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그리고 각 가열점에 있어서 강판의 굽힘가공 각도에 의해 결정된 가열점에서의 가열량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8.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반경,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반경 및 강판의 개별적인 세트 굽힘가공 각도에 의거하여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수를 결정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목표 형상의 원호가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계측 형상의 원호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다른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는 그 밑변이 목표 형상에 대한 근사한 접는선을 구성하는 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와 동일하며,
    계측 형상의 원호를 이등변삼각형의 수로 나누어 원호상의 각 지점을 형성하고,
    각 지점상의 좌표를 가열점으로서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49.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을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분할하고,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을 목표 형상의 곡률에 대응하는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유사하게 분할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및 강판의 개별적인 세트 굽힘가공 각도에 의거하여 각 구간에 대해서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수를 결정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다른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는 그 밑변이 목표 형상에 대한 근사한 접는선을 구성하는 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와 동일하며,
    각 구간의 계측 형상의 원호를 이등변삼각형의 수로 나누어 원호상의 각 지점을 형성하고,
    각 지점상의 좌표를 가열점으로서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50.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반경,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반경 및 강판의 개별적인 세트 굽힘가공 각도에 의거하여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수를 결정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목표 형상의 원호가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계측 형상의 원호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다른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는 그 밑변이 목표 형상에 대한 근사한 접는선을 구성하는 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와 동일하며,
    계측 형상의 원호를 이등변삼각형의 수로 나누어 원호상의 각 지점을 형성하고,
    각 지점상의 좌표를 가열점으로서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실린더의 중심축의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인 기준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여 목표 형상이 실린더의 일부로서 대략적으로 간주되게 하며,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51. 제 1 항 내지 제 3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가공될 강판의 목표 형상에서의 목표 형상 데이타와, 강판의 표면 형상을 실측해서 구해지는 강판 형상 실측 데이타를 판독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곡률을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분할하고,
    강판의 계측 형상의 곡률을 목표 형상의 곡률에 대응하는 다수의 연속 구간으로 유사하게 분할하고,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반경 및 강판의 개별적인 세트 굽힘가공 각도에 의거하여 각 구간에 대해서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수를 결정하여,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목표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다수의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분할 곡률이 원호로서 간주되는 경우 강판의 계측 형상의 각 구간의 원호가 동일한 변으로 분할된 것을 함께 결합한 다수의 다른 합동 이등변삼각형의 밑변에 의해 규정된 접는선으로 개략적으로 할 수 있으며, 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는 그 밑변이 목표 형상에 대한 근사한 접는선을 구성하는 전자의 이등변삼각형의 수와 동일하며,
    각 구간의 계측 형상의 원호를 이등변삼각형의 수로 나누어 원호상의 각 지점을 형성하고,
    각 지점상의 좌표를 가열점으로서 계산하는 가열점 결정 유닛과;
    상기 가열점 결정 유닛에 의해 계산된 가열점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각 가열점의 데이타에 의거하여 어떤 라인상의 어떤 가열점인 개시점으로부터 다른 라인상의 가열점까지 직선을 그리고,
    상기 각 직선과 실린더의 중심축의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인 기준 라인 사이의 평행도를 검사하여 목표 형상이 실린더의 일부로서 대략적으로 간주되게 하며,
    상기 평행도가 사전결정된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동일한 그룹의 가열점으로서 관련 가열점의 그룹화를 실행하고,
    동일한 그룹의 각 가열점을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하여 가열 라인을 결정하는 가열 라인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판 굽힘가공 장치.
KR1019980039466A 1997-09-24 1998-09-23 고주파유도가열을이용하는자동판굽힘가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19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820297A JP3524727B2 (ja) 1997-09-24 1997-09-24 高周波誘導加熱による自動板曲げ装置
JP97-258201 1997-09-24
JP25820197A JP3581537B2 (ja) 1997-09-24 1997-09-24 高周波加熱コイルの設置間隙保持装置
JP25820097A JPH1197165A (ja) 1997-09-24 1997-09-24 高周波加熱コイル装置
JP97-258200 1997-09-24
JP97-258202 1997-09-24
JP97-263751 1997-09-29
JP97-263748 1997-09-29
JP26374897 1997-09-29
JP26375197 1997-09-29
JP98-261088 1998-09-16
JP26108998A JP3679932B2 (ja) 1997-09-29 1998-09-16 鋼板曲げ加工における加熱点及び加熱線の決定方法及び装置
JP98-261089 1998-09-16
JP26108898A JP3727784B2 (ja) 1997-09-29 1998-09-16 鋼板曲げ加工における加熱点及び加熱線の決定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0068A KR19990030068A (ko) 1999-04-26
KR100319651B1 true KR100319651B1 (ko) 2002-03-08

Family

ID=27566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4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9651B1 (ko) 1997-09-24 1998-09-23 고주파유도가열을이용하는자동판굽힘가공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002118A (ko)
EP (3) EP1129798B1 (ko)
KR (1) KR100319651B1 (ko)
DE (2) DE69828653T2 (ko)
DK (2) DK0904866T3 (ko)
NO (2) NO312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40B1 (ko) * 2009-12-29 2012-07-24 한국기계연구원 코일 위치 자동 정밀 제어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후판의 곡가공 장치
WO2012141405A1 (ko) * 2011-04-13 2012-10-18 한국기계연구원 코일 위치 자동 정밀 제어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후판의 3차원 곡가공 장치
KR20160082982A (ko) * 2013-11-07 2016-07-11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대규모 금속 성형
US11135632B2 (en) 2013-11-07 2021-10-05 Illinois Tool Works Inc. Large scale metal form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8310B1 (en) * 1997-09-29 2001-10-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heating point and heating line in bending of steel plate
KR19990074014A (ko) * 1998-03-05 1999-10-05 신종계 선체 외판의 곡면가공 자동화 장치
GB0119023D0 (en) 2001-08-03 2001-09-26 Norsk Hydro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orting a workpiece
US6894255B2 (en) * 2002-03-22 2005-05-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US20040221929A1 (en) 2003-05-09 2004-11-11 Hebda John J. Processing of titanium-aluminum-vanadium alloys and products made thereby
US7323666B2 (en) 2003-12-08 2008-01-29 Saint-Gobain Performance Plastics Corporation Inductively heatable components
US7837812B2 (en) 2004-05-21 2010-11-23 Ati Properties, Inc. Metastable beta-titanium alloys and methods of processing the same by direct aging
CZ2007354A3 (cs) * 2007-05-21 2008-11-12 Západoceská Univerzita V Plzni Zpusob manipulace s materiálem a jeho tvárení priteplote mezi solidem a liquidem
JP4802180B2 (ja) * 2007-12-13 2011-10-26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通電加熱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熱間プレス成形装置並びに通電加熱方法
US20100132110A1 (en) * 2008-12-01 2010-06-03 Material Sciences Corporation Bimetal lamin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100147832A1 (en) * 2008-12-16 2010-06-17 Barker Iii Charles R Induction cookware identifying
US10053758B2 (en) 2010-01-22 2018-08-21 Ati Properties Llc Production of high strength titanium
US8341992B2 (en) 2010-05-05 2013-0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ller hemming with in-situ adhesive curing
US9255316B2 (en) 2010-07-19 2016-02-09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of α+β titanium alloys
US9206497B2 (en) 2010-09-15 2015-12-08 Ati Properties, Inc. Methods for processing titanium alloys
US8613818B2 (en) 2010-09-15 2013-12-24 Ati Properties, Inc. Processing routes for titanium and titanium alloys
US10513755B2 (en) 2010-09-23 2019-12-24 Ati Properties Llc High strength alpha/beta titanium alloy fasteners and fastener stock
US8652400B2 (en) 2011-06-01 2014-02-18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nickel-base alloys
US9050647B2 (en) 2013-03-15 2015-06-09 Ati Properties, Inc. Split-pass open-die forging for hard-to-forge, strain-path sensitive titanium-base and nickel-base alloys
US9869003B2 (en) 2013-02-26 2018-01-16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alloys
US9192981B2 (en) 2013-03-11 2015-11-24 Ati Properties, In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high strength non-magnetic corrosion resistant material
US9777361B2 (en) 2013-03-15 2017-10-03 Ati Properties Llc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CN103439920A (zh) * 2013-09-11 2013-12-11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无线控制数控卷板机系统
US11111552B2 (en) 2013-11-12 2021-09-07 Ati Properties Llc Methods for processing metal alloys
CN104399792B (zh) * 2014-11-28 2018-04-27 广东工业大学 一种基于朴素贝叶斯分类器的水火弯板焰道点判定方法
US10094003B2 (en) 2015-01-12 2018-10-09 Ati Properties Llc Titanium alloy
US10502252B2 (en) 2015-11-23 2019-12-10 Ati Properties Llc Processing of alpha-beta titanium alloys
CN106238518A (zh) * 2016-09-29 2016-12-21 华中科技大学 一种多用途感应加热实验台及其使用方法
WO2018064757A1 (en) 2016-10-05 2018-04-12 Betterfrost Technologies Inc. High-frequency self-defrosting evaporator coil
US10288386B1 (en) * 2016-10-12 2019-05-14 Brian Moore Body armor and body armor manufacturing methods
KR102436323B1 (ko) * 2021-04-30 2022-08-2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체 곡 외판용 외종곡 형성시스템
WO2024118654A1 (en) * 2022-11-28 2024-06-06 Cb&I Sts Delaware Llc Automated sphere plate pressing method
US12344918B2 (en) 2023-07-12 2025-07-01 Ati Properties Llc Titanium alloy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47334A1 (ko) * 1964-11-11 1966-05-11
GB1228004A (ko) * 1968-05-27 1971-04-15
US3845650A (en) * 1973-01-19 1974-11-05 B Romanov Machine for manufacturing a coil of a pipe by bending it
US3831425A (en) * 1973-05-01 1974-08-27 Komatsu Mfg Co Ltd Fully automatic forging press
US4120187A (en) * 1977-05-24 1978-10-17 General Dynamics Corporation Forming curved segments from metal plates
WO1981001258A1 (en) * 1979-11-01 1981-05-14 Nikolaevsky Korablestroitelny Method and device for bending sheet metal
JPS57189948A (en) * 1981-05-11 1982-11-22 Ibm Device for floating and holding sheet
US4569218A (en) * 1983-07-12 1986-02-11 Alumax, Inc.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haped metal parts
DE3432467C1 (de) * 1984-09-04 1986-03-27 Kernforschungsanlage Jülich GmbH, 5170 Jülich Stab- und Tiegelhalterung
FR2607036B1 (fr) * 1986-11-24 1992-07-03 Usinor Aciers Tunnel amovible de maintien en temperature d'un produit lamine a chaud dans un train de laminage continu
US5150272A (en) * 1990-03-06 1992-09-22 Intersonics Incorporated Stabilized electromagnetic levitator and method
US5483042A (en) * 1990-06-04 1996-01-09 Nordson Corporation Magnetic separator
JPH06541A (ja) * 1992-06-17 1994-01-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線状加熱装置
EP0575646A1 (en) * 1992-06-22 1993-12-29 Aliteco Ag A method and a device for forming various workpieces
US5319670A (en) * 1992-07-24 1994-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Velocity damper for electromagnetically levitated materials
US5313815A (en) * 1992-11-03 1994-05-24 Ama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haped metal parts using continuous heating
JP2666674B2 (ja) * 1993-01-29 1997-10-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線状加熱による金属板の曲げ加工方法
WO1994019124A1 (de) * 1993-02-18 1994-09-01 Sms Hasencleve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ringung eines temperaturprofils an für das strangpressen vorgesehenen metallblöcken
DE4306584C1 (de) * 1993-03-03 1994-07-07 Langbein & Engelbrecht Vorrichtung zur schwebenden Führung einer Warenbahn
EP0649353A1 (en) * 1993-03-25 1995-04-26 Instytut Podstawowych Problemow Techniki Method of bending metal objects
DE69428259T2 (de) * 1993-06-15 2002-04-11 Kawasaki Steel Corp., Kob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warmwalzen von metallischem walzgut
JP2666685B2 (ja) * 1993-07-12 1997-10-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線状加熱による金属板の曲げ加工方法
PL299688A3 (en) * 1993-07-15 1995-01-23 Pan Method of bending metal workpieces
JP2626496B2 (ja) * 1993-08-26 1997-07-0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線状加熱による金属板の曲げ加工方法
JP2666691B2 (ja) * 1993-09-07 1997-10-22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線状加熱による金属板の曲げ加工方法
US5404062A (en) * 1994-02-17 1995-04-04 Creative Gifts, Inc. Magnetic levitation device and method
US5786576A (en) * 1995-11-06 1998-07-28 The Boeing Company Self-steering system for guiding a moving induction coil during thermoplastic welding
US5887018A (en) * 1996-07-09 1999-03-23 Wm. Marsh Rice University Longitudinal electromagnetic levit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840B1 (ko) * 2009-12-29 2012-07-24 한국기계연구원 코일 위치 자동 정밀 제어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후판의 곡가공 장치
WO2012141405A1 (ko) * 2011-04-13 2012-10-18 한국기계연구원 코일 위치 자동 정밀 제어에 의한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한 후판의 3차원 곡가공 장치
KR20160082982A (ko) * 2013-11-07 2016-07-11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대규모 금속 성형
KR102284632B1 (ko) * 2013-11-07 2021-07-30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대규모 금속 성형
US11135632B2 (en) 2013-11-07 2021-10-05 Illinois Tool Works Inc. Large scale metal form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2028956B2 (en) 2013-11-07 2024-07-02 Illinois Tool Works Inc. Large scale metal 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4866A2 (en) 1999-03-31
NO20020501L (no) 1999-03-25
NO312446B1 (no) 2002-05-13
EP1129798A2 (en) 2001-09-05
NO984437D0 (no) 1998-09-23
US6064046A (en) 2000-05-16
US6002118A (en) 1999-12-14
EP1129798B1 (en) 2005-01-12
EP1129798A3 (en) 2001-12-05
DE69828653D1 (de) 2005-02-17
EP0904866B1 (en) 2002-08-07
DE69828653T2 (de) 2006-03-16
DK1129798T3 (da) 2005-05-17
NO984437L (no) 1999-03-25
EP1439012A1 (en) 2004-07-21
DK0904866T3 (da) 2002-09-02
DE69807017T2 (de) 2002-12-05
EP0904866A3 (en) 2000-08-02
NO20020501D0 (no) 2002-01-31
KR19990030068A (ko) 1999-04-26
DE69807017D1 (de)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651B1 (ko) 고주파유도가열을이용하는자동판굽힘가공장치
KR19990074014A (ko) 선체 외판의 곡면가공 자동화 장치
US12028956B2 (en) Large scale metal forming
JP3524727B2 (ja) 高周波誘導加熱による自動板曲げ装置
KR100288414B1 (ko) 강판의 굽힘가공시에 가열점 및 가열선을 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102771B (zh) 一种基于磁悬浮原理的原位激光增材修复方法
CN113084106B (zh) 铸坯棱角部加热装置及加热方法
CA2022244A1 (en) Sweep wel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H09155457A (ja) 船体外板の自動加熱曲げ加工装置用冷却水噴射ノズル付き定盤
JP3198242B2 (ja) 自動加熱曲げ加工された船体外板の切断線マーキング方法
KR20110025361A (ko) 곡면 가공장치
US10399187B2 (en) System and method to locate and repair insert holes on a gas turbine component
CN108173096A (zh) 汽轮发电机定子空心导线端部连接的全自动焊接方法
CN219665435U (zh) 一种激光去毛刺设备
JPH09156579A (ja) 船体外板の自動加熱曲げ加工方法
Govardhan et al. Real-time welding process control using infrared sensing
JPH09155459A (ja) 船体外板の自動加熱曲げ加工方法
JPH0648139B2 (ja) 溶融金属用内張容器の補修方法
JP3556903B2 (ja) 条材曲げ加工装置
JPS60231524A (ja) 線状加熱加工の角変形量制御方法
JPH09155458A (ja) 船体外板の自動加熱曲げ加工方法
JPS6044046B2 (ja) 線条加熱装置
JPH11156447A (ja) 鋼板曲げ加工における加熱点及び加熱線の決定方法及び装置
ITRM970457A1 (it)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curvatura automatica di lamiere con controllo adattivo
KR19980066086U (ko)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한 판 벤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