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8138B1 -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138B1
KR100318138B1 KR1019940031073A KR19940031073A KR100318138B1 KR 100318138 B1 KR100318138 B1 KR 100318138B1 KR 1019940031073 A KR1019940031073 A KR 1019940031073A KR 19940031073 A KR19940031073 A KR 19940031073A KR 100318138 B1 KR100318138 B1 KR 10031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yarn
temperature
color tone
stret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972A (ko
Inventor
최보윤
홍병인
오원환
Original Assignee
조민호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호,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조민호
Priority to KR1019940031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138B1/ko
Publication of KR96001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1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염반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를 배향이 낮게 되도록 방사한 후 교락을 부여하고 미연신사가 가열롤러 상에서 예열이 최소화되도록하고 가열판에서의 열고정온도는 최대한으로 하여 미연신 부위를 최소화 및 균일화하며, 또한 연신배율에 있어서는 자연연신비 전후로 하여 연신하므로써, 후공정에서 공정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원사 외관의 루프를 분산시키고 후가공시 멀티필라멘트간의 불균일 절단을 유도하여 색조의 길이를 분산시켜서 제직후의 촉감이 일반사 직물에 비해 매우 우수하고 색조의 발현이 은은하고 짧은 폴리에스테르 염반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염반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염반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배향이 낮게 되도록 방사한 후 교락을 부여하고, 미연신사가 가열롤러 상에서 예열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가열판에서의 열고정온도는 최대한으로 하여 미연신 부위를 최소화 및 균일화하며, 또한 연신배율에 있어서는 자연연신비 전후로 하여 연신하므로써, 후공정에서 공정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원사 외관의 루프를 분산시키고 후가공시 멀티필라멘트간의 불균일 절단을 유도하여 색조의 길이를 분산시켜서 제직후의 촉감이 일반사 직물에 비해 매우 우수하고 색조의 발현이 은은하고 짧은 폴리에스테르 염반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스테르사를 제조함에 있어서 색조를 불규칙적으로 주기위한 방법으로서 일본 특공소 51-7207 호에서는 중간 배향화한 미연신사를 적절한 연신조건 (연신배율, 연신온도)으로 제사하여 염색시 색조차를 부여하는 기술을 제시하였고, 일본 특개소 62-41342 호에서는 고뎃롤러를 타원형으로 장치 개조하여 부위별로 연신정도를 달리하여 제사한 후 이러한 각 부위들이 염색시 색조가 다른 형태로 발현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하였고,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94-11681 호에서는 저배향화한 미연신사를 저온, 고연신배율로 연신하여 색조를 짧고 불규칙적으로 부여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의 방법들은 모두 염색후의 색조차가 진하고 선명하며 색조의 길이가 길어 은은하고 짧은 색조가 발현되는 원사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었다.
또한, 상기 한국특허의 방법에 있어서는 저배향화한 원사를 사용, 고배율, 고온 연신하게 되면 권취도중에 가열롤러 또는 인취롤러에 부분 단사로 인한 사 감김 및 사절이 많이 발생하여 제사공정이 극도로 나빠지거나 권취가 되더라도 불균일한 필라멘트간의 수축차와 인취롤러를 지나면서 발생되는 탄성 회복력차로 인해 루프가 다발하게 되어 이로 인해 후공정에서 준비, 제직작업성이 불량하게 되어 상품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이와함께 직물효과, 특히 촉감을 향상시키며, 직물상에서 기존의 진하고 굵고 긴 색조효과와는 달리 은은하고 짧은 색조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연구하던 중 연신전에 미리 교락처리를 하면 사의 집속성이 좋아져 저예열 상태에서의 미연신사가 고배율로 연신되며 가열판에서 고온으로 열고정이 되어도 루프의 길이가 제어되고, 또한 부분단사를 최소화하여 가열롤러상이나 인취롤러상에서 발생하기 쉬운 사절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한편, 이러한 원사의 제조공정 또는 외관 개선과는 별도로 폴리머의 연신온도에 따른 유동성을 연구하던 중 배향도가 낮은 미연신사군이 충분한 예열없이 연신하면 필라멘트내 또는 필라멘트간의 불균일 배향이 형성되고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여 원사의 강력을 저하시켜 일반적인 섬유의 제사공정상으로는 결점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이를 원사의 후공정중 알칼리 가수분해공정에 응용, 불균일한 절단을 유도하면 색조의 길이 분산이 가능하고 또한 일반사에 비해 휠씬 부드러운 촉감 발현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종합하여 색조 길이의 분산을 실현시켜 종래의 진한 색조차 발현 형태와는 달리 은은하고 짧은 색조가 발현되고 부드러운 촉감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염반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방사속도 900∼1,800 m/분으로 배향이 6∼18×10-3이 되도록 방사한 후 가열롤러의 온도를 상온∼80℃, 가열판의 온도를 160∼230℃, 연신배율을 자연연신비의 0.8∼1.2배 사이로 연신하되 연신이 시작되기 전에 유체교락장치를 이용하여 교착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염반사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방사속도를 900 m/분 미만으로 하면 예열이 작은 상태로 연신되기 때문에 촉감은 우수하게 되나 후공정시 취화문제에 따른 작업공정성이 나빠지며, 1,800 m/분을 초과하게 되면 색조가 길어지고 촉감이 불량해진다.
또한 배향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촉감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있다.
가열롤러의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불균일 연신에 의한 태세사의 제조가 불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가열판의 온도가 160℃ 미만이면 저배향 원사가 예열온도가 낮은 상태로 연신되기 때문에 미연신상태에서의 교락부위가 그렇지 않은 부위와 인장거동이 달라 후공정시 열처리에 의한 취화문제가 있고 톤이 진하게 되며, 230℃를 초과하면 직물 가공후에 염색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연신배율을 자연연신비의 0.8배 미만으로 하면 색조가 진해져서 색조차가 뚜렷한 일반적인 태세사와 유사하게 되며, 자연연신비의 1.2배를 초과하여 연신하면 부분적으로 단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원사를 사용하여 일반사와 동일하게 준비, 제직한 후 알칼리 가수분해 처리하면 멀티 필라멘트내의 부분적인 불균일 모우화가 발생하여 방적사와 같은 우수한 촉감 발현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연사물 전개시에는 종래의 태세사와는 달리 양변색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고유점도 0.65 ㎗/d의 폴리에스테르를 방사속도 1,000 m/분, 배향도 6.0×10-3, 100 데니어 36 필라멘트로 방사한 후 가열롤러 상부에서 유체교락장치를 사용, 1.5 ㎏ ·f/㎠로 가압하여 교락을 부여하고, 가열롤러의 온도 55℃, 가열판의 온도 220℃, 연신비 3.2(자연연신비 3.3), 권취속도 600 m/분의 조건으로 제사하여 은은하고 짧은 독특한 색조 발현이 가능하고 촉감이 일반사에 비해 휠씬 우수한 염반사를 얻었다.
《 실시예 2 》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고유점도 0.65 ㎗/d의 폴리에스테르를 방사속도 1,600 m/분, 배향도 12×10-3, 100 데니어 72 필라멘트로 방사한 후 가열롤러 상부에서 유체교락장치를 사용, 1.5 ㎏ ·f/㎠로 가압하여 교락을 부여하고, 가열롤러의 온도 상온, 가열판의 온도 230℃, 연신비 2.6(자연연신비 2.54), 권취속도 900 m/분의 조건으로 제사하여 은은하고 짧은 독특한 색조 발현이가능하고 촉감이 일반사에 비해 휠씬 우수한 염반사를 얻었다.
《 비교예 1 》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고유점도 0.65 ㎗/d의 폴리에스테르를 방사속도 1,900 m/분, 배향도 18×10-3, 150 데니어 48 필라멘트로 방사한 후 가열롤러 상부에서 유체교착장치를 사용, 1.8 ㎏ ·f/㎠로 가압하여 교락을 부여하고, 가열롤러의 온도 상온, 가열판의 온도 230℃, 연신비 2.5(자연연신비 2.2), 권취속도 900 m/분의 조건으로 제사한 결과 색조가 길고 촉감이 불량한 염반사를 얻었다.
《 비교예 2 》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된 구성 단위로 하는 고유점도 0.65 ㎗/d의 폴리에스테르를 방사속도 3,310 m/분, 배향도 43×10-3, 75 데니어 36 필라멘트로 방사한 후 가열롤러 상부에서 유체교락장치를 사용, 2.0 ㎏ ·f/㎠로 가압하여 교락을 부여하고, 가열롤러의 온도 50℃, 가열판의 온도 160℃, 연신비 1.5(자연연신비 1.3), 권취속도 900 m/분의 조건으로 제사한 결과 촉감이 불량한 염반사를 얻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 제조공정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연신사
2 : 공급롤러
3 : 유체교락장치
4 : 가열롤러
5 : 가열판
6 : 권취롤러
7 : 스핀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폴리머를 방사속도 900∼1,800 m/분으로 배향이 6∼18×10-3이 되도록 낮게 방사한 후 가열롤러의 온도를 상온∼80℃, 가열판의 온도를 160∼230℃, 연신배율을 자연연신비의 0.8∼1.2배 사이로 연신하되 연신이 시작되기 전에 유체교락장치를 이용하여 교락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염반사의 제조방법.
KR1019940031073A 1994-11-24 1994-11-24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31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073A KR100318138B1 (ko) 1994-11-24 1994-11-24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073A KR100318138B1 (ko) 1994-11-24 1994-11-24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72A KR960017972A (ko) 1996-06-17
KR100318138B1 true KR100318138B1 (ko) 2002-05-13

Family

ID=6664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0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8138B1 (ko) 1994-11-24 1994-11-24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1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4025A (en) * 1975-07-23 1977-10-18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lament yarns with statistically distributed, broken individual filaments
KR890000708A (ko) * 1987-06-08 1989-03-16 송재달 스펀라이크한 다층 구조사의 제조방법
JPH03193948A (ja) * 1989-12-20 1991-08-23 Toray Ind Inc 自発伸長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KR940011681A (ko) * 1992-11-05 1994-06-21 이승동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940014979A (ko) * 1992-12-31 1994-07-19 이승동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4025A (en) * 1975-07-23 1977-10-18 Bayer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ilament yarns with statistically distributed, broken individual filaments
KR890000708A (ko) * 1987-06-08 1989-03-16 송재달 스펀라이크한 다층 구조사의 제조방법
JPH03193948A (ja) * 1989-12-20 1991-08-23 Toray Ind Inc 自発伸長ポリエステルフイラメント糸の製造方法
KR940011681A (ko) * 1992-11-05 1994-06-21 이승동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940014979A (ko) * 1992-12-31 1994-07-19 이승동 스펀라이크(Spun-Like) 복합 폴리에스테르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7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8138B1 (ko) 폴리에스테르염반사의제조방법
JP3176813B2 (ja) ポリエステルシック・アンド・シンヤーンおよび該ヤーンからなるカスリ調織編物
KR100318331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100220644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20010990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0138223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직물의 제조방법
KR100225283B1 (ko) 폴리에스터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314560B1 (ko) 태세복합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315512B1 (ko) 폴리에스터 태세복합혼섬사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264063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이수축 혼섬사 직물의 제조방법
KR930003951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4531961B2 (ja) 濃淡柄混在用の織編物
KR970000811B1 (ko)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58985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70000810B1 (ko) 개선된 드레이프성을 갖는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302242B1 (ko) 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KR930011948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제조방법
KR860002172B1 (ko) 플리에스테르 이수축(異收縮) 혼섬사 및 그 직, 편물의 제조방법
KR910007618B1 (ko)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970008866B1 (ko) 나이론 이섬도 이광택 혼섬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950006915B1 (ko) 태세 효과가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KR100467345B1 (ko)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
KR960002918B1 (ko) 잠재벌키성 폴리에스테르 이수축혼섬사의 제조방법
JP3517494B2 (ja) ポリエステルマルチフイラメント糸とその製造方法及び混繊糸
KR970010713B1 (ko) 자발신장성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11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