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7732B1 -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732B1
KR100317732B1 KR1020000004078A KR20000004078A KR100317732B1 KR 100317732 B1 KR100317732 B1 KR 100317732B1 KR 1020000004078 A KR1020000004078 A KR 1020000004078A KR 20000004078 A KR20000004078 A KR 20000004078A KR 100317732 B1 KR100317732 B1 KR 10031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oice
server
service center
notification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734A (ko
Inventor
손희남
오미나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이상철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0000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7732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메시지 서버는 전송측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한다.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특정 국번을 특정 SMSC로 설정하는 정보를 기록한 프리픽스 테이블을 저장하고, 음성 통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프리픽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한다. 복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는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로부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아 가입자가 위치한 교환기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교환기에 출력한다.
그 결과, 음성 메시지 서버군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군과의 사이에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를 설치하므로써 발신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착신측의 교환기에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해당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plitting by a telephone number of a voice mail notification message}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음성 메시지 통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메시지 서버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수용 국번에 무관하게 음성 통지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느 곳에서 누구와도 자유롭게 통신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이 등장하여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 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 중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는 포인트-투-포인트(Point-to-Point) 메시지 전달 방식을 사용하여 개인간의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서비스를 담당하게 되는데, 만일 발신측 가입자가 전송한 메시지를 착신측 가입자가 받지 않을 경우에 해당 문자 메시지를 일정 기간 동안 축적하여 전달하는 축적 전달 방식을 통해 일정 기간 경과 후 재시도 과정을 거쳐 해당 착신측 가입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SMS의 용도로는 단방향성을 갖는 음성 사서함, E-메일 착신 통지 기능 등이 있고, 양방향성을 갖는 폰-투-폰 메시지 보내기 기능이나 웹 발신을 하는메시지 보내기 기능 등이 있는데, 맞춤형 문자 정보 전달이나 응용 서비스에 적합하다.
이러한 SMS의 장비는 TIA/EIA IS-637 CDMA SMS 표준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를 통해 이루어져, SMS와 연동하여 문자 메시지가 아닌 음성 메시지를 발신측 가입자가 착신측 가입자에 전송하는 서비스 방식을 음성 메시지 시스템(Voice Message System; VMS)라 하는데, 이러한 VMS도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VMS와 SMSC간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VMS는 각각의 수용 국번이 존재하며,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음성 메시지 서버(VMS1)는 201, 503 국번을, 제2 음성 메시지 서버(VMS2)는 301 국번을, 제3 음성 메시지 서버(VMS3)는 401 국번을 수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SMSC도 수용 국번이 존재하는데, 이때에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는 2**(여기서 *는 0 내지 9까지의 어느 하나의 숫자라도 무관.)국번,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는 3** 국번, 제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3)는 4**, 5** 국번을 수용한다고 가정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의 서비스 개통 전에 VMS1은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 제2 음성 메시지 서버(VMS2)는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에, 그리고 제3 음성 메시지 서버(VMS3)는 제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3)에 연결되어 있다. 특정 가입자가 201-****로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제1 음성 메시지 서버(VMS1)는 연결된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를 보내고,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는 201-****가입자가 위치한 교환기(PCX2)로 해당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달하여 착신측 가입자가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통보한다.
이때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 걸리는 트래픽이 증가하여 203 국번을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로 이전하는 경우를 가정하며, 제1 음성 메시지 서버(VMS1)는 201, 503 국번을 모두 수용하고 있고, 하나의 음성 메시지 서버(VMS)는 하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만 연결할 수 있으므로, 503 국번을 증설 음성 메시지 서버(VMS)로 이전하는 방법 이외에는 대안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음성 메시지 서버(VMS)를 이전하는 것은 작업 소요 시간의 장기화, 개인 정보, 특히 비밀 번호 노출 및 개인 정보 초기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이동 통신 사업자의 입장에서는 망 구성 및 계획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를 증설하는 것은 그의 증설에 따른 수용 국번 변경 작업이 복잡하고, 음성 메시지 서버(VMS)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간 TCP/IP 연결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메시지 서버(VMS)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의 수용 국번에 무관하게 음성 통지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VMS와 SMSC간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성 메시지 서버부 200 :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
300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부 400 : 교환기부
220 : 커널 230 : DB
250 : 운용 관리부 260 : VMS 인터페이스부
270 : SMSC 인터페이스부 280 : NMS 인터페이스부
290 : OA&M 인터페이스부 240 : 메시지 저장 및 라우팅 처리부
VMS : 음성 메시지 서버 SMSC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은, 설정된 무선 호를 이용하여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성 메시지 서버;
특정 국번을 특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설정하는 정보를 기록한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통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 및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로부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고, 가입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획득한 가입자 위치 정보를 근거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교환기측으로 상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은, 설정된 무선 호를 이용하여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을 경유하여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송신측 가입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발신되는 경우에 착신 가능 여부를 체크하여 착신 불가인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 서버로의 전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이 된 경우에는 착신자의 음성 메시지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메시지 서버에 음성 메시지의 녹음 또는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
(c)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이동 단말 식별 번호(MIN)를 수용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송되는 음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가입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교환기에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음성 메시지 서버군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군과의 사이에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를 설치하므로써 발신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착신측의 교환기에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해당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은, 음성 메시지 서버부(100),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20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부(300) 및 교환기부(4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음성 메시지 서버(VMS1, VMS2, VMS3, ...)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부(100)는 전송측 가입자 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음성 통지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200)에 출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음성 메시지 서버(VMS1)는 201 국번 및 503 국번을, 제2 음성 메시지 서버(VMS2)는 301 국번을, 그리고 제3 음성 메시지 서버(VMS3)는 401 국번을 수용한다고 가정한다.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200)는 특정 국번을 특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 라우팅시키는 정보를 저장하는 프리픽스 테이블(Prefix table)을 포함하며, 음성 메시지 서버부(100)로부터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프리픽스 테이블에 저장된 라우팅 정보를 참조하여 음성 통지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부(300)에 출력한다. 이때 프리픽스 테이블에 저장되는 라우팅 정보는 이동 통신망 운영측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특정 국번에 대한 음성 메시지가 폭주하는 경우에 일정 SMSC로의 라우팅 경로를 다른 SMSC로 라우팅 경로를 변환시킴으로써 특정 SMSC로 라우팅되어 발생되는 트래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리픽스 테이블에는 201 국번은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 503 국번은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 301 국번은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에, 401 국번은 제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3)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특정 가입자가 201-****번으로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제1 음성 메시지 서버(VMS1)는 무조건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 200)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 VRS(200)는 프리픽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
복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 SMSC2, SMSC3, ...)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부(300)는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200)로부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아 가입자 정보 처리 장치(Home Location Register; HLR)(350)를 참조하여 공통선 신호 방식(No.7)을 경유하여 가입자가 위치한 교환기부(400), 본 발명에서는 201-**** 가입자가 위치한 제2 교환기(PCX2)로 전달한다.
이때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도 수용 국번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는 2** 국번을,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는 3** 국번을, 그리고 제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3)는 4** 국번을 수용한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HLR은 서비스 권한 확인 및 착신시 위치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장치이고, 또한 공통선 신호 방식(No.7)은 다량의 회선들에 관계된 신호 정보나 망 관리에 필요한 정보 등을 공통의 한 채널을 통하여 전달시키는 신호 방식을 말한다.
교환기부(400)는 복수의 교환기(PCX1, PCX2, ... PCXn)로 이루어져,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통지 메시지를 공통선 신호 방식(No.7)으로 변환한 음성 통지 메시지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통보한다.
도 3은 상기한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200)는 유닉스 컴퓨터 시스템(210), 커널(220), DB(230), 메시지 저장 및 라우팅 처리부(240), 운용 관리부(250), VMS 인터페이스부(260), SMSC 인터페이스부(270), NMS 인터페이스부(280) 및 OA&M 인터페이스부(290)를 포함한다.
유닉스 컴퓨터 시스템(210)은 VMS 음성 통지 메시지 분배 시스템의 하부 구조로서 VMS 음성 통지 메시지 분배 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운용 환경을 제공하고, 커널(220)은 유닉스 컴퓨터 시스템 기능을 사용하여 응용 블록간의 통신 및 자원을 할당하며, DB(230)는 VMS 음성 통지 메시지, 운용자 파라미터 및 운용 관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시지 저장 및 라우팅 처리부(240)는 VMS로부터 VMS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고 해당 SMSC로 라우팅하고, 운용 관리부(250)는 시스템 운용시 필요한 모든 운용 관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운용자 및 네트워크 운영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에 제공한다.
또한 VMS 인터페이스부(260)는 SMPP(Short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를 갖고서 VMS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고, SMSC 인터페이스부(270)는 SMPP를 갖고서 SMSC와의 연동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VMS와의 연동을 위한 접속 프로토콜과 SMSC와의 연동을 위한 접속 프로토콜은 TCP/IP 또는 X.25를 사용한다. 이때 X.25는 일반적으로 LAN과 LAN상에서 쓰이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WAN상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LAN 상에서는 일반적으로 TCP/IP를 비롯하여 IPX, AppleTalk 등의 많은 프로토콜이 있지만, WAN 상에서는 일반적으로 X.25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NMS 인터페이스부(280)는 TCP/IP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SNMP)을 통해 이동 통신망 운영 사업자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과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며, OA&M 인터페이스부(290)는 이동 통신망의 효율적 운용, 유지 보수를 위한 OA&M 센터(도시하지 않음.)에 연동하여 이동 통신망 운용자에게 해당 운용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면, 도 2에 도시한 VRS를 이용한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제1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1)에 트래픽이 증가하여 503 국번을 제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2)로 이전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처리 절차를 도 4를 참조로 설명한다.
즉, 각각의 VMS에는 복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음성 통지 메시지에 대한 큐가 존재하므로 이를 모니터링하므로써 특정 SMSC로 트래픽 로드가 많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SMSC에도 통지 메시지의 처리 적체로 인해 발생하는 큐가 존재하므로 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특정 SMSC로 트래픽 로드가 많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VRS의 프리픽스 테이블에서 503 국번에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를 제2 문자 서비스 센터(SMSC2)로 바꾸어주면,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의 증설 및 수용 변경없이 언제라도 가능하다. 또한 VMS가 증설되는 경우에도 VRS의 프리픽스 테이블만 변경해주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망 구성 및 운용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발신측 이동 단말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와 착신측 MIN을 발신한다(단계 S110).
이어 착신 가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15), 착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교환기측에 착신하고(단계 S120), 착신이 불가한 경우에는 VMS로의 전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5).
단계 S125에서 VMS로의 전환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음성 통지 메시지의 통보가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종료하고(단계 S130), VMS로의 전환이 완료된 경우에는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VMS를 찾아간다(단계 S135).
이어 발신자에 의해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호출하고(단계 S140),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수용하는 VMS에 이를 저장한다(단계 S145).
이어 SMPP(Short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라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프로토콜(Application layer protocol)을 사용해서 해당 착신자의 MIN을 수용하는 SMSC에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50).
이어 SMSC는 음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단계 S155), 수신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참조하여 HLR로부터 착신측 가입자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160).
이어 단계 S160에서 HLR로부터 획득한 착신측 가입자 위치 정보를 근거로 착신측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해당 교환기(PCX)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고(단계 S165),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은 교환기는 해당 착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70).
도 5b는 도 5a의 단계 S15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VMS에 발신측에 의해 음성 메시지가 녹음됨에 따라 착신측 MIN 정보를 VRS로 전송하고(단계 S152), 이어 VRS는 착신 MIN을 기초로 프리픽스 테이블(또는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된 SMSC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해당 SMSC측에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154).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문 메시지 서버(VMS)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각각 수용 국번이 존재하므로 이 두 시스템간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기존에는 음성 메시지 서버(VMS)의 수용 국번에 의해서만 좌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VMS와 SMSC의 수용 국번과 무관하게 음성 통지 메시지의 라우팅 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인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VRS)를 사용하므로써 VMS의 수용 국번에 의해서만 결정된 VMS와 SMSC의 국번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VMS의 국번을 변경 수용함으로 인한 가입자 개인 정보 노출을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VMS 뿐만 아니라 SMSC와 연결된 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가 SMSC로 전달하는 메시지, 지능망에서 전달하는 메시지 등에 대한 기존 라우팅 기능을 해당 시스템에서 수행하지 않고, VRS에 통합하므로써 프리픽스별 라우팅이 적용되는 모든 경로 설정에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설정된 무선 호를 이용하여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해당 음성 메시지의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복수의 음성 메시지 서버;
    특정 국번을 특정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설정하는 정보를 기록한 라우팅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통지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음성 통지 메시지를 출력하는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 및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로부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고, 가입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획득한 가입자 위치 정보를 근거로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교환기측으로 상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복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가입자에게 음성 메시지 메시지의 수신을 통보하기 위하여 단문 메시지 피어 투 피어 프로토콜(Short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 SMPP)을 통해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와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
    국번별 메시지 수신을 통보하기 위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부;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로부터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제공받아 이를 일시 저장하고 해당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라우팅 처리하는 메시지 저장 및 라우팅 처리부; 및
    음성 통지 메시지, 운용자 파라미터 및 운용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음성 메시지 서버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내에서 메시지 버퍼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음성 통지 메시지를 해당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기 위해 스케줄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가입자 국번별 해당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정보를 사용하여 음성 통지 메시지를 라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접속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의 메시지를 버퍼링하여 장애가 극복된 후 저장된 메시지를 재전송하여 메시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음성 메시지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접속 프로토콜로 TCP/IP 또는 X.25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와의 연동을 위한 접속 프로토콜로 TCP/IP 또는 X.25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9. 설정된 무선 호를 이용하여 송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메시지를 교환기, 기지국 제어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수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송신측 가입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발신되는 경우에 착신 가능 여부를 체크하여 착신 불가인 경우에는 음성 메시지 서버로의 전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음성 메시지 서버로 전환이 된 경우에는 착신자의 음성 메시지 서버를 검색하여 해당 음성 메시지 서버에 음성 메시지의 녹음 또는 호출을 수행하는 단계;
    (c)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착신자의 이동 단말 식별 번호(MIN)를 수용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로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전송되는 음성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가입자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가입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교환기에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가입자에게 음성 통지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c-1) 착신 MIN 정보와, 음성 메시지 서버를 찾는 라우팅 정보를 음성 메시지 라우팅 서버측에 전송하는 단계; 및
    (c-2) 상기 착신 MIN 정보를 근거로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의 IP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소정의 전송 프로토콜은,
    단문 메시지 피어 투 피어 프로토콜(Short Message Peer to Peer Protocol; SMP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방법.
KR1020000004078A 2000-01-27 2000-01-27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1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078A KR100317732B1 (ko) 2000-01-27 2000-01-27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078A KR100317732B1 (ko) 2000-01-27 2000-01-27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734A KR20010076734A (ko) 2001-08-16
KR100317732B1 true KR100317732B1 (ko) 2001-12-22

Family

ID=1964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078A KR100317732B1 (ko) 2000-01-27 2000-01-27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7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790A (ko) * 1997-03-27 1998-11-05 문정환 문자전환을 겸한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9990057968A (ko) * 1997-12-30 1999-07-15 서평원 음성인식 문자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
KR19990078528A (ko) * 1999-01-30 1999-11-05 김재온 개인휴대통신환경에서자동응답시스템과문자메시지서비스센터의연동을통한정보제공서비스방법
JPH11331956A (ja) * 1998-02-17 1999-11-30 Alcatel Usa Sourcing Lp 短メッセ―ジ・サ―ビスセンタ
KR19990085320A (ko) * 1998-05-15 1999-12-06 서정욱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JP2000138956A (ja) * 1998-08-19 2000-05-16 Lucent Technol Inc 音声情報伝達方法及び音声情報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790A (ko) * 1997-03-27 1998-11-05 문정환 문자전환을 겸한 음성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9990057968A (ko) * 1997-12-30 1999-07-15 서평원 음성인식 문자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방법 및 장치
JPH11331956A (ja) * 1998-02-17 1999-11-30 Alcatel Usa Sourcing Lp 短メッセ―ジ・サ―ビスセンタ
KR19990085320A (ko) * 1998-05-15 1999-12-06 서정욱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JP2000138956A (ja) * 1998-08-19 2000-05-16 Lucent Technol Inc 音声情報伝達方法及び音声情報伝達装置
KR19990078528A (ko) * 1999-01-30 1999-11-05 김재온 개인휴대통신환경에서자동응답시스템과문자메시지서비스센터의연동을통한정보제공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734A (ko)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54358C2 (ru) Мобильная 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и центром обслуживания передачи сообщений
EP08471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network call processing
US7369544B2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with hunting diversion
KR20000048730A (ko) 호출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이동국
US20080104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CA2316338A1 (e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for a mobile sta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WO2003049461A3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for processing telephone communications
EP12954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local base stations
Meier-Hellstern et al. Network protocols for the cellular packet switch
JPH11510991A (ja) リモート装置に特徴発信呼を通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4371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delivering a voice call as voice or data depending on data-mode of destination terminal
US200600183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alable call-processing system
JP4978031B2 (ja) 無線端末を収容するip電話システム
KR100317732B1 (ko) 음성 통지 메시지의 국번별 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EP1294204A1 (en) Gateway emulating presence of mobile phone
KR100621325B1 (ko) Ss7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부하 분산 방식의 단문 메시지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sms 메시지의 처리 방법
JP2006101528A (ja) ループ通信チャネルの検出
JP2001007923A (ja) 電話システム
KR101202993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미수신 통화내역제공 서비스서버
CA2338963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call control at a gateway mobile switching center utilizing a packet network
US20040242214A1 (en) Call saving method and telephone switchboard used in telephone switching system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50071945A (ko) 호 연결 실패 원인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442130B1 (ko) 망간 연동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US8285299B2 (en) Mobile release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