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7513B1 -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513B1
KR100317513B1 KR1019997000694A KR19997000694A KR100317513B1 KR 100317513 B1 KR100317513 B1 KR 100317513B1 KR 1019997000694 A KR1019997000694 A KR 1019997000694A KR 19997000694 A KR19997000694 A KR 19997000694A KR 100317513 B1 KR100317513 B1 KR 10031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late
light blocking
blocking member
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625A (ko
Inventor
쇼조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쇼조 히라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434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236244B2/ja
Application filed by 쇼조 히라야마 filed Critical 쇼조 히라야마
Publication of KR2000002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1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장치의 정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을 포함하며 똑바로 서 있는 플레이트와; 상기 작은 구멍들 각각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작은 구멍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각각의 광 차단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체를 비추기 위하여 상기 광 차단 부재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광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광 차단 부재들은 사전에 결정한 기록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광 투과 구멍들이 개방되게 되어, 상기 광원의 빛이 정면으로 투과되어, 그래서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상에서 작성되며; 및 여기서 상기 광 차단 부재들은 사전에 결정한 삭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광 투과 구멍들이 폐쇄되고, 그래서 상기 광원의 빛이 차단되어, 그래서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에서 지워지게 된다. 판 같은 자석이나, 구 형태의 자성 부재나 또는 구 형태의 광 차단 부재가 광 차단 부재로서 사용되며; 자석 막대기나, 기록 붓이나 또는 분사 도구가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및 자석이나 공기 흡입 도구가 삭제 도구로서 사용된다.

Description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OPTICAL DOT IMAGE DISPLAY}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칠판에 문자나 그림들을 작성하기 위하여 분필을 사용하는 흑 칠판과 급속 건조 칼라 잉크를 사용하는 화이트 보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분필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공중 위생의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한가지 문제는 사용중의 칠판을 지우거나 또는 분필을 사용하고 나서 발생하는 분말이고 다른 문제는 분필이 칠판을 스칠 때에 발생하는 거북한 소리이다. 더 나아가서, 분필을 잡고 있을 때에 손가락 끝에서의 거북한 감촉이 있다. 다른 한 편으로 급속 건조 잉크는 분필이 갖는 위의 문제들뿐만 아니라 사용하고 나서 쉽게 지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더 나아가서, 흑 칠판이나 백 칠판을 바라볼 때의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보드에서의 빛 반사 때문에 보드의 표면을 보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전히 더 나아가자면, 철 가루(iron sand)를 우유빛 백색 액체에 섞어 넣고, 그 액체가 작은 수지 캡슐로서 밀봉해서, 보드를 구성하도록 다수개의 수지 캡슐들을 배열함으로써 형성된 드로잉 완구(drawing toy)가 있다. 상기 구조에서, 보드 상에 문자나 그림을 작성할 때에, 자석 막대기를 사용함으로써 철가루는 보드의 표면으로 올라오게 된다. 문자나 그림을 지울 때에, 철가루는 다른 자석 막대기를 사용함으로써 보드의 표면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드로잉 완구에는 문제가 있다. 즉, 보드에 문자나 그림을 쉽게 작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할지라도 보드에서 문자나 그림을 부분적으로 지우는 일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 결과, 실제 사용할 때에 불편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보드 표면 전체가 한꺼번에 지워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빛이 캡슐 표면으로부터 반사되기 때문에 보는 각도에 따라 보드 표면을 보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여전히 더 나아가자면, 최근에는 편평한 보드 상에 다수개의 광 다이오드나 액정 요소를 배치시켜 그것들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다양한 형태들이 개발되고 다양한 상품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문제들이 있다. 즉,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고품질의 상(image)을 실감나게 그리는 것은 가능하다 할지라도,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고가이며, 디스플레이되는 내용들은 사전에 결정한 입력 장치를 통해 미리 입력되어야 한다. 그 결과로서, 이러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제 사용하는 데 있어서 융통성이 없으며 편리하지 않다.
본 발명은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light-drawing type 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칠판에 각각 사전에 결정된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을 갖추고, 상기 칠판의 뒤쪽에 광원을 마련하고, 상기 작은 구멍들의 각각에 예를 들어 구(sphere)같은 광 차단 부재를 탑재하고, 사전에 결정한 필기 도구나 또는 지우는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광원의 빛이 투과되게 하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광 차단 부재들을 이동시키고, 칠판에 사전에 결정한 문자나 그림을 작성하거나 또는 그 문자나 그림을 칠판에서 지우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칠판은 예를 들자면 회의실에서 사용되는 화이트 보드와, 학교 교실에서 사용되는 칠판과, 광고에서 사용하는 광고판, 및 주택 외부의 빛을 들어오게 하는 예를 들어 창문 같은 건축 재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차단 부재의 장착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
도 2는 도 1의 광 차단 부재에서 도시된 후면 부분에 대한 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는 광 차단 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차단 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확대한 투시도.
도 6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드 위에 높은 조밀도로 문자나 그림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가락 골무 형태의 붓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설명도.
도 7(A) 및 도 7(B)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차단 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외관도(outer view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이트 보드로 적용되는 경우에서의 보드의 외관도.
본 발명의 목적은 흑 칠판과 화이트 보드 등을 실제적으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한 새로운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실제 사용할 때 매우 편리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며, 및 가격이 저렴한 등의 다양한 장점들을 구비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분필을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서의 분말과 거북한 소리나 감촉에 의하여 생기는 종래의 문제들과, 급속 건조 잉크의 냄새에 의한 종래의 문제들을 완전하게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 후 쉽게 지우는 일과 보는 각도에 따라 보드에서의 빛 반사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라, 수직으로 서있으며 다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예를 들어, 다수개의 구멍이 뚫린 작은 구멍들)을 포함하는 장치의 정면(즉, 사용자가 칠판을 바라보는 면)에 있는 플레이트(plate)와, 작은 구멍들 각각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 상에 있는 작은 구멍들 각각에 제공되어 있는 다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과, 상기 플레이트의 전체를 비추기 위하여 상기 다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의 후면에 제공되는 광원이 제공되는데, 상기 다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은 사용자의 기록 동작에 기초하여 사전에 결정한 기록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움직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다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은 개방되고 상기 광원의 빛이 상기 정면으로 투과되게 되어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 상에 작성되게 되고, 또한 상기 다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은 사용자의 삭제 동작에 기초하여 사전에 결정한 삭제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다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이 폐쇄되고, 광원의 빛이 차단되게 되어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에서 지워지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은 플레이트의 후면에 제공되는데, 상기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 각각은 작은 구멍 각각을 폐쇄하기 위하여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지지 샤프트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회전하기 위하여 각각의 작은 구멍의 후면에 장착되며, 자석은 판 같은 광 차단 부재의 각각에 장착되고, 자석(magnet)은 판 같은 광 차단 부재의 각각에 부착되며, 자성 부재(magnetic member)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작은 구멍 각각의 상부에 장착되어, 판 같은 광 차단 부재의 각각에 장착된 상기 자석과 상기 자성 부재간에서 인력이 생기게 하며, 자석은 사전에 결정한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자석의 자기력 방향은 상기 자성 부재에 척력이 생기게 하는 방향을 향하며, 또한 상기 자석을 상기 플레이트로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다수개의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의 각각은 광원의 빛이 투과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자석은 사전에 결정된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데, 상기 자석의 자기력 방향은 상기 자성 부재에 인력이 생기는 방향을 향하며, 다수개의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의 각각은 상기 자석을 상기 플레이트에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광원의 빛이 투과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광 차단 부재들의 각각은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사전에 결정된 각도로 경사진 광 투과 지지부는 플레이트의 후면에 제공되어 있는 자석을 통하여 작은 구멍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으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배열되어 상기 지지부 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기록 붓의 외부 힘과 중력이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 상에 작용할 때에,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지지부 내에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투과하게 되며, 또한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된 자석이 자성 광 차단 부재에 가까이 왔을 때에,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원의 빛이 차단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각 광 차단 부재는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광 차단 부재는 사전에 결정된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작은 구멍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광 투과 지지부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블로우 도구(blow tool)로부터의 부는 힘과 중력이 구 형태의 광 차단 부재 상에 작용할 때에,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광원의 빛을 투과하기 위하여 지지부 내에서 이동하며,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된 흡입 도구(sucking tool)가 자성 광 차단 부재에 가까이 왔을 때에,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 차단 부재는 플레이트의 각 구멍의 움푹 들어간 곳이나 또는 플레이트에 근접한 지지부위에 있게 되어 광원의 빛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이하에 나오는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참조 번호(1)는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표시한 것이다. 번호(1a)는 예를 들어 투명한 판이나 투명한 시트 같은 투명한 부재이다. 번호(1b, 1c 및 1d)는 플레이트 부재이다. 번호(4a)는 광 차단 부재이다. 번호(4b)는 베어링 부재이다. 번호(4c)는 스톱퍼(stopper) 부분이다. 번호(5a)는 지지부이다. 번호(5b)는 구멍이다. 번호(6)는 자석이다. 번호(7)는 광원이다. 번호(8)는 반사판이다. 번호(9)는 손가락이다. 번호(10, 10a)는 자석이다. 번호(11, 11a)는 구멍이다. 번호(12)는 베어링 부분이다. 번호(14)는 붓이다. 번호(15)는 움푹 들어간 부분이다. 번호(16)는 분사 도구이다. 번호(17)는 흡입 도구이다. 번호(18)는 손가락 골무 형태의 붓이다. 번호(18a)는 붓이다. 번호(18b)는 공기 구멍이다. 번호(20)는 프레임이다. N은 자석의 N극을 표시한다. S는 자석의 S극을 표시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차단 부재의 장착된 구조에 관한 투시도이며, 도 2는 각 광 차단 부재(4A)가 후면의 표면에 장착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시한 구조의 일부에 관한 후면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플레이트는 직립해 있으며 다수개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확대된 좌측의 상단 코너는 도면의 원 내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b)는 보드의 정면에 마련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빛을 투과하고 기류를 차단할 수 있는 투명한 시트(1a)는 분말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b)의 정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비록 투명한 시트(1a)가 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있지만, 투명한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사전에 결정된 표면 처리를 플레이트(1b)상에 수행함으로써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 각각이 광 투명성을 갖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다수개의 형광 램프들로서 형성되는 광원(7)은 플레이트(1b)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다(도면에서, 구조를 간략하게 하기 위하여 단지 한 개의 형광 램프가 도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반사 플레이트(8)는 광원(7)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어서 결과적으로 보드의 표면상에서 빛의 양이 증가되고 일정한 휘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플레이트(1b)의 정면에는,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11)이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다. 도 2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부재(6b)는 플레이트(1b)의 후면에 있는 각각의 작은 구멍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샤프트(13)를 지지하는 베어링(12)은 작은 구멍(11) 각각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자석(10a)은 각각의 작은 구멍(11)에 대응하여 광 차단 부재(4a)에 장착되며, 광 차단 부재(4a)는 베어링(4b)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되도록 샤프트(13)에 장착되어 있다. 광 차단 부재(4a)가 회전할 때에, 스톱퍼(stopper)(4c)는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광 차단 부재(4a)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 차단 부재의 이동 메커니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참조 번호(1a)는 단지 빛만을 통과시키고 분말이 각각의 작은 구멍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투명한 시트이다.
보드가 이하에서 언급하는 삭제 수단에 의하여 지워진 후에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광 차단 부재(4a)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있는 플레이트(1b)에 마련되어 있는 작은 구멍 각각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1b)의 후면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6b)과 차단 부재(4a) 자체에 장착되어 있는 자석(10a)간에 생기는 인력에 입각하여 작은 구멍을 닫는다. 그 결과로서, 광원(7)의 빛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자석(10)은 각 구멍의 부근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자석(10)의 자력선(magnetic force line) 방향은 자석(10a)에 대한 척력 방향으로 향한다. 자석(10a)은 척력 때문에 광 차단 부재와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된 방향 즉 인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과적으로작은 구멍을 개방하여 빛을 투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서, 스토퍼(4c)(도 2를 참조하시오)는 광 차단 부재(4a)의 하부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빛의 양에 따라 광 차단 부재(4a)를 적당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삭제 수단으로서의 자석(10) 방향이 반대가 되어 결과적으로 N극이 S극이 되고 또한 자석(10)이 작은 구멍 각각의 부근으로 이동하게 되면, 광 차단 부재(4a)는 인력에 입각하여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작은 구멍이 광 차단 부재(4a)에 의하여 폐쇄되어 광원(7)의 빛이 차단된다. 심지어 자석(10)이 위의 동작이 일어난 후에 작은 구멍에서 제거되었다 할지라도, 광 차단 부재(4a)에 장착된 자석(10a)과 플레이트(1b)의 후면에 장착된 자성 부재(6b)간의 인력에 입각하여 안정된 광 차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서 플레이트(1b)의 재료로서는, 비 자성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광 차단 부재(4a)의 물질에 있어서, 빛을 차단할 수 있는 모든 자성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할 지라도, 바람직하게는 광 차단 부재의 물질은 철로 된 플레이트인데 왜냐하면 제조 과정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비록 자석(10)의 자기력보다 작게 자기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긴 하지만, 자석(10a) 물질로서 이방성 수지-결합 자석(anisotropic resin-bonding magne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에 관한부분 확대 투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서, 자석(6)은 플레이트(1c)의 후면에 장착되며, 다수개의 구멍들은 플레이트(1c) 및 자석(6)을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 다수개의 광 투과 지지부(5a)가 있는데, 그 각각은 해당 작은 구멍에 제공되며 또한 그 각각은 튜브로서 형성되는데, 그 튜브에서 자성 광 차단 부재(6a)가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자석(6)은 광 투과 지지부(5a)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 광 투과 지지부(5a)를 이루는 각 튜브는 자성 광 차단 부재(6a)를 중력에 반응하여 구멍(5b)으로 이동하게 하기 위하여 기울어져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문자나 그림을 작성할 때에,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우선 플레이트(1c)는 정면 쪽으로 기울여지고, 이로 모든 자성 광 차단 부재(6a)가 광 차단 상태를 얻기 위하여 중력에 따라 플레이트(1c) 쪽으로 이동한다. 자성 광 차단 부재(6a)가 플레이트(1c)의 후면에 장착된 자석(6)에 접촉되면,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자성 광 차단 부재(6a)와 자석(6)간의 인력에 따라 정면 쪽으로 중력에 거슬러 소집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 차단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에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붓(14)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밀려진다(pushed). 밀어내진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자성 광 차단 부재(6a)와 자석(6)간의 인력에 거슬러 플레이트(1c)로부터 제거된다. 플레이트(1c)로부터 자성 광 차단 부재(6a)를 제거시킨 후에,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중력에 따라 지지부(5a)의 각각의 구멍(5b)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붓(14)에 의하여 밀쳐진 부분들에서 빛 투과 상태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붓(14)은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기록 붓을 사용함으로써 문자나 그림들을 작성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c)의 표면에 접촉된다. 기록 붓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빛이 튜브(5a)를 통하여 투과될 수 있고 그리하여 플레이트(1c)상에 문자나 그림들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에서 참조 번호(1c)는 플레이트이고, 번호(4a)는 광 차단 부재이고, 번호(5a)는 지지부이고, 번호(5b)는 구멍이고, 번호(6)는 자석이다.
도 6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에서 고 밀도의 광 작성(light-drawing)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록 수단으로서의 손가락 골무 형태 붓의 한 예를 도시한다. 각 구멍의 크기는 고 밀도의 광 작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작아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붓을 사용하여 문자나 그림들을 조밀하게(closely) 작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라,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성 광 차단 부재(6a)를 정확히 이동시켜서, 정밀하고 빽빽한 구조로 되어 있는 붓 부분(18a)을 구비하는 손가락 골무 형태의 붓(18)을 사용함으로써 문자나 그림들의 복잡한 부분들을 세밀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18b)는 공기 구멍이다.
보드에 작성된 문자나 그림을 부분적으로 삭제할 때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된 자석(10)을 플레이트 부분(1c)에 가까이 가져온다. 즉, 자석(10)이 플레이트(1c)에 가까이 오면,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지지부(5a)내에서 자석(10)의 인력에 기인하여 이동하여, 플레이트(1c)의 후면에 있는 자석(6)과 접촉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구멍을 폐쇄하고 결국 광 차단 상태를 얻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 플레이트 전체 위에 있는 문자나 그림들을 완전히 삭제할 때에, 플레이트는 자성 광 차단 부재를 모두 한번에 이동시키기 위하여 정면 쪽으로 기울여진다.
더 나아가서, 이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c)의 재료는 광 차단 특성을 갖는 한에서는 제한되지 않으며, 그래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자석(6)의 재료는 바람직하게 자성 부재를 사용하거나 자성 분말이 혼합된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지지부(5a)의 재료는 광 투과를 하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조 과정 측면에서 광 투과를 하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 플레이트(1c)의 재료인 철로 된 플레이트 같은 자성 부재나 자성 광 차단 부재(6a)의 재료로서 페라이트 자석을 사용함으로써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자석(6)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비록 이 실시예가 제 2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자기력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력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움푹 들어간 부분(15)은 중력에 의하여 생기는 광 차단 부재(4a)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트(1d)상에 마련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부분(1d)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정면 쪽으로 회전되어, 광 차단 부재(4a)는 중력에 따라 움푹 들어간 부분(15)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플레이트 부분(1d)은 위의 과정 후에 똑바로 서있기 위하여 움직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광 차단 부재(4a)는 움푹 들어간 부분(15)에서 멈출 수 있게 되어 그 움푹 들어간 부분에서부터는 이동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3 실시예의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문자와 그림들을 작성할 때에, 도 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를 부는 분사 도구(16)가 구멍(11a) 가까이로 와서 분사 도구(16)에 의하여 문자나 그림들이 작성된다. 그 결과로서, 플레이트 부분(1d)의 움푹 들어간 부분(15)상에 마련되어 있는 광 차단 부재(4a)는 분사 도구(16)에 의하여 불려서 결과적으로 광 차단 부재(4a)는 지지부(5a)내의 구멍(5b)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지지부(5a)는 그 구멍 내에 비스듬하게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를 광 투과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서, 구멍(5b)이 지지부(5a)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 도구(16)의 공기는 광 차단 부재(4a)를 밀쳐서 구멍(5b)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플레이트 상에 디스플레이된 문자나 그림들을 완전히 삭제할 때에, 플레이트(1d) 전체가 회전되며, 또한 모든 광 차단 부재(4a)가 다시 플레이트 부분(1d)의 움푹 들어간 부분(15) 상에 놓여져서 결과적으로 플레이트 전체에 있는 문자나 그림들을 지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나 그림들을 부분적으로 삭제할 때에, 삭제 도구로서 사용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도구(17)는 구멍(11a)에 가까이 가져간다. 그 결과 광 차단 부재를 지지부(5a)의 구멍(5b)의 주변으로부터 플레이트 부분(1d)의 움푹 들어간 부분(15)으로 옮겨 놓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광 차단 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흡입 도구(17)를 사용함으로써 광 차단 부재(4a)를 이동하는 방법이 제 3 실시예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부(5a)를 위한 유용한 재료로서 광 투과 재료가 요구된다. 그러나, 광 차단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다른 재료들 같이, 금속이나 비금속이나 합성 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만약에 자성 부재가 이 실시예에서 광 차단 부재(4a)로서 사용되었다면, 제 2 실시예에 따라 제 3 실시예를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와 제 3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일치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왜냐하면 이들 실시예들의 구조가 서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이 도면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보여준다. 다수개의 작은 구멍들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c)는 도 4(A) 및 도 4(B)에서의 플레이트(1c)에 대응한다. 도 4(A)에서 도시한 광원(바람직하게 형광 램프)과 지지부(5a)(바람직하게 광 투과를 하는 합성수지)는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방식으로 프레임(20)내에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에서, 모든 자성 광 차단 부재(6a)가 정면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7)의 빛이 투과될 수 없어서 결과적으로 보드 전체가 검게(black) 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기록 수단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붓(14)을 사용함으로써 보드 상에 예를 들어 'WELCOME'같은 문자를 작성할 때에, 붓(14)에 의하여 밀쳐진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표면으로부터 제거되고, 후면으로부터의 빛이 보드로 투과되어 결과적으로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플레이트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문자들을 완전히 삭제하기를 희망한다면, 보드는 광 차단 상태를 얻기 위하여 정면 쪽으로 기울어진다. 사용자가 문자를 부분적으로 삭제하기를 희망한다면, 자성 광 차단 부재(6a)는 삭제 수단으로서 도 4(B)에서 도시한 자석(10)의 인력을 사용함으로써 보드의 표면으로 이끌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빛은 차단되고 문자들은 부분적으로 삭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의 외관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제 1 실시예와, 도 4에서 도시한 제 2 실시예 및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한 제 3 실시예를 보드 제품에 적용시킴으로써 회의용으로 사용되는 보드 제품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 진다.
간략하게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입력 수단으로부터 이전에 입력된 내용이 광 다이오드나 액정 구성요소 등 같은 발광 구성요소들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러나 보드 상에 문자나 그림을 간단하고 자유로이 기입하고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한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광 작성 형태(light-drawing type)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방의 밝기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결과적으로 어떤 각도에서도 그림이나 문자를 용이하게 볼수 있도록 문자나 그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보는 각도에 따라 표면에서의 빛 반사에 의하여 문자나 그림을 보는 것이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회의용 보드뿐만 아니라 광고용 보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 종래의 분필이나 신속 건조 잉크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분필에서 생긴 분말과, 손가락 끝에서의 기분 좋지 않은 촉감 등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신속 건조 잉크의 냄새와 위생 문제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또 더 나아가자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자나 그림들을 보드 상에 기입하고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교하여 실제 사용함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며, 단순화된 구조 때문에 비용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실제 사용할 때 용이하며, 종래의 분필과 신속 건조 잉크에 비교하여 기분 좋지 않은 촉감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드는 예를 들어 회의실용 보드와, 교실에서 사용되는 흑 칠판과, 광고용 보드 및 주택 외부에 있는 빛을 들어오게 하는 창문 같은 건축 재료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광대한 범위로 산업상의 매우 높은 이용도를 갖는다.

Claims (5)

  1.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light drawing type display apparatus)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마련되고 광이 투과되는 복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을 구비하고, 똑바르게 서있는 플레이트와;
    광이 투과되는 상기 작은 구멍들 각각을 광학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작은 구멍들 각각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과; 및
    상기 플레이트 전체를 광으로 조명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은 사용자의 기록 동작에 기초하여 사전에 결정된 수동의 기록 수단(manual writing means)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은 개방되며, 상기 광원의 빛이 정면쪽으로 투과되게 되어, 그리하여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상에 작성되게 되고;
    상기 복수개의 광 차단 부재들은 사용자의 삭제 동작에 기초하여 사전에 결정된 수동의 삭제 수단(manual erasing means)을 사용함으로써 이동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개의 작은 광 투과 구멍들이 폐쇄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차단되어, 문자나 그림들이 상기 플레이트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복수개의 작은 구멍들을 구비하며 상기 작은 구멍 각각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광 차단 부재는 판 같은 형상이고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마련되는데, 상기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 각각은 작은 구멍 각각을 폐쇄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로 되어 있으며, 지지 샤프트를 이용함으로써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작은 구멍 각각의 후면에 장착되며, 또한 자석이 상기 판 같은 광 차단 부재 각각에 장착되고;
    자성 부재는, 상기 자성 부재와 상기 판 같은 광 차단 부재의 각각에 장착된 상기 자석 간에 인력이 생기도록,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작은 구멍 각각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사전에 결정한 수동의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자석의 자기력 방향은 상기 자성 부재에 척력이 생기도록 하는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자석을 상기 플레이트에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상기 복수의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의 각각은 광원의 빛이 투과되는 위치로 이동되며; 및
    상기 자석은 상기 사전에 결정한 수동의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되며, 상기 자석의 자기력 방향은 상기 자성 부재에 인력이 생기게 하기 위한 방향을 가리키며, 상기 자석을 상기 플레이트 가까이 가져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판 같은 광 차단 부재들 각각이 상기 광원의 빛이 차단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광 차단 부재들 각각은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로 형성되며;
    사전에 결정된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광 투과 지지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자석을 통하여 작은 구멍 각각에 장착되어 있으며; 및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지지부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데;
    상기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기록 붓(writing brush)으로부터의 외력과 중력이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에 작용할 때에,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상기 지지부 내에서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광원의 빛이 투과되게 하며; 및
    상기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된 상기 자석이 상기 자성 광 차단 부재에 가까이 왔을 때에,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광원의 빛이 차단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광 차단 부재들 각각은, 사전에 결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있는 작은 구멍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광 차단 지지부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록 수단으로서 사용된 분사 도구(blowing tool)로부터의 부는 힘과 중력이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에 작용할 때에,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상기 광원의 빛을 투과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 내에서 이동하고; 및
    상기 삭제 수단으로서 사용된 흡입 도구(sucking tool)가 상기 자성 광 차단 부재에 가까이 올 때, 상기 구 형태의 자성 광 차단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광 차단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각 구멍이나 상기 플레이트에 인접한 상기 지지부의 움푹 들어간 곳에 놓여지며, 상기 광원의 빛은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드로잉 방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97000694A 1997-05-29 1998-05-28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317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54346 1997-05-29
JP15434697A JP3236244B2 (ja) 1996-09-02 1997-05-29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625A KR20000029625A (ko) 2000-05-25
KR100317513B1 true KR100317513B1 (ko) 2001-12-22

Family

ID=1558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6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7513B1 (ko) 1997-05-29 1998-05-28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244872B1 (ko)
EP (1) EP0917126B1 (ko)
KR (1) KR100317513B1 (ko)
CN (1) CN1124581C (ko)
AT (1) ATE292837T1 (ko)
AU (1) AU724062B2 (ko)
BR (1) BR9804936A (ko)
CA (1) CA2261795A1 (ko)
DE (1) DE69829626T2 (ko)
RU (1) RU2176415C2 (ko)
WO (1) WO19980546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0012B2 (en) * 2001-08-31 2004-10-05 John G. Maxim Picture board with array of individually pivotable color transmission members and pigment sheet and method
US20060051725A1 (en) * 2004-09-08 2006-03-09 Buccella Robert J Magnetic art toy
US20100033518A1 (en) * 2008-08-05 2010-02-11 Ali Shekarchi Lightboard
RU2375760C1 (ru) * 2008-11-27 2009-12-10 Дмитрий Олегович Прокопенко Цветной экран дисплея
KR20190051202A (ko) 2017-11-06 2019-05-15 이강선 레슨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N108297578A (zh) * 2017-12-28 2018-07-20 广州华夏职业学院 一种高度可调节式的防反光黑板
JP7277195B2 (ja) * 2019-03-22 2023-05-18 章三 平山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328988A (zh) * 2019-08-13 2019-10-15 威士达半导体科技(张家港)有限公司 磁性书写板组件及会议用书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5911A (en) * 1971-04-14 1974-09-04 Universal Telewriters Pty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s
US4163332B2 (en) * 1976-10-05 1995-09-05 Unisplay Sa Matrix display device
US4139841A (en) * 1977-06-22 1979-02-13 E-Systems, Inc. Electromagnet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4541812A (en) * 1983-07-25 1985-09-17 Tomy Kogyo Company, Incorporated Illuminating toy utilizing captive light conducting elements
JPS6063886U (ja) * 1983-10-06 1985-05-04 東京電測株式会社 発光表示装置における発光磁気反転板表示素子
US4794391A (en) * 1983-10-31 1988-12-27 Securite Et Signalisation Display matrix incorporating light-conducting fibers and light-occulting shutters
GB2169430B (en) * 1985-01-04 1988-11-23 James Robert Johnson Display device
JPH0656412B2 (ja) 1987-07-20 1994-07-27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波諸元分析用前処理装置
KR960001649B1 (ko) * 1987-09-14 1996-02-03 가부시기가이샤 와꼬무 전자 흑판장치와 그 마아커 및 이레이서
US4983956A (en) * 1988-10-13 1991-01-08 Unisplay S.A. Display arrangement
US5055832A (en) 1989-06-09 1991-10-08 Dayco Products Canada Inc. Display element with notched disk
US5022171A (en) * 1989-08-28 1991-06-11 The Staver Company Inc. Matrix display assembly having multiple point lighting
US5351065A (en) * 1990-07-17 1994-09-27 Dambach-Werke Gmbh Indicator device
IT1244552B (it) * 1990-12-12 1994-07-15 Solari Udine Spa Cella elementare aggregabile per la realizzazione di visualizzatori a matrice di punti
US5266935A (en) * 1992-02-10 1993-11-30 The Staver Company, Inc. Pixel display assembly
US5337077A (en) * 1992-03-20 1994-08-09 Mark Iv Industries Limited Electromagnetic shutter
US5793349A (en) * 1992-03-20 1998-08-11 Mark Iv Industries Limited Electromagnetic shutter and cover
DE4212125C1 (ko) * 1992-04-13 1993-04-01 Dambach-Werke Gmbh, 7554 Kuppenheim, De
JP3102600B2 (ja) 1992-05-07 2000-10-23 日立電子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Icテスタ
US5642130A (en) * 1995-01-17 1997-06-24 Mark Iv Industries Limited Display array and power control circuit
US5555163A (en) * 1995-02-09 1996-09-10 Pisani; Richard R. Miniature light display
DE19507200A1 (de) * 1995-03-02 1996-09-12 Herbert Klenk Großanzeige für Text und Grafik bestehend aus einer Matrix von beweglichen Elementen
US5898418A (en) * 1995-03-06 1999-04-27 Kao; Pin-Chi Magnetically operated display
US5784190A (en) * 1995-04-27 1998-07-21 John M. Baker Electro-micro-mechanical shutters on transparent substrates
US5771616C1 (en) * 1996-07-19 2001-07-03 Mark Iv Ind Ltd Display device with disk and 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44872B1 (en) 2001-06-12
EP0917126A1 (en) 1999-05-19
RU2176415C2 (ru) 2001-11-27
HK1022204A1 (en) 2000-07-28
WO1998054689A1 (fr) 1998-12-03
EP0917126A4 (en) 2000-12-20
DE69829626T2 (de) 2006-03-30
CA2261795A1 (en) 1998-12-03
AU724062B2 (en) 2000-09-14
AU7454098A (en) 1998-12-30
ATE292837T1 (de) 2005-04-15
CN1124581C (zh) 2003-10-15
EP0917126B1 (en) 2005-04-06
DE69829626D1 (de) 2005-05-12
CN1231047A (zh) 1999-10-06
BR9804936A (pt) 2000-01-18
KR20000029625A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513B1 (ko) 광 도트 이미지 디스플레이
US20060084039A1 (en) Drawing tool for capturing and rendering colors, surface images and movement
US6326945B1 (en) Magnetic writing board
US7116312B2 (en) Computer keyboard with vessel containing two liquids and a decorative element
US3724110A (en) Visual display board
CN114879868A (zh) 磁擦除电子书写器
JP2001051584A (ja) 文字練習用の書き込み用具
US8057238B2 (en) Magnetically actuated visual display board
CN108230780A (zh) 一种多功能图画教育设备
KR200236683Y1 (ko) 흑판
JPH08160539A (ja) 光黒板
JP3236244B2 (ja) 光点描式ディスプレイ装置
JPS63303388A (ja) 情報入出力装置
JP3278360B2 (ja) 磁気画板の消去装置
CN221281379U (zh) 一种电子纸黑板设备
KR200259569Y1 (ko) 다기능 전자칠판
KR200359407Y1 (ko) 초소형 막대자석을 이용한 영구 자석칠판
HK1022204B (en) Optical dot image display
JPH0737911Y2 (ja) 投影ディスプレイ付電子黒板装置
CN208240225U (zh) 一种多功能图画教育设备
CN110379222B (zh) 英语教学专用黑板
JP3087996U (ja) 磁気画板
CN117289524A (zh) 一种电子纸黑板设备及控制方法
KR20030029679A (ko) 다기능 전자칠판
KR20020090065A (ko) 내용이 변하는 광고판과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