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6830B1 -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830B1
KR100316830B1 KR1019990059616A KR19990059616A KR100316830B1 KR 100316830 B1 KR100316830 B1 KR 100316830B1 KR 1019990059616 A KR1019990059616 A KR 1019990059616A KR 19990059616 A KR19990059616 A KR 19990059616A KR 100316830 B1 KR100316830 B1 KR 100316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al plate
film
high intensity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5050A (ko
Inventor
최장현
전성수
안성권
권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우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19990059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8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32B2255/205Metall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02Noble metals
    • B32B2311/08Sil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면반사방식인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티엠(TM)처리한 금속판체에 크로메이트처리를 한 후, 이렇게 형성된 크로메이트전처리층 상에 백색 프라이머 도막층을 형성하고, 연속공정으로 상기 백색 프라이머 도막층 상에 후면반사방식의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을 열접착방식으로 롤압착 접착하여 적층시키므로서 소재와 필름의 완벽한 접착력으로 기포발생 등의 표면결함이 발생치 않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그 자체의 융착력을 이용하여 고조도의 반사율, 선영성 및 심가공성이 우수한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판을 연속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steel plate coated with Hot Melt type film with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본 발명은 후면반사방식의 핫 멜트(HOT MELT)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용 기구, 복사기계, 액정 표시장치를 비롯해 각종구조재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고조도 반사판은 높은 반사율, 표면의 선영성, 내식성 및 가공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제조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조도 반사판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크게 다음과 같이 3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째는 알루미늄 원판에, 진공 중에서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된 은 또는 알루미늄 등 그 자체의 광택성이 우수한 금속의 입자들을 직접 증착시킨 것이다.
둘째는 알루미늄 산화물(Al2O3)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원판에 대해 직접 연마(Polishing)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한 반사판은 제품 표면의 조도(intensity of illumination)및 반사율이 우수하고, 판 표면의 선영성이 좋은 반면, 부식이 쉽고 경도가 낮으며, 가공성이 떨어져 구조물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
셋째는 PET필름 상에 은 또는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시켜 만든 증착필름을 점착제 또는 열융착방식으로 롤 압착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 세번째의 제조방법은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한 은(Ag) 또는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입자를 PET필름에 진공중에 증착시킨 후 이 증착면의 산화를 방지하면서반사율을 유지시킬 목적으로 1∼2㎛ 이하의 두께로 아크릴 코팅을 하고, 그 반대면에는 상온에서 점착이 가능한 점착제처리를 하며, 이 점착제처리를 보호하기 위해 이형PET필름을 붙여 제품화한 증착필름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증착필름을 이용해 연속공정에서 반사판을 제조할 경우에는 증착필름하면에 처리된 점착층의 보호를 위한 이형PET필름을 제거하기 위한 리와인더(Rewinder)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반사판도 은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PET필름층 위에 있는 전면반사방식의 경우 반사율은 높으나, 증착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아크릴 코팅으로 처리된 부분이 내약품성에 상당히 취약하여 열악한 작업환경 조건에서는 쉽게 증착층이 산화되는 경향이 있고, 표면의 내스크래치성도 취약하여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부드러운 천이나 스폰지 등으로 닦아내도 쉽게 아크릴 코팅층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쉽다.
한편 이러한 전면방사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PET필름층 하면에 은 또는 알루미늄을 증착시키고 소지금속과의 접착을 위하여 증착층하면에 상온에서 점착력을 발휘하는 점착제을 처리한 경우에도 온도, 습도 등의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른 소지강판과 필름층의 결속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름층과 소지강판이 쉽게 박리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오렌지필(Orange Feel - 굽힘이나 드로잉 공정시 금속판에 감귤껍질처럼 거칠어지는 현상)현상을 최소화 하기위해 소지금속판체로 표면의 조도가 Ra : 0.4㎛이하인 A1000계열이나 A3000계열의 알루미늄강판을 사용하는 방법이있으나, 심가공을 요하는 제품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원판 자체의 경도가 낮을 뿐만아니라 이 또한 상온 점착방식이기 때문에 심가공을 필요로 하는 구조물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조도 반사필름의 박리 없이 가공을 할 수 있고, 심가공을 할 수 있는 경도를 갖추며, 동시에 내식성, 내스크래치성, 선영성 및 반사율 등 제반물성에 있어서도 기존 제품과 비교하여 거의 동등 이상의 물성을 가지며, 작업상의 공정단축 및 작업수율 향상과 동시에 저렴한 가격이 가능한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를 연속도장라인에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반사필름층과 소지강판사이에 연속도장라인에서 금속판체의 요철부에 완전한 레벨링성이 요구되어지고 요철에 따른 필름과의 기공발생이나 기타 요철에 따른 금속판체와 필름과의 접착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백색프라이머도료를 코팅하고 반사층(은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을 PET필름층의 하면에 형성하고 반사층 하면에는 열활성접착처리를 하며, PET필름층 상면에는 광중합성 투명스크래치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를 연속도장라인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반사필름이 적층된 반사강판의 단면층의 바람직한 두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를 연속도장라인에서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렌지필 현상을 최소화 하여 반사강판의 심가공성을 향상 시키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소지금속판체 2. 도금층
3. 크로메이트 전처리층 4. 백색 프라이머 도막층
5. 열활성접착층 6. 은(Ag) 또는 알루미늄(Al)층
7.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8. 스크래치 방지층
10.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 적층 금속판체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면에 티엠(TM)처리를 한 공지의 금속판체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금층위에 연속도장라인에서, 크로메이트처리를 하는 단계, 고분자량의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수지로 하는 백색 프라이머도료를 롤코팅하는 단계, 상기 백색 프라이머도료로 롤코팅된 금속판체를 PMT 160∼230℃로 가열, 건조시키는 단계 및 표면에 광중합성 스크래치방지층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이면에 은 또는 알루미늄이 용융점이상에서 진공 증착되고 은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 이면(하면)에 열활성접착처리를 한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을 백색 프라이머 도료로 롤코팅된 금속판체상에 상기 열접착처리된 면을 접착제 처리없이 단순 롤압착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소지의 금속판체를 일반적인 세정방법에 의해 세정, 건조한 후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는 단계, 도료를 입히는 단계, 증착필름을열융착(Hot Melt) 방식으로 라미네이팅시키는 단계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10)의 도막구성은 크게 반사필름층(5∼9), 백색프라이머 도막층(4) 및 금속판체(1)의 3층구조로 이루어진다.
소지금속판체(1)
일반적으로 반사판은 판 표면의 선영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표면의 오랜지 필(Orange Feel)현상도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소지금속판체는 표면을 TM(Temper rolling Mill)처리, 곧 조질압연처리를 한 금속판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M처리의 조업조건의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항 목 조업조건
압하율(%) 0.4 ∼ 0.9
Speed(MPM) 600 ∼ 800
출측장력(AMP) 600 ∼ 700
입측장력(AMP) 500 ∼ 600
Mill AMP 500 ∼ 700
Increase 10 ∼ 30
Decrease ×
강판표면온도(℃) 45 ∼ 50
소지금속판체로서는 티엠(TM)처리를 한 냉연강판(CR), 티엠처리를 한 냉연강판을 베이스로하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및 용융아연도금강판(GI) 또는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며, 특히 심가공성을 높이고, 내식성 향상 및 경제성 측면에서 전기아연도금강판(표면의 조도 Ra : 0.8㎛이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필름층(5-9)
반사필름층(증착필름)은 표면에 내스크래치(Scratch Resistant)처리(8)를 한폴리에스테르 필름(7)의 이면에 그 자체의 광택이 우수해 고조도의 반사율을 갖는 은(Ag-반사율 95%) 또는 알루미늄(Al-반사율 88%)을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이들의 금속입자들을 폴리에스테르 필름층(7) 하면에 진공 중에서 직접 증착시킨후, 상기 증착층 하면(이면)에 열활성접착처리(5)를 해 물리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열활성접착층(5)은 은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하면에 처리되어 고온(150℃이상의 온도)에서 접착성질을 발휘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에게 제품이 이동되기까지의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증착필름의 표면에는 보호필름층(9)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보호필름층(9)은 EVA(Ethyl vinyl acetate)필름, PE(Polyethylene)필름 등이 사용된다.
투명스크래치방지층(8)
스크래치방지층(8)은 폴리에스테르필름층(7)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하는 층이다. 종래의 내스크래치성처리는 주로 아크릴수지를 주수지로 하여 그라비어 인쇄처리하여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내구성, 내스크래치성 및 부착성 등이 떨어져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경도, 내용제성, 내구성 및 부착성 등이 우수한 자외선 경화방식의 수지를 폴리에스테르필름층(7) 표면에 처리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투명 스크래치방지층(8)은 광중합성 프레폴리머(Premolymer)(이하 올리고머(Olygomer)로 표시한다.)와 광개시제, 광중합성모노머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경화수지로 사용되는 올리고머로는 고경도, 내약품성 및 부착성 등이 뛰어난 라디칼 중합형 에폭시아크릴레이트(Epoxyacrylate)계중 일본의 소화고분자사의 비스페놀A형 수지인 SP 또는 VR시리즈 제품(이상 상품명)이 사용될 수 있다.
광개시제는 외부의 자외선을 받으면 그 자신이 베이스경화수지중의 불포화기 성분을 활성화 시겨 중합개시 역할을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경화도 안정하고 저가인 벤조페논계(Benzophenon)를 사용하는데 이의 단점으로는 황변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경화도 및 내후성이 양호한 아세토페논계(Acetophenon)인 1-하이드록시 사이클로 헥실 페닐 케톤(1-Hydroxy cyclo hexyl phenyl keto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개시제로는 시바가이(Ciba-geigy)사의 상품명 Irgacure 184C 등을 예로 들 수있다.
광중합성 모노머는 중합성분인데(용제역할도 한다.)기존 용제는 휘발하거나 대기중에 혼입되어 대기의 공해원인이 되나 그러한 휘발성분이 없이 중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환경친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주로 2관능기중 저점도로서 용해성이 양호하고 유연성을 부여하는 HDDA(1,6-Hexane diol diacrylate)와 3관능기중 가교밀도 및 반응성이 크고, 저점도인 TMPTA(Trimethylol propane triacrylate), 가교밀도가 크고 속경화성인 DPHA(Dipentaerithritol hexacrylate)를 적절히 혼합 사용한다.
기타 첨가제로는 자기 단독으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으나 광개시제와 같이 사용하면 중합효과가 뛰어난 증감제와 암소저장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저장안정제가 사용된다. 증감제로는 주로 경화속도가 빠른 지방산 아민류등을 사용하고, 저장안정제로는 제4급암모늄크로라이드, 디에틸디옥시아민(diethyldioxy amine), 환상아미드, 니트릴화합물 등이 사용된다.
백색프라이머막층(4)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연속도장라인에서 금속판체의 요철부에 완전한 레벨링성이 요구되어지고 요철에 따른 필름과의 기공발생이나 기타 요철에 따른 금속판체와 필름과의 접착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백색 프라이머도료이다.
종래에 사용된 PCM(Pre-coated metal) 도료에 사용되는 일반수지는 적층필름과의 특성 차이로 인하여 도장 처리후, 열풍 건조시 포핑(Poping) 발생 및 필름과 도막 상호간의 미부착성, 표면레벨링성, 가공시의 도막균열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백색프라이머도료에 사용되는 주수지를 고분자량의 선형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사용하였다. 상기의 플렉서블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적당한 것으로는 5,000 ~ 10,000의 분자량, 10 ~ 20℃의 유리전이온도(Tg)값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연신율을 최대한 부여하기 위하여 수지합성시 수지의 주쇄에 일반적으로 가지로 되어 있는 히드록시기(-OH), 카르복실기(-COOH) 등과 같은 관능기를 선형구조가 되도록 에틸렌글리콜 같은 다가알콜을사용하여 관능기의 형성을 최대한 억제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의 백색 프라이머도료에서 도막형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교수지(경화제)는 메틸화 및 부틸화의 혼합형 멜라민수지이다. 이의 예를 들면, RESIMINE 755, RESIMINE 757, RESIMINE 751(이상 SOOLUTIA사 제품), CYMEL 1168, CYMEL 1170, CYMEL 232(이상 CYTEL사 제품) 등이 있다.
경화촉진제는 에폭시 수지로 마스킹(masking)된 P-Toluene Sulfonic Acid, Dinonyl Naphthalene Solfonic Acid 등의 sulfonic acid을 사용한다.
사용된 경화촉진제는 전체 도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중량비로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중량비로 사용한다. 경화촉진제를 0.3중량비 이하이면 도막의 경화가 작업조건에 따라 불충분하게 일어나고, 3중량비 이상이면 도막의 경화가 급격히 일어나서 도장작업시 도막에 포핑 또는 수축(Shrinkage)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백색 프라이머 도료에 보조 가교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는 마스킹된(masking)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무황변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이는 주수지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축합반응하여 폴리우레탄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보조가교수지는 전체 도료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비로 사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중량비를 사용한다. 보조 가교수지를 1중량비 이하로 사용하면 도막의 부착성 향상 효과가 떨어지고, 10중량비 이상을 사용하면 도료의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보조가교수지의 촉매로는 Tin계 촉매를 전체 도료에 대하여 0.1내지 2중량비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중량비를 사용한다. 촉매를 0.1중량비 이하로 사용하면 촉매로서의 효과가 떨어져 접착성 향상의 효과가 저하되고, 2중량비 이상으로 사용하면 황변 현상이 발생하며 도료 원재료비가 상승한다.
백색 프라이머 도료에는 유기 또는 무기안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백색 프라이머 도료는 다음과 같은 조성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 분 성 분 함량(중량)%
수 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20~40
멜라민 수지 4~15
우레탄 수지 1~10
보조수지 0.3~3
안 료 산화티탄(TiO2) 15-35
방청안료 0-10
첨가제 DEFORMING AGENT 0.5~1.0
LEVELLING AGENT 0.5~1.0
용 제 히드로카본 계 15~25
에스테르 계 15~25
방청안료는 내식성향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백색프라이머도료(4)는 금속판체(1)와 폴리에스테르필름(7)사이의 계면에서 상호 접착성과 충분한 완충작용을 하여 가공시 발생되는 판체의 군열이 폴리에스테르필름층(7)까지 발전되지 않고 프라이머 도막층(4)에서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종래 점착성의 전면 또는 후면 반사방식의 반사판의 경우 문제점으로 지적되던 증착층의 박리현상을 해결하기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백색프라이머도료를 사용함으로써 온도, 습도 등의 외부환경이 변화한다 하더라도 반사필름층과 소지강판사이의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백색프라이머도료의 도장방법으로는 롤 코팅방식이 사용되고, 건조도막두께는 약 7∼17㎛가 바람직하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이다. 건조도막두께가 7㎛ 이하에서는 가공성이 떨어지고, 17㎛ 이상에서는 소지강판과의 접착성이 떨어진다.
소부조건으로는 소부되는 분위기 온도 조건에 따라 소부시간이 변경되어야 하나, PCM의 연속라인에서 240∼300℃의 분위기 조건과 40∼60MPM 정도의 속도를 부여하여 PMT 160∼23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제1도와 같이 연속도장라인에서 롤코팅 방식으로 TM처리를 한 전기아연도금강판(1)의 도금층(2)위에 도포형 크롬산염을 라인속도 40~70MPM으로 얇은 박막으로 롤코팅으로 도포하여 PMT(peak metal temperature) 60~140℃의 온도조건에서 열풍으로 건조시켜 20~80mg/㎡의 크롬산염층(3)을 형성시켰다.
그 위에 백색 프라이머도료를 7~17㎛가 되도록 롤 코팅한 후, 열풍건조 오븐에서 PMT 160~230℃로 가열하여 건조시켜 프라이머 도막층(4)을 형성시켰다.
연속공정으로 160~230℃로 가열된 프라이머 도막층(4)위에, 보호필름층(9),광중합성 투명 스크래치방지층(8), 폴리에스테르필름층(7), 은(Ag)증착층 및 열활성접착층(5)이 형성된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5-9)을 유압 4.5㎏/㎡인 상탄성고무롤 하스틸롤을 사용하여 압착 접착(라미네이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반사필름층(5-8)은 이스라엘 하니타(HANITA)사 상품명 SUPER CLEAR METAL PET(Ag 증착) 이며, 이의 물성은 표3과 같다.
Item No. K02311S Units Test Methode
Thickness 23 m
Appearance High gloss
Area Yield 26.8
Gardner Haze 0.3 % ASTM D 1003-77
Total luminoustransmission 88(Al) % ASTM D 1003-77
95(Ag) % ASTM D 1003-77
Tensile sttength at break MD*20 TD*100 Kgf/㎟ ASTM D 882-83
Elongation at break MD*150 TD*100 % ASTM D 882-83
Shrinkage MD*2.5 TD*1 % After 5 minutes at 190℃
Upper melt temperature 255-260 ASTM E 794-85
Sealing temperature range 150-165
Heat seal strength tear grf/inch ASTM D 882-83
MD*: Machine direction TD*: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고조도반사판의 각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2-3㎛의 스크래치방지층(8), 10-30㎛의 폴리에스테르필름층(7), 약400Å의 은 또는 알루미늄증착층(6), 10-20㎛의 열활성접착층(5), 7~17㎛의 백색프라이머도막층(4), 20 ~ 80mg/m2의 크로메이트 전처리층(3) 및 15 ~ 23㎛의 도금층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강판과 종래의 수입 전면반사방식인 고조도 반사강판(Ag증착)과의 성능시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반사율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에 사용된 종래 수입 후면반사방식 고조도 반사강판은 3M사의 상품명 3M Silverlux이다.
제품분류시험항목 후면반사방식핫멜트형고조도 반사강판 종래 수입전면반사방식고조도 반사강판 시험항목
1. 내약품성(20%H2SO4× 24hrs) 부식없음 부식있음 외관부식유무
2. 내약품성(20%HCl × 24hrs) 부식없음 부식있음 외관부식유무
3. 선영성 육안판정
4. 점착성(심가공성) KS A 1106
5. 가격 저가 고가
○ : 우수 △ : 보통 × : 나쁨
반사갓 표면 정반사율 총반사율(정반사율 + 난반사율)
후면반사방식핫멜트형 고조도 반사강판 94% 95%
종래 수입전면반사방식 고조도 반사강판 95% 96%
여기서 보듯이 후면반사방식인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강판이 종래의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면반사방식인 고조도 반사강판보다도 거의 동등한 반사율을 나타냈으며, 또한 내약품성시험에서는 전면반사방식보다도 월등히 우수한 표면 물성을 나타내어 작업환경이 열악한 조건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였다. 그리고 심가공성면에서도 기존 상온 점착식인 수입 고조도 반사강판보다도 월등히 접착력이 우수한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강판은 심가공성이 요구되는 형광등 반사강판, 자동차 헤드라이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지금속판체 위에 도료를 사용하지 않는 종래 수입 고조도 반사강판보다 반사율 및 선영성이 거의 동등 이상이고, 은 또는 알루미늄이 PET필름층 하면에 형성되는 관계로 심가공성 및 내약품성에 있어서는 상당히 우수한 물성을 가지며, 이형 PET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정단축, 작업수율향상, 환경친화적, 경제적인 면을 추구할 수 있고, 또한 제조단가도 더욱 저렴하게 할 수 있어 상당한 수입 대체의 효과도 갖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크로메이트처리된 공지의 금속판체(1) 또는 도금층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금층(2)위에 연속도장라인에서,
    (a) 고분자량의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수지로 하는 백색 프라이머도료(4)를 롤코팅하는 단계,
    (b) 상기 백색 프라이머도료(4)로 롤코팅된 금속판체를 PMT 160-230℃로 가열, 건조시키는 단계 및
    (c) 표면에 광중합성 스크래치방지층(8)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필름(7)의 이면에 은 또는 알루미늄이 용융점이상에서 진공 증착되고 상기 은 또는 알루미늄 증착층(6) 하면에 열활성접착처리(5)를 한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을 상기 백색 프라이머 도료로 롤코팅된 금속판체 상에 상기 열접착처리된 면(5)을 접착제 처리없이 단순 롤압착하여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층의 두께가 하기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 도금층의 두께: 15∼23㎛
    크로메이트처리층의 두께: 20∼80㎎/㎡
    백색 프라이머 도료의 건조막 두께: 7∼17㎛
    열활성접착층의 두께: 10∼20㎛
    은 또는 알루미늄층의 두께: 400Å
    폴리에스테르 필름층의 두께: 10∼30㎛
    스크래치 방지층의 두께: 2∼3㎛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의 소지금속판체(1)는 조질압연롤(TM)을 사용하여 표면의 조도를 Ra : 0.8㎛이하로 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반사방식의 핫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 적층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KR1019990059616A 1999-12-21 1999-12-21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KR100316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16A KR100316830B1 (ko) 1999-12-21 1999-12-21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616A KR100316830B1 (ko) 1999-12-21 1999-12-21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50A KR20010065050A (ko) 2001-07-11
KR100316830B1 true KR100316830B1 (ko) 2001-12-24

Family

ID=19627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616A KR100316830B1 (ko) 1999-12-21 1999-12-21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481B1 (ko) * 2005-05-10 2007-03-23 포항강판 주식회사 엘씨디 백라이트용 반사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9056B1 (ko) * 2007-02-23 2007-10-22 (주)씨엠시스템 적층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3505B1 (ko) * 2010-08-19 2011-02-10 주식회사 에이프러스 핫멜트부재를 이용한 라미네이팅장치,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방법 및 이에 이하여 제조된 반사갓 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5050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357B1 (ko) 수압 전사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수압 전사체의 제조 방법
JP4364993B2 (ja) マーキングフィルム
KR100316830B1 (ko) 핫 멜트형 고조도 반사필름이 적층된 금속판체의 제조방법
KR20010089562A (ko) 접착제 조성물 및 접착제 시트
JP5056692B2 (ja) 鋼板用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鋼板
JP4374262B2 (ja) 積層フィルム
JP4270997B2 (ja) 仮着保護シート付き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
JP7226977B2 (ja) 乗物外装用装飾フィルム
JP3640806B2 (ja) 転写箔
KR101857042B1 (ko) Pcm 칼라강판의 제조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526B1 (ko) 핫멜트형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적층 금속판체의제조방법
KR100349471B1 (ko) 복합폴리에스테르필름이 적층된 백색칠판용 금속판체 및그 제조방법
JP2009202367A (ja) 装飾用粘着シート
JP2009096185A (ja) 鋼板用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鋼板
JP3880183B2 (ja) 化粧シート
KR20090035233A (ko) 반사외관이 우수한 디스플레이용 하드코팅필름
JP2805880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被覆金属板
KR20230140483A (ko) 점착 필름
JPH0780281B2 (ja) プラスチツク積層体
JP2747371B2 (ja) 金属様外観を有する積層樹脂フイルム
JP4013787B2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水圧転写体
JPH03106913A (ja) 耐摩耗性アイオノマー重合体
JP2023074354A (ja) メタリック層及び接着剤層を含む装飾用積層体
JP2010043216A (ja) 装飾用粘着シート
JP2004330431A (ja) 水圧転写用フィルム及び硬化性樹脂層を有する水圧転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