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6684B1 -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684B1
KR100316684B1 KR1019990043149A KR19990043149A KR100316684B1 KR 100316684 B1 KR100316684 B1 KR 100316684B1 KR 1019990043149 A KR1019990043149 A KR 1019990043149A KR 19990043149 A KR19990043149 A KR 19990043149A KR 100316684 B1 KR100316684 B1 KR 10031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clip
coupled
clips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232A (ko
Inventor
이석재
이주재
Original Assignee
이석재
이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재, 이주재 filed Critical 이석재
Priority to KR101999004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6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과 클립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결합수단의 제작 및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과 클립의 전체적인 비용절감과 생산성 및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고, 결합된 클립의 이탈현상을 배제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101)를 결합한 안경테(102)의 내측에는 노즈프레임(103)을 연결하고 외측에는 후방에 다리(104)를 장착한 힌지(105)가 결합되는 구성의 안경(100)과;
선글라스렌즈(151)를 결합한 안경테(152)의 내측에 노즈프레임(153)을 가지는 구성의 클립(150)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100)과 클립(15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모든종류의 연자성체를 이용하여 안경(100)과 클립(15)을 결합시키고; 상기 안경(100)과 클립(150)의 적정위치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0)과; 상기 안경(100)과 클립(150)의 적정위치에 영구자석(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자성체(210)에 의하여 안경(100)과 클립(15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Combine method of spectacle and clip there structure}
본 발명은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전방에 다리가 없는 선글라스(클립; 이하 클립이라 한다.)를 착탈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 방법과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보호하여 시력을 잃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래스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안경테와 이에 결합되는 렌즈 및 렌즈가 결합된 안경테를 지지하는 다리로 크게 구성된다.
사람의 시력은 정상시력과 근시(近視), 난시(亂視) 및 원시(遠視)등으로 구분되며;
근시는 눈에 들어오는 평행광선이 망막앞쪽에서 상을 맺어 가까운곳은 잘보이나 먼곳은 잘보이지 않는 시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안경의 렌즈를 오목렌즈를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시력이 정상적으로 되도록 하고 있다.
난시의 경우에는 안구 특히 각막의 구면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광선이 망막위의 한점에 모이지않아 물체를 바르게볼수 없는 상태의 시력을 말한다.
원시의 경우에는 눈에 들어온 평행광선이 망막 뒤쪽에서 상을 맺어 먼곳은 잘보이나 가까운곳은 잘보이지 않는 눈의 상태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시력이 좋지않은 사람들의 시력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는 안경은 자외선이 많은 하절기에는 안경착용자들은 별도의 선글라스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즉, 시력에 이상이 없는 일반인들이 착용하는 선글라스와는 달리 시력이 좋지않아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본인이 착용하는 안경과 촛점이 일치하도록 한 선글라스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부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면서는 다리가 없고 일반적인 선글라스 렌즈를 장착한 클립을 안경의 전방에 부착함으로서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클립과 안경의 결합을 위하여 도 6,7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경(10)은 렌즈(1)를 결합한 안경테(2)의 내측에는 노즈프레임(3)을 연결하고 외측에는 후방에 다리(4)를 장착한 힌지(5)가 결합되는 구성이고;
클립(20)은 선글라스렌즈(21)를 결합한 안경테(22)의 내측에 노즈프레임(23)을 가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안경(10)과 클립(20)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안경(10)과 클립(20)의 각 노즈프레임(3,23)에 수용홈(25,26)을 형성한 후 영구자석(27,28)을 삽입하여 상기 영구자석(27,28)의 자력에 의하여 클립(20)이 안경(10)에 결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클립을 안경에 결합할 경우에는 영구자석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형성을 위하여 노즈프레임의 크기가 비대해지고, 디자인의 제약을 받음은 물론 비대해진 노즈프레임과 영구자석에 의하여 안경의 무게가 증대되어 착용감을 해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 영구자석을 안경과 클립의 노즈프레임에 각각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극에 따른 방향성으로 조립시 상당한 신경을 집중시켜야 하고, 이로인한 조립성의 저하와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옴은 물론, 영구자석의 오조립시에는 클립의 결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특히, 도 7에서와 같이 영구자석과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결합할 경우에는 N그과 S극이 결합되기 때문에 연접되는 N,S극의 자력이 서로 당기기 때문에 결합되나, 연접되지 않는 방향의 N,S극에서 발생하는 자력은 개방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자력이 외부로 분산되어 손실되기 때문에 결합력이 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안경과 클립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결합수단의 제작 및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과 클립의 전체적인 비용절감은 물론, 디자인 변경의 자유로움을 제공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클립의 이탈현상을 배제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가),(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자속분포도.
도 6은 종래기술이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은 종래기술의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자속 분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안경
150; 클립
200; 영구자석
210; 연자성체
220; 이탈방지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 2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 (가),(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과 클립의 자속분포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렌즈(101)를 결합한 안경테(102)의 내측에는 노즈프레임(103)을 연결하고 외측에는 후방에 다리(104)를 장착한 힌지(105)가 결합되는 구성의 안경(100)과;
선글라스렌즈(151)를 결합한 안경테(152)의 내측에 노즈프레임(153)을 가지는 구성의 클립(150)을 결합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모든종류의 연자성체와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안경(100)과 클립(150)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안경(100)의 노즈프레임(103)상에 영구자석(200)을 구비하고, 클립(150)의 노즈프레임(153)을 박판의 연자성체(210)로 구성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영구자석(200)과 연자성체(210)는 노즈프레임에만 국한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경테나 안경테에 삽입된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편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예시에서는 영구자석(200)을 안경(100)에 구비하고 연자성체(210)를 클립(150)에 구비하고 있으나, 영구자석(200)을 클립(150)에 구비하고 연자성체(210)를 안경(100)에 구비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경이(100)이나 클립(150)에 형성되는 연자성체(210)에는 이탈방지핀(220)을 일체로 형성하여 안경(100)에 결합된 클립(15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도 된다.
물론, 상기 영구자석(200)과 연자성체(210) 및 이탈방지핀(220)의 형상은 안경(100)과 클립(150)의 형상과 그 위치에 따라 직선, 라운드, 굴곡등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안경(100)을 착용하고 있다가 자외선으로 부터 눈을 보호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경(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100)의 전방에 클립(150)을 결합하면 별도의 선글라스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
즉, 안경(100)의 전방에 클립(150)을 경합시키게 되면 안경(100)이나 클립(150)의 적당한 위치(노즈프레임이나 안경테 및 연결편 등)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0)과 이의 대향위치에 구비되는 연자성체(210)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클립(150)이 안경(100)에 결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200)과 연자성체(210)가 결합될 경우에는 도 5의 자속도에서와 같이;
연자성체(210)를 결합한 영구자석(200)의 N극이나 S극에서 발생하는 자속(Magnetic Flux)은 자화된 연자성체(210)를 통하여 영구자석(200)의 S극이나 N극으로 집속되어 더욱더 강력한 자력으로 안경(100)과 클립(150)이 결합되는 것이다.
즉, 영구자석(200)에 결합되는 연자성체(210)가 자속(Magnetic Flux)의 폐쇄회로(Magnetic Closed Crcuit) 역할을 행함으로서 자속의 손실을 막아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연자성체(210)에 일체로 더 구비하는 이탈방지핀(220)에 의하여 클립(150)이 안경(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연자성체(210)가 박판의 금속재로 구성되고 하나의 영구자석만 구비함으로서 활동성을 보장할 수 있게되고 안경과 클립의 경량화는 물론 제작등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안경과 클립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결합수단의 제작 및 조립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과 클립의 전체적인 비용절감과 생산성 및 품질향상등에 기여할 수 있고, 결합된 클립의 이탈현상을 배제하여 사용자들의 편익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렌즈(101)를 결합한 안경테(102)의 내측에는 노즈프레임(103)을 연결하고 외측에는 후방에 다리(104)를 장착한 힌지(105)가 결합되는 구성의 안경(100)과;
    선글라스렌즈(151)를 결합한 안경테(152)의 내측에 노즈프레임(153)을 가지는 구성의 클립(150)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100)이나 클립(15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0)과;
    상기 영구자석과 결합되는 모든종류의 연자성체(210)를 안경(100)이나 클립(15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0)의 대향위치의 안경(100)이나 클립(150)에 구비하여 상기 안경(100)과 클립(15)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2. 렌즈(101)를 결합한 안경테(102)의 내측에는 노즈프레임(103)을 연결하고 외측에는 후방에 다리(104)를 장착한 힌지(105)가 결합되는 구성의 안경(100)과;
    선글라스렌즈(151)를 결합한 안경테(152)의 내측에 노즈프레임(153)을 가지는 구성의 클립(150)을 결합함에 있어서;
    상기 안경(100)과 클립(150)의 적정위치에 구비되는 영구자석(200)과;
    상기 안경(100)과 클립(150)의 적정위치에 영구자석(20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자성체(210)에 의하여 안경(100)과 클립(15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이(100)과 클립(150)에 형성되는 연자성체(210)에는 클립(1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22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200)과 연자성체(210) 및 이탈방지핀(220)의 형상은 안경(100)과 클립(150)의 형상과 그 위치에 따른 다양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KR1019990043149A 1999-10-07 1999-10-07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100316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149A KR100316684B1 (ko) 1999-10-07 1999-10-07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3149A KR100316684B1 (ko) 1999-10-07 1999-10-07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232A KR20010036232A (ko) 2001-05-07
KR100316684B1 true KR100316684B1 (ko) 2001-12-12

Family

ID=1961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149A KR100316684B1 (ko) 1999-10-07 1999-10-07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6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232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83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20150085244A1 (en) Earpiece-less Eyeglass Apparatus and Strap Attachment Mechanism
KR20110006408A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US105173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eyewear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US7175275B2 (en) Multipurpose eyeglass device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EP1099975A2 (en) Method and device for coupling spectacles and clip-on sunshades with each other
KR100316684B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20130088627A (ko) 보조렌즈 착탈형 안경
KR200199520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CN210581171U (zh) 一种与帽子相配合的多功能眼镜组件
US6582073B1 (en) Visual field occluder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eyeglasses
CN218567753U (zh) 一种可拆分的眼镜
CN210401872U (zh) 一种前挂折叠眼镜
CN216526569U (zh) 一种双尺码镜片眼镜结构
CN214795454U (zh) 一种新型眼镜支腿
CN213122464U (zh) 一种方便拆装的眼镜镜架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KR200350659Y1 (ko) 향기를 가지는 안경
KR200364589Y1 (ko) 안경
CN208224642U (zh) 眼镜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