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4732B1 -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 Google Patents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732B1
KR100314732B1 KR1019980040399A KR19980040399A KR100314732B1 KR 100314732 B1 KR100314732 B1 KR 100314732B1 KR 1019980040399 A KR1019980040399 A KR 1019980040399A KR 19980040399 A KR19980040399 A KR 19980040399A KR 100314732 B1 KR100314732 B1 KR 100314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voltage
potential
transistors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373A (ko
Inventor
진경천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8004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732B1/ko
Priority to US09/404,142 priority patent/US6300801B1/en
Publication of KR20000021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7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6Synchronous circuits, i.e. using clock signals
    • H03K19/0963Synchronous circuits, i.e. using clock signals using transistors of complementa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가 각각 쌍(pair)으로 구성되어 레이아웃 면적이 크게 필요한 종래의 논리합 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여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킨다.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클럭 신호에 따라 전원 전압을 공급하는 PMOS 트랜지스터와, 반전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PMOS 트랜지스터를 통해 공급받은 전원 전압을 출력하는 다수의 P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클럭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을 제어하는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논리합 회로를 이용하여 상태 머신을 구성한다.

Description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Sate machine using the OR gate circuit}
본 발명은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머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여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전원전압에 따라 상기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제 2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인 논리합 회로를 도 1에 도시하였으며,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전압(VCC)이 공급되는 전원 단자와 노드(K1) 사이에 접속되며 각각의 게이트에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와, 노드(K1)와 접지 단자(VSS)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와 각각 쌍(pair)으로 접속된 제 1 내지 제 3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3)와, 노드(K1)와 출력 단자(out) 사이에 접속되어 노드(K1)의 전위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인버터(1)로 이루어지되, 상기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와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3)는 입력 신호의 수에 따라 그 접속수가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논리합 회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입력 신호가 로우(LOW) 상태로 인가될 경우의 회로 구동을 설명한다. 로우 상태로 인가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모든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가 턴온되고, 모든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3)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CC)이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를 통해 공급되고, 턴오프된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3)를 통해 그라운드로의 패스가 차단되어 노드(K1)는 하이 상태의 전위를 유지한다.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노드(K1)의 전위는 인버터(I)를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입력 신호중 어느 하나가 로우 상태로 입력될 경우, 예를 들어 제 2 PMOS 트랜지스터(P2)로 인가되는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의 회로 구동을 설명한다. 제 2 PMOS 트랜지스터(P2)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신호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2PMOS 트랜지스터(P2)가 턴온되고, 제 2 NMOS 트랜지스터(N2)가 턴오프된다. 하지만, 제 1 및 제 3 PMOS 트랜지스터(P1 및 P3)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신호가 하이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 1 및 제 3 PMOS 트랜지스터(P1 및 P3)가 턴오프되고, 제 1 및 제 3 NMOS 트랜지스터(N1 및 N3)가 턴온된다. 따라서, 노드(K1)의 전위는 로우 상태로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노드(K1)의 전위는 인버터(I)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모든 입력 신호가 하이 상태로 인가될 경우 회로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모든 입력 신호가 하이 상태로 입력되어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P1 내지 P3)가 턴오프되고, 제 1 내지 제 3 NMOS 트랜지스터(N1 내지 N3)가 턴온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CC)의 공급이 차단되고, 그라운드로 패스가 형성되어 노드(K1)의 전위는 로우 상태로 유지된다. 로우 상태로 유지되는 노드(K1)의 전위는 인버터(I)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출력 단자(out)로 출력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일반적인 논리합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가 각각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트랜지스터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레이아웃(layout)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여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논리합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럭에 의해 제어되는 논리합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리합 회로를 상태 머신의 래치 블록에 적용한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도 3의 구동 타이밍도.
도 5는 도 3의 확장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논리합 회로를 상태 머신의 래치 블록에 적용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P1 내지 P4 및 P11 내지 P14 : 제 1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
N1 내지 N4 : 제 1 내지 제 4 NMOS 트랜지스터
1 : 인버터 K1, K11, K21, K31 : 노드
11, 21 : 논리합 회로 블록 12, 22 : 래치 블록
13 및 14 : 제 1 및 제 2 지연 수단
15 및 25 : 제 1 래치 16 및 26 : 제 2 래치
M1 및 M11 : 제 1 전송 게이트 M2 및 M12 : 제 2 전송 게이트
P21 내지 P25 : 제 1 내지 제 5 PMOS 트랜지스터
N21 및 N22 : 제 1 및 제 2 NMOS 트랜지스터
I21 내지 I25 : 제 1 내지 제 5 인버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클럭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지연수단과; 상기 제 1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2 지연수단과;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제 2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기 위한 논리회로와; 상기 논리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과 출력단자 사이에 각각 병렬접속되고 각각 소정의 입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통해 인가된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출력단자에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 수단과; 상기 출력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출력단자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출력단자의 전위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리합 회로도로서, 클럭(clock)에 의해 제어된다.
게이트로 인가되는 클럭에 따라 전원 단자로부터 전원 전압(VCC)을 공급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와, 게이트로 반전된 입력 신호가 인가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를 통해 전원 전압이 소오스로 공급되며, 그 출력이 노드(K11)를통해 출력 단자(out)에 접속된 제 2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P12 내지 P14)와, 노드(K11)와 접지 단자(VSS)간에 접속되며, 게이트로 인가되는 클럭에 따라 노드(K11)의 전위를 제어하는 NMOS 트랜지스터(N11)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반전된 입력 신호의 수에 따라 PMOS 트랜지스터(P12 내지 P14)의 수가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OR 게이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클럭이 로우 상태로 인가될 때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로우 상태의 클럭에 의해 접지 단자(VSS)와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N11)는 턴오프되고,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는 턴온되어 전원 전압(VCC)이 공급된다. 모든 입력 신호가 로우 상태로 인가되면 인버팅 수단(이하 도시안됨)을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어 제 2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P12 내지 P14)에 인가될 경우 제 2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P12 내지 P14)는 모두 턴오프되어 노드(K11)의 전위는 로우 상태로 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노드(K11)의 전위가 출력 단자(out)의 전위로 된다. 만약 어느 하나의 입력 신호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면, 예를들어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의 게이트로 인가되는 신호가 하이 상태로 인가되면 인버팅 수단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2 PMOS 트랜지스터(P12)가 턴온되고, 나머지 제 3 및 제 4 PMOS 트랜지스터(P13 및 P14)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노드(K11)의 전위는 하이 상태로 되고 이 전위가 출력 단자(out)의 전위로 된다.
클럭이 하이 상태로 인가될 경우의 회로 구동을 설명한다. 하이 상태로 인가되는 클럭에 의해 접지 단자(VSS)와 접속된 NMOS 트랜지스터(N11)가 턴온되어 그라운드로 패스를 형성하고, 전원 전압(VCC)을 공급하는 제 1 PMOS 트랜지스터(P11)가 턴오프되어 전원을 공급하지 못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관계없이 노드(K11)의 전위는 로우 상태를 유지하므로 출력 단자(out)는 로우 상태의 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리합 회로를 상태 머신(state machine)의 래치 블록(latch block)에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도, 도 4는 그에 따른 동작 타이밍도이다.
하이 상태의 초기화 신호(S)에 의해 래치 블록(11)의 출력(out)이 로우 상태로 되어 래치 블록(11)을 초기화시킨다. 즉, 하이 상태의 초기화 신호(S)가 제 1 인버터(I21)을 통해 로우 상태로 반전되어 제 5 PMOS 트랜지스터(P25)를 턴온시킨다. 또한, 하이 상태의 초기화 신호(S)에 의해 제 2 NMOS 트랜지스터(N22)가 턴온되어 그라운드로 패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전원 전압(VCC)이 제 1 래치(15)에 인가되고, 제 2 래치(16)의 출력이 로우 상태로 되고, 이 신호가 제 4 및 제 5 인버터(I24 및 I25)를 통해 로우 상태로 출력되므로 래치 블록(12)이 초기화된다. 래치 블록(12)이 초기화되면 초기화 신호(S)는 로우 상태로 된다.
래치 블록(12)이 초기화된 상태에서 클럭이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천이할 때(도 4의 t1 시각)의 회로 구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우 상태로 입력되는 클럭에 의해 제 1 전송 게이트(M1)가 턴온된다. 즉, 로우 상태의 클럭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제 3 인버터(I23)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된 신호에 의해 NMOS 트랜지스터가 턴온되어 제 1 전송 게이트(M1)가 턴온된다.
로우 상태로 입력되는 클럭이 제 1 지연 수단(13)을 통해 일정 시간 지연(DCLK)되므로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가 순간적으로 턴온된다(t2 시각). 턴온된 제 1 NMOS 트랜지스터(N21)에 의해 그라운드로 패스가 형성되므로 노드(K21)의 전위는 입력 데이터의 상태에 관계없이 로우 상태로 유지된다.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데이터가 제 1 전송 게이트(M1)를 통해 제 1 래치(15)에 래치된다.
한편, 로우 상태의 클럭과 제 1 지연 수단(13)을 통해 지연된 신호(DCLK)가 제 2 지연 수단(14)을 통해 다시 한번 지연되어(SCLK) NOR 게이트에 입력된다. 그런데, 제 2 지연 수단(14)을 통해 지연된 신호(SCLK)는 t3 시각까지는 하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t4 시각에서 로우 상태로 반전된다. 따라서, t3 시각까지 NOR 게이트의 출력은 로우 상태를 유지하고, 이 신호가 제 2 인버터(I22)를 통해 하이 상태로 반전되므로 제 1 PMOS 트랜지스터(P21)는 턴오프된다. 이 상태가 t4 시각에서 바뀌므로 제 2 PMOS 트랜지스터(P21)가 턴온되어 전원 전압(VCC)을 제 2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P22 내지 P24)에 인가한다. 전원 전압(VCC)이 인가된 제 2 내지 제 4PMOS 트랜지스터(P22 내지 P24)는 게이트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 노드(K21)를 전원 전압(VCC)의 전위로 만들게 된다. 만약 제 2 내지 제 4 PMOS 트랜지스터(P22 내지 P24)의 게이트에 입력되는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로우 상태일 경우 노드(K21)의 전위는 전원 전압(VCC)과 같은 전위로 된다. 하이 상태의 전위가 제 1 전송 게이트(M1)를 통해 제 1 래치(15)에 래치된다.
제 1 래치(15)에 하이 상태가 래치된 상태에서 클럭이 하이 상태로 천이할 경우(도 4의 t5 시각) 하이 상태의 클럭에 의해 제 2 전송 게이트(M2)가 턴온되고, 턴온된 제 2 래치(M2)를 통해 하이 상태의 데이터가 제 2 래치(16)에 래치된다. 제 2 래치(16)에 래치된 하이 상태의 데이터는 제 4 및 제 5 인버터(I24 및 I25)를 통해 출력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논리합 회로를 상태 머신에 확대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다수의 논리합 회로와 다수의 래치 블록의 출력을 하나의 디코더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상태 머신에서는 (n+1) 가지의 입력 신호에 따라 (n+1)개의 논리합 회로 블록 및 래치 블록이 필요하며, 디코더를 통해 (2n+1-1)개의 상태가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논리합 회로를 래치 블록에 적용한 회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블록(22)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된 래치블록(12)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러나, 논리합 회로 블록(21)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입력 신호가 게이트에 입력되는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P31 내지 P33)의 소오스로 전원 전압(VCC)이 직접 입력되고, 드레인은 노드(K31)와 접속된다. 노드(K31)의 전위는 래치 블록(22)에 입력되며,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를 통해 접지 단자(VSS)와 접속된다.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의 게이트는 전원 전압(VCC)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내지 제 3 PMOS 트랜지스터(P31 내지 P33)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신호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로우 상태일 경우 노드(K31)의 전위는 하이 상태로 된다. 그런데, 접지 단자(VSS)와 접속된 제 1 NMOS 트랜지스터(N31)의 저항을 높게하여 그라운드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랜지스터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논리합 회로를 이용하여 상태머신을 구성함으로써, 레이아웃 면적을 감소시키고, 전력 소모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클럭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지연수단과;
    상기 제 1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2 지연수단과;
    상기 클럭신호와 상기 제 2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논리 조합하기 위한 논리회로와;
    상기 논리회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원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과 출력단자 사이에 각각 병렬접속되고 각각 소정의 입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 1 스위칭 수단을 통해 인가된 상기 전원전압을 상기 출력단자에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칭 수단과;
    상기 출력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지연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출력단자의 전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과;
    상기 출력단자의 전위를 래치시키기 위한 래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 수단 각각은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칭 수단은 병렬 접속된 다수의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리합 회로를 이용한 상태 머신.
KR1019980040399A 1998-09-28 1998-09-28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399A KR100314732B1 (ko) 1998-09-28 1998-09-28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US09/404,142 US6300801B1 (en) 1998-09-28 1999-09-27 Or gate circuit and state machi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399A KR100314732B1 (ko) 1998-09-28 1998-09-28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373A KR20000021373A (ko) 2000-04-25
KR100314732B1 true KR100314732B1 (ko) 2002-01-17

Family

ID=1955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3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732B1 (ko) 1998-09-28 1998-09-28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00801B1 (ko)
KR (1) KR1003147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8631B2 (en) 2006-08-08 2009-05-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ogic gate, scan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US8354979B2 (en) 2006-08-08 2013-01-15 Samsung Display Co., Ltd. Logic gate, scan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361B1 (ko) * 2006-08-08 2007-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논리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주사 구동부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10176926B (zh) * 2019-06-25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或门电路、栅极驱动电路及显示面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5526A (ja) * 1984-05-08 1985-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Cmosダイナミツク論理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3932A (ja) * 1984-05-04 1985-11-20 Nec Corp ドミノc−mos論理アレイ
US4841174A (en) * 1985-10-21 1989-06-20 Western Digital Corporation CMOS circuit with racefree single clock dynamic logic
US4959646A (en) * 1988-06-17 1990-09-2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PLA timing circuit
US5287018A (en) * 1990-09-25 1994-02-15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Dynamic PLA time circuit
JP2679420B2 (ja) * 1991-02-01 1997-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論理回路
US5453708A (en) * 1995-01-04 1995-09-26 Intel Corporation Clocking scheme for latching of a domino output
US5525916A (en) * 1995-04-10 1996-06-11 The University Of Waterloo All-N-logic high-speed single-phase dynamic CMOS logic
JP3093655B2 (ja) * 1996-09-27 2000-10-03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多値マスクromのワード線駆動方法及びその駆動回路
US5953737A (en) 1997-03-31 1999-09-14 Lexar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erase operations transparent to a solid state storage system
US6040716A (en) * 1997-05-19 2000-03-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omino logic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with precharge control based on completion of evaluation by the subsequent domino logic stage
TW344131B (en) * 1997-06-03 1998-11-01 Nat Science Council A 1.5V bootstrapped all-N-logic true-single-phase CMOS dynamic logic circuit suitable for low supply voltage and high speed pipelined
US5936449A (en) * 1997-09-08 1999-08-10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Dynamic CMOS register with a self-tracking clock
US6075386A (en) * 1997-10-22 2000-06-13 Hewlett-Packard Company Dynamic logic gate with relaxed timing requirements and output state ho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5526A (ja) * 1984-05-08 1985-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Cmosダイナミツク論理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8631B2 (en) 2006-08-08 2009-05-0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Logic gate, scan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US8354979B2 (en) 2006-08-08 2013-01-15 Samsung Display Co., Ltd. Logic gate, scan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0801B1 (en) 2001-10-09
KR20000021373A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7319A (en) Reference-free single ended clocked sense amplifier circuit
US4656373A (en) High-speed voltage level shift circuit
US4886984A (en) Prohibition circuit upon power-on event
JPH07240671A (ja) ラッチ回路
EP1083659B1 (en) Level shifter
US6369632B1 (en) CMOS switching circuitry
KR100314732B1 (ko) 논리합회로를이용한상태머신
JPH09180452A (ja) メモリのアドレス遷移検出回路
US5748541A (en) Latch circuit operating in synchronization with clock signals
KR19990003041A (ko) 토글 플립-플롭 회로
KR100273218B1 (ko) 어드레스천이검출회로
KR100346002B1 (ko) 레지스터 및 래치 회로
KR960008137B1 (ko) 반도체 소자의 노이즈 특성 강화회로
KR100308130B1 (ko) 데이터 트랜스퍼 회로
US6133748A (en) Crow-bar current reduction circuit
JP3005560B1 (ja) 入力回路
JP3769310B2 (ja) 入力回路
KR100211078B1 (ko) 하프 래치 회로
KR100670728B1 (ko) 플립플롭 회로
US6404238B1 (en) Ratio logic gate with a current mirror
KR0144486B1 (ko) 포스트 차지 로직에 의한 입력 버퍼
KR950002085B1 (ko) 개선된 래치회로를 갖는 데이타 출력버퍼
KR0170309B1 (ko) 반도체 장치의 출력단 버퍼
KR200358149Y1 (ko) 데이타입출력버퍼
KR100223827B1 (ko) 프로그래머블 출력버퍼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9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