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4627B1 -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 Google Patents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627B1
KR100314627B1 KR1019970066645A KR19970066645A KR100314627B1 KR 100314627 B1 KR100314627 B1 KR 100314627B1 KR 1019970066645 A KR1019970066645 A KR 1019970066645A KR 19970066645 A KR19970066645 A KR 19970066645A KR 100314627 B1 KR100314627 B1 KR 100314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terminal
switching
current sink
cath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8044A (ko
Inventor
이용군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70066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62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62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1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전압원과 두 개의 전류싱크포트로 고주파증폭부에 대한 증폭동작과 증폭없는 신호패스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서, 동작을 위한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전압원이 하나로 감소되어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본 발명은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전압원과 두 개의 전류싱크포트로 고주파증폭부에 대한 증폭동작과 증폭없는 신호패스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서, 동작을 위한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전압원이 하나로 감소되어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는 제1전압원(V1)으로 하이가 인가되면, 제3,제4다이오드(D3,D4)는 오프상태로 되고, 반면에 제1,제2다이오드(D1,D2) 및 증폭트랜지스터(Q1)는 온상태로되어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는 고주파증폭부(2)에서 증폭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압원(V2)으로 하이가 인가되면, 제1,제2 다이오드(D1,D2)는 오프상태로 됨과 동시에 증폭트랜지스터(Q1)도 오프상태로 되므로 고주파증폭부(2)는 증폭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고, 반면에 제3,제4다이오드(D3,D4)가 온상태로 되므로 상기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는 상기 제3,제4다이오드(D3,D4)를 통해서 출력단으로 증폭없이 통과된다.
이와같이, 안테나(ANT)로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의 수신강도에 따라 두 개의 전압원을 사용하여 강전계지역에서는 증폭없이 고주파신호를 통과시키고 약전계지역에서는 고주파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는 바이어스용 및 스위칭용으로 인가되는 제1전압원과 제2전압원으로는 증폭트랜지스터와 핀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에 충분한 전류원을 제공하여야 하므로, 전류의 소비가 가중되며, 또한 두 개의 전압원이 필요하게 되므로 전원공급부의 공급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전압원과 두 개의 전류싱크포트로 고주파증폭부에 대한 증폭동작과 증폭없는 신호패스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서, 동작을 위한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전압원이 하나로 감소되어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필터 20 : 고주파증폭부
Q2 : 증폭트랜지스터 D11∼D14 : 제1∼제4 스위칭다이오드
P1,P2 : 제1,제2전류싱크포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회로는 안테나(ANT) 및 입력필터를 통한 고주파신호를 증폭 또는 패스시키기 위해 스위칭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필터에 제1,제2결합콘덴서를 통해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전원단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3결합콘덴서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1스위칭다이오드; 애노드단을 상기 바이어스전원단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4결합콘덴서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를 통해 다음회로블럭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2스위칭다이오드; 상기 제1,제2다이오드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1전류싱크포트; 상기 제1,제2결합콘덴서 사이에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 전원단에 접속한 제3스위칭다이오드; 상기 제3스위칭다이오드의 애노드단에 애노드단을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를 통해 상기 제2스위칭다이오드의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4스위칭다이오드; 상기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2전류싱크포트;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는 안테나(ANT) 및 입력필터(10)를 통한 고주파신호를 증폭 또는 패스시키기 위해 스위칭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필터(10)에 제1,제2결합콘덴서(CC1,CC2)를 통해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전원단(V1)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3결합콘덴서(CC3)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1스위칭다이오드(D11)와, 애노드단을 상기 바이어스전원단(V1)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4결합콘덴서(CC4)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CC5)를 통해 다음회로블럭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2스위칭다이오드(D2)와, 상기 제1,제2다이오드(D1,D2)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1전류싱크포트(P1)와, 상기 제1,제2결합콘덴서(CC1,CC2) 사이에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 전원단(V1)에 접속한 제3스위칭다이오드(D3)와, 상기 제3스위칭다이오드(D3)의 애노드단에 애노드단을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CC5)를 통해 상기 제2스위칭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4스위칭다이오드(D4)와, 상기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D3,D4)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2전류싱크포트(P2)로 구성한다.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증폭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저항(R25)과 콘덴서(C22)를 직렬접속하여 접지시키고,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를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접속된 저항(R25)과 콘덴서(C22)의 접점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와 제2전류싱크포트(P2)로 제공되는 로직은 상호 반대레벨을 가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로 제공되는 로직은 약전계지역에서 로우레벨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로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제1,제2전류싱크포트(P1,P2)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고주파증폭부가 포함되는 튜너에서는 수신감도를 표시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복조기(도시생략)가 있는데, 상기 복조기로부터의 수신감도표시(RSSI)전압에 기초해서 마이컴(도시생략)에서 강전계에서는 제1전류싱크포트(P1)로 하이레벨을, 제2전류싱크포트(P1,P2)로 로우레벨을 출력하며, 반대로 약전계에서는 제1전류싱크포트(P1)로 로우레벨을, 제2전류싱크포트(P1,P2)로 하이레벨을 출력한다.
상기 수신감도표시(RSSI)전압을 이용한 포트로의 로직출력제어는 상기한 바와같이 마이컴을 이용할 수도 있고, 간단한 비교기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위상동기루프를 채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위상동기루프(PLL)IC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신감도에 따라 제1,제2전류싱크포트(P1,P2)로 제공되는 로직에 따라, 본 발명을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약전계지역에서, 즉 제1전류싱크포트(P1)로는 로우레벨이, 제2전류싱크포트(P2)로는 하이레벨이 출력되면, 도 2의 제1,제2스위칭다이오드(D11,D12) 및 증폭트랜지스터(Q2)는 온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D13,D14)는 오프상태로 된다. 이때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는 제1스위칭다이오드(D11)를 통한후 고주파증폭부(20)에서 증폭되고, 그후 제2스위칭다이오드(D12)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제1,제2스위칭다이오드(D11,D12)는 애노드단에 바이어스전압단(V1)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그 캐소드단에 로우레벨이 제공되기 때문에 도통상태로 되는 것이며,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도 바이어스전압단(V1)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그 에미터단이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의 로우레벨에 의해 접지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강전계지역에서, 즉 제1전류싱크포트(P1)로는 하이레벨이, 제2전류싱크포트(P2)로는 로우레벨이 출력되면, 도 2의 제1,제2스위칭다이오드(D11,D12) 및 증폭트랜지스터(Q2)는 오프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D13,D14)는 온상태로 된다. 이때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는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D13.D14)를 통하여 증폭없이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전압원과 두 개의 전류싱크포트로 고주파증폭부에 대한 증폭동작과 증폭없는 신호패스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도록 함으로서, 동작을 위한 소비전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전압원이 하나로 감소되어 전원공급부의 구성을 간단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다.

Claims (4)

  1. 안테나(ANT) 및 입력필터(10)를 통한 고주파신호를 증폭 또는 패스시키기 위해 스위칭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력필터(10)에 제1,제2결합콘덴서(CC1,CC2)를 통해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전원단(V1)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3결합콘덴서(CC3)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1스위칭다이오드(D11);
    애노드단을 상기 바이어스전원단(V1)에 접속함과 동시에 제4결합콘덴서(CC4)를 통해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CC5)를 통해 다음회로블럭의 입력단에 접속한 제2스위칭다이오드(D2);
    상기 제1,제2다이오드(D1,D2)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1전류싱크포트(P1);
    상기 제1,제2결합콘덴서(CC1,CC2) 사이에 캐소드단을 접속하고, 그 애노드단을 바이어스 전원단(V1)에 접속한 제3스위칭다이오드(D3);
    상기 제3스위칭다이오드(D3)의 애노드단에 애노드단을 접속하고, 그 캐소드단을 제5결합콘덴서(CC5)를 통해 상기 제2스위칭다이오드(D2)의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4스위칭다이오드(D4);
    상기 제3,제4스위칭다이오드(D3,D4)의 각 캐소드단에 접속한 제2전류싱크포트(P2);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증폭부(20)의 증폭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저항(R25)과 콘덴서(C22)를 직렬접속하여 접지시키고,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를 상기 증폭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에 접속된 저항(R25)과 콘덴서(C22)의 접점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와 제2전류싱크포트(P2)로 제공되는 로직은 상호 반대레벨을 가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싱크포트(P1)로 제공되는 로직은 약전계지역에서 로우레벨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KR1019970066645A 1997-12-08 1997-12-08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645A KR100314627B1 (ko) 1997-12-08 1997-12-08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645A KR100314627B1 (ko) 1997-12-08 1997-12-08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044A KR19990048044A (ko) 1999-07-05
KR100314627B1 true KR100314627B1 (ko) 2002-02-04

Family

ID=3753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6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627B1 (ko) 1997-12-08 1997-12-08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6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044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2654A (en) FSK modulator using saw resonator with switchable capacitors
US5204645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range switching in tuners
KR100385294B1 (ko)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EP0065013B1 (en) Tuner
KR100314627B1 (ko) 고주파증폭부의 스위칭회로
US6791426B2 (en) Balanced oscillator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5214399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range changing in tuners
KR940006327A (ko) 전원공급회로
US5229731A (en) Power amplifying circuit capable of switching amplification mode
KR20000048755A (ko) 텔레비젼 튜너용 다중 전치 증폭기 회로
KR20020093616A (ko) 텔레비전튜너
KR100364970B1 (ko) 입력 절체형 증폭기 및 그것을 이용한 주파수 절체형오실레이터
US7412219B2 (en) High-frequency amplifier having simple circuit structure and television tuner using high-frequency amplifier
KR200203698Y1 (ko) 고주파 수신기의 전계보상회로
KR100208668B1 (ko) 페이즈 로크 루프를 이용한 텔레비전 무선단의 전력 소비 저감 장치
KR100669831B1 (ko) 기생-전류 제한기를 구비한 증폭기 출력단
KR100244517B1 (ko) 페이즈 록 루프의 입력 버퍼
KR890001666B1 (ko) 튜너
EP0371447A2 (en) Detector circuit
US20050093639A1 (en) Switching circuit an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the same
JP2002217765A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100423406B1 (ko) 텔레비전 튜너의 고주파 증폭 스위칭회로
KR910009158Y1 (ko) 발진겸용 증폭회로
KR200348831Y1 (ko) 오디오 신호의 출력 제어 회로
KR960007764Y1 (ko) 휴대 전화기의 fm 변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