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14433B1 - Cash disp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ash disp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433B1
KR100314433B1 KR1019990067072A KR19990067072A KR100314433B1 KR 100314433 B1 KR100314433 B1 KR 100314433B1 KR 1019990067072 A KR1019990067072 A KR 1019990067072A KR 19990067072 A KR19990067072 A KR 19990067072A KR 100314433 B1 KR100314433 B1 KR 10031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emi
bill
interlocking
circul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59554A (en
Inventor
김태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6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433B1/en
Publication of KR2001005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433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폐(C)를 이송하는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의 반원롤러(31,32,33)를 각각 구동축(11',12',13')과 연동축(11,12,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롤러구동핀(11'p,12p)에 의해 그 연동핀(22,34)이 구동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는 각각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상기 구동축(11',12',13')과 연동축(11,12,1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고객이 지폐(C)를 잡아당기면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31,32,33)가 함께 회전되면서 지폐(C)가 인출되게 하여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31,32,33)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delivery device of a bill dispens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of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for conveying the banknote C are driven shafts 11 ', 12', 13 'and the interlocking shaft 11, respectively. , 12, 13, and rotatably installed, and the interlocking pins 22, 34 are driven by the roller driving pins 11'p, 12p. Therefore,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can be fre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drive shafts 11 ', 12', 13 'and the drive shafts 11, 12, 13, respectively,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have. When the customer pulls the bill C by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le rollers 31, 32, and 33 are rotated together so that the bill C is drawn out so that the lower roller 20 is pulled out. And the wear of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33) is not generated.

Description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Cash dispensing apparatus}Banknote dispensing device for banknote dispenser {Cash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 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자동지급기에서 소정 매수 방출된 지폐를 고객에게 인도하는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ll delivery device of a bill dispenser for deliver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bills discharged from a bill dispenser to a customer.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개략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폐자동지급기에는 지급하기 위한 지폐가 보관되는 지폐함(1,1')이 구비되고, 상기 지폐함(1,1')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아래에서 설명될 딜리버리모듈(4)로 전달하기 위한 피드모듈(3,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폐함(1,1')은 지폐자동지급기로부터, 다시 말해 상기 피드모듈(3,3')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지폐함(1,1')을 분리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은 지폐자동지급기의 사용시간 이외에는 상기 지폐함(1,1')을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기 위함이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bankno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bill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bill box (1, 1 ') for storing the bills for payment, the delivery module described in the bills stored in the bill (1, 1') will be described below Feed module (3, 3 ') for delivery to (4) is provided. Here, the bill box (1, 1 ')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bill dispenser, that is to say from the feed module (3, 3'). The bill box (1, 1 ') to be installed in this way is to separate the bill box (1, 1') to be stored separately apart from the operating time of the bill dispenser.

그리고 상기 피드모듈(3,3')로부터 전달된 지폐를 아래에서 설명될 지폐인도모듈(CAM)(5)로 전달하기 위한 딜리버리모듈(4)이 구비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4)은 상기 피드모듈(3,3')로부터 전달된 지폐를 지폐인도모듈(5)로 전달하기도 하고, 상기 지폐인도모듈(5)에서 반환되어 오는 지폐를 회수함(6)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딜리버리모듈(4)에는 분기조립체(4')가 구비되어 있어 지폐의 이송을 제어하게 된다.And it is provided with a delivery module (4) for delivering the bill delivered from the feed module (3, 3 ') to the bill delivery module (CAM) (5) to be described below. The delivery module 4 may also transfer bills transmitted from the feed modules 3 and 3 'to the bill delivery module 5, and recover bills returned from the bill delivery module 5 (6). It may also be delivered. The delivery module 4 is provided with a branch assembly (4 ') is to control the transfer of bills.

상기 딜리버리모듈(4)로부터 전달된 지폐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고객에게 전달하는 부분이 지폐인도모듈(5) 또는 고객접근모듈이다. 상기 지폐인도모듈(5)은 그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버튼을 고객이 조작하여 지폐를 입출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bill delivery module 5 or the customer access module is a portion for delivering the bill to the customer so that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bill delivered from the delivery module 4. The banknote delivery module 5 is configured to allow a customer to manipulate and withdraw a banknote by operating a button on an operation panel (not shown).

한편, 상기 딜리버리모듈(4)의 후방에는 지폐인도모듈(5)로 이송되었던 지폐가 특정한 이유에 의해 반송되어 회수되는 회수함(6)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수함(6)은 상기 딜리버리모듈(4)의 후방에 형성된다. 도면 부호 7은 지폐자동지급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되는 제어보드부이다.On the other hand, at the rear of the delivery module 4, a collection box 6 is provided in which the bills transferred to the bill delivery module 5 are conveyed and recovered for a specific reason. The recovery box 6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delivery module 4. Reference numeral 7 is a control board unit is installed is configure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banknote dispenser.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e automatic bankno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와 같은 지폐자동지급기에서는 오작동에 의해 정확한 매수의 지폐가 딜리버리모듈(4)로 전달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지폐인도모듈(5)에서 상기 딜리버리모듈(4)을 통해 회수함(6)으로 회수하게 된다.First, when there is a problem such as the bill is not delivered to the delivery module 4 due to a malfunction in the paper money dispenser as described above recovered from the bill delivery module 5 through the delivery module (4). The bin 6 is recovered.

하지만 일단 상기 지폐인도모듈(5) 까지 전달된 지폐를 상기 회수함(6)으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딜리버리모듈(4)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폐인도모듈(5)과 딜리버리모듈(4)에는 지폐를 방출하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However, in order to recover the paper money delivered to the paper money delivery module 5 to the collection box 6, it must pass through the delivery module 4. Therefore, the bill delivery module 5 and the delivery module 4 has to be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mo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o release the bill is complicated.

특히 상기 지폐인도모듈(5)에서 회수함(6) 까지의 경로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지폐의 회수를 위한 이송중에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제거할 때 까지는 지폐자동지급기의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ath from the banknote delivery module 5 to the collection box 6 is relatively long, if a problem occurs during transportation for the collection of banknotes, the banknote dispenser cannot be used until the banknote is removed. have.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고객이 최종적으로 지폐를 인출할 때, 상기 지폐를 압착시켜 잡고 있는 롤러가 상기 지폐를 고객이 당겨주는 힘에 의해 억지로 회전되므로, 이와 같은 과정에서 롤러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customer finally withdraws the bill, the roller holding the paper money by pressing the bill is forcibly rotated by the force that the customer pulls the bill, and thus, the roller is worn in such a process.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를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인도하는 롤러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minimize the wear of the roller to finally deliver the bill to the custome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no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nknote delivery device of the automatic bankno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동링크와 관련구성을 보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drive link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5의 구동링크와 관련구성을 보인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drive link of FIG.

도 7에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원롤러조립체의 동작을 보인 동작상태도이다.7 to 10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10': 지지플레이트 11,12,13: 연동축10,10 ': Support plate 11,12,13: Interlocking shaft

11',12',13': 구동축 15: 적층판11 ', 12', 13 ': drive shaft 15: laminated sheet

18: 지폐유입구 19: 완충판18: banknote inlet 19: buffer plate

20: 하부롤러 22: 연동핀20: lower roller 22: interlocking pin

24: 마찰부재 30: 반원롤러조립체24: friction member 30: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1,32,33: 제1,2,3반원롤러 34: 제1연동핀31, 32, 33: 1st, 2nd, 3rd semicircle rollers 34: 1st interlocking pin

36: 제2연동핀 37: 연동슬롯36: 2nd interlocking pin 37: interlocking slot

38: 규제핀 40: 구동링크38: Regulating pin 40: Drive link

42: 규제편 45: 솔레노이드42: Regulation 45: Solenoid

50: 클램핑브라켓 51: 힌지축50: clamping bracket 51: hinge shaft

53: 연동핀 55: 클램핑판53: interlocking pin 55: clamping plate

60: 회수함 65: 회수안내로60: Recovery Box 65: Recovery Guide

70: 셔터 80: 감지스위치70: shutter 80: detection switch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축에 상기 구동축과 별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하부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연동축에 상기 연동축과 별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조립체와,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조립체를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에 각각 연동되게 하는 핀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lower roller is installed to be rotated separately from the drive shaft on a drive shaf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an upper roller assembly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haft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interlocking shaft, and a pin clutch for interlocking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assembly to the driving shaft and the interlocking shaft, respectively.

상기 핀클러치는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구동핀과, 상기 롤러구동핀과 연동되게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조립체에 각각 구비되는 연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n clutch is configured to include a roller driving pi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drive shaft and the interlocking shaft, and interlocking pins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assembly to be interlocked with the roller driving pins.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인도장치는 고객이 방출된 지폐를 잡아당겨 인출할 때, 지폐를 물고 있는 롤러가 그 설치된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롤러의 마모가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bill deli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roller holding the bill is freely rotated about its installed axis when the customer pulls out the bill and releases the bill, thereby reducing wear of the roller. hav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anknote delivery device of the automatic banknot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플레이트(10,1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에는 적층판(15)을 중심으로 그 상부에는 제1,2,3연동축(11,12,13)이 설치되고, 상기 연동축(11,12,13)과 각각 대응되는 적층판의 하방에는 제1,2,3 구동축(11',12',13')이 설치된다.According to FIG. 2 to FIG. 6, support plates 10 and 10 ′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e support plates 10, 10 ′ are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interposed therebetween with respect to the laminated plate 15. First, second, and third driving shafts 11 ', 12', and 13 'are provided below the corresponding laminated plates,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2,3 구동축(11',12',13')은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2,3 연동축(11,12,13)은 각각 상기 구동축(11',12',13')과 기어(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어 연동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 ', 12' and 13 'are driven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 12 and 13 are respectively Drive shafts 11 ', 12', 13 'and a gear (not shown) are connected and interlocked.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 사이의 공간 하부에는 전달된 지폐(C)가 적층되는 적층판(1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적층판(1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하부롤러(20)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지폐(C)와 접촉할 수 있도록 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lower portion of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lates (10, 10 ') is a laminated plate 15 is stacked on which the transferred banknote (C) is stacked. In addition, a part of the lower roller 2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exposed to the laminated plate 15 so that a through hole 16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anknote C.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C)의 종방향 길이보다 크게 지폐유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폐유입구(18)는 예를 들어 딜리버리모듈에서 한장 씩 전달되는 지폐(C)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지폐유입구(18)에 대응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0)의 내면에는 전달되는 지폐(C)가 지지플레이트(10)에 부딪히는 충격을 완충시켜 상기 적층판(15)상에 적층될 수 있게 하는 완충판(19)이 설치되어 있다.And the support plate 10 ', as shown in Figure 4, the banknote inlet 18 is formed larg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anknote (C). The banknote inlet 18 is a portion where, for example, the banknotes C delivered one by one in the delivery module are transferred to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plates 10 and 10 '. In addition, a buffer plate for buffering the impact that the bill (C)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plate 1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0 corresponding to the bill inlet 18 to be stacked on the laminated plate 15 (19) is installed.

상기 제1,2,3구동축(11',12',13')에는 각각 하부롤러(20)가 설치되어 지폐(C)의 하면과 밀착되어 지폐(C)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롤러(20)는 적층판(15)에 형성된 통공(16)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노출된 부분이 지폐(C)의 하면과 밀착되어 지폐(C)를 이송시킨다.Lower rollers 20 are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iving shafts 11 ', 12', and 13 ', respective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ill C to transfer the bill C. The lower roller 20 is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through-hole 16 formed in the laminated plate 15, the exposed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ill (C) to transfer the bill (C).

이와 같은 하부롤러(20)는 상기 제1,2,3구동축(11',12',13')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구동축(11',12',13')에 의해 직접 회전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하부롤러(20)의 내경에 구비된 마찰부재(24)에 의해 상기 구동축(11',12',13')에 미끄러지지 않을 정도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1',12',13')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구동핀(11'p)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하부롤러(20)에는 각각 상기 롤러구동핀(11'p)과 연동되는 연동핀(22)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구동축(11',12',13')의 회전을 상기 롤러구동핀(11'p)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The lower roller 20 is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ive shafts 11 ', 12', and 13 ', but is not directly rotated by the drive shafts 11', 12 ', and 13'. . That is, the friction member 24 provid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roller 20 is provided so as not to slide on the drive shafts 11 ', 12', 13 ', and the drive shafts 11', 12 ', 13 It is driven by the roller drive pin 11'p provided in '). That is, the lower roller 20 is provided with interlocking pins 22 interlocked with the roller driving pins 11'p, respectively,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s 11 ', 12', 13 'is driven by the roller driving pins. It is received through (11'p).

상기 제1,2,3연동축(11,12,13)에는 각각 상기 하부롤러(20)와 대응되게 반원롤러조립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는 각각 제1,2,3 반원롤러(31,32,33)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롤러(31,32,33)는 각각 대략 원주의 절반정도 만의 구간이 지폐(C)를 이송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기 연동축(11,12,13) 상에 설치된다.Semi-circular roller assemblies 30 are install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to correspond to the lower rollers 20, respectively. The semi-circle roller assembly 30 is composed of first, second, and third semi-circle rollers 31, 32, and 33, respectively.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33 are each configured so that only about half the circumference of the semicircular rollers can convey the bills C.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on (11, 12, 13).

이와 같은 반원롤러(31,32,33)의 표면에는 지폐(C)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재(r)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축(11,12,13)이 삽입되는 반원롤러(31,32,33)의 내경면에는 마찰부재(39)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마찰부재(39)는 상기 반원롤러(31,32,33)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축(11,12,13)상에 위치되었을 때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부롤러(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반원롤러(31,32,33)는 상기 연동축(11,12,13)에 의해 직접 회전되지는 않는다.The surface of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33 is provided with a friction material r for providing a friction force between the bills C. In addition, a friction member 39 is provid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s of the semicircle rollers 31, 32, and 33 into which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re inserted, and the friction member 39 is the semicircle roller 31. 2, 32 and 33 are prevented from rotating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when positioned on the linkage shafts 11, 12 and 13 as shown in FIG. That is, as in the case of the lower roller 20,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33) is not directly rotated by the linking shaft (11, 12, 13).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반원롤러(31,32,33)는 상기 연동축(11,12,13)의 회전력을 상기 마찰부재(39)를 통해 전달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반원롤러(31,32,33)는 상기 연동축(11,12,13)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마찰부재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지 않고, 상기 연동축(11,12,13)에 구비된 롤러구동핀(12p)을 통해 연동축(11,12,13)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In more detail,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do not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through the friction member 39. In other words,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are not provided with the driving force through the friction member even when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re rotated. The driving force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is transmitted through the roller driving pin (12p).

다음으로 상기 제1반원롤러(31)에는 상기 롤러구동핀(12p)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반원롤러(31)를 회전시켜 주는 제1연동핀(34)이 구비된다. 상기 제1연동핀(34)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반원롤러(3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Next,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provided with a first interlocking pin 34 for rotating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roller driving pin 12p.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is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to be described below to selectively rotate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따라서, 상기 롤러구동핀(12p)이 상기 제1연동핀(34)을 밀어주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연동축(11,12,13)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1반원롤러(31)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하여 있다가 상기 롤러구동핀(12p)이 상기 제1연동핀(34)을 밀어줄 때에만 비로소 제1반원롤러(31)가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roller driving pin 12p fails to push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not rotated even though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re rotated.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rotates only when the roller driving pin 12p stops and pushes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상기 제2반원롤러(32)에는 상기 제1연동핀(34)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37)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37)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반원형으로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일면(상기 제1반원롤러(31)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슬롯(37)이 형성된 반대면에는 제3반원롤러(33)의 연동슬롯(37)에 삽입되어 상기 제3반원롤러(33)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주게 되는 제2연동핀(36)이 구비된다. 상기 제2연동핀(36)의 제2반원롤러(32) 상의 위치는 상기 제1연동핀(34)의 제1반원롤러(31) 상의 위치와 비교할 때 상기 연동축(11,12,13)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에 형성된다.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formed with an interlocking slot 37 into which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is inserted and guided. The interlocking slot 37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surface facing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n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second interlocking pin 36 is inserted into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and selectively rotates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on the opposite surface on which the interlocking slot 37 is formed. Is provided. The linkage shafts 11, 12, and 13 are positioned on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of the second interlocking pin 36 when compared to the positions on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of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It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bout the center.

상기 제3반원롤러(33)에는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제2연동핀(36)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37)이 상기 제2반원롤러(32)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37)은 상기 제2반원롤러(32)에 형성된 연동슬롯(37)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has an interlocking slot 37 guided by inserting the second interlocking pin 36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on the surface facing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do. The interlocking slot 37 has the same shape as the interlocking slot 37 formed in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반원롤러(32,33)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규제핀(3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규제핀(38)은 아래에서 설명될 브라켓(40)에 걸려져 상기 제2 및 제3반원롤러(32,33)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and 33 are provided with restricting pins 38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The regulating pin 38 is caught by the bracket 40 to be described below to serve to selectively regulate the rotation of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33).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의 사이에 나란하게 구동링크(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40)는 상기 각각의 반원롤러조립체(30)의 제2 및 제3반원롤러(32,33)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그 후단부가 구동원인 솔레노이드(45)와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5 and 6, the drive link 40 is installed side by side between the support plates (10, 10 '). The drive link 40 is installed to pass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and 33 of the respective semi-circular roller assemblies 30, and the rea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olenoid 45 which is the driving source. .

이와 같은 구동링크(40)에는 상기 제2 및 제3반원롤러(32,33)의 규제핀(38)의 이동을 규제하여 상기 제2 및 제3 반원롤러(32,33)가 초기위치 설정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제편(4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규제편(42)은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다.When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33) is set to the initial position by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regulation pin 38 of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33) The restricting piece 42 is provided to prevent it from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uch a restricting piece 42 is formed for each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ies 30.

다음으로 상기 구동링크(40)에는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가 상기 적층판(16) 상에 쌓여 있는 지폐(C)를 이송시키기 위한 준비동작을 할 때, 상기 지폐(C)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구비된다.Next, when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performs a preparation operation for transferring the bills C stacked on the stack 16, the bills C are not disturbed in the drive link 40. The configuration is provided.

즉, 구동링크(40)의 후단에는 연동절곡부(4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동절곡부(43)와 연동되는 연동핀(53)을 구비하는 클램핑브라켓(50)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브라켓(50)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에 설치된다.That is, an interlocking bent portion 43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rive link 40, and a clamping bracket 50 having an interlocking pin 53 interlocked with the interlocking bent portion 43 is provided. The clamping bracket 50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s 10 and 10 'to be rotatable about a hinge shaft 51.

그리고 상기 클램핑브라켓(50)의 일측에는 지폐(C)의 상면을 눌러 잡아주는 클램핑판(55)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판(55)은 상기 클램핑브라켓(51)에 힌지핀(5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nd one side of the clamping bracket 50 is provided with a clamping plate 55 for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ill (C). The clamping plate 55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hinge pin 56 on the clamping bracket 51.

한편, 상기 하부롤러(20)의 하측에는 회수되는 지폐(C)를 보관하는 회수함(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수함(60)은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에 의해 지폐(C)가 이송되는 경로의 직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이송되는 경로에서 회수함(60)으로 지폐(C)를 안내하기 위한 회수안내로(65)가 상기 제3 연동축 및 구동축(13,13')에 인접한 부분인 상기 에서부터 상기 회수함(60)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회수안내로(65)는 상기 지폐(C)의 진행방향을 180°바꿔서 상기 회수함(60)으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oller 20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box 60 for storing the bill (C) to be recovered. At this time, the collection box 6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th in which the bill (C) is transported by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the collection box 60 is recovered in the transport path (60) A recovery guide 65 for guiding the banknote C is formed toward the collection box 60 from above, which is a portion adjacent to the third interlocking shaft and the driving shafts 13 and 13 '. The recovery guide 65 transfers the banknote C by 180 ° to the recovery box 60.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0,10')의 전방에는 셔터(70)가 설치되어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에 의해 이송된 지폐(C)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 즉, 지폐(C)의 방출이나 이송이 될 때 까지는 상기 셔터(70)가 닫혀 있고, 이송이 완료되어 고객에게 지폐(C)를 전달할 때에는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되어 개방된다. 이와 같은 셔터(60)는 별도의 구동원(도시되지 않음)에 구동된다.In addition, a shutter 7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upport plates 10 and 10 'to open and close the banknote C transferred by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so that the customer can receive the bill C. . That is, the shutter 70 is closed until the release or transfer of the bill C. When the transfer is completed and the bill C is delivered to the customer, the shutter 70 is raised and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2. Such a shutter 60 is driven by a separate drive source (not shown).

도면중 미설명 부호 80은 상기 연동축(12)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이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80 denotes a detection switch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shaft 12.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인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anknot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지폐인도장치로 소정 매수의 지폐(C)가 인도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초기상태를 설명한다.First, an initial state in which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so that a predetermined number of bills C can be delivered to the bill delivery device will be described.

초기 상태란 상기 하부롤러(20)와 제1,2,3반원롤러(31,32,33)의 사이에 지폐(C)가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2,3반원롤러(31,32,33)의 마찰재(r)가 구비된 부분이 상기 하부롤러(20)의 반대로 향한 경우이다.The initial state is a state in which a space in which bills C can be stacked is formed between the lower roller 20 and the first, seco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This is the case where the part provided with the friction material r of the 1, 2, 3 semi-circular rollers 31, 32, 33 faces the lower roller 20 oppositely.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폐유입구(18)를 통해 전달되는 지폐(C)가 상기 제1,2,3반원롤러(31,32,33)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적층판(15) 상에 적층될 수 있다.In such a state, the banknote C transmitted through the banknote inlet 18 may be stacked on the laminate 15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는 다음과 같은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11',12',13')이 회전하여, 상기 연동축(11,12,13)도 함께 회전한다.The initial stat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by the following operation. That is, the drive shafts 11 ', 12', 13 'are rotated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he linking shafts 11, 12, 13 also rotate together.

이때, 상기 연동축(11,12,13)이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720°를 회전하고, 상기 감지스위치(80)에 의해 감지될 때 까지 추가로 시계방향회전을 더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to rotate the clockwise 720 ° relative to the drawing, and to add a further clockwise rotation until detected by the sensing switch (80).

이와 같이 감지스위치(80)에 의해 연동축(12)이 감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핀(38)이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축(11,12,13)에 대해 상부에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interlocking shaft 12 is detected by the sensing switch 80, the regulating pin 38 is located above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s shown in FIG. 6. .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45)가 동작하여 상기 구동링크(40)를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링크(40)의 규제편(42)이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연동축(11,12,13)이 회전되더라도 상기 규제편(42)에 상기 규제핀(38)이 걸려 있으므로, 제2 및 제3 반원롤러(32,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solenoid 45 is operated to pull the drive link 40 in the arrow A direction of FIG. Therefore, the restriction piece 42 of the drive link 40 is moved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In this case, even i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are rotated, the regulating pin 42 is caught by the regulating piece 42,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2, 33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t will not ro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동축(11,12,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반원롤러(3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동축(11,12,13)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은 상기 제1반원롤러(31)의 제1연동핀(34)이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의 좌측 단부에 위치할 때, 즉 상기 감지스위치(80)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In this state,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rotat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rotates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is performed by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of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of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When located at the left end, that is, until it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witch 80 is rotated. In this case,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2 is achieved.

그리고, 상기 지폐유입구(18)를 통해 지폐(C)가 한장씩 공급되어 상기 적층판(15) 상에 적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원하는 매수의 지폐(C)가 적층되면,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지폐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Then, banknotes C are supplied one by one through the banknote inlet 18 and stacked on the laminate 15. In this way, when the desired number of bills (C) are stacked, the operation of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is made while the bill is released.

이때, 지폐(C)를 방출하기 위한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의 상태는 초기상태로서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의 좌측 단부에 상기 제1연동핀(34)이 위치되고, 상기 연동축(11,12,13)의 롤러구동핀(12p)이 상기 제1연동핀(34)의 상단에 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제2연동핀(36)은 상기 제3반원롤러(33)의 연동슬롯(37)의 우측단부에 위치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for discharging the bill (C)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7,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is positioned at the left end of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and the roller driving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is performed. The pin 12p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The second interlocking pin 36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located at the right end of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다음으로는 상기 솔레노이드(45)가 온되어 상기 구동링크(40)를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동절곡부(43)에 의해 상기 클램핑브라켓(51)의 연동핀(53)이 밀리면서 힌지축(5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Next, the solenoid 45 is turned on to move the drive link 40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5. Therefore, the interlocking pins 53 of the clamping bracket 51 are pushed by the interlocking bent portion 43 and rotated clockwise about the hinge axis 51.

따라서 상기 클램핑판(55)이 상기 클램핑브라켓(50)의 회전과 함께 하강하여 지폐(C)의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지폐(C)가 클램핑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the clamping plate 55 is lowered with the rotation of the clamping bracket 50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C). In this case, the banknote C is clamped and does not mov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동축(11,12,13)이 시계방향으로 540°회전하면 도 8의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롤러구동핀(12p)이 도 7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360°회전하여 상기 제1연동핀(34)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연동핀(34)이 상기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을 따라 이동하게 한다. 이는 상기 제1반원롤러(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롤러구동핀(12p)에 의해 상기 제1반원롤러(31)가 180°회전하게 되면 도 8의 상태로 되어 상기 제1반원롤러(31)가 상기 하부롤러(20)와 적층판(15) 상에 적층되어 있는 지폐(C)의 상면에 압착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inking shafts 11, 12, 13 rotate 540 ° clockwise, the state of FIG. 8 is obtained. That is, the roller drive pin 12p rotates 360 °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7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so that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is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move along the interlocking slot 37. This means that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rotates clockwise. As such, when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rotated by 180 ° by the roller driving pin 12p,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in the state of FIG. 8, and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the lower roller 20 and the laminated plate 15. It is crimped |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nknote C laminated | stacked on ().

이때, 상기 제2반원롤러(32)는 상기 제1반원롤러(31)의 제1연동핀(34)이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이므로 회전되지 않고 상기 연동축(11,12,13) 상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초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not rotated because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of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moved along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n the state of being stopped on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That is, the initial state is maintained as it is.

다음으로 상기 솔레노이드(45)가 오프되고, 지폐(C)의 이송을 시작한다. 즉, 상기 연동축(11,12,1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반원롤러(31)는 상기 롤러구동핀(12p)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원롤러(3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반원롤러(31)의 제1연동핀(34)이 상기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의 우측 단부에 걸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제2반원롤러(32)도 상기 제1반원롤러(31)와 함께 회전된다.Next, the solenoid 45 is turned off and the transfer of the bill C starts. That is, when the linkage shafts 11, 12, 13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roller driving pin 12p. Here, when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of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connected to the link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Since the state is caught on the right end,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also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그리고 상기 제2반원롤러(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제2연동핀(36)이 상기 제3반원롤러(33)의 연동슬롯(37)의 우측 단부에 걸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제3반원롤러(33)는 제2반원롤러(32)는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지폐(C)는 상기 하부롤러(20)와 상기 제1,2,3반원롤러(31,32,33)에 의해 상기 셔터(70) 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지폐(C)가 소정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셔터(70)가 구동원에 의해 개방되어 고객이 지폐(C)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interlocking pin 36 is caught on the right end of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is rotated clockwise together with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Therefore, the banknote C is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shutter 70 by the lower roller 2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When the banknote C is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shutter 70 is opened by a driving source so that the customer can withdraw the banknote C.

여기서 상기 지폐(C)를 고객이 인출할 때,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의 사이에 지폐(C)가 끼어 있는 상태이다. 하지만 상기 지폐(C)를 상하에서 압착하는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조립체(30)의 제1,2,3반원롤러(31,32,33)는 각각 그 구동축(11',12',13')와 연동축(11,12,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Here, when the customer withdraws the bill C, the bill C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Howev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of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which press the banknote C up and down, respectively, have their driving shafts 11 ', 12', 13 ') and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re rotatably installed.

따라서 고객이 지폐(C)를 잡아당기면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31,32,33)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객이 용이하게 지폐(C)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동작시에 상기 하부롤러(20)와 반원롤러(31,32,33)에 무리한 힘이 전해지지 않아 이들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ustomer pulls the bill C, the lower roller 20 and the semi-circle rollers 31, 32, 33 are freely rotated so that the customer can easily withdraw the bill C. In this operation, excessive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rollers 20 and the semi-circular rollers 31, 32, and 33 so that their wear does not occur.

한편, 상기 지폐(C)의 이동을 별도의 센서가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지폐(C)에 의해 상기 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서 광의 전달이 차단되며 지폐(C)가 고객에 의해 인출되지 않은 상태이고, 광의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면 지폐(C)가 고객에 의해 인출된 상태로 인식한다.Meanwhile, a separate sensor detects the movement of the bill C. The bill C blocks the transmission of light between the light receiving part and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sensor, and the bill C is not drawn out by the customer. When the light is transmitted, the banknote C is recognized as being drawn out by the customer.

지폐(C)의 인출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셔터(70)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초기상태로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를 복귀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When the withdrawal of the bill C is detected, the shutter 70 is closed. Then, the operation to return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to the initial stat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되어 지폐(C)가 상기 셔터(7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된 상탱서 고객이 지폐(C)를 인출하지 않게 되면, 이를 회수하기 위한 동작을 진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nknote (C)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end customer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shutter 70 does not withdraw the bill (C), the operation for recovering it.

즉, 상기 센서의 오프상태(수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연동축(11,12,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off state (no light reception) of the sensor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즉, 연동축(11,12,13)이 도 8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540°회전하게 되면, 상기 롤러구동핀(12p)이 상기 연동축(11,12,13)의 반시계 회전에 의해 회전되어 일단 360°회전시에 상기 제1연동핀(34)의 하단에 닿게 되고, 다시 180°를 더 회전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That is, when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are rotated 540 °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8, the roller driving pin 12p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Rotate by the first contact pin 34 at the time of 360 ° rotation, and further rotates 180 °, i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즉, 상기 제1반원롤러(31)의 제1연동핀(34)이 제2반원롤러(32)의 연동슬롯(37)의 좌측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까지도, 상기 제2반원롤러(32)와 제3반원롤러(33)는 회전을 하지 않고 그대로 있는 상태이다.That is,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of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is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interlocking slot 37 of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Even at this time,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and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are in a state without being rotate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연동축(11,12,13)이 반시계방향으로 180° 더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반원롤러(32)가 상기 제1반원롤러(31)의 제1연동핀(34)에 의해 구동되어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반원롤러(3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원롤러(31)와 함께 상기 연동축(11,12,1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도 10의 상태는 제1 및 제2반원롤러(31,32)가 연동축(11,12,13)의 하부로 제3반원롤러(33)가 연동축(11,12,13)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inking shafts 11, 12, 13 are rotated 180 °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the first interlocking pin 34 of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together. Accordingly, the second semi-circular roller 32 is positioned below the linking shafts 11, 12, 13 together with the first semi-circular roller 31 as shown in FIG. 10. Here, in the state of FIG. 10, the first and second semicircular rollers 31 and 32 are lower than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and the third semicircular roller 33 is upper than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and 13. Will be located a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11',12',13')이 구동되어 하부롤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연동축(11,12,1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지폐(C)가 상기 회수함안내로(65)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drive shafts 11 ', 12', 13 'are driven so that the lower roller 20 rotates clockwise and the linkage shafts 11, 12, 13 rotate counterclockwise, the banknote ( C) is moved to the recovery box guide (65) side.

그리고 상기 지폐 (C)를 감지하고 있던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셔터(70)가 닫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동축(11,12,13)의 회전은 상기 지폐(C)가 회수함(60)에 도달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수함(60)에 지폐(C)가 도달한 것을 감지하게 되면 구동원의 동작이 일단 정지된다.And the sensor that was detecting the bill (C) detects this to cause the shutter 70 to close.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interlocking shafts 11, 12, 13 is performed until the banknote C reaches the collection box 60. 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ill (C) has reached the collection box 60, the operation of the drive source is stopped once.

그리고는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를 초기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Then, the operation for making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to an initial state is started.

한편, 정상방출중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면,정상방출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지폐(C)의 방출을 감지하는 센서와 회수를 감지하는 센서 모두가 오프된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if an error occurs during normal release, the normal release operation is stopped. In this case, both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release of the bill C and the sensor for detecting the number of bills C are turned off.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동축(11,12,1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센서가 모두 온될 때까지, 즉 지폐(C)가 회수함(60)으로 전달될 때까지 구동원이 동작된다. 이와 같이 되면 지폐의 회수가 완료된 것이다. 다시 상기 반원롤러조립체(30)를 초기상태로 만들어주기 위한 동작이 진행된다.In this state, the drive source is operated until the interlock shafts 11, 12, 13 rotate counterclockwise until all the sensors are turned on, that is, the bill C is transferred to the collection box 60. In this case, the collection of the bills is completed. Again the operation to make the semi-circular roller assembly 30 to the initial state is perform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동작되는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인도장치는 기존의 지폐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메커니즘의 딜리버리모듈에 연결되게 설치하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 지폐(C)의 인도 및 회수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Banknot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with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simply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elivery module of the mechanism constituting the existing automatic banknote dispenser. Handing over and retrieving the banknote C can be performed easily.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폐인도장치는 지폐보관함으로부터 낱장씩 방출된 지폐를 일단 적층한 후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인데, 일방향으로 이송되면 고객에게 인도되고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면 회수함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Banknote deli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to stack the banknotes once released from the banknote storage and then transfer th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eliver to the customer, when delivered in one direction is delivered to the customer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If it is transported it is to be delivered to the recovery box.

특히, 지폐를 고객이 인출할 때, 지폐를 이송한 롤러가 그 설치된 축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지폐가 당겨질 때 롤러도 함께 회전되어 지폐의 인출시에 롤러에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아 롤러의 마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customer withdraws the bill, the roller that transports the bill can rotate freely about its installed axis, and when the bill is pulled, the roller also rotates together so that the force is not applied to the roller when the bill is drawn out. Wear can be reduced.

Claims (2)

지지프레임과,Support frame,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구동축에 상기 구동축과 별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하부롤러와,A lower roller installed on the drive shaft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so as to be rotated separately from the drive shaft;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연동축에 상기 연동축과 별개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상부롤러조립체와,An upper roller assembly installed on the interlocking shaft between the support frame to be rotated separately from the interlocking shaft;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조립체를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에 각각 연동되게 하는 핀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Banknote delivery device of the banknote automatic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in clutch for allowing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assembly to be interlocked with the drive shaft and the linking shaft,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클러치는 상기 구동축과 연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구동핀과,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n clutch roller drive pin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drive shaft and the linkage shaft, 상기 롤러구동핀과 연동되게 상기 하부롤러와 상부롤러조립체에 각각 구비되는 연동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Banknote delivery device of the banknote automatic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terlocking pin provided on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roller assembly, respectively, to interlock with the roller driving pin.
KR1019990067072A 1999-12-30 1999-12-30 Cash dispensing apparatus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4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72A KR100314433B1 (en) 1999-12-30 1999-12-30 Cash 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072A KR100314433B1 (en) 1999-12-30 1999-12-30 Cash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554A KR20010059554A (en) 2001-07-06
KR100314433B1 true KR100314433B1 (en) 2001-11-15

Family

ID=1963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14433B1 (en) 1999-12-30 1999-12-30 Cash disp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43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30A (en) * 1993-12-13 1995-06-23 Laurel Bank Mach Co Ltd Paper sheets containing and paying-out mechanism in paper sheets deposit and dispense machine
JPH087129A (en) * 1994-06-17 1996-01-12 Nippon Signal Co Ltd:The Guiding member for machine glazed paper
JPH1153608A (en) * 1997-07-30 1999-02-26 Off Mecc Lar Di Lonati Lorenzo & Co Snc Paper money collecting device provided with returning mechanism
JPH1153597A (en) * 1997-07-31 1999-02-26 Sanyo Electric Co Ltd Paper money collective discharge device
JPH1196441A (en) * 1997-09-22 1999-04-09 Glory Ltd Circulating paper money paying and receiving machine
JPH11144117A (en) * 1997-04-08 1999-05-28 Fuji Electric Co Ltd Media hold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30A (en) * 1993-12-13 1995-06-23 Laurel Bank Mach Co Ltd Paper sheets containing and paying-out mechanism in paper sheets deposit and dispense machine
JPH087129A (en) * 1994-06-17 1996-01-12 Nippon Signal Co Ltd:The Guiding member for machine glazed paper
JPH11144117A (en) * 1997-04-08 1999-05-28 Fuji Electric Co Ltd Media holding device
JPH1153608A (en) * 1997-07-30 1999-02-26 Off Mecc Lar Di Lonati Lorenzo & Co Snc Paper money collecting device provided with returning mechanism
JPH1153597A (en) * 1997-07-31 1999-02-26 Sanyo Electric Co Ltd Paper money collective discharge device
JPH1196441A (en) * 1997-09-22 1999-04-09 Glory Ltd Circulating paper money paying and receiv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554A (en) 200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165B1 (en) Bill handling machine
JPH09237371A (en) Paper money processor
KR100254791B1 (en) Bill handling machine
US4501416A (en) Sheet handling apparatus
KR100212932B1 (en) Bill handling machine
KR100307363B1 (en) Cash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14433B1 (en) Cash dispensing apparatus
JPS6210788A (en) Paper money distributive charger
KR101116932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101155230B1 (en) Driving apparatus for shutter and stacking space control guide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part
KR101094627B1 (en) Customer access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KR102644437B1 (en) Banknote dispenser
KR100339739B1 (en) Undeliverable or Residual Money Collection Device of ATM
KR20120078306A (en) Driving apparatus for front plate and back plate of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part
KR100603522B1 (en) Customer withdrawal device of banknote dispenser
KR102646538B1 (en) Automatic recovery method of banknote dispenser
KR940001008Y1 (en) Cash dispenser
JP2588308B2 (en) Bill taking device
JPH0221038B2 (en)
KR100366417B1 (en) cash dispenser
KR101077317B1 (en) Reject box for cash transaction machine
WO2016132609A1 (en) Medium dispensing device and medium accumulation and delivery mechanism
JP3604602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JP2003155158A (en) Paper storage and paper processing equipment
JPH03276281A (en) Reject mechanism of paper money pa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