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9043B1 - Ic카드용 커넥터장치 - Google Patents

Ic카드용 커넥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9043B1
KR100309043B1 KR1019980011290A KR19980011290A KR100309043B1 KR 100309043 B1 KR100309043 B1 KR 100309043B1 KR 1019980011290 A KR1019980011290 A KR 1019980011290A KR 19980011290 A KR19980011290 A KR 19980011290A KR 100309043 B1 KR100309043 B1 KR 100309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ard
transfer pin
cam groove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147A (ko
Inventor
도오루 니시오까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1999002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9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90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IC 카드의 접속중에는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에 지지할 수 있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푸시로드의 돌출량에 따라 IC 카드의 배출동작과 취소동작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이젝트 기구를 소형화 하는 것.
[해결수단]
내측면에 IC 카드 (1) 의 삽입이탈용의 가이드 홈 (3a) 을 갖는 프레임 (3) 의 외측면에, 제 1 전달핀 (15) 과 협동하여 푸시로드 (4) 를 압입위치와 돌출위치의 제 2 위치에 지지가능한 하트형 캠홈 (10) 과, 푸시로드 (4) 의 돌출량에 따라 제 2 전달핀 (16) 이 선택적으로 트레이스하는 순환형 캠홈 (11) 및 릴리프 홈 (12) 을 형성하고, 이젝트 암 (5) 에 연동하는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를 순환형 캠홈 (11) 내에 출입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IC카드용 커넥터장치
본 발명은 IC 카드를 삽입이탈하여 사용되는 기기에 장비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삽입상태에 있는 IC 카드를 배출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에 관한 것이다.
IC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통상, IC 카드 내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핀콘택트를 핀하우징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핀헤드부나, 삽입이탈시의 IC 카드를 가이드하는 프레임이나, 삽입상태의 IC 카드를 핀콘택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부 등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으며, 핀하우징과 프레임을 일체 성형품으로 한 것도 알려져 있다.
종래부터, 상기 이젝트 기구부를 프레임의 외측면에 IC 카드의 삽입이탈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푸시로드와, 프레임 또는 핀하우징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이젝트 레버로 구성하고, 상기 이젝트 레버의 일단부를 푸시로드에 결합시킨 것이 널리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젝트 기구부를 구비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는, IC 카드의 삽입상태에서 푸시로드를 밀어넣으면, 이 푸시로드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이젝트 레버의 클릭 (발톱) 부가 IC 카드를 바로 앞으로 누름으로써, IC 카드를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빼낼 수 있지만, IC 카드의 삽입상태에서 푸시로드가 바로 앞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상태의 푸시로드의 오조작으로 인해 접속중의 IC 카드가 뜻하지 않게 배출되어 버린다는 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13072 호 공보에 개시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푸시로드와 슬라이드 플레이트간을 링크 결합하는 제 1 및 제 2 의 전달레버와, 제 1 전달레버에 축받이되어 제 2 전달레버와 결합 및 분리가능한 제 3 전달레버와, 상기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와 제 1 돌출위치에 지지가능한 하트형 캠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푸시로드의 돌출량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의 압입력이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IC 카드의 삽입상태에서, 푸시로드는 압입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 3 전달레버는 제 2 전달레버와 결합되어 있지 않지만, 푸시로드를 하트형 캠기구에 의해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다시 바로 앞의 제 2 돌출위치로 당기면, 제 2 돌출위치에서 제 3 전달레버가 제 2 전달레버에 결합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푸시로드를 압입위치 방향으로 누르면, 그 누름력이 각 전달레버를 통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전달되어,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IC 카드를 바로 앞측으로 누른다. 따라서, IC 카드의 접속중에는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에 지지하고, IC 카드의 배출시에만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킴으로써, IC 카드가 뜻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보에 개시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의하면, IC 카드의 접속중에는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에 지지하고, IC 카드의 배출시에만 푸시로드를 돌출시키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IC 카드가 뜻하지 않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IC 카드의 배출을 원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푸시로드를 실수로 돌출시켜 버린 경우는,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까지 당기지않고 제 1 돌출위치에서 밀어넣으면, IC 카드를 배출시키지 않고 푸시로드가 다시 압입위치에 지지되기 때문에, 이젝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이젝트 동작시에, 압입위치에 지지된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키는 조작과, 제 1 돌출위치에 있는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까지 꺼내는 조작과,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에 밀어넣는 조작이라는 3 회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젝트 동작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까지 실수로 돌출시켜 버린 경우는, 뜻하지 않게 IC 카드를 배출하여 버린다는 문제가 남는다. 또한, 푸시로드와 슬라이드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링크 결합된 3 개의 전달레버를 설치하고, 이들 각 전달레버의 자세에 의해 푸시로드의 누름력을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전달 또는 차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달레버를 회전시키는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소형화를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이유에서 각 전달레버는 필연적으로 IC 카드 삽입구의 천정면 또는 바닥면측에 배치하지 않을 수 없고, 특히, 2 장 이상의 IC 카드를 삽입이탈 가능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경우, 복수조의 각 전달레버를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상하방향으로 적층해야 되기 때문에, IC 카드용 커넥터장치가 높이방향으로도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IC 카드를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는 커넥터장치에서 IC 카드를 이탈시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은 커넥터장치에 구비되는 이젝트 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는 이젝트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5 는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푸시로드의 측면도이다.
도 7 은 구동판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하트형 캠홈과 순환형 캠홈 및 릴리프홈의 각 캠면의 높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 는 제 1 전달핀의 탄압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 은 부착판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부착판의 측면도이다.
도 12 는 통상의 이젝트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 은 취소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에에 따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구비되는 하트형 캠홈과 순환형 캠홈 및 릴리프홈의 각 캠면의 높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5 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통상의 이젝트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IC 카드 2 : 핀하우징
3 : 프레임 3a : 가이드홈
3b, 3c : 가이드 돌기부 4 : 푸시로드
4a : 가이드 구멍 4b, 4h : 축구멍
4c : 제 1 릴리프구멍 4d : 제 2 릴리프구멍
4e, 4f : 돌기부 5 : 이젝트 암
6 : 제 1 회전 암 7 : 제 2 회전 암
10 : 하트형 캠홈 11 : 순환형 캠홈
12 : 릴리프홈 13 : 구동판
13b : 받침부 14 : 손잡이
14a : 걸림클릭 15 : 제 1 전달핀
15a, 15b, 16a, 16b : 암부 15c, 16c : 상변부
16 : 제 2 전달핀 17 : 부착판
17a, 17b : 탄성편 18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푸시로드에 제 1 전달핀과 제 2 전달핀을 회전가능하게 부착하고,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에 의해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와 제 1 돌출위치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로부터 더욱 돌출된 제 2 돌출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제 2 돌출위치에 있는 푸시로드의 누름 동작시에 제 2 전달핀을 회전시켜 IC 카드의 배출해제를 실시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삽입상태에 있는 IC 카드를 배출시키는 경우는,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를 이용하여 푸시로드를 압입위치로부터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제 1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누름동작을 하면, 제 2 전달핀에 의해 IC 카드가 배출되기 때문에, 통상의 사용형태인 이젝트 동작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통상의 이젝트 동작에 비하면 빈도는 적지만, 만일, IC 카드의 배출을 원하고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푸시로드를 실수로 돌출시켜 버린 경우는,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더욱 바로 앞의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제 2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누름 동작하면, 제 2 전달핀이 회전하여 IC 카드의 배출을 취소하기 때문에, IC 카드의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서는, IC 카드를 삽입이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압입위치와 돌출위치에 왕복이동 가능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에 회존가능하게 부착된 제 1 및 제 2 전달핀을 가지며, IC 카드가 삽입시는,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전달핀의 로크 기구에 의해 압입위치에 있어, 이 상태에서 푸시로드의 제 1 누름동작으로,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가 해제되어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로 이동하고, 이 제 1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의 제 2 누름동작으로, 제 2 전달핀에 의해 IC 카드를 배출하도록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더욱 돌출한 제 2 돌출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푸시로드의 풀 동작으로 상기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로 이동시키고, 이 제 2 돌출위치의 상태에서, 상기 푸시로드의 누름동작시, 제 2 전달핀이 회전하여, IC 카드의 배출해제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 왕복이동 가능한 구동판을 구비하고, 제 1 돌출위치에 있는 상기 푸시로드를 눌러, 상기 제 2 전달핀으로 상기 구동판을 이동시키고, 구동판을 통하여 IC 카드의 배출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달핀과 상기 구동판이 대치상태에 있어, 이 제 1 돌출위치에 상기 푸시로드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에 의해 압입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구동판을 이동하여, IC 카드를 배출하고, 또, 상기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제 2 돌출위치로 시킨 후, 상기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시켰을 때, 상기 제 2 전달핀과 상기 구동판과의 사이의 대치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 2 전달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구동판의 이동을 없애고, IC 카드의 배출해제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 내를 일방향으로 트레이스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돌출위치에서 상기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릴리프홈을 트레이스함으로써, 상기 구동판과의 대치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였다.
또, IC 카드의 배출시에 있어서, 상기 순환 캠홈에 결합된 상기 제 2 전달핀의 궤도가 어긋나, 제 2 전달핀과 구동판과의 대치상태가 해제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제 1 전달핀이 상기 하트형 캠홈 내를 일방향으로 트레이스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상기 순환 캠홈에 결합된 제 2 전달핀이, IC 카드를 배출하여 순환 캠홈의 다음의 단차로 떨어진 후에, 상기 하트 캠홈에 결합된 제 1 전달핀이, 하트형 캠홈의 다음 단차로 떨어지도록 하였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핀이 상변부와 하변부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U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에는 제 1 및 제 2 돌기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전달핀의 상변부를 상기 제 1 돌기부에, 또, 상기 제 2 전달핀의 상변부를 상기 제 2 돌기부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전달핀의 한 쪽의 절곡부의 일단을 상기 하트형 캠홈에, 또, 상기 제 2 전달핀의 한 쪽의 절곡부의 일단을 상기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전달핀의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 1 돌기부의 사이, 및 상기 제 2 전달핀의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 2 돌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과 제 2 의 전달핀을 탄압하도록 하였다.
또, U 자형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핀은, 상기 상변부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를 동일 길이로 형성하였다.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IC 카드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상기 커넥터장치에서 IC 카드를 이탈시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상기 커넥터장치에 구비되는 이젝트 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상기 이젝트 기구의 분해도, 도 5 는 프레임의 측면도, 도 6 은 푸시로드의 측면도, 도 7 은 구동판의 측면도, 도 8 은 하트형 캠홈과 순환형 캠홈 및 릴리프홈의 각 캠면의 높이를 나타낸 설명도, 도 9 는 제 1 전달핀의 탄압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 과 도 11 은 부착판의 측면도, 도 12 는 통상의 이젝트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 은 취소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과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IC 카드 (1) 내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핀콘택트 (모두 도시생략) 를 소정의 배열로 압입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핀하우징 (2) 과, 이 핀하우징 (2) 의 좌우양측에 고정되어, 삽입이탈시의 IC 카드 (1) 를 폭방향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1 쌍의 프레임 (3) 과, 한 쪽의 프레임 (3) 에 부착된 푸시로드 (4) 와, 핀하우징 (2) 에 축받이된 이젝트 암 (5) 과 제 1 및 제 2 회전 암 (6, 7) 등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푸시로드 (4) 와 이젝트 암 (5) 사이에 후술하는 이젝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핀하우징 (2) 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제 1 지지축 (8) 과 제 2 지지축 (9) 이 설치되어 있고, 제 1 지지축 (8) 에 이젝트 암 (5) 의 일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이젝트 암 (5) 에는 연결구멍 (5a) 과 결합부 (5b) 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 (5b) 는 프레임 (3) 의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회전 암 (6) 도 제 1 지지축 (8)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IC 카드 (1) 를 밀어내기위한 클릭편 (6a) 과, 이젝트 암 (5) 의 연결구멍 (5a) 내에 돌출하는 설편 (舌片;6b)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회전 암 (7) 은 제 2 지지축 (9) 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IC 카드 (1) 를 밀어내기 위한 클릭편 (7a) 과, 이젝트 암 (5) 의 연결구멍 (5a) 내에 돌출하는 설편 (7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기구의 구성을 도 3 ∼ 도 11 에 근거하여 상술하면, 실시예에 나타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는, 양 프레임 (3) 의 내측면에 형성된 상하 2 단의 가이드 홈 (3a) 을 따라 2 장의 IC 카드 (1) 를 삽입할 수 있고, 한 쪽 프레임 (3) 의 외측면에 양 IC 카드 (1) 를 배출하는 2 개의 푸시로드 (4) 가 구비되어 있는데, 양 푸시로드 (4) 의 기능이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한 쪽의 푸시로드 (4) 와 그 이젝트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도 한 쪽의 이젝트 기구만을 나타내고, 다른 쪽은 생략하고 있음).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3) 의 외측면에는 1 쌍의 가이드 돌기부 (3b, 3c)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 돌기부 (3b, 3c) 의 사이에 하트형 캠홈 (10) 과 순환형 캠홈 (11) 및 릴리프홈 (12) 이 새겨져 있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하트형 캠홈 (10) 과 순환형 캠홈 (11) 및 릴리프홈 (12) 은 높이가 다른 복수의 캠면을 갖고,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A1) 과 릴리프홈 (12) 의 캠면 (C2) 은 연속되어 있다. 또, 순환형 캠홈 (11) 과 릴리프홈 (12) 은 일부 공통되는 캠면 (A, L, D2) 를 가지며,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과 릴리프홈 (12) 의 캠면 (C2) 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A1) 의 연장선상에서 연속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3) 의 외측면에는 구동판 (13) 이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구동판 (13) 은 한 쪽의 가이드 돌기부 (3b) 에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 (13a) 을 갖는다. 또, 구동판 (13) 에는 선단을 테이퍼형상으로 한 받침부 (13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받침부 (13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C3) 과 캠면 (D3) 의 바로 위를 왕복이동한다. 또한, 구동판 (13) 에는 결합구멍 (13c) 이 뚫려져 있고, 상기 이젝트 암 (5) 의 결합부 (5b) 는 프레임 (3) 을 삽입통과하여 구동판 (13) 의 결합구멍 (13c) 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3) 의 외측면에는 구동판 (13) 위에서 푸시로드 (4) 가 조입되어 있고, 이 푸시로드 (4) 는 양 가이드 돌기부 (3b, 3c) 에 의해 IC 카드 (1) 의 삽입이탈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푸시로드 (4) 의 일단에 손잡이 (4) 가 부착되어 있고, 이 손잡이 (14) 의 하면에 가이드 돌기부 (3c) 와 결합 및 분리가능한 걸림 클릭 (14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로드 (4) 에는 가이드 구멍 (4a) 이 뚫려져 있고, 이 가이드 구멍 (4a) 은 프레임 (3) 의 가이드 돌기부 (3b) 에 삽입되어 있다. 또, 푸시로드 (4) 에는 1 쌍의 축구멍 (4b, 4h) 과 제 1 및 제 2 의 릴리프구멍 (4c, 4d) 이 뚫려 있고, 축구멍 (4b) 과 제 1 릴리프구멍 (4c) 과의 사이 및, 축구멍 (4h) 와 제 2 릴리프구멍 (4d) 간에는 각각 돌기부 (4e, 4f)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 (4) 의 외측면에는 U 자형으로 구부러진 제 1 전달핀 (15) 과 제 2 전달핀 (16) 이 지지되어 있다. 제 1 전달핀 (15) 은 상변부 (15c) 의 양단에 1 쌍의 암부 (15a, 15b) 를 가지며, 양 암부 (15a, 15b) 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 쪽의 암부 (15a) 는 푸시로드 (4) 의 축구멍 (4b) 에 삽입되고, 다른 쪽의 암부 (15b) 는 제 1 릴리프구멍 (4c) 을 삽입통과하여 하트형캠홈 (10) 의 각 캠면에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달핀 (15) 은 축구멍 (4b) 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다. 또, 제 2 전달핀 (16) 도 상변부 (16c) 의 양단에 1 쌍의 암부 (16a, 16b) 를 가지며, 양 암부 (16a, 16b) 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한 쪽의 암부 (16a) 는 푸시로드 (4) 의 축구멍 (4h) 에 삽입되고, 다른 쪽의 암부 (16b) 는 제 2 릴리프구멍 (4d) 을 삽입통과하여 순환형 캠홈 (11) 과 릴리프홈 (12) 의 각 캠면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있고, 제 2 전달핀 (16) 은 축구멍 (4h) 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다. 이 때, 제 1 전달핀 (15) 의 상변부 (15c) 와 제 2 전달핀 (16) 의 상변부 (16c) 가 각각 돌기부 (4e, 4f) 를 요동함으로써, 푸시로드 (4) 와 양 전달핀 (15, 16) 간의 마찰저항이 작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전달핀 (15) 의 양 암부 (15a, 15b) 는 동일길이로 형성되고, 제 2 전달핀 (16) 의 양 암부 (16a, 16b) 도 동일길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로드 (4) 에 제 1 전달핀 (15) 과 제 2 전달핀 (16) 을 조입할 때의 방향성이 없어져, 조립작업성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 (3) 의 외측면에는 푸시로드 (4) 위에서 부착판 (17) 이 피착 (被着) 되어 있고, 이 부착판 (17) 에 의해 푸시로드 (4) 와 제 1 및 제 2 전달핀 (15, 16) 이 프레임 (3) 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다. 부착판 (17) 에는 1 쌍의 탄성편 (17a, 17b) 이 랜스가공 형성됨과 동시에, 복수의 부착다리 (17c) 가 절곡형성되어 있고, 각 부착다리 (17c) 는 스냅결합에 의해 프레임 (3) 에 고정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탄성편 (17a) 은 제 1 전달핀 (15) 의 상변부 (15c) 에 탄성접합되어 있고, 제 1 전달핀 (15) 은 이 탄성편 (17a) 에 의해 프레임 (3) 의 외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 탄성편 (17a) 의 작용점은 돌기부 (4e) 와 암부 (15b) 와의 사이, 즉, 동일도면의 화살표 (L) 로 나타낸 범위내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돌기부 (4e) 를 지점으로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각 캠면 위를 확실하게 트레이스할 수 있다. 부착판 (17) 의 다른 쪽의 탄성편 (17b) 은 제 2 전달핀 (16) 의 상변부 (16c) 에 탄성접합되어 있고, 제 2 전달핀 (16) 은 이 탄성편 (17b) 에 의해 프레임 (3) 의 외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고 있다. 도시생략하였지만, 상기의 탄성편 (17a) 과 동일하게, 이 탄성편 (17b) 의 작용점도 돌기부 (4f) 와 암부 (16b) 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고, 암부 (16b) 가 순환형 캠홈 (11) 과 릴리프홈 (12) 의 각 캠면 위를 확실하게 트레이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 (17a, 17b) 의 수는 프레임 (3) 에 형성된 가이드홈 (3a) 의 단수에 따라 증감되고, 예를 들면 1 장의 IC 카드 (1) 에 대응하는 1 단 구성의 프레임 (3) 의 경우는, 도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개의 부착판 (17) 에 1 쌍의 탄성편 (17a, 17b) 가 형성되고, 2 장의 IC 카드 (1) 에 대응하는 2 단 구성의 프레임 (3) 의 경우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개의 부착판 (17) 에 2 개씩 합계 4 개의 탄성편 (17a, 17b) 이 형성되고, 3 단 이상의 경우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1 개의 부착판 (17) 에 탄성편 (17a, 17b) 을 일체로 형성하면, 부품점수를 삭감하여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지만, 부착판 (17) 을 2 분할하여, 따로따로의 부착판 (17) 에 탄성편 (17a, 17b) 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 부착판 (17) 과 푸시로드 (4) 사이에 코일스프링 (18) 이 형성되어 있고, 푸시로드 (4) 는 이 코일스프링 (18) 에 의해 프레임 (3) 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 (4) 의 압입조작에 연동하여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각 캠면을 도 8 의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트레이스하고, 암부 (15b) 가 캠면 (B1) 과 걸려 있을 때, 푸시로드 (4) 는 도 2 에 나타낸 압입위치에 지지되고, 암부 (15b) 가 캠면 (E1) 에서 (D1) 으로 이행하여, 손잡이 (14) 의 걸림클릭 (14a) 이 프레임 (3) 의 가이드 돌기부 (3c) 와 결합한 시점에서, 푸시로드 (4) 는 도 1 에 나타낸 제 1 돌출위치에 지지된다. 또, 손잡이 (14) 의 걸림클릭 (14a) 과 가이드 돌기부 (3c) 와의 결합력에 저항하여,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다시 바로 앞의 제 2 돌출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제 2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 (4) 의 절곡부 (4g) 는 프레임 (3) 에 고정된 부착쇠 (19) 와 맞닿는다. 한편, 푸시로드 (4) 의 압입조작에 연동하여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각 캠면을 도 8 의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 또는 릴리프홈 (12) 의 각 캠면을 도 8 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의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트레이스하고, 이 선택동작은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에서 제 2 돌출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실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처음으로, IC 카드 (1) 의 삽입후에 이것을 배출하는 통상의 동작모드에 대하여, 주로 도 12 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IC 카드 (1) 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푸시로드 (4) 는 도 2 의 압입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도 12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B1) 과 걸리고,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B2) 과 결합되어 있고, 푸시로드 (4) 는 코일스프링 (18) 의 인장력과 캠면 (B) 에 걸리는 제 1 전달핀 (15) 에 의해 압입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IC 카드 (1) 를 프레임 (3) 의 가이드홈 (3a) 를 따라 삽입해 가면, 핀하우징 (2) 을 향하는 IC 카드 (1) 가 제 1 및 제 2 회전 암 (6, 7) 의 클릭편 (6a, 7a) 을 압입하면서, 자신의 소켓 콘택트에 핀하우징 (2) 의 핀콘택트를 압입시켜 가므로, IC 카드 (1) 를 소정량 삽입함으로써, 상기 IC 카드 (1) 가 각 핀콘택트와 확실하게 접속되는 삽입완료상태가 된다. 이 때, 제 1 회전 암 (6) 과 제 2 회전 암 (7) 은 각각 제 1 지지축 (8) 과 제 2 지지축 (9) 을 회전축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들 회전 암 (6, 7) 의 회전이 설편 (舌片 6b, 7b) 과 연결구멍 (5a) 의 연결부분을 거쳐서 이젝트 암 (5) 에 전달되므로, 이젝트 암 (5) 은 제 1 지지축 (8) 을 회전축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연동하여 구동판 (13) 이 프레임 (3) 의 바로 앞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12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가 순환형 캠홈 (11) 의 바로 위로 이동하고, 받침부 (13b) 의 테이퍼가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를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B2) 으로부터 캠면 (A2) 으로 이동시키지만,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B) 과 걸린 채로 있기 때문에, IC 카드 (1) 의 접속중, 푸시로드 (4) 는 압입위치에 지지된 채로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IC 카드 (1) 를 배출시키는 데는, 먼저, 압입위치에 지지된 푸시로드 (4) 를 전방으로 밀어넣고,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로드 (4) 의 손잡이 (14) 를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다. 이 경우, 압입위치에 지지된 푸시로드 (4) 를 밀어넣으면, 도 12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B) 에서 캠면 (A1) 으로 이행하고, 코일스프링 (18) 의 인장력에 의해 캠면 (A1) 에서 캠면 (H) 과 캠면 (E1) 을 거쳐 캠면 (D1) 으로 이행한다. 동시에,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A2) 으로부터 캠면 (L, D2, K, E3) 을 거쳐 캠면 (D3) 으로 이행하기 때문에, 도 12 의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면 (D3) 내에서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a) 와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가 대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푸시로드 (4) 의 손잡이 (14) 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 12 의 (e) ∼ (h)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에서 캠면 (C1) 을 거쳐 캠면 (B1) 에 걸리기 때문에, 푸시로드 (4) 는 다시 압입위치에 지지된다. 동시에,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으로부터 캠면 (C3) 을 거쳐 캠면 (B2) 으로 복귀되어, 이 이행과정에서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a) 가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를 누르기 때문에, 구동판 (13) 에 결합된 이젝트 암 (5) 이 회전한다. 그 결과, 이 회전에 따라 제 1 및 제 2 회전 암 (6, 7) 의 클릭편 (6a, 7) 이 IC 카드 (1) 의 전면 양단부를 이탈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누르기 때문에, 도 2 의 2 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IC 카드 (1) 의 소켓 콘택트와 핀하우징 (2) 의 핀콘택트의 압입이 해제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IC 카드 (1) 의 바로 앞쪽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 빼냄으로써, IC 카드 (1) 를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IC 카드 (1) 의 삽입후에 실수로 푸시로드 (4) 를 돌출시켜 버린 경우, IC 카드 (1) 를 배출시키지 않고 푸시로드 (4) 를 압입위치로 복귀시키는 취소모드에 대하여, 주로 도 13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3 의 (a) 는 IC 카드 (1) 의 삽입후에 푸시로드 (4) 가 압입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 IC 카드 (1) 의 배출을 원하고 있지 않는데 푸시로드 (4) 를 실수로 전방으로 밀어넣어 버린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푸시로드 (4) 는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하고, 도 13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내에서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a) 와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가 대치한다.
이 상태에서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다시 바로 앞으로 당겨, 도 2 의 2 점쇄선으로 나타낸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키면, 도 13 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내를 바로 앞으로 이동하지만,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에서 릴리프홈 (12) 의 캠면 (C2) 으로 이행한다. 그리고, 이 제 2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 (4) 의 손잡이 (14) 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밀어넣으면, 도 13 의 (d) ∼ (g)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에서 캠면 (C1) 을 거쳐 캠면 (B1) 에 걸리기 때문에, 푸시로드 (4) 는 다시 압입위치에 지지되지만,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릴리프홈 (12) 의 캠면 (C2)에서 캠면 (J, E2, D2, L) 을 거쳐 캠면 (A2) 으로 이행하고, 이 이행과정에서 암부 (16b) 는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를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이젝트 암 (5) 도 회전하지 않고, IC 카드의 소켓 콘택트와 핀하우징 (2) 의 핀콘택트의 압입상태는 유지된다. 또한, 도 13 의 (g) 는 도 12 의 (b) 와 완전히 동일한 상태이기 때문에, 푸시로드 (4) 를 제 2 돌출위치에서 압입위치로 지지한 후, 이 압입위치에서 푸시로드 (4) 를 다시 전방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상기의 통상의 동작모드에서의 도 12 의 (c) ∼ (h) 와 동일한 동작이 실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켜 압입위치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푸시로드 (4) 의 누름력이 순환형 캠홈 (11) 내를 트레이스하는 제 2 전달핀 (16) 을 거쳐서 구동판 (13) 에 전달되기 때문에, IC 카드 (1) 를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IC 카드 (1) 의 배출을 원하지 않는데 실수로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켜 버린 경우, 예를 들면, 상하 2 단에 배치된 이젝트 기구의 한 쪽의 푸시로드 (4) 를 조작할 때에 다른 쪽의 푸시로드 (4) 를 잘못 조작한 경우는, 푸시로드 (4) 를 제 1 돌출위치에서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켜 압입위치방향으로 밀어넣으면, 제 2 전달핀 (16) 이 회전하여 순환형 캠홈 (11) 대신에 릴리프홈 (12) 내를 트레이스하여, 제 2 전달핀 (16) 에 의해 구동판 (13) 이 동작되지 않기 때문에, IC 카드 (1) 의 배출동작을 취소하여 삽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구비되는 하트형 캠홈과 순환형 캠홈 및 릴리프홈의 각 캠면의 높이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 는 상기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의 통상의 이젝트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도 1 ∼ 도 13 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달고 있다.
제 2 실시예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C3) 에 경사면부를 설치한 것에 있고, 그 이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C3) 에 경사면부를 설치하면, IC 카드를 배출하는 최후의 단계, 구체적으로는 도 15 의 (f) 에 나타낸 상태에서, 캠면 (C3) 의 경사면부에 의해 제 2 전달핀 (16) 의 궤도가 어긋나게 되어, 암부 (16b) 는 캠면 (C3)에서 캠면 (B2) 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IC 카드 (1) 의 배출의 마지막에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와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와의 대기상태는 해제되데 되어, 예를 들면 도 15 의 (f)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IC 카드와 푸시로드 (4) 의 양방을 동시에 밀어넣었다고 해도,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의 테이퍼에 의해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B2) 으로부터 캠면 (A2) 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만으로,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가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로부터 무리한 힘을 받아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서는, IC 카드 (1) 의 배출동작의 종반에 있어서,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가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과 캠면 (C3) 간의 단차에 떨어뜨린 후에,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과 캠면 (C1) 간의 단차에 떨어지도록 설정하고 있다. 즉, 도 15 의 (f) ∼ (h)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가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과 캠면 (C3) 간의 단차에 떨어진 시점에서,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위에 있고, 암부 (16b) 가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C3) 에서 캠면 (B2) 으로 이동한 후에, 암부 (15b) 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과 캠면 (C1) 간의 단차에 떨어져 캠면 (B1) 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트형 캠홈 (10) 과 순환형 캠홈 (11) 의 캠의 타이밍에 우위성을 갖게 하면, 도 15 의 (e) ∼ (f) 에 나타낸 상태에서 어떠한 사정으로 IC 카드 (1) 의 배출동작을 중지하고, 다시 IC 카드 (1) 를 삽입하는 불규칙적인 조작을 실시하였다고 해도, 도 15 의 (d) 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할 뿐, 구동판 (13) 의 받침부 (13b) 가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를 무리하게 누르는 일은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의 타이밍이 역전하도록 구성하면,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가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D1) 과 캠면 (C1) 간의 단차로 떨어진 직후에, IC 카드 (1) 의 배출동작을 중지하여 다시 IC 카드 (1) 를 삽입하는 불규칙적인 조작을 실시한 경우, 제 2 전달핀 (16) 의 암부 (16b) 는 순환형 캠홈 (11) 의 캠면 (D3) 을 역행하지만, 제 1 전달핀 (15) 의 암부 (15b) 는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B1) 에 걸리는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에, 구동판 (13) 으로부터 제 2 전달핀 (16) 과 푸시로드 (4) 를 통하여 제 1 전달핀 (15) 에 힘이 전해져, 하트형 캠홈 (10) 의 캠면 (B1) 이 손상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 장의 IC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커넥터장치를 예시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1 장 또는 3 장 이상의 IC 카드가 삽입가능한 커넥터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고, 아래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삽입상태에 있는 IC 카드를 배출시키는 경우는,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를 이용하여 푸시로드를 압입위치에서 제 1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이 제 1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누름동작하면, 제 2 전달핀에 의해 IC 카드가 배출되고, 또, IC 카드의 배출을 원하고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푸시로드를 실수로 돌출시켜 버린 경우는,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다시 바로 앞의 제 2 돌출위치까지 돌출시킨 후, 제 2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를 압입위치방향으로 누름동작하면, 제 2 전달핀이 회전하여 IC 카드의 배출이 취소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우수한 이젝트 기구를 실현할 수 있고, 특히 복수개 대응의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바람직하게 된다.

Claims (10)

  1. IC 카드를 삽입이탈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압입위치와 돌출위치에 왕복동작 가능한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제 1 및 제 2 전달핀을 가지며, IC 카드가 삽입시는,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에 의해 압입위치에 있어, 이 상태에서 푸시로드의 제 1 누름동작으로, 제 1 전달핀의 로크기구가 해제되어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로 이동하고, 제 1 돌출위치에서, 푸시로드의 제 2 누름동작으로 제 2 전달핀에 의해 IC 카드를 배출하도록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더욱 돌출한 제 2 돌출위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푸시로드의 풀 동작으로 상기 푸시로드를 제 2 돌출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 돌출위치의 상태에서, 상기 푸시로드의 누름동작시, 제 2 전달핀이 회전하여, IC 카드의 배출해제를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왕복이동 가능한 구동판을 구비하고, 제 1 돌출위치에 있는 상기 푸시로드를 눌러, 상기 제 2 전달핀으로 상기 구동판을 이동시키고, 구동판을 통하여 IC 카드의 배출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가 제 1 돌출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전달핀과 상기 구동판이 대치상태에 있어, 제 1 돌출위치에 상기 푸시로드가 위치한 상태에서,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에 의해 압입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구동판을 이동하여, IC 카드를 배출하고, 또, 상기 푸시로드를 제 1 돌출위치에서 제 2 돌출위치로 시킨 후, 상기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시켰을 때, 상기 제 2 전달핀과 상기 구동판과의 사이의 대치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 2 전달핀의 이동에 의한 상기 구동판의 이동을 없애고, IC 카드의 배출해제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 내를 일방향으로 트레이스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2 돌출위치에서 상기 푸시로드를 누름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전달핀이 상기 릴리프홈을 트레이스함으로써, 상기 구동판과의 대치상태를 해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IC 카드의 배출시에 있어서, 상기 순환 캠홈에 결합된 제 2 전달핀의 궤도가 어긋나, 제 2 전달핀과 구동판과의 대치상태가 해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하트형 캠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달핀이 상기 하트형 캠홈 내를 일방향으로 트레이스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하트형 캠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달핀이 상기 하트형 캠홈 내를 일방향으로 트레이스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순환 캠홈에 결합된 제 2 전달핀이, IC 카드를 배출하여 순환 캠홈의 다음의 단차로 떨어진 후에, 하트 캠홈에 결합된 제 1 전달핀이, 하트형 캠홈의 다음 단차로 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핀이 상변부와 하변부의 양단에 형성된 절곡부를 갖는 U 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에는 제 1 및 제 2 돌기부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전달핀의 상변부를 상기 제 1 돌기부에, 또, 상기 제 2 전달핀의 상변부를 상기 제 2 돌기부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전달핀의 한 쪽의 절곡부의 일단을 상기 하트형 캠홈에, 또, 상기 제 2 전달핀의 한 쪽의 절곡부의 일단을 상기 순환 캠홈 및 릴리프홈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전달핀의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 1 돌기부의 사이, 및, 상기 제 2 전달핀의 상기 절곡부와 상기 제 2 돌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 1 과 제 2 의 전달핀을 탄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U 자형의 상기 제 1 및 제 2 전달핀은, 상기 상변부의 양단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를 동일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19980011290A 1997-09-19 1998-03-31 Ic카드용 커넥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9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39297 1997-09-19
JP97-255392 1997-09-19
JP10004786A JP2887867B1 (ja) 1997-09-19 1998-01-13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98-4786 1998-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147A KR19990029147A (ko) 1999-04-26
KR100309043B1 true KR100309043B1 (ko) 2001-11-30

Family

ID=2633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2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9043B1 (ko) 1997-09-19 1998-03-31 Ic카드용 커넥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84702A (ko)
EP (1) EP0903685A3 (ko)
JP (1) JP2887867B1 (ko)
KR (1) KR100309043B1 (ko)
SG (1) SG70072A1 (ko)
TW (1) TW4485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3395B2 (ja) * 1998-04-10 2005-07-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3734998B2 (ja) * 2000-02-04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468872U (en) * 2000-06-17 2001-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492548U (en) * 2000-09-29 2002-06-21 Fci Taiwan Ltd Two-stage switching mechanism
TW496602U (en) * 2001-03-23 2002-07-2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of electronic card
JP3950640B2 (ja) * 2001-03-26 2007-08-0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3031307A (ja) * 2001-07-05 2003-01-31 Molex Inc カードコネクタ
EP1830618A1 (en) * 2005-06-21 2007-09-05 Tyco Electronics AMP K.K. Card connector
DE102006015006A1 (de) * 2006-03-31 2007-10-11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artenleser nach dem Push-Push-System
JP5579294B1 (ja) * 2013-03-12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カード用コネクタ
CN203983622U (zh) * 2014-03-03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891A (ja) * 1994-09-27 1996-04-12 Hirose Electric Co Ltd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JPH09237651A (ja) * 1996-02-29 1997-09-09 Hirose Electric Co Ltd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6064Y2 (ja) * 1992-03-06 1998-07-09 バーグ・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275573A (en) * 1992-11-16 1994-01-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eject mechanism
US5575669A (en) * 1993-12-23 1996-11-19 Lin; Carol S. M. Ejection mechanism for expansion c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6891A (ja) * 1994-09-27 1996-04-12 Hirose Electric Co Ltd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JPH09237651A (ja) * 1996-02-29 1997-09-09 Hirose Electric Co Ltd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4702A (en) 1999-11-16
EP0903685A2 (en) 1999-03-24
TW448591B (en) 2001-08-01
JP2887867B1 (ja) 1999-05-10
KR19990029147A (ko) 1999-04-26
SG70072A1 (en) 2000-01-25
JPH11154562A (ja) 1999-06-08
EP0903685A3 (en) 200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4260B1 (en) Ejector mechanism for card connector
KR940002139Y1 (ko) 메모리카아드 커넥터
JP2887865B2 (ja) コネクタ装置
US6113403A (en) Connector device
KR100309044B1 (ko) Ic카드용 커넥터장치
KR100309043B1 (ko) Ic카드용 커넥터장치
US6095835A (en) IC card connector device with eject mechanism for ejecting IC card
US6059589A (en) Connector device for IC card
JPH07272793A (ja) カードコネクタ及びそのカード排出機構
JPH11224725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309042B1 (ko) Ic카드용커넥터장치
JP348345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483449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US6102719A (en) Card connector
JPH11214074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450995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H1122472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1135410A (ja) コネクタ装置
EP1139274A2 (en) Card ejection mechanism-equipped card connector
JPH11297416A (ja) コネクタ装置
JP2002110286A (ja) イジェクト機構付きコネクタ
JPH1132958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5135695A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1118635A (ja) イジェクト機構伸縮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