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8934B1 -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934B1
KR100308934B1 KR1019960069617A KR19960069617A KR100308934B1 KR 100308934 B1 KR100308934 B1 KR 100308934B1 KR 1019960069617 A KR1019960069617 A KR 1019960069617A KR 19960069617 A KR19960069617 A KR 19960069617A KR 100308934 B1 KR100308934 B1 KR 10030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lywheel
centrifugal force
electromagnet
force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772A (ko
Inventor
양 진 심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6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93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93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50/00Problems related to engine starting or engine's starting apparatus
    • F02N2250/06Engine stall and related control features, e.g. for automatic rest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e-Way And Automatic Clutches, And Combinations Of Different Clutch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라이 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후 그 감지된 회전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전자석수단을 통해 플라이휠로부터 클러치 디스크가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엔진측과 바퀴측 간의 동력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자동차의 시동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색인어]
시동꺼짐, 플라이 휠, 클러치 디스크, 원심력 센서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라이 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후 그 감지된 회전속도에 따라 클러치 디스크와의 단속상태를 제어하여 자동차의 시동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보 운전자들은 운전 미숙으로 인하여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잘못 조작한다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자동차의 시동을 종종 꺼트리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정차시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정지하는 바퀴의 부하가 그대로 엔진측으로 전해지면서 시동이 꺼지기 때문에 반드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경우에는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엔진측과 바퀴측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플라이 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후 그 감지된 회전속도가 일정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전자석수단을 통해 플라이 휠로부터 클러치 디스크가 자동적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엔진측과 바취측 간의 동력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자동차의 시동꺼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의 적용부위를 보여주는 클러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에서 플라이 휠과 원심력 센서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의 원심력 센서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클러치 101 : 플라이 휠
102 : 클러치 디스크 103 : 휠 전자석
104 : 디스크 전자석 200 : 원심력 센서
201 : 휠 202 : 피스톤
203 : 피스톤 접점 204 : 휠 접점
205 : 하우징 206 : 스프링
300 : ECU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여부에 따라 서로를 이격가능하게 해주는 휠 전자석(103) 및 디스크 전자석(104)과, 상기 플라이 휠(101)과 맞물려 돌아가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접점을 단속하면서 이때의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원심력 센서(200)와, 상기 원심력 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접점신호를 가지고 상기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의 각각의 휠 전자석(103)과 디스크 전자석(104)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ECU(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원심력 센서(200)는 치형수단을 이용하여 플라이 휠(101)과 맞물려 회전하는 휠(201)과, 상기 휠(201) 상의 하우징(205) 내측에서 스프링(206)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휠 접점 (204)과 피스톤 접점(203)을 접속/단락시켜주는 피스톤(20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동꺼짐 방지장치가 적용되는 부위를 보여주는 클러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에는 각각의 휠 전자석(103)과 디스크 전자석(104)을 설치하고, RCU(300)의 제어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으면 자화되어 서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100)에 있는 플라이 휠(101)의 회전속도를 원심력 센서(200)에서 감지한 후, 이때의 감지신호를 ECU(300)로 보내면 ECU(300)에서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클러치(100)측으로 보내서 클러치(100)의 플라이 휠 (101)과 클러치 디스크(102)를 이격시킬 수 있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에서 원심력 센서(200)의 휠(201)과 플라이 휠(101) 간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이 휠(101)과 휠(201)에는 각각 톱니바퀴 형상의 치형수단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리게 하고, 플라이 휠(101)이 회전하면 휠 (201)도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플라이 휠(101)의 회전속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면 휠(201)의 회전속도도 함께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05는 원심력 센서(200)를 구성하는 하우징(205)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꺼짐 방지장치에서 원심력 센서(2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201)의 일측에는 사각형의 하우징(205)을 직경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205)의 내측에는 하우징(205) 내에서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202)과 이 피스톤(202)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06)을 설치한다.
상기 피스톤(202)에는 직경을 관통하는 피스톤 접점(203)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205)의 벽면 양편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휠 접점 (204)을 형성하여 피스톤(202)의 위치에 따라 피스톤 접점(203)이 양편의 휠 접점 (204)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상기 휠 접점(204)은 외곽에서 중심쪽을 갈수록 전위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치한다.
예를 들면, 최외각의 전위는 OV로 하고, 계속해서 8V, 10V, 12V로 배치하여 이러한 전위차를 이용하여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의 이격이 천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동꺼짐 방지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해 클러치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플라이 휠(101)의 회전속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와 맞물려 회전하고 있는 원심력 센서(200)의 휠(201)도 회전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 휠(201)의 회전속도가 떨어지면 휠(201)에 작용하고 있던 원심력이 저하되면서 피스톤(202)은 직경방향을 따라 중심쪽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 접점(203)이 양편의 휠 접점(204)을 접속시켜 주게 되며, 이때의 접속신호가 ECU(300)에 입력되면 플라이 휠(101)의 휠 전자석(103)과 클러치 디스크(102)의 디스크 전자석(104)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각각이 자화되면서 서로 밀어낼 수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클러치(100)가 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시동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플라이 휠(101)의 회전속도가 정상으로 복귀되면 휠(201)의 회전속도도 정상적으로 복귀되고, 이때의 원심력에 의해 피스톤(202)이 양편의 휠 접점 (204)를 끊어주게 되므로,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의 각 전자석 (103),(104)이 자력을 잃게 되어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 간의 정상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은 플라이 휠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후 플라이 휠의 회전속도가 시동꺼짐의 우려가 있는 회전속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 클러치 디스크를 자동으로 끊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보 운전자들이 운전미숙으로 인해 시동을 꺼트려 곤란을 겪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에 각각 설치되어 자력여부에 따라 서로를 이격가능하게 해주는 휠 전자석(103) 및 디스크 전자석(104)과, 상기 플라이 휠(101)과 맞물려 돌아가며 원심력을 이용하여 접점을 단속하면서 이때의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원심력 센서(200)와, 상기 원심력 센서(200)로부터 입력되는 접점신호를 가지고 상기 플라이 휠(101)과 클러치 디스크(102)의 각각의 휠 전자석(103)과 디스크 전자석(104)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ECU(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력 센서(200)는 치형수단을 이용하여 플라이 휠(101)과 맞물려 회전하는 휠(201)과, 상기 휠(201) 상의 하우징(205) 내측에서 스프링(206)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설치되고 원심력에 의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휠 접점(204)과 피스톤 접점(203)을 접속/단락시켜주는 피스콘(20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꺼짐 방지장치.
KR1019960069617A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17A KR100308934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617A KR100308934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772A KR19980050772A (ko) 1998-09-15
KR100308934B1 true KR100308934B1 (ko) 2001-12-28

Family

ID=3753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6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8934B1 (ko) 1996-12-21 1996-12-21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9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77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37916A3 (en) Brake signal failur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970066206A (ko) 토크전달 시스템 제어장치
JPH10132065A (ja) 変速機の自動化操作装置付き自動車及び該自動化操作装置の使用方法
KR100308934B1 (ko) 자동차의시동꺼짐방지장치
JPS647259B2 (ko)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2601B1 (ko) 타이어 공기압 제어를 통한 트랙션제어장치
EP0384300A3 (en) Engine torque control system for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JPH11201195A (ja) 回転伝達装置の制御方法
JPH01145243A (ja) 電磁式クラッチ付車両のクリープ制御装置
KR200144451Y1 (ko) 자동차 클러치의 디스크 교환 경보장치
KR19990028493U (ko) 차량의 엔진 시동 꺼짐 방지 시스템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970040533A (ko) 핸드 브레이크의 자동제어장치
KR0131686Y1 (ko) 자동 변속 차량의 크리프 제한 장치
KR100334269B1 (ko) 자동변속차량용 클러치 작동장치
KR20020045375A (ko) 수동변속기 차량의 언덕길 미끌림 제어장치
KR970045976A (ko) 자동변속 차량의 댐퍼 클러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28982B1 (ko) 자동차의 모터 제어 기계식 브레이크 시스템
KR200207609Y1 (ko) 비상등을 통해 정지 상태를 표시하는 스톱 램프
KR100276926B1 (ko) 자동차용 클러치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970010479A (ko) 차량의 경사로 출발시 밀림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KR970010176A (ko) 카에어콘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KR19980017294A (ko) 자동차의 등판로 미끌림 방지장치
KR19990018988U (ko) 자동차의 클러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6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