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7585B1 - 광커넥터 모듈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585B1
KR100307585B1 KR1019980010793A KR19980010793A KR100307585B1 KR 100307585 B1 KR100307585 B1 KR 100307585B1 KR 1019980010793 A KR1019980010793 A KR 1019980010793A KR 19980010793 A KR19980010793 A KR 19980010793A KR 100307585 B1 KR100307585 B1 KR 10030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holder
main body
coupling
connector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107A (ko
Inventor
정원석
김범수
신성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585B1/ko
Publication of KR1999007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58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복수의 광소자와 입사광을 전송하는 복수의 광섬유를 커플링하기 위하여,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홀더와, 광소자와 광섬유의 단부가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홀더가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설치부를 갖는 본체와, 제1홀더의 광섬유 사이에 형성된 분리홈과 제2설치부에 형성되어 제2홀더와 본체의 결합시에 분리홈에 끼워지며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제한하는 수단과, 제2홀더를 본체와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광커넥터 모듈은 격벽이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 모듈
본 발명은 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소자와 광섬유를 커플링할 수 있도록 된 광커넥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 모듈은 광전송모듈 특히,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전송할 수 있도록 어레이 구조를 갖는 복수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되어 광소자와 광섬유를 커플링한다. 상기 광소자는 선형상의 어레이 구조를 가지며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발광소자이거나, 상기 광섬유를 통해 전송된 광을 수광하는 어레이 구조의 수광소자이다.
도 1은 다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된 종래 광커넥터 모듈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광커넥터 모듈은 어레이 구조의 광소자(1)와 다수의 광섬유(3)가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광섬유(3)의 일단부 위치를 정렬하는 페룰 (10)을 구비한다.
상기 페룰(10)은 상기 광섬유(3) 각각이 정렬될 수 있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그루브(11a)를 갖는 기판(11)과, 상기 기판(11)과 결합되어 상기 그루브(11a) 각각에 놓인 광섬유들(3)을 눌러주는 커버부재(1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커넥터 모듈은 상기 광소자(1)가 수광소자인 경우, 광섬유(3)의 출구에서의 회절 즉, 퍼짐 현상때문에 광섬유(3)에서 출사된 광신호는 대응하는 수광소자 뿐만아니라 인접 위치된 수광소자에 그 일부가 검출되어 인접 채널간에 크로스 토크(cross talk)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광소자(1)가 발광소자인 경우, 이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신호가 대응하는 올바른 광섬유(3) 뿐만아니라, 상호 인접 위치되는 광섬유(3)로 입사되어 전송되므로 광신호 전송 채널간에 크로스 토크(cross talk)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접 채널간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광커넥터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다채널 광전송모듈에 채용된 종래 광커넥터 모듈의 일 예를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광소자 23...광섬유
30...제1홀더 31...베이스
33...리드부재 40...본체
41,43...제1 및 제2설치부 50...제2홀더
61...분리홈 63...격벽
71...클램핑 부재 73...결합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복수의 광소자와 입사광을 전송하는 복수의 광섬유를 커플링하기 위한 광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홀더와; 상기 광소자와 광섬유의 단부가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홀더가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설치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1홀더의 광섬유 사이에 형성된 분리홈과, 상기 제2설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홀더와 본체의 결합시에 상기 분리홈에 끼워지며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제한하는 수단과; 상기 제2홀더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홀더에 설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클램핑 부재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설치부에 상기 제2홀더의 설치시에 상기 클램핑 부재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은 복수채널 구조를 갖는 광전송모듈에 채용되어 복수의 광섬유와 복수의 수광소자 사이 및 복수의 발광소자와 복수의 광섬유 사이에 설치되어 광소자와 광섬유를 커플링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은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복수의 광소자(21)가 설치되는 제1홀더(30)와, 복수의 광섬유(23)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홀더(50)와, 상기 제1 및 제2홀더(50)가 설치되는 본체(40)와,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제한하는 수단과, 상기 제2홀더(50)를 상기 본체(40)와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소자(21)로는 광신호를 출사하는 발광소자 및/또는 입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수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광소자(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채널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어레이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홀더(30)는 상기 광소자(21)가 설치되는 베이스(31)와, 상기 베이스 (31)에 설치되어 상기 각 광소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리드부재(33)를 포함한다. 이 제1홀더(30)는 상기 광소자(21)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한다. 상기 제2홀더(50)는 어레이 구조를 갖는 복수의 광섬유(23)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광섬유(23)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홀더(50)는 플래스틱 사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40)는 상기 제1홀더(30)가 결합 설치되는 제1설치부(41)와, 상기 제1설치부(41)와 관통되며 상기 제2홀더(50)가 결합 설치되는 제2설치부(43)를 가진다. 상기 제1홀더(30)에 설치된 광소자(21)와 제2홀더(50)에 설치된 광섬유(23)의 단부(23a)가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호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설치부(41)와 제2설치부(43)는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설치부(41)에는 상기 제1홀더 (30)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양측을 따라 가이드레일(41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40)는 플래스틱 사출 성형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수단은 상기 제1홀더(30)의 광섬유(23) 사이에 각각 형성된 분리홈(61)과, 상기 분리홈(61)에 대응되게 상기 제2설치부(43)에 형성된 격벽(6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격벽(63)은 상기 본체 (40)로부터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홈(61)은 제1홀더(30)에 지지된 광섬유(23)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63)은 상기 제2홀더(50)와 본체(40)의 결합시에 상기 분리홈(61)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분리홈(61)에 대응되게 제2설치부(43)에 형성된다. 이 격벽(63)의 높이(h2)는 상기 분리홈(61)의 깊이(h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소자(21)와 광섬유 단부(23a) 사이의 거리와 상기 격벽(63)과 광소자 (21) 사이의 거리의 차(d)는 상기 격벽(63)의 높이와 분리홈(61)의 깊이차(d)가 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63)이 광섬유 단부(23a)보다 상기 광소자(21)쪽으로 더 돌출되게 위치되어, 이 격벽(63)은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광소자(21)로 수광소자(21)를 구비하는 경우, 광섬유 단부(23a)에서의 광의 회절 즉, 퍼짐 현상에 기인하여 대응하는 수광소자(21)에 인접 위치된 수광소자로 향하는 광을 차단한다. 또한, 광소자(21)로 발광소자(21)를 구비하는 경우, 발광소자 (21)에서 출사된 발산광이 대응하는 광섬유(23)와 인접 위치된 광섬유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상기 분리홈(61) 및 격벽(63)은 상기 제2홀더(50)와 본체(40)의 결합시에 제2홀더(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여 광소자(21)에 대한 광섬유(23)의 피동 정렬(passive alignment)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홀더(50)에 설치된 한쌍의 클램핑 부재(71)와, 상기 본체(40)의 양측벽부(41)에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 부재(71)가 결합되는 결합공 (73)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부재(7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홀더(50)를 제2설치부(43)에 설치할 때, 이 클램핑 부재(71)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본체(40)의 양측벽(41a)을 탄성 가압하면서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삽입이 완료되어 상기 제2홀더(50)가 격벽(63)에 걸리게 되는 위치쯤에서 상기 클램핑 부재(71)는 탄력적으로 상기 결합공(7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소자(21)에 대해 상기 광섬유(23)가 바르게 얼라인 되어 커플링되면서 상기 제2홀더 (50)는 본체(4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분리홈(61) 및 클램핑 부재(71)는 상기 제2홀더(50)의 제조시에 플래스틱 사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설치부(43), 격벽(63) 및 결합공(73)도 상기 본체(40)의 제조시에 플랙스틱 사출 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광커넥터 모듈은 복수의 광섬유를 지지하는 홀더에 광섬유 사이에 각각 형성된 소정 깊이의 분리홈과, 상기 분리홈에 대응되게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와 본체의 결합시에 상기 분리홈에 끼워지고 상기 홀더가 걸림으로써 상기 본체에 설치된 광소자쪽으로 상기 광섬유 단부보다 더 돌출되게 위치되는 격벽을 구비하여 상기 격벽이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홈 및 격벽은 홀더와 본체의 결합시에 상기 홀더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므로 광소자에 대한 광섬유의 피동 정렬(passive alignment)이 가능하다.

Claims (3)

  1. 광신호를 출사 및/또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바꾸어주는 복수의 광소자와 입사광을 전송하는 복수의 광섬유를 커플링하기 위한 광커넥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가 설치되는 제1홀더와; 상기 광섬유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홀더와; 상기 광소자와 광섬유의 단부가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호 마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홀더가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설치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제2홀더의 광섬유 사이에 형성된 분리홈과, 상기 제2설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홀더와 본체의 결합시에 상기 분리홈에 끼워지며 광신호가 인접 채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을 포함하여 인접 채널간의 크로스 토크를 제한하는 수단과; 상기 제2홀더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2홀더에 설치되며 탄성 변형 가능한 클램핑 부재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2설치부에 상기 제2홀더의 설치시에 상기 클램핑 부재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리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모듈.
KR1019980010793A 1998-03-27 1998-03-27 광커넥터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30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793A KR100307585B1 (ko) 1998-03-27 1998-03-27 광커넥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793A KR100307585B1 (ko) 1998-03-27 1998-03-27 광커넥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07A KR19990076107A (ko) 1999-10-15
KR100307585B1 true KR100307585B1 (ko) 2001-11-30

Family

ID=37530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7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7585B1 (ko) 1998-03-27 1998-03-27 광커넥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219A (ko) * 1990-06-21 1992-01-30 라디알 광섬유용 급동작 코넥터
US5093885A (en) * 1990-07-11 1992-03-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US5179618A (en) * 1990-07-11 1993-01-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JPH1012328A (ja) * 1996-06-20 1998-01-16 Sumitomo Wiring Syst Ltd 導電通路の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1219A (ko) * 1990-06-21 1992-01-30 라디알 광섬유용 급동작 코넥터
US5093885A (en) * 1990-07-11 1992-03-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US5179618A (en) * 1990-07-11 1993-01-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JPH1012328A (ja) * 1996-06-20 1998-01-16 Sumitomo Wiring Syst Ltd 導電通路の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107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791A (en) Optical coupler and method for coupling an optical fiber to an optoelectric device
KR100677065B1 (ko) 광커넥터 모듈
US6485192B1 (en) Optical device having an integral array interface
US4744617A (en) Mounting optical busbars on backplanes
US6931195B2 (en) Parallel fiber-fan-out optical interconnect for fiber optic system
US20150226924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blind mating arrays of multi-optical fiber connector modules
KR100589839B1 (ko) 광섬유 고착 방법 및 장치
US743848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multi form-factor pluggable transceiver, and dat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electrical connector
KR100307585B1 (ko) 광커넥터 모듈
US8200096B2 (en) Optical transceiver
JP2023136053A (ja) フェルール、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モジュール
US20030002801A1 (en) System
US6312167B1 (en) Light transmission module
KR100322580B1 (ko) 광커넥터 모듈
KR200262561Y1 (ko) 광커넥터 모듈
KR101944944B1 (ko) 다채널 광 송수신 모듈
KR100591264B1 (ko) 광커넥터 모듈
KR100322581B1 (ko) 광커넥터 모듈
KR100322590B1 (ko) 광 커넥터
CA1097964A (en) Connector for flat ribbon optical fiber cables
CN110050214A (zh) 具有用于压入配合的对准特征的光学元件支架以及使用此光学元件支架的光学子组件
US5611011A (en) Alignment piece for a connector for optical conductors and method using same
KR100319844B1 (ko) 광컨넥터모듈
KR200191414Y1 (ko) 광전송용 체결 구조체
KR20030094466A (ko) 멀티포트형 광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7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3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