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6161B1 -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 Google Patents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161B1
KR100306161B1 KR1019990034287A KR19990034287A KR100306161B1 KR 100306161 B1 KR100306161 B1 KR 100306161B1 KR 1019990034287 A KR1019990034287 A KR 1019990034287A KR 19990034287 A KR19990034287 A KR 19990034287A KR 100306161 B1 KR100306161 B1 KR 100306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line
matching unit
circuit
synchron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356A (ko
Inventor
신성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34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1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16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04M3/24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 H04M3/245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for multiplex systems for ISD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정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선로 혹은 도츠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서도 2선의 ISDN 선로만을 이용하여 교환국 시스템들간의 클럭 동기를 맞출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선 ISDN 선로를 통해 상대국 망 정합부와 정합되며 상기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본 클럭을 추출하는 라인 정합부와, 상기 기본 클럭에 동기된 소정 주파수의 제1클럭을 발진하여 프레임 싱크신호(F_sync)와 함께 출력하는 망 동기부와, 상기 제1클럭을 n분주하여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켜 자국 시스템 각 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기본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소정 주파수의 제2클럭을 발진하여 상기 라인 정합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스템 클럭과 제2클럭을 각각 분주하여 동기시키는 위상동기루프회로로 구성하여 교환국간의 2선 선로만으로 동기를 맞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A CIRCUIT FOR SYNCHRONIZING CLOCK BETWEEN EXCHANGE STATION SYSTEMS}
본 발명은 종합정보 통신망(이하 ISDN이라 함) 정합시 교환 시스템사이의 클럭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2선 ISDN 선로를 통해 상대 교환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클럭을 추출하여 상대국과 동기를 맞추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 및 전송장비에서는 국간 전송방식인 트렁크(trunk) 보드를 연결하여 서로간에 동기된 클럭을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도츠(Dots) 클럭용 선로를 사용하여 두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ISDN 정합시 시스템간 클럭을 동기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교환시스템을 크게 중심국(Central Office)(100)과 단말국(Central Office Terminal)(200)으로 구분하였다. 만약 아날로그 가입자인 경우에는 중심국(100)과 단말국(200) 사이에 별도의 클럭 동기용 케이블이나 2선 선로상의 동기가 필요치 않지만, 디지털 가입자 특히 ISDN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대국간에 클럭 동기가 맞지 않는다면 정확한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령 가능하더라도 높은 전송속도를 사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두 교환국간에는 클럭 동기가 이루어져야 한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츠(Dots) 클럭 발생부(300)에서 발생된 클럭을 사용하여 두 시스템을 동기시키거나, 중심국(100)과 단말국(200) 각각의 트렁크 보드(110,210)를 통해 상호간에 전송되는 트렁크 신호로부터 클럭을 추출하여 두 교환국 간에 클럭동기를 맞추어 ISDN 통신을 가능케 하였다.
그러나 전전자 교환기 및 전송장비에서 두 시스템 사이에 국간 전송인 트렁크 선로를 사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만일 두 시스템간에 트렁크를 사용치 않을 경우 혹은 몇 개의 ISDN 가입자만 연결할 경우에는 두 교환기에 트렁크 라인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교환국 사이에 선로가 추가되는 낭비요소가 발생된다. 또한 교환국간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해 도츠 선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교환국 사이에 선로가 추가되는 낭비요소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 선로 혹은 도츠 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서도 2선의 ISDN 선로만을 이용하여 교환국 시스템들간의 클럭 동기를 맞출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2선 ISDN 선로를 통해 상대국 망 정합부와 정합되며 상기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본 클럭을 추출하는 라인 정합부와,
상기 기본 클럭에 동기된 소정 주파수의 제1클럭을 발진하여 프레임 싱크신호(F_sync)와 함께 출력하는 망 동기부와,
상기 제1클럭을 n분주하여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켜 자국 시스템 각 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기본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소정 주파수의 제2클럭을 발진하여 상기 라인 정합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스템 클럭과 제2클럭을 각각 분주하여 동기시키는 위상동기루프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합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정합시 시스템간 클럭을 동기시키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간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국(Central Office)의 망 정합부(120), 단말국(Central Office Terminal)(400)의 단말 정합부(410), 망동기부(420) 및 스위칭부(430)로 구성되고, 상기 단말국(400)의 단말 정합부(410)는 다시 U-라인 정합부(412), PLL회로(414), D-채널 처리부(416) 및 B-채널 처리부(418)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중심국 망 정합부(120)와 단말국(400) 사이에 연결된 2선의 ISDN 선로를 통해 중심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기본 클럭을 추출하여 단말국(400) 시스템 전체를 상기 기본 클럭에 동기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과 결합에 의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단말국(400)의 U-라인 정합부(412)는 2선 ISDN 선로를 통해 중심국의 망 정합부(120)와 정합되며 전송선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라인 코딩 및 디코딩을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U-라인 정합부(412)는 전송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512KHz의 기본 클럭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512KHz의 기본 클럭은 PLL회로(414)에서 발진된 15,36MHz에 동기된 클럭이다. 한편 망동기부(420)는 상기 기본 클럭에 동기된 8.192MHz의 클럭을 발진하여 프레임 싱크신호(F_sync)와 함께 출력하고, 스위칭부(430)는 상기 8.192MHz의 클럭을 2분주하여 4.096MHz의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여 프레임 싱크신호(F_sync)와 함께 출력한다. PLL회로(414)는 상기 4.096MHz의 시스템 클럭을 우선적으로 8분주하여 512KHz의 기본 클럭을 발생시키고 내부에서 발진된 15.36MHz의 클럭을 30분주하여 상기 기본클럭과 동기시킨다. 한편 상기 PLL회로(414)는 망 정합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본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15.36MHz의 클럭을 내부에서 발진하여 U-라인 정합부(412)로 출력한다. 한편 D-채널 처리부(416)와 B-채널 처리부(418)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스위칭부(430)에서 출력되는 4.096MHz의 시스템 클럭에 동기시켜 처리한다.
이하 도 2의 구성을 갖는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단말 정합부(410)내의 PLL회로(414)에서는 중심국 망 정합부(1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본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15.36MHz의 추출용 클럭이 발생되어 U-라인 정합부(412)로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 U-라인 정합부(412)에서는 중심국 ISDN 가입자 보드의 망 정합부(120)와 활성화되는 순간 망 정합부(412)에 동기된 512KHz의 기본 클럭이 추출되어 망동기부(420)로 출력된다. 그리고 망동기부(420)에서는 상기 512KHz의 기본 클럭에 동기된 8.192MHz클럭과 프레임 싱크신호(F_sync)가 출력되고, 스위칭부(430)에서는 시스템 클럭 발생을 위하여 상기 8.192MHz의 클럭을 2분주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4.096MHz의 시스템 클럭은 이후 PLL회로(414)에 입력되어 우선적으로 8분주되어 512KHz의 기본 클럭을 발생시킨다. 또한 PLL회로(414)에서는 자체 발진된 15.36MHz 의 추출용 클럭을 30분주하여 상기 기본 클럭과 동기를 맞춘다.
이상과 같이 PLL회로(414)에서 망 정합부(120)로부터 추출된 512KHz의 기본 클럭과 4.096MHz의 단말국(400) 시스템 클럭간에 동기가 이루어지면 중심국과 단말국(400)간에는 ISDN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ISDN 2선 선로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중심국의 기본 클럭을 추출하고, 그에 동기된 시스템 클럭을 단말국 각 부에 공급함으로써 중심국과 단말국 사이의 동기가 이루어져 정상적인 ISDN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국 사이에 ISDN 통신을 수행할 경우 망 동기를 위한 별도의 도츠 클럭 선로나 트렁크 보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2선 선로만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경비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2선 ISDN 선로를 통해 상대국 망 정합부와 정합되며 상기 상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본 클럭을 추출하는 라인 정합부와,
    상기 기본 클럭에 동기된 소정 주파수의 제1클럭을 발진하여 프레임 싱크신호(F_sync)와 함께 출력하는 망 동기부와,
    상기 제1클럭을 n분주하여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켜 자국 시스템 각 부로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기본 클럭을 추출하기 위한 소정 주파수의 제2클럭을 발진하여 상기 라인 정합부로 출력하고, 상기 시스템 클럭과 제2클럭을 각각 분주하여 동기시키는 위상동기루프회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KR1019990034287A 1999-08-19 1999-08-19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306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287A KR100306161B1 (ko) 1999-08-19 1999-08-19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287A KR100306161B1 (ko) 1999-08-19 1999-08-19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356A KR20010018356A (ko) 2001-03-05
KR100306161B1 true KR100306161B1 (ko) 2001-11-01

Family

ID=196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2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6161B1 (ko) 1999-08-19 1999-08-19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61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356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992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arently switching clock sources
US6195385B1 (en) HTU-C clocking from a single source
US20020007465A1 (en) Method, modules and program modules for synchronization
KR100306161B1 (ko) 교환국 시스템간의 클럭을 동기시키기 위한 회로
US4737722A (en) Serial port synchronizer
EP0909491B1 (en)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synchronization and frequency stability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EP1340330B1 (en) An arrang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tdm bus
KR94000674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동기 클럭 분배 장치
KR100227614B1 (ko) 통신처리시스템의 전화망 정합장치
JP2001169372A (ja) 構内交換機間同期システム
KR100293939B1 (ko) 다중선로로구성된시스템의클록공급장치
KR200259810Y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교환 시스템 간의 라인 인터페이스장치
KR0135220B1 (ko) 광케이블 티.브이.(catv) 망의 분배 센터내 클럭 절체를 위한 동기 및 클럭 발생 장치
KR960010575Y1 (ko) 교환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오류 방지회로
KR100295440B1 (ko) 유럽 방식과 북미 방식의 국간 접속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회로
KR100551429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시스템 클럭 공급 장치
KR10024270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선 클럭 수용 장치
KR20000007200A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디지털 클럭 공급장치로부터의클럭 수신장치
JP2643628B2 (ja) 回線切替装置
KR0153613B1 (ko) 종합 정보통신망 라인 인터페이스회로의 타이밍제어회로
KR100334797B1 (ko) 에스티엠원신호를이용한광링크정합장치
EP1419600A2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28020B1 (ko) 파생 클럭 발생기능을 갖는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의 클럭 발생장치
KR19990020659U (ko) 이동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이중화 시간/주파수 생성 카드의 출력 신호동기 장치
KR920001686B1 (ko) 사설교환기와 u인터페이스 카드와의 프레임 동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7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