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5382B1 -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5382B1
KR100305382B1 KR1019980063858A KR19980063858A KR100305382B1 KR 100305382 B1 KR100305382 B1 KR 100305382B1 KR 1019980063858 A KR1019980063858 A KR 1019980063858A KR 19980063858 A KR19980063858 A KR 19980063858A KR 100305382 B1 KR100305382 B1 KR 100305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lc
inlet
rotating cylinder
coating apparatus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094A (ko
Inventor
권오준
유광준
Original Assignee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찬, 주식회사 머큐리 filed Critical 김진찬
Priority to KR101998006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5382B1/ko
Publication of KR2000004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5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5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Ribbon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G02B6/4408Groove structures in support members to decrease or harmonise transmission losses in ribbon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에 탈크가 고르게 도포되도록 하고, 상기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가 마련되고, 입구 맞은편에는 슬롯로드출구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소정 량의 탈크가 담겨진 회전원통과, 상기 회전원통의 입구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중심에는 슬롯로드입구가 마련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본입구가 마련된 입구부재와, 상기 입구부재에 연결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입구측지지부와, 상기 회전원통의 출구측 외주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출구측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원통에 연결되어 회전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회전원통 내주면에 형성된 날개에 의해 내장된 탈크가 상부로 퍼 올려져 자유낙하되면서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에 도포되기 때문에 내장된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고르게 사용되며, 광섬유리본이 회전원통 내에서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도포된 탈크가 탈락되지 않고, 별도의 광섬유리본 삽입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본 발명은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롯형 광케이블 제조시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에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평활성이 우수한 탈크를 도포하게 되는 데, 이러한 탈크 도포과정에서 탈크가 고르게 도포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된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롯형의 광케이블은 슬롯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두 개 이상의 나선형 그루브가 마련되고, 상기 그루브 내에 다수개의 광섬유리본이 적층되게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슬롯형 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리본은 상기 그루브와 동일한 나선형으로 꼬여져 삽입된 상태이므로 소정의 비틀림응력과 측압을 받게된다.
이와 같이, 그루브 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의 평활성이 우수할 경우에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접촉면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면서 광섬유리본상에 고르게 분산 작용되지만, 상기 광섬유리본의 평활성이 나쁠 경우에는 접촉면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되지 않아 외력이 부분적으로 집중되어 작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리본상에 응력 집중현상이 발생되면 이러한 응력은 광섬유의 코팅부를 통해 내부의 코어층과 클래드층에 영향을 주어 마이크로벤딩 등을 일으키면서 광손실을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에는 응력 집중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평활성이 우수한 오일 또는 탈크 분말(Talc powder )을 도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탈크도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탈크도포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 탈크도포장치는 일정 형태의 함체(60) 내부 저면에 소정의 압축공기 공급라인(70)이 횡으로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70)상에는 다수개의 공기구멍(71)이 형성되어 함체(60) 내부에 충진된 탈크(61)를 압축공기에 의해 비산시키면서 상기 함체(60)를 통과하는 광섬유리본(53)상에 도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탈크도포장치에 있어서는 공기구멍(71) 상부의 탈크(61)만이 함체(60) 내부로 비산되면서 광섬유리본(53)상에 도포되고, 함체(60) 내부에 충진된 나머지 부분의 탈크(61)는 최초의 상태 그대로 쌓여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크도포장치에 있어서는 운전 초기에만 탈크(61)가 비산되어 광섬유리본(53)상에 도포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충진된 탈크(61)는 전혀 비산되지 않고, 최초에 충진된 상태 그대로 쌓여있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70)의 공기구멍(71) 사이에 다수개의 회전브러쉬(80)를 설치하여 충진된 탈크(61)가 최초에 충진된 상태 그대로 쌓여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탈크도포장치에서도 함체(60) 내부에 충진된 탈크(61)는 공기구멍(71) 상부에 공기분출구멍(67)과, 회전브러쉬(80) 주위에 소정 반경의 요홈(68)만이 형성되고, 최초에 충진된 상태 그대로 쌓여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조의 탈크도포장치에 있어서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함체(60) 내부에 충진된 탈크(61)가 비산되지 않아 광섬유리본(53)상에 탈크를 도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의 탈크도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탈크(61)가 압축공기에 의해 비산되면서 출구 등 틈새를 통해 압축공기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작업장 주위가 지저분하게 오염되며, 탈크(61)의 소모량도 증대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탈크가 도포된 광섬유리본(53)은 탈크도포장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광섬유리본 삽입장치(90)로 이송되는 데, 이러한 이송 과정중에 광섬유리본(53)의 외표면에 도포된 탈크가 떨어지게 되므로 최종적으로 그루브 (51)내에 삽입된 광섬유리본(53)의 표면에는 탈크 도포상태가 불량해진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함체 내부에 충진된 탈크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비산되면서 상기 함체를 통과하는 광섬유리본상에 도포되도록 이루어진 탈크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상에 탈크를 도포하는 과정중에 내장된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된 탈크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탈크가 도포된 광섬유리본이 바로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도포된 탈크가 광섬유리본의 이송과정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탈크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탈크도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탈크도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원통 11 : 입구
12 : 슬라이드홈 14 : 날개
15 : 슬롯로드출구 16 : V벨트홈
19 : 실링부재 20 : 입구부재
22 : 금속테두리 23 : 러버플레이트
24 : 리본입구 25 : 슬롯로드입구
30 : 지지부재 31 : 입구측지지부
33 : 출구측지지부 40 : 구동모터
본 발명은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가 마련되고, 입구 맞은편에는 슬롯로드출구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소정 량의 탈크가 담겨진 회전원통과, 상기 회전원통의 입구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중심에는 슬롯로드입구가 마련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본입구가 마련된 입구부재와, 상기 입구부재에 연결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입구측지지부와, 상기 회전원통의 출구측 외주면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출구측지지부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회전원통에 연결되어 회전원통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원통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두 개의 부재로 분할된 상태에서 일정 형태의 연결부재에 의해 하나의 원통체를 이루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원통의 분할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가 마련되어 회전원통 내부의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원통은 입구측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이 마련되어 상기 입구부재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입구부재의 외주면과 회전원통의 슬라이드홈 사이에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회전에 따른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입구부재는 회전원통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환형의 금속테두리와, 상기 금속테두리 내측에 마련된 상태에서 면상에는 상기 슬롯로드입구와 리본입구가 형성된 러버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원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원통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원통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의 날개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롯로드출구의 내측 내주면에는 슬롯로드의 그루브와 동일한 방향으로 점차 그 깊이가 얕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리본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광섬유리본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크게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11)가 마련되고, 입구 맞은편에는 슬롯로드출구(15)가 마련된 회전원통(10)과, 상기 회전원통(10)의 입구(11)측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고, 중심에는 슬롯로드입구(25)와 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본입구(24)가 마련된 입구부재(20)와, 상기 입구부재(20)를 고정 지지하고, 상기 회전원통의 슬롯로드출구(15)측 외주면을 슬라이드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30)와, 상기 회전원통(10)에 연결되어 회전원통(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회전원통(10)은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11)가 마련되고, 반대측에는 일정길이 외측으로 돌출된 슬롯로드출구(15)가 마련되며, 상기 회전원통(10)의 내주면상에는 길이방향의 날개(14)가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통(10)의 입구(11)측 내주면상에는 후술할 입구부재(20)가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12)이 마련되고, 상기 슬롯로드출구(15)의 외주면상에는 V벨트홈(16)이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모터(40)의 회전력을 벨트(46)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롯로드출구(15)의 내측 내주면에는 슬롯로드(50)의 그루브(51)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되 점차 그 깊이가 얕아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리본 가이드홀(16a)이 형성되어 슬롯로드(50)의 그루브(51) 내에 광섬유리본(53)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게 된다.
상기 회전원통(10)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의 분할원통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하 분할원통 일면의 힌지부재(17)를 중심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17) 결합부 반대 방향의 상하 분할원통 외주면상에는 일정 형태의 후크(18a)와 고정돌기(18b) 구비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원통(10)의 분할면에는 연성소재로 된 실링부재(19)가 구비되어 상하 분할원통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내부의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입구부재(20)는 회전원통의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는 환형의 금속테두리(22)와, 상기 금속테두리(22) 내측에 형성된 러버플레이트(23)로 이루어지며, 상기 러버플레이트(23)의 중심에는 슬롯로드입구(25)가 마련되고, 상기 슬롯로드입구(25) 주변에는 다수개의 리본입구(2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입구부재(20)의 외주면과 회전원통의 슬라이드홈(12) 사이에는 베어링(13)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원통(10)이 회전될 때 회전 마찰력을 감소시켜 준다.
지지부재(30)는 상기 입구부재(20)로부터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입구측지지부(31)와, 상기 회전원통의 출구(15)측 외주면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출구측지지부(33)로 이루어지며, 일정 형태의 바닥판(35)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크도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입구부재(20)의 슬롯로드입구(25)와 리본입구(24)를 통해 슬롯로드(50)와 다수개의 광섬유리본(53)이 회전원통(10) 내부로 삽입되어 이송되면서 상기 광섬유리본(53)의 외표면에 탈크가 도포되고, 슬롯로드(50)의 그루브(51) 내에 삽입되어 슬롯로드출구(15)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슬롯로드(50)는 회전운동과 이송운동을 병행하면서 상기 회전원통(10)을 통과하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리본(53)이 회전원통(10) 내부에서 상기 그루브(51)의 나선방향으로 일정 각도 틀어져 위치되므로, 그루브(51) 내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통(10)이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하게 회전되면, 내주면상에 마련된 날개(14)에 의해 회전원통(10)의 내부에는 일정하게 선회하는 바람이 형성되고, 동시에 내장된 탈크는 회전원통을 따라 상부로 퍼 올려져 자유 낙하되면서 광섬유리본(53)의 외표면에 도포된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회전원통이 일정하게 회전되면서 내주면에 형성된 날개에 의해 충진된 탈크가 상부로 퍼올려져 자유낙하되기 때문에 회전원통 내부의 탈크가 고르게 비산되면서 광섬유리본상에 도포된다.
또한,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회전원통이 회전되면서 충진된 탈크를 상부로 퍼 올려 자유낙하시키기 때문에 내장된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광섬유리본의 외표면상에 탈크가 고르게 도포된 상태에서 바로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도포된 탈크가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탈크도포장치는 회전원통 내부에서 광섬유리본이 슬롯로드의 그루브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별도의 광섬유리본 삽입장치가 불필요하게 된다.

Claims (9)

  1.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11)가 마련되고, 입구(11) 맞은편에는 슬롯로드출구(15)가 마련되며, 내부에는 소정 량의 탈크가 담겨진 회전원통(10)과;
    상기 회전원통의 입구(11)에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고, 중심에는 슬롯로드입구(25)가 마련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본입구(24)가 형성된 입구부재(20)와;
    상기 입구부재(20)와 연결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입구측지지부(31)와, 상기 회전원통의 출구(15)측 외주면에 슬라이드 되도록 결합되어 일정길이 하부로 연장된 출구측지지부(33)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0)와;
    상기 회전원통(10)에 연결되어 회전원통(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10)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두 개의 부재로 분할된 상태에서 일정 형태의 연결부재(17)에 의해 하나의 원통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10)의 분할면에는 소정의 실링부재(19)가 마련되어 회전원통(10) 내부의 탈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10)은 입구(11)측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홈(12)이 마련되어 상기 입구부재(20)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재(20)의 외주면과 회전원통의 슬라이드홈(12) 사이에는 베어링(13)이 결합되어 회전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재(20)는 상기 회전원통(10)의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는 환형의 금속테두리(22)와;
    상기 금속테두리(22) 내측에 마련되고, 면상에는 상기 슬롯로드입구(25)와 리본입구(24)가 형성된 러버플레이트(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회전원통(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벨트풀리(16)와;
    상기 벨트풀리(16)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원통(10)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10)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의 날개(14)가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로드출구(15)의 내측 내주면에는 슬롯로드(50)의 그루브(5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점차 그 깊이가 얕아지는 경사면을 갖는 리본 가이드홀(16a)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로드(50)의 그루브(51) 내에 광섬유리본(53)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KR1019980063858A 1998-12-31 1998-12-31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KR100305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58A KR100305382B1 (ko) 1998-12-31 1998-12-31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858A KR100305382B1 (ko) 1998-12-31 1998-12-31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94A KR20000047094A (ko) 2000-07-25
KR100305382B1 true KR100305382B1 (ko) 2001-09-29

Family

ID=19570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858A KR100305382B1 (ko) 1998-12-31 1998-12-31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5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571A (ko) * 2001-10-26 2003-05-09 주식회사 머큐리 리본 광섬유에 활석을 도포하는 장치
KR101234672B1 (ko) * 2011-01-12 2013-02-19 (주)럭스콤 다심 광케이블 가변 분기구
KR102093488B1 (ko) * 2019-01-28 2020-04-23 지오씨 주식회사 광케이블용 탈크 도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0305A (ja) * 1982-11-08 1990-08-21 British Telecommun Plc <Bt> 光ファイバの挿通方法
JPH1031118A (ja) * 1996-07-17 1998-02-03 Ocean Cable Co Ltd 粉状滑材塗布装置
JPH10115739A (ja) * 1996-10-09 1998-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および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0305A (ja) * 1982-11-08 1990-08-21 British Telecommun Plc <Bt> 光ファイバの挿通方法
JPH1031118A (ja) * 1996-07-17 1998-02-03 Ocean Cable Co Ltd 粉状滑材塗布装置
JPH10115739A (ja) * 1996-10-09 1998-05-0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ケーブルおよび光ケーブ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94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7547B1 (ko) 각진 어플리케이션 부재를 구비한 핸드헬드 필름 이송 장치
US9267543B2 (en) Cage unit and tapered roller bearing equipped with cage unit
KR100305382B1 (ko) 광케이블 탈크도포장치
US506440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usages or the like
EP0170403A1 (en) Anti-friction and non-oscillating spool for belt driven cartridge
WO2018151475A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US4918996A (en) Turbine flowmeter
JP4493909B2 (ja) トラクションドライブ動力伝達装置
CN210193085U (zh) 一种涤纶绣花线生产用松筒机
EP1726559B1 (en) Cable guid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winch
CN213981642U (zh) 一种化纤卷绕机用耐磨损轴承
CN113116044B (zh) 包装件
CN219437030U (zh) 铰链组件和电子设备
CA1042289A (en) Yarn twisting device
KR19990059257A (ko) 브이-벨트의 장력유지장치
KR100390428B1 (ko) 스크롤 압축기용 자전 방지기구의 윤활장치
CN222646631U (zh) 粉桶和粉末分配设备
JPH1186494A (ja) コーナローラ及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カートリッジ
KR20230054001A (ko) 호스 권취기의 가이드 스크류
CN220494789U (zh) 一种电动窗帘开关结构
WO2022177266A1 (ko) 베인 모터
KR100611444B1 (ko) 연속 프레스 밴드를 갖는 스핀들 모터의 동압베어링
TW201808440A (zh) 密閉型攪拌機的止漏裝置
KR200160164Y1 (ko) 개폐식 커버 하우징과 토션스프링 간의 마모방지장치
KR200256729Y1 (ko) 김외주면의 소금, 기름도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11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