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4243B1 - 자동변속기용제어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제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243B1
KR100304243B1 KR1019980031117A KR19980031117A KR100304243B1 KR 100304243 B1 KR100304243 B1 KR 100304243B1 KR 1019980031117 A KR1019980031117 A KR 1019980031117A KR 19980031117 A KR19980031117 A KR 19980031117A KR 100304243 B1 KR100304243 B1 KR 100304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p
breathing hole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321A (ko
Inventor
하루히코 미하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1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2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Application transmission, e.g. for sensing the position of a gear selector or automa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물이나 진흙이 하우징내에 들어가기 어려운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를 제공한다.
호흡구멍(30)은 하우징(1)의 안밖을 통하게 한다. 이 호흡구멍(30)은 하우징(1)에 있어서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되는 합성수지성형품의 본체 기판(3)으로, 자동차로의 실장시에 하우징(1)의 하단부로 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CONTROL SWITCH FOR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의 스위칭 조작에 연동하여 시프트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발생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이하, ATM이라 약칭한다)는 시프트레버에 의하여 조작되는 시프트 스위칭용 수동축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ATM의 시프트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수동축의 주변에는 제어스위치(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스위치는, 수동축의 조작에 의하여, 주차(parking), 후진(reverse), 중립(neutral), 드라이브, 2속(second) 및 1속(low) 등과 같은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신호를 발생한다. 이 위치신호에 의하여 제어시스템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조작지령이 부여되어, 각종 표시나 ATM의 상태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런 종류의 제어스위치는, 도 14(a)∼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캐스트 알루미늄(die cast Aluminum)으로 된 케이스(51a)와 합성수지성형품의 본체 기판(51b)으로 된 하우징(51)을 구비하고, 도 17(a),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은 본체 기판(51b)을 ATM(50)에 맞닿게 한 형태로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51)의 내부에는 가동체(60)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고, 가동체(60)는 시프트레버의 조작으로 연동하여 회전운동하는 수동축(41)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체(60)는 시프트레버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수동축(41)과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한다.
가동체(60)는 수동축(41)이 결합되는 축부(61)와, 축부(61)의 원주면 1개소에 지름방향으로 돌출하는 형태로 결합된 가동부품(62)등을 구비하고, 가동부품(62)은 케이스(51a)의 내측면에 설치한 홈(52)과 본체 기판(5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내에서 축부(61)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회전운동한다. 가동부품(62)에 있어서의 본체 기판(51b)과의 대향면에는 스프링(64)에 의하여 본체 기판(51b)으로 향하여 힘이 부여된 가동접점(63)이 여러개 설치되고, 본체 기판(51b)에는 가동체(60)의 회전운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여러개의 원호상에 띠형상의 고정접점(54a, 54b)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접점(54a)은 주차, 후진등의 각 시프트위치에 대응하여, 고정접점(54b)이 여러개의 고정접점(54a)에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동체(60)가 회전운동하면, 가동접점(63)을 통해 고정접점(54a, 54b)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어느 고정접점(54a)에 가동접점(63)이 접촉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가동체(60)의 회전운동위치를 알 수 있다. 즉, 시프트레버의 조작에 연동하여 ATM(50)에 설치한 수동축(41)이 회전운동하면 가동체(60)가 회전운동하여, 고정접점(54) 사이의 접속관계에 의하여 ATM(50)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한 위치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시예에서는 주차 및 중립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하는 고정접점(54a, 54b)에 가동접점(63)이 접촉하고 있을 때에 배터리로부터 점화스위치를 통해 고정자 회로까지의 급전경로가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ATM(50)은 엔진실이나 차체하부(내지 차체아래)에 배치되므로, ATM(50)에 맞닿도록 부착되는 제어스위치는 물, 진흙, 먼지등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제어스위치는 방수구조가 요구되지만, 제어스위치는 ATM(50)에 맞닿도록 부착되어 있으므로 100℃ 이상의 고온으로 되는 경우가 있어, 하우징(1)을 밀봉하여 버리면 하우징(51)의 내외에서 커다란 기압차가 발생하여 하우징(51)에 기압차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여 파손되기 쉽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51)의 내외에 기압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우징(51)에 호흡구멍(70)을 설치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호흡구멍(70)은, ATM(50)으로의 부착상태에서 하우징(51)의 상부에 배치된 케이스(51a)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51)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는 것은 물이나 진흙이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호흡구멍(70)을 케이스(51a)에 설치하는 것은, 합성수지제의 본체 기판(51b)에 호흡구멍(70)을 설치하기 보다, 금속제의 케이스(51a)에 설치하는 편이 방수성을 유지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호흡구멍(70)을 방수구조로 하기 위하여, 통기성을 가진 방수재료(예컨대, 고어텍스(Gore Tex)라는 상품명의 재료)를 사용한 필터(71)(도 8(a), 도8(b) 참조)를 호흡구멍(70)에 설치하고 있다. 특히, 하우징(51)이 고온일 때에 물에 의하여 하우징(51)이 급냉되면, 부압(negative pressure)이 작용하여 하우징(51)내에 물이 들어가기 쉬워지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물이 들어가는 일이 없도록 필터(71)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호흡구멍(70)을 설치하는 케이스(51a)는 금속제이므로, 필터(71)를 유지하기위하여, 도 18, 도 19에 도시한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케이스(51a)에 설치한 홈(52)과 본체 기판(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통하도록 케이스(51a)에 설치한 통부(cylindrical part)(72)로 금속제의 통체(73)를 삽입하고, 이 통체(73)로 필터(71)를 유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통부(72)의 안쪽 주변면과 통체(73)의 바깥주변면 사이에는 고무시일(rubber seal)(74)이 끼워져 있어 방수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통체(73)는 일단부에 개구측을 큰지름이 되도록 형성된 단차부(73a)를 구비하고, 이 단차부(73a)에 필터(71)를 통해 와셔(75)를 장착하고, 통체(73)의 개구부를 압축하도록 코오킹(caulking)함으로써, 와셔(75)를 통해 필터(71)를 통체(73)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통부(72)의 개구부에는 개구측을 큰지름으로 하는 단차부(72a)가 형성되고, 단차부(72a)에는 보호캡(76)이 압입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호흡구멍(70)이 ATM(50)과는 반대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에 실장하였을 때에는 호흡구멍(70)이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되어, 호흡구멍(70)에 물이나 진흙이 침범하기 쉽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하우징(51)의 내부에 물이 들어가서 절연불량을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게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구멍(70)이 하우징(5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만일 하우징(51)의 내부에 물이 침입하면 물을 하우징(51)의 외부로 배출함이 어렵다.
또한, 호흡구멍(70)에 부착하는 부품으로서, 필터(71)의 외에, 통체(73), 고무시일(74), 와셔(75), 보호캡(76)이 필요하게 되어 합계 5개의 부품이 필요하게된다. 즉,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코스트상승으로 이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71)를 유지하는 와셔(75)를 고정하기 위하여 금속제의 통체(73) 일부를 코오킹하고 있으므로, 와셔(75)와 필터(71)사이의 방수성능에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필터(71)의 원주부분이 충분히 눌러지고 있는 지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필터(71)의 원주부분의 방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체(73)에 필터(71)를 장착하고, 와셔(75)의 개구부분을 막은 상태에서 필터(71)에 공기압을 작용시킴이 고려되고 있으나, 와셔(75)의 개구부분을 폐쇄부재로 강하게 누르면, 통체(73)를 충분히 코오킹하지 못해도 와셔(75)가 필터(71)에 밀착함으로써 검사시에 우량품이라고 오인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게다가, 필터(71)와 고무시일(74)의 2개소에 방수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방수성능의 신뢰성이 떨어져, 특히 고무시일(74)을 사용하면 열에 의한 크리이프(creep)가 발생하여 방수성능이 저하하기 쉽게 된다.
각 청구항의 발명은 호흡구멍을 형성함에 따른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의 문제점을 해결한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스위칭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함과 아울러 가동접점을 구비한 가동체와, 가동체를 수납하여 가동체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가동접점이 분리 접촉하는 고정접점을 갖춘 하우징 등을 가지며, 가동접점이 분리접촉하는 고정접점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위치를 나타내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안밖을 통하게 하는 호흡구멍을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개구시킨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되는 합성수지 성형품의 본체 기판과, 본체 기판과의 사이에 가동체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 금속제의 케이스로 되어, 호흡구멍이 본체 기판에 개구한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호흡구멍이 자동차로의 실장시에 있어서의 하우징 하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호흡구멍이 개구쪽이 큰지름으로 된 단차부를 구비하여, 호흡구멍내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통기성을 가진 캡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 통기성을 가지는 방수재료로 된 필터의 원주부분을 유지한 것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캡이 합성수지성형품으로서, 호흡구멍 내에서 캡의 안쪽 주변면과 호흡구멍의 안쪽 주변면이 초음파 열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캡이 원주형상으로서 필터와의 대향면 중앙부에 홈을 구비하고, 호흡구멍의 개구면쪽으로 홈과 통하는 통기구멍이 개구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 통기구멍이 캡의 원주방향으로 만곡하는 원호형상의 긴구멍으로서, 여러개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호흡구멍의 개구면과 단차부사이에 개구면쪽을 큰지름으로 하도록 직경이 2단계로 설정된 큰구멍부와 작은구멍부가 형성되고, 캡은 큰구멍부에 삽입되는 큰지름부와 작은구멍부로 삽입되는 작은지름부를 구비하고, 호흡구멍의 작은구멍부의 원주변벽과 캡의 큰지름부가 초음파 열부착되고, 큰구멍부와 큰지름부의 간극은 작은 구멍부와 작은지름부의 간극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 호흡구멍의 작은 구멍부 안쪽 주변면의 1개소에 호흡구멍 중심선방향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 캡이 호흡구멍의 개구면 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종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기판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상면도, 도 6(b)는 종단면도, 도 6(c)는 횡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형태를 자동차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단면도, 도 8(b)는 정면도.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호흡구멍을 나타낸 것으로, 도 9(a)는 단면도, 도 9(b)는 정면도.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캡을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의 A-B선 단면도, 도 10(c)는 측면도.
도 11은 상기 실시형태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12는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도 12(a)는 단면도, 도12(b)는 정면도.
도 13은, 도 13(a)는 상기 실시형태에 사용하는 캡의 다른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b)는 상기 실시형태를 성형하는 금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종래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4(a)는 정면도, 도 14(b)는 도 14(a)의 A-A선 단면도.
도 15는 상기 종래예를 차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6은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의 본체 기판의 정면도.
도 17은 상기 종래예를 자동차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7(a)는 개략측면도, 도 17(b)는 개략저면도.
도 18은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의 호흡구멍을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상기 종래예에 있어서의 호흡구멍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케이스
3 : 본체 기판 7a : 고정접점
10 : 가동체 15 : 가동접점
30 : 호흡구멍 30a : 큰 구멍부
30b : 작은 구멍부 31a : 노치(notch)
32 : 단차부 33 : 캡(cap)
33a : 홈 33b : 통기구(通氣口)
33d : 큰 지름부 33e : 작은 지름부
34 : 필터 50 : 자동변속기(ATM)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은 다이캐스트 알루미늄 케이스(2)와 합성수지제 본체 기판(3)을 리벳(4)으로 결합하여 조립한다. 하우징(1)은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부채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가동체(10)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가동체(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에 원통형의 축부(13)를 가지는 아연형 구조제의 주체(主??)(11)와, 주체(11)에 설치된 홈(11a)내에 끼워맞춰져 고정된 합성수지제의 접점호울더(contact holder)(12)를 구비하며, 접점호울더(12)에는 스프링(14)(도 3참조)에 의하여 도 5의 바로 앞쪽으로 향하여 힘이 부여된 3개의 가동접점(15)이 유지된다.
하우징(1) 하나의 각(부채꼴로 할 때에 부채의 추축으로 되는 부위)에는 가동체(10)의 축부(13)가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구멍(5)이 형성되고, 축부(13)에 있어서의 케이스(2)측 일단부의 바깥주변면에는, 축부(13)에 수동축(41)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너트(6)를 나사맞춤시킨다. 축부(13)는 통형상으로서 체결용 너트(6)의 나사맞춤 부위에 분할홈(13a)이 형성되어 있어, 수동축(41)을 축부(13)에 삽입하여 체결용 너트(6)를 체결함으로써, 분할홈(13a)이 수축하여 수동축(41)이 축부(13)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체 기판(3)은, 일단부에 각기 고정접점(7a)을 구비한 띠형상의 도전체(7)를 삽입하여 1차성형한 다음에, 다른부분을 2차성형하여 구성된다. 2차성형부분에는 커넥터부(20)가 설치된다. 각 고정접점(7a)은 축부(13)의 회전운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여러개의 원호상에 배치되고, 가동체(10)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가동접점(15)이 분리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부(20)는 프리즘형상의 벽(21)을 구비하고, 커넥터부(20)의 내측저면에는, 도 6(a)∼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전체(7)의 일단부가 2열로 돌출되어 커넥터단자(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커넥터(20)의 기초부에는 플랜지부(22)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3)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하우징(1)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2)의 저면(축구멍(5)측의 면)에는 도2, 도4에 도시한바와 같이 여러개의 보강용 리브(rib)(23)가 플랜지부(22)의 길이방향에 연이어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으며, 여러개의 리브(23)를 설치함으로써, 플랜지부(22)의 두께를 작게하면서도 강도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도 1, 도 2에서는 커넥터부(20)에 상대측 커넥터(25)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대측 커넥터(25)는 커넥터부(25)를 안쪽으로 수용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대측 커넥터(25)의 선단면(先端面)은 플랜지부(22)에 맞닿는다. 이 구조에 의하여 커넥터부(20)와 상대측 커넥터(25)의 접속부분에 있어서의 방수성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에 대한 가동체(10)의 회전운동위치에 따라서 가동접점(15)이 각 고정접점(7a)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접속하고, ATM(50)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한 위치신호가 커넥터부(20)에 접속된 상대측 커넥터(25)를 통해 꺼내어진다.
또한, 하우징(1)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50)에 부착하기 위하여, 하우징(1)에는 도 1과 같이 부착나사가 삽입통과되는 나사삽입통과구멍(1a)이 설치되며, 하우징(1)을 차체의 정규의 부착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커넥터부(20)의 개구면 법선방향(도 1에 있어서의 B방향)이 차체저면의 법선방향(도 1에 있어서의 A방향)에서 소정의 각도(θ)(θ로서는 30˚∼60˚가 바람직하다)만큼 기울어지도록 커넥터부(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본체 기판(3)에 있어서 ATM(50)과의 대향면으로서 차체의 정규 부착위치에 부착한 상태에서 하우징(1)의 하단부로 되는 부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서 가동체(10)가 회전운동하는 공간으로 통하는 호흡구멍(30)이 개구한다. 호흡구멍(30)은 본체 기판(3)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고, 도 9(a), 9(b)와 같이 원형으로 개구하며, 호흡구멍(30)의 안쪽 주변면에는 본체 기판(3)의 외측면측이 큰 지름으로 되는 단차부(31, 32)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기판(3)의 외측면으로부터 먼쪽의 단차부(32)에는 전체둘레에 걸쳐서 링형상돌기(32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호흡구멍(30)에는 단차부(32)와 개구면 사이에 단차부(31)를 통하여 개구측의 큰구멍부(30a)와 작은 구멍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호흡구멍(30)의 작은 구멍부(30b)의 원주방향 1개소(자동차로의 정규 부착위치에서 하단으로 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에는 호흡구멍(30)의 중심선방향으로 연이어서 노치(31a)가 형성된다.
도 8(a),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구멍(30)에는 합성수지에 의하여 원주형상으로 형성된 캡(33)이 끼워지고, 단차부(32)와 캡(33) 사이에서 필터(34)의 원주부가 유지된다. 필터(34)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통기성을 지닌 방수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캡(33)은, 도 10(a)∼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한면쪽에 원형으로 개구하는 홈(33a)을 가지며, 축방향의 다른면쪽에 홈(33a)의 원주면으로 통함과 아울러 원주방향의 여러 개소(도시예에서는 3개소)에 같은 간격으로 개구하는 통기구(通氣口)(33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캡(33)은 본체 기판(3)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본체 기판(3)에 장착된다. 즉, 본체 기판(3)에 돌출부분이 형성되지 않아서 ATM(50)으로의 부착에 영향을 주는 일은 없다. 통기구(33b)의 개구형상은 캡(33)의 원주방향으로 연이어서 만곡하는 긴 구멍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캡(33)은, 일단부가 호흡구멍(30)에 형성한 양단차부(兩段差部)(31, 32) 사이에 삽입되도록 바깥지름이 설정되어 있다. 즉, 호흡구멍(30)에 캡(33)을 장착하였을때에, 단차부(31)에 중복하는 단차부(33c)가 캡(33)의 바깥주변면에 형성되고, 호흡구멍(30)의 큰구멍부(30a)에 삽입되는 큰지름부(33d)와, 작은 구멍부(30b)에 삽입되는 작은 지름부(33e)가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캡(33)에 있어서의 큰지름부(33d)와 호흡구멍(30)의 큰구멍부(30a)의 간극이, 작은지름부(33e)와 작은 구멍부(30b)의 간극보다도 커지도록 치수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필터(34)를 호흡구멍(30)에 장착할 때에는, 도 11(a),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구멍(30)에 필터(34) 및 캡(33)을 차례로 떨어뜨려 넣고, 캡(33)의 단차부(33c)를 호흡구멍(30)의 단차부(31)에 실은 다음, 초음파 열압축 부착(ultrasonic thermocompression bonding)을 함으로써, 도 11c와 같이, 단차부(31)와 단차부(33c)에 대응하는 부위를 중복시키도록 열압축 부착시킨다. 즉, 캡(33)의 큰지름부(33d)와 호흡구멍(30)의 작은 구멍부(30b)가 열압축 부착된다. 이와 같이하여, 캡(33)은 전체둘레에 걸쳐서 본체 기판(3)에 열압축 부착되기 때문에, 본체 기판(3)과 캡(33)에 의하여 필터(34)를 방수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필터(34)가 캡(33)과 단차부(32) 사이에 유지되면 링형상돌기(32a)도 필터(34)에 열부착된다. 여기에서, 호흡구멍(30)의 안지름과 캡(33)의 바깥지름이 상술한 바와 같은 치수관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열압축 부착함에 있어 플래시(flash)가 발생하여도 호흡구멍(30)의 개구측에 있어서 캡(33)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기 쉽고, 초음파 열압축 부착함에 있어 본체 기판(3)과 캡(33)의 밀봉성능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플래시는 노치(31a)를 통하여도 배출된다. 또한, 캡(33)을 호흡구멍(30)에 장착할 경우에 노치(31a)는 배기구멍으로서 역할을 한다. 게다가, 본체 기판(3)과 캡(33) 사이를 밀봉하는 것만으로 좋으므로, 종래구조와 같이 2개소의 밀봉이 필요한 구조에 비교하면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밀봉성능을 호흡구멍(30)에 대한 캡(33)의 삽입깊이로 결정하게 되므로, 삽입깊이를 크게 하면 보다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종래구성과 같은 코오킹에 의한 것과 비교하여 밀봉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밀봉성능의 시험에는, 도 8a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부재를 배치하고, 호흡구멍(30)의 원주부에 화살표(V)로 나타낸 통기구멍을 통하여 공기압을 작용시키지만, 본체 기판(3)과 캡(33)이 열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시험시의 가압력이 필터(34)에 작용함이 없이, 밀봉성능의 오인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캡(33)이 필터(34)를 유지하는 기능과 보호하는 기능을 함께 갖고 있어, 캡(33)을 본체 기판(3)에 직접 열부착하기 때문에, 캡(33)과 필터(34)만으로 호흡구멍(30)의 방수성능을 확보할 수 있어, 부품점수(部品点數)가 종래 구성에 비해 적어진다.
또한, 통기구멍(33)이 ATM(50)에 대향하는 본체 기판(3)의 일면으로 개구하고 있음으로 물이나 진흙이 통기구멍(30)에 침입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자동차의 정규위치에 하우징(1)을 부착하였을 때에 하우징(1)의 하단부로 되는 부위에 호흡구멍(3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우징(1)내로 만일 물이 침입하여도 배출되기 쉽다. 더구나, 통기구(33b)가 캡(33)의 원주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캡(33)의 원주방향으로 연이은 원호형상의 긴구멍 형상이기 때문에, 캡(33)이 원주방향에서 회전하여 부착되어도, 도 12(a),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것인가의 통기구(33b)는 호흡구멍(3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어느 것인가의 통기구(33b)가 홈(33a)보다도 하방으로 개구하므로), 배수구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결국, 캡(33)의 부착위치에 방향성이 없이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통기구(33b)의 개수가 여러 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고, 캡(33)으로서는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통기구(33b)를 설치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와 같은 캡(33)은,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금형(35)에 의하여 홈(33a)을 형성하고, 상부금형(36)에 의하여 통기구(33b)를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노치(31a)는 1개소가 아니라 여러 개소에 설치하여도 좋고, 링형상돌기(32a)도 여러 개 설치하여도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스위칭조작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함과 아울러 가동접점을 구비한 가동체와, 가동체를 수납하여 가동체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동접점이 분리 접촉하는 고정접점을 구비한 하우징등을 가지며, 가동접점이 분리접촉하는 고정접점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위치를 나타낸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호흡구멍을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개구시킨 것이고, 자동차의 실장면측으로 호흡구멍이 개구함으로써, 호흡구멍으로 물이나 진흙이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2의 발명과 같이, 하우징이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이 되는 합성수지성형품의 본체기판과, 본체기판과의 사이에 가동체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 금속제 케이스로 되고, 호흡구멍이 본체 기판에 개구하는 것에서는, 합성수지성형품에 호흡구멍을 형성하므로 호흡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호흡구멍이 자동차로의 실장시에 있어서의 하우징하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서는, 하우징내에 물이 만일 침입하였다 하더라도 하우징 밖으로 배출하기 쉽게 된다.
청구항 4의 발명과 같이, 호흡구멍이 개구측이 큰지름으로 되는 단차부를 가지고, 호흡구멍 내에 끼워 넣어짐과 아울러 통기성을 가진 캡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통기성을 가진 방수재료로 된 필터의 원주부를 유지한 것에서는, 캡과 필터의 2부품만으로 호흡구멍의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부품점수가 종래구성보다도 적어지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과 같이, 캡이 합성수지성형품으로서, 호흡구멍 내에서 캡의 바깥 주변면과 호흡구멍의 안쪽 주변면이 초음파 열압착부착된 것에서는, 호흡구멍 내로의 캡의 삽입깊이를 초음파 열압축 부착기에 의해 직접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필터를 호흡구멍내의 단차부와 캡 사이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샘플을 꺼내어 본체 기판을 파괴하지 않더라도, 캡의 삽입깊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호흡구멍내의 단차부와 캡의 간격 즉, 필터둘레부분의 가압량을 관리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과 같이, 캡이 원주형상으로서 필터와의 대향면 중앙부에 홈을 구비하며, 호흡구멍의 개구면 측에 홈과 통하는 통기구가 개구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에서는, 캡에 의하여 필터로의 통기(通氣)를 하지 않으면서도 필터를 가릴 수 있어 필터의 고정 외에 필터의 보호도 캡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과 같이, 통기구가 캡의 원주방향으로 만곡하는 원호형상의 긴 구멍으로서, 여러 개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된 것에서는, 캡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착되었다 하여도, 어느 것인가의 통기구를 홈보다도 아래쪽에 위치시켜서배수구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과 같이, 호흡구멍의 개구면과 단차부 사이에 개구면 측을 큰지름으로 하는 바와 같이 직경이 2단계로 설정된 큰 구멍부와 작은 구멍부가 형성되고, 캡은 큰 구멍부에 삽입되는 큰 지름부와 작은 구멍부에 삽입되는 작은 지름부를 가져, 호흡구멍의 작은 구멍부 주변벽(周壁)과 캡의 큰 지름부가 초음파 열압착 부착되어, 큰 구멍부와 큰 지름부와의 간극은 작은 구멍부와 작은 지름부의 간극보다도 크게 설정된 것에서는, 호흡구멍의 중심선 방향에 있어서 열부착부위에 대하여 호흡구멍의 개구면에 가까운 쪽에서는 호흡구멍의 안쪽 주변면과 캡의 바깥주변면과의 간극이, 개구면으로부터 먼쪽보다도 크므로, 초음파 열압착 부착의 경우에 발생하여 플래시를 호흡구멍의 외부로 배출하기 쉽게되어, 밀봉성능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과 같이, 호흡구멍의 작은 구멍부 안쪽 주변면의 1개소에 호흡구멍의 중심선방향의 노치가 형성된 것에서는, 노치가 캡을 호흡구멍에 장착하는 경우의 배기구멍으로서 기능하고, 캡에 의하여 필터를 확실히 누를 수 있다.
청구항 10과 같이, 캡이 호흡구멍의 개구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된 것에서는, 본체 기판에 돌출부분이 형성되지 않아서 자동차로의 실장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0)

  1. 자동차에 설치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레버 스위칭조작에 연동하여 회전운동함과 아울러 가동접점을 구비한 가동체와, 가동체를 수납하여 가동체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가동접점이 분리 접촉하는 고정접점을 구비한 하우징을 가지며, 가동접점이 분리 접촉하는 고정접점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시프트위치를 나타내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외를 통하게 하는 호흡구멍을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개구시켰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자동차로의 실장면측으로 되는 합성수지성형품의 본체 기판과, 본체 기판과의 사이에 가동체를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한 금속제의 케이스로 되고, 호흡구멍이 본체 기판에 개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구멍은 자동차로의 실장시에 있어서의 하우징 하단부 부근에 설치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구멍은 개구측이 큰지름으로 되는 단차부를 가지고, 호흡구멍 내에 끼워넣어짐과 아울러 통기성을 가진 캡과 상기 단차부 사이에서 통기성을 가지는 방수재료로 된 필터의 원주부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합성수지성형품으로서, 호흡구멍 내에서 캡의 바깥 주변면과 호흡구멍의 안쪽 주변면이 초음파 열압착 부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원주형상으로서 필터와의 대향면 중앙부에 홈을 가지며, 호흡구멍의 개구면 측에 홈과 통하는 통기구가 개구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캡의 원주방향으로 만곡하는 원호형상의 긴구멍으로서 여러개가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구멍의 개구면과 단차부 사이에 개구면쪽을 큰지름으로 하도록 직경이 2단계로 설정된 큰 구멍부와 작은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은 큰 구멍부에 삽입되는 큰 지름부와 작은 구멍부에 삽입되는 작은 지름부를 가지며, 호흡구멍의 작은 구멍부 주변벽과 캡의 큰 지름부가 초음파 열압착 부착되어, 큰 구멍부와 큰 지름부의 간극은 작은 구멍부와 작은 지름부의 간극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구멍의 작은 구멍부 안쪽 주변면 1개소에 호흡구멍의 중심선 방향의 노치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호흡구멍의 개구면보다도 안쪽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제어스위치.
KR1019980031117A 1997-07-31 1998-07-31 자동변속기용제어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4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6794 1997-07-31
JP20679497A JP3956433B2 (ja) 1997-07-31 1997-07-31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321A KR19990014321A (ko) 1999-02-25
KR100304243B1 true KR100304243B1 (ko) 2002-02-19

Family

ID=16529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1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4243B1 (ko) 1997-07-31 1998-07-31 자동변속기용제어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80945A (ko)
EP (1) EP0895004B1 (ko)
JP (1) JP3956433B2 (ko)
KR (1) KR100304243B1 (ko)
CN (1) CN1067483C (ko)
DE (1) DE698089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169B2 (en) * 2001-10-22 2003-07-08 Richard J. Martinez Switch assembly for a power accessory
JP4924640B2 (ja) * 2009-03-26 2012-04-25 株式会社デンソー 搭載部品の呼吸孔防水構造
JP5842175B2 (ja) * 2011-03-22 2016-01-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6005991B2 (ja) * 2012-05-18 2016-10-12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密閉型スイッチ及び密閉型スイッチの内圧減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07050C2 (de) * 1987-03-05 1995-09-28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Schaltgerä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FR2631736B1 (fr) * 1988-05-20 1993-10-29 Bosch Gmbh Robert Element de compensation de pression pour un appareil electrique de distribution
US5679937A (en) * 1994-08-22 1997-10-21 Toyodenso Kabushiki Kaisha Switching device
US5525768A (en) * 1995-02-17 1996-06-1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witch syste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JP3331423B2 (ja) * 1995-05-12 2002-10-0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変位検出スイッチ装置
US5577605A (en) * 1995-05-15 1996-11-26 Eaton Corporation Rotary switch
KR100433040B1 (ko) * 1995-09-18 2004-08-09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위치검출장치 부착 전자제어장치
CN1150241A (zh) * 1995-10-27 1997-05-21 欧阳抗美 汽车电子控制的自动变速器的位移传感器
JP3910226B2 (ja) * 1995-11-17 2007-04-25 東洋電装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法並びに固定接点ベースの製法
DE19600786A1 (de) * 1996-01-11 1997-07-17 Eaton Controls Gmbh Drehschalter
JPH09265868A (ja) * 1996-03-28 1997-10-07 Niles Parts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5004B1 (en) 2002-10-30
JP3956433B2 (ja) 2007-08-08
CN1208239A (zh) 1999-02-17
KR19990014321A (ko) 1999-02-25
DE69808997T2 (de) 2003-07-03
EP0895004A2 (en) 1999-02-03
EP0895004A3 (en) 1999-10-06
CN1067483C (zh) 2001-06-20
JPH1153990A (ja) 1999-02-26
US6080945A (en) 2000-06-27
DE69808997D1 (de)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7894B1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roof connector
JP3827159B2 (ja) 車載用アンテナ装置
EP0913891A2 (en) Electrical connector
EP0936647A2 (en) Circuit breaking device
US20100072050A1 (en) Pushbutton switch
US5952731A (en) Membrane keyless entry switch for vehicles
EP1783869B1 (en) Connector
KR100304243B1 (ko) 자동변속기용제어스위치
EP1867874B1 (en) Electric motor-driven compressor
EP1600780A1 (en) Rotational sensor
US8323051B2 (en) Device for implementing a dry electrical connection of a motor vehicle lock
US6705889B2 (en) Terminal protecting cap
JP2008029080A (ja) 電気接続箱
JP2002095141A (ja) 防水ボックス
JP2010049887A (ja) スイッチ装置の防水構造
JP2004363100A (ja) 電気コネクタ
US6057519A (en) Transmission electronic control unit including neutral start switch
JP2004356286A (ja) 回路部品装置
KR100286929B1 (ko) 압력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 부착 펌프
JP2004327731A (ja) 空冷形電子制御装置格納箱の防水構造
US20250014842A1 (en) Switching device
CN222749429U (zh) 一种激励熔断器的激励源密封结构
JPH0541149A (ja) スタータ用マグネツトスイツチ
JP2004278608A (ja) インヒビタースイッチ
JP2009110867A (ja) スイッチ装置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7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