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3301B1 -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301B1
KR100303301B1 KR1019990024495A KR19990024495A KR100303301B1 KR 100303301 B1 KR100303301 B1 KR 100303301B1 KR 1019990024495 A KR1019990024495 A KR 1019990024495A KR 19990024495 A KR19990024495 A KR 19990024495A KR 100303301 B1 KR100303301 B1 KR 10030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thernet
voice
computer
ethernet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941A (ko
Inventor
김창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30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30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B+D의 채널 구조를 갖는 컴퓨터- 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지 않는 1B 채널을 이용하여 이더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합정보통신망 채널을 사용하는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로부터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2 베어러 채널을 통해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의 포맷 형태로 변환한 다음 출력하는 다수의 디지털 키셋과, 상기 각 디지털 키셋의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트렁크로 스위칭한 다음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일반전화공중망으로 전송하고, 제2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스위칭 한 다음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교환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COMPUTER-TELEPHONY INTEGRATION SYSTEM HAVING ETHERNET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2B+D의 채널 구조를 갖는 컴퓨터- 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하지 않는 1B 채널을 이용하여 이더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서는 디지탈 간이 교환장치(107)와, 디지탈 전화기(101)와 컴퓨터(103)을 연결해주기 위한 CTiM(105)으로 구성된다. 이는 ISDN의 표준 방식인 2B+D의 구조, 즉 2개의 음성과1개의 제어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전화 복합 모듈(이하 'CTiM'이라 함: 105)과 디지탈 전화기(101)와는 B1+D1으로 연결되어 B1채널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D1 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D2채널을 통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즉 B2+D2로 연결되는 컴퓨터(10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B채널 중 B1채널로는 음성만을 송수신하며, B2채널로는 디지탈 전화기(101)에서 제공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기능코드를 전부 알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컴퓨터(103)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B1채널은 컴퓨터(103)에 응용 프로그램 및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추가하여 사용 가능한 기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이를 통해 해당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탈 간이 교환장치(107)에 구성되어 있는 디지탈 라인 인터페이스(DLI:도시하지 않음)는 2B+D의 채널로 구성되어 1B 채널로는 음성을 처리하나 다른 1B채널로는 디지탈 간이 교환장치(107) 내부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이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서 외부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으므로 컴퓨터-전화 복합 모듈에 연결된 전화기의 데이터만을 컴퓨터가 처리하는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진정한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서 B채널을 통해 이더넷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빌딩내에서 음성을 위한 별도의 교환기의 설치 또는 정보 데이터를 위한 네트웍망 설치 없이 컴퓨터를 통해 이더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종합정보통신망 채널을 사용하는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로부터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2 베어러 채널을 통해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의 포맷 형태로 변환한 다음 출력하는 다수의 디지털 키셋과, 상기 각 디지털 키셋의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트렁크로 스위칭한 다음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일반전화공중망으로 전송하고, 제2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스위칭 한 다음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교환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의 이더넷 데이터 통신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서 이더넷 통신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이더넷 통신을 할 수 있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에서 이더넷 통신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컴퓨터(103)은 인터넷을 10MBPS로 사용할 수 있는 이더넷 카드(IthernetCard)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디지털 키셋(Digital Keyset or Digital Phone: 110)은 상기 컴퓨터(103)과 디지털 전화기(101)와 연결되고, 상기 컴퓨터(103) 또는 디지털 전화기(101)에서 입력하는 신호에 대해 64KBPS의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키셋(110)은 디지털 비동기 가입자 라인(Digital Asynchronous Subscriber Line: 이하 'DASL'이라 함)(113)과 이더넷 제어기(111)와 음성처리기(115)와 제어부(117)로 구성된다.
상기 이더넷 제어기(111)는 상기 컴퓨터(103)에서 입력되는 10MBPS의 데이터(이하 '이더넷 데이터'라 함)를 입력받고, 상기 DASL(113)를 통해 교호부호반전(Alternative Mark Inversion: AMI)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교호부호반전 코드는 상기 이더넷 데이터를 64KBPS의 8비트 데이터로 변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이더넷 제어기(111)는 입력되는 64KBPS의 8비트 데이터를 입력받아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ler: 고 수준 데이터 링크 제어절차)의 형태로 상기 DASL(113)를 통해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컴퓨터(103)로 출력한다. 상기 DASL(1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2B+D 채널 중 1B채널을 점유한다. 제어부(117)는 음성처리기(115)를 제어하여 디지털 전화기(101)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64KBPS의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음성처리기(11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는 상기 1B채널과 다른 1B채널을 점유한다. (이때, D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어떤 데이터인가?) 디지털 가입자 처리부(121)는 다수의 디지털 키셋(110)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디지털 키셋(110)에서 출력되는 2B+D의데이터를 타임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ple: TDM) 처리를 수행하여 32채널을 하나의 파이프(PIPE or Highway: 이하 '하이웨이 데이터'라 함)로 묶어 출력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가입자 처리부(121)는 32채널 단위로 묶인 하이웨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단일의 2B+D 형태의 데이터로 분리하여 디지털 키셋(110)으로 출력한다. 타임 스위칭부(123)는 상기 하이웨이 데이터를 디지털 가입자 처리부(121)로부터 입력받아 인더넷 데이터 변환부(TDM to Ethernet Converter: 125) 또는 제2음성처리부(140)으로 출력한다.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125)는 다수의 데이터 변환기(124)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타임 스위칭부(123)으로부터 하이웨이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하이웨이 데이터의 32채널 중 각각의 채널로부터 64KBPS의 데이터를 직렬에서 병렬로 바꾸어 주고, 이를 다시 10MBPS의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허브(HUB: 13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더넷 데이터 변환기(125)는 상기 허브(130)에서 입력하는 이더넷 데이터를 64KBPS의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임 스위칭부(123)을 통해 해당 디지털 가입자 처리부(121)로 전송된다. 상기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125)는 헤더(Header), 스타트 비트(Start Bit)등을 포함시켜 상기 허브로 출력한다. 상기 허브(130)는 다수의 데이터 변환부(124)로부터 10MBPS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100MBPS의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근거리통신망(LNA) 또는 광역 통신망(WAN)으로 출력한다. 또한 허브(130)는 상기 근거리통신망 또는 광역 통신망에서 입력되는 100MBPS의 이더넷 데이터를 10MBPS의 이더넷 테이터로 변환하여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125)로 출력한다.
상기 허브(130)는 입력되는 10MBPS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다수의 제1인터페이스부(131)와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131)에 저장되어 있는 10MBPS의 데이터를 100MBPS의 데이터로 모아 근거리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으로 출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망 또는 광대역 통신망에서 입력되는 100MBPS의 이더넷 데이터를 10MBPS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해당 제1인터페이스부(131)로 출력하는 제2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1와이어(Wire) 라인을 이용하여 이더넷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기존의 데이터 장비가 가지고 있었던 문제인 2와이어의 배선과 짧은 전송 거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64KBPS의 속도로 이더넷을 변환하여 다시 디지털 비동기 가입자 라인을 통하여 교호부호반전 코드로 변환함으로 전송거리를 기존의 데이터망 보다 수배 이상 늘리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64KBPS를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이더넷 데이터 변환기를 이용하여 광대역통신망과 근거리통신망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즉 PSTN으로부터 들어오는 T1, E1 또는 트렁크는 64KBPS로 타임 스위치로 들어오게됨으로 이를 다시 이더넷 데이터 변환기로 보내게 되면 이더넷 형태로 변환되어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여러개의 트렁크와 이더넷 데이터 변환기를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은 내부에 근거리통신망이 없다면 컴퓨터로부터 이더넷 데이터가 타임 스위치를 거쳐 일반공중전화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일반공중전화망을 통한 광대역통신망의 역활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종합정보통신망 채널을 사용하는 컴퓨터-전화 복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로부터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2 베어러 채널을 통해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음성 데이터의 포맷 형태로 변환한 다음 출력하는 다수의 디지털 키셋과,
    상기 각 디지털 키셋의 제1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트렁크로 스위칭한 다음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일반전화공중망으로 전송하고, 제2베어러 채널을 통해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스위칭 한 다음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교환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키셋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전화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이더넷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부와,
    상기 음성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이더넷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 포맷의 형태로 변환하는 디지탈 비동기 가입자 라인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탈 비동기 가입자 라인을 제어하는 이더넷 제어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의 음성 데이터 형태로 포맷 시 교호부호반전 코드에 의해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가,
    상기 다수의 디지털 키셋 각각에서 출력되는 제1베어러 채널과 제2베어러 채널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탈 가입자 처리부와,
    소정의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상의 이더넷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와,
    소정의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일반공중전화망으로 전송하는 트렁크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하이웨이 데이터를 입력받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이면 상기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로 스위칭하여 출력하고, 음성 데이터이면 상기 트렁크로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이더넷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망으로 인터페이싱하는 허브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음성 데이터 포맷 형태의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원상의 이더넷 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수의 데이터 변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가,
    상기 데이터 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이더넷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1전송 용량으로 인터페이싱하는 다수의 제1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다수의 제1인터페이스부에서 인터페이싱된 이더넷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망의 제2전송 용량으로 인터페이싱 하는 제2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송 용량이 10MBPS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송 용량이 100MBPS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기 복합 시스템.
KR1019990024495A 1999-06-26 1999-06-26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30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495A KR100303301B1 (ko) 1999-06-26 1999-06-26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4495A KR100303301B1 (ko) 1999-06-26 1999-06-26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941A KR20010003941A (ko) 2001-01-15
KR100303301B1 true KR100303301B1 (ko) 2001-11-01

Family

ID=1959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449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3301B1 (ko) 1999-06-26 1999-06-26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33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941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3062A (en) Digital modem
US4740955A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voice and digital data capability and employing a plurality of voice and data buses in main service unit and serial packetized transmission to and from telephones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JPH07131521A (ja) ディジタル通信方式
US4839888A (en) Digital time-division multiplex switch-based telephone subscriber connection system
US6973169B1 (en) Telephone network for a structured item an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remote structured items using this network
KR100203355B1 (ko) 발신 전용 휴대 전화 시스템
KR100303301B1 (ko) 이더넷 데이터 통신장치를 가지는 컴퓨터-전화 복합시스템
KR19980040998A (ko) 비동기식 전송모드(atm) 사설망의 음성전화 서비스장치
KR960011706B1 (ko) Isdn 망에 접속가능한 디지탈 키폰 시스템
JP2631801B2 (ja) アナログ回線用非同期転送モード加入者回路
KR100286974B1 (ko) 디지탈 종합정보통신망용 통합단말장치
KR10028571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가입자신호직접변환방법
JP3390324B2 (ja) Isdn回線交換用ターミナルアダプタ
US5579313A (en) Method of multiplexing speech signal and control signal in ISDN B-channels for an exchange system
KR0159544B1 (ko) 종합정보 통신망 가입자의 패킷망 정합장치
EP1093278A2 (en) Access network based on the Internet Protocol
JP2689061B2 (ja) 非同期転送モード交換機
KR100542703B1 (ko) 다양한 망과의 연동을 통한 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스위칭 시스템 및 그 방법
KR0150284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통신 연동장치
JP2654024B2 (ja) ディジタルボタン電話装置
JP2734235B2 (ja) 非パケット形態データのdチャネルパケット通信方式
JPH0818626A (ja) バックアップ多重化方法
KR100311957B1 (ko) 교환기의 부가 기능용 직렬 포트 장치
JPH053577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