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3011B1 -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3011B1
KR100303011B1 KR1019980054649A KR19980054649A KR100303011B1 KR 100303011 B1 KR100303011 B1 KR 100303011B1 KR 1019980054649 A KR1019980054649 A KR 1019980054649A KR 19980054649 A KR19980054649 A KR 19980054649A KR 100303011 B1 KR100303011 B1 KR 100303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synchronous motor
command
current
volt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332A (ko
Inventor
강석주
한권상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5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3011B1/ko
Priority to US09/457,363 priority patent/US6264005B1/en
Priority to JP35201399A priority patent/JP3338680B2/ja
Publication of KR2000003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3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301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정전 발생시 자력으로 비상운전을 수행하는 시스템에서 정전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될 때 동기전동기의 역기전력으로 비상운전을 수행하여 승객을 대피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이 목적은 전원이상검출장치에 의해 전원의 이상이 검출되어 기동지령이 발생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카가 구출층에 도착할 때 그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카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제어수단과; 정상운전모드에서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카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고, 비상운전모드에서는 그 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에 의해 회전되면서 역기전력을 발생하는 동기전동기와; 상기 동기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상기 인버터를 통해 전달받아 충전한 후 그 충전전압을 다시 인버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전압이 일정 레벨로 상승될 때 상기 인버터를 통해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카의 비상운행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서 정전 발생시 자력으로 비상운전을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상전동기로서 계자에 영구자석을 채택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채용한 엘리베이터에서 정전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될 때 동기전동기의 역기전력으로 비상운전을 수행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권상전동기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사용하고 계자에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경우 계자분 전류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는 통상의 유도전동기에 비해 효율이 높으므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이러한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채택하는 경우 전체 시스템의 효율이 상승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정전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될 때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시키면, 엘리베이터의 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에 의해 카는 상승 또는 하강된다. 그런데, 전동기의 계자에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때 전동기가 발전기로 동작하고, 이렇게 발생된 전압이 인버터를 통해 직류전압으로 충전된다. 따라서, 그 충전된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인버터 제어장치를 통해 전동기의 토오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최근접층으로의 비상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상 교류전원(101)을 직류로 변환하고 평활하는 컨버터(102) 및콘덴서(103)와; 상기 콘덴서(103)측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104)와; 상기 인버터(104)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는 동기전동기(105)와; 정전이 발생되어 비상운전시 상기 동기전동기(105)의 출력단자를 접지저항(105B)에 단락시키는 콘택터(105A)와; 상기 인버터(104)로부터 동기전동기(105)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106)와; 상기 동기전동기(105)와 직결되어 그의 회전속도와 후술할 카(110)의 주행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및 위치검출기(107)와; 상기 동기전동기(10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카(110)와 균형추(111)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운행시키는 권상기(108) 및 그 권상기(108)의 브레이크(109)와; 상기 3상 교류전원(101)이 비정상적으로 입력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검출하는 전원이상 검출기(112)와; 평상시 상기 동기전동기(105)의 속도지령을 하달하고, 상기 전원이상 검출기(112)로부터 정전이나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그에 상응되는 속도지령을 하달하는 콘트롤러(113)와; 상기 전류검출기(106)와 속도 및 위치검출기(107)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콘트롤러(113)의 제어명령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115)에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114)와; 상기 인버터 제어부(114)에서 출력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인버터(104)의 파워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구동신호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115)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운전모드에서는 3상 교류전원(101)이 컨버터(102)를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후 다시 콘덴서(103)를 통해 평활되고, 이렇게 생성된 직류전압이 인버터(104)의입력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러(113)로부터 인버터 제어부(114)에 속도지령이 하달되면, 게이트 구동부(115)를 통해 상기 인버터(104)에 소정 패턴의 게이트 구동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그 인버터(104) 내부의 스위칭 소자들이 스위칭되어 동기전동기(105)에 3상구동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기전동기(105)가 입력 구동전원에 상응되는 속도로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권상기(108)로 전달되어 카(110)가 목적한 층상을 향해 주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 제어부(114)는 상기 콘트롤러(113)의 제어명령에 추종하여 동기전동기(105)가 구동되도록 그 제어명령, 전류검출기(106)와 속도 및 위치검출기(107)의 출력신호를 참조하여 해당 패턴의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고, 이 펄스폭변조신호가 게이트 구동부(115)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인버터(104)에 공급된다.
한편, 전원이상 검출기(112)에 의해 정전 등의 이상상태가 검출되어 상기 콘트롤러(113)에 그 검출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104)의 구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브레이크(109)가 구동되어 상기 카(110)가 현재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보조전원이 상기 콘트롤러(113)에 공급되고, 그 콘트롤러(113)의 제어에 의해 콘택터(105A)가 단락되어 상기 동기전동기(105)의 출력단자가 그 콘택터(105A) 및 접지저항(105B)을 통해 접지단자와 접속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109)를 석방하면 상기 카(110)와 균형추(111)의 균형에 따른 방향으로 그 카(110)가 다시 주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동기전동기(105)가 회전되어 이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역기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콘택터(105A) 및 접지저항(105B)를 통해 전류가 흐르고 상기 동기전동기(105)에는 제동토오크가 발생된다.
결국, 정전발생시 인버터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기전동기(105)의 제동토오크, 카(110)와 균형추(111)의 하중 차에 의한 토오크가 평형이 되는 점을 기준점으로 한 속도로 그 카(110)가 주행되다가 최근접층의 도어존에 도달될 때 상기 브레이크(109)가 구동되어 카(110)의 주행이 정지되고, 이때 도어를 개방하여 탑승한 승객을 무사히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운전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콘택터 및 저항을 동기전동기측이나 인버터측에 별도로 구비해 두고, 비상운전시 특정 제어신호로 그 콘택터를 제어하여 동기전동기의 출력단자가 그들을 통해 접지단자에 단락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의해 비용이 추가되는 결함이 있었다. 더욱이, 카의 운행속도는 단지 카와 균형추와의 차이 및 접지저항값에 의해 결정되므로 카의 부하상태에 따라 운전속도가 변화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전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될 때 카와 균형추와의 차이 및 접지저항값에 의해 카를 운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동기전동기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인버터를 통해 동기전동기의 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저속의 비상운전을 수행하는 운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인버터 제어부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입력교류전원202 : 컨버터
203 : 콘덴서204 : 인버터
205 : 동기전동기206 : 전류검출기
207 : 속도 및 위치검출기208 : 권상기
209 : 브레이크210 : 카
211 : 균형추212 : 전원이상 검출기
213 : 콘트롤러214 : 인버터 제어부
215 : 게이트 구동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는 전원이상검출장치에 의해 전원의 이상이 검출되어 기동지령이 발생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카가 구출층에 도착할 때 그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카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제어장치와; 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에 의한 카의 주행에 의해 동기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전달받아 충전한 후 그 충전전압을 다시 인버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장치와; 상기 충전장치의 충전전압이 일정 레벨로 상승될 때 인버터를 통해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하여 카를 주행시키는 인버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의 일실시 예시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상 교류전원(201)을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202)와; 정상운전모드에서 상기 컨버터(202)의 출력전압을 평활하고, 정전 등의 비상운전모드에서는 후술할 인버터(204)는 통해 공급되는 동기전동기(205)의 역기전력을 충전하여 그 인버터(204)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콘덴서(203)와; 정상운전모드 또는 비상운전모드에서 상기 콘덴서(20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스위칭하여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204)와; 상기 인버터(204)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카(210)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고, 비상운전모드에서는 그 카(210)와 균형추(211)의 무게차에 의해 회전되면서 역기전력을 발생하는 동기전동기(205)와; 상기 인버터(204)로부터 동기전동기(205)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기(206)와; 상기 동기전동기(205)와 직결되어 그의 회전속도와 카(210)의주행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및 위치검출기(207)와; 상기 동기전동기(20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카(210)와 균형추(211)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운행시키는 권상기(208) 및 그 권상기(208)의 브레이크(209)와; 상기 3상 교류전원(201)이 비정상적으로 입력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검출하는 전원이상 검출기(212)와; 정상운전모드에서 상기 동기전동기(205)의 속도지령을 하달하고, 상기 전원이상 검출기(212)로부터 정전이나 이상검출신호가 출력되는 비상운전모드에서는 비상운전에 적절한 속도지령을 하달하는 콘트롤러(213)와; 정상 또는 비정상운전모드에서 상기 전류검출기(206)와 속도 및 위치검출기(207)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콘트롤러(213)의 제어명령을 공급받아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을 발생하고, d,q축 전류연산 및 좌표변환과정을 통해 각 상전압의 지령치를 발생한 후 이들을 합성하여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인버터 제어부(214)와; 상기 인버터 제어부(214)에서 출력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인버터(204)의 파워트랜지스터의 게이트 구동신호로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부(215)로 구성하였다.
도 3은 도 2에서 인버터 제어부(214)의 일실시 구현예를 보인 상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류검출기(206)로 검출된 각각의 상전류 i_a , i_b , i_c를 동기좌표계상의 여자성분전류 i_d와 토오크성분의 전류i_q로 변환하는 좌표변환기(301)와; 동기전동기(205)의 속도 omega _m과 동기전동기(205)의 속도지령 {omega _m} ^ *을 입력받아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 {i_q} ^ *를 연산하는 속도제어기(302)와; 전류지령{i_d} ^ *와 상기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q를 입력하여 d축 전압지령{v_d} ^ *를 발생하는 d축전류 제어기(303)와; 상기 속도제어기(302)에서 출력되는 전류지령{i_q} ^ *와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d를 근거로 q축 전압지령{v_q} ^ *를 발생하는 q축전류 제어기(304)와; 상기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를 상기 회전각 theta _m을 기준으로 좌표변환하여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출력하는 좌표변환기(305)와; 상기 좌표변환기(305)에서 출력되는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의 펄스폭을 연산하여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운전모드에서 운전 제어과정은 종래의 기술에서와 유사하다.
즉, 3상의 입력교류전원(201)이 컨버터(202)를 통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 후 다시 콘덴서(203)를 통해 평활되고, 이렇게 생성된 직류전압이 인버터(204)의 입력전원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콘트롤러(213)로부터 인버터 제어부(214)에 속도지령이 하달되면, 게이트 구동부(215)를 통해 상기 인버터(204)에 소정 패턴의 게이트 구동신호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그 인버터(204) 내부의 스위칭 소자들이 스위칭되어 동기전동기(205)에 3상구동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동기전동기(205)가 입력 구동전원에 상응되는 속도로 회전되고, 그 회전력이 권상기(208)로 전달되어 카(210)가 목적한 층상을 향해 주행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인버터 제어부(214)는 상기 콘트롤러(213)의 제어명령에 추종하여 동기전동기(205)가 구동되도록 그 제어명령, 전류검출기(206)와 속도 및 위치검출기(207)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해당 패턴의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하고, 이 펄스폭변조신호가 게이트 구동부(215)를 통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상기 인버터(204)에 공급된다.
한편, 전원이상 검출기(212)에 의해 정전 등의 이상상태가 검출되어 상기 콘트롤러(213)에 그 검출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204)의 구동이 중지됨과 아울러 브레이크(209)가 구동되어 상기 카(210)가 현재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콘트롤러(213)에는 정전 등의 이상상태에 대비하여 준비해 두었던 보조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러(213)는 승강로의 안전상태와 각종 제어회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다음과 같이 비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먼저, 브레이크(209)를 석방시키면, 카(210)와 균형추(211)의 무게차에 따라 그 카(210)가 해당 방향으로 가속되기 시작한다. 즉, 카(210)의 하중이 균형추(211)의 하중보다 클 경우에는 하강 방향으로 운행되기 시작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상승방향으로 운행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상기 카(210)와 균형추(211)의 무게차에 의해 그 카(21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운행을 시작하면, 카(210)와 동기전동기(205)간의 동력전달계를 통해 그 동기전동기(205)측으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에 의해 그 동기전동기(205)가 회전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기 동기전동기(205)의 계자에는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동기전동기(205)로부터 역기전력이 발생되고, 이 역기전력은 상기 인버터(204)를 통해 상기 콘덴서(203)에 충전된다.
상기 콘덴서(203)의 충전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까지 상승되면 즉, 상기 인버터(204)의 구동레벨까지 상승되면 이때부터 상기 인버터제어부(214) 및 게이트 구동부(215)를 통해 그 인버터(204)를 제어하여 상기 동기전동기(205)의 회전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충전전압 레벨이 일정 레벨까지 상승되면 상기 인버터(204)를 정상운전모드에서와 같이 제어하여 동기전동기(205)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콘택터나 저항이 필요없게 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제어부(214)의 인버터 제어작용을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기전동기(205)의 제어연산은 회전자의 회전각도와 동기된 동기좌표계상에서 연산되는데, 여기에서는 영구자석의 자속과 동상 성분을 d축으로 하고, 이와 직교하는 성분을 q축으로 한다.
좌표변환기(301)는 상기 속도 및 위치검출기(207)에 의해 검출된 동기전동기(205)의 회전각 theta _m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류검출기(206)로 검출된 각각의 상전류 i_a , i_b , i_c를 동기좌표계상의 여자성분전류 i_d와 토오크성분의 전류i_q로 변환한다.
속도제어기(302)는 속도검출기(307)에 의해 검출된 동기전동기(205)의 속도 omega_m과 상기 콘트롤러(213)를 통해 공급되는 동기전동기(205)의 속도지령 {omega _m} ^ *을 입력받아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 {i_q} ^ *를 연산한다.
한편, d축전류지령 {i_d} ^ *는 자속이 영구자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통상 0으로 설정하게 되나, 영구자석의 자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그 값을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d축전류 제어기(303)는 상기 전류지령{i_d} ^ *와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q를 입력하여 d축 전압지령{v_d} ^ *를 발생하고, q축전류 제어기(304)는 상기 속도제어기(302)에서 출력되는 전류지령{i_q} ^ *와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d를 입력하여 q축 전압지령{v_q} ^ *를 발생한다.
좌표변환기(305)는 상기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를 상기 회전각 theta _m을 기준으로 좌표변환하여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는 상기 좌표변환기(305)에서 출력되는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에 따라 인버터(204)의 스위칭소자의 게이트측으로 공급할 펄스폭변조신호의 펄스폭을 연산하여 그에 상응되는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204)의 스위칭소자들이 스위칭되면서 상기 동기전동기(205)에 구동전력이 공급되고, 이에 의해 그 동기전동기(205)의 토오크가 발생되어 속도가 제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인버터 제어부(214)를 통해 동기전동기(205)를 저속으로 운전하여카(210)가 최근접층의 도어존에 도달되면 도어를 개방시켜 승객이 하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비상운전의 기동 초기에는 상기 동기전동기(205)로부터 발생되는 역기전력이 미소하여 상기 콘덴서(203)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이 정격치 이하로 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속도제어기(302)를 통해 원할하게 속도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기동 후 일정시간까지 상기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 {i_q} ^ *를 동기전동기(205)의 정격치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속도제어기(302)의 출력인 전류지령 {i_q} ^ *의 제한치를 동기전동기(205)의 회전속도에 따라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동기전동기(205)가 기동하여 일정속도로 가속되기 전까지는 상기 콘덴서(203)의 충전 직류전압의 레벨이 정격치보다 낮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동기전동기(205)의 회전속도 또는 기동 후의 경과시간에 따라 상기 d축전류 제어기(303) 및 q축전류 제어기(304)의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의 출력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즉, d축전류 제어기(303) 및 q축전류 제어기(304)의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의 제한치를 상기 동기전동기(205)의 회전속도에 따라 또는 경과시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시킨다. 또 다른 예로써, 상기 좌표변환기(305)에서 출력되는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제한하는 것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동기전동기(205)의 기동에 따라 이로부터 발생되는 역기전력에 의해 상기 콘덴서(203)에 직류전압이 충전되므로 상기 인버터(204)에 공급되는 직류전압은 평상시와 같이 일정 레벨을 유지하지 못하고 어느정도 변동하게 되는데,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에서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정확하게 합성하기 위해서는 그 변동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을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4에서와 같이, 직류전압 검출기(401)를 통해 상기 콘덴서(203)에 충전된 직류전압의 레벨을 검출하여 상기 인버터 제어부(214)에 전달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인버터 제어부(214)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가 상기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합성하여 상기 인버터(204)측으로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할 때, 상기 직류전압 검출기(401)를 통해 검출된 상기 콘덴서(203)의 직류전압 레벨에 따라 그 펄스폭변조신호의 출력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전 등의 긴급사태가 발생될 때 카와 균형추와의 차이 및 접지저항값에 의해 카를 운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동기전동기의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인버터를 통해 동기전동기의 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저속의 비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소자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비상운전을 안정감 있게 수행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원이상검출장치에 의해 전원의 이상이 검출되어 기동지령이 발생되면 권상기의 브레이크를 개방하고, 카가 구출층에 도착할 때 그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카를 정지시키는 브레이크제어수단과; 정상운전모드에서 인버터의 출력전압에 의해 구동되어 카의 주행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고, 비상운전모드에서는 그 카와 균형추의 무게차에 의해 회전되면서 역기전력을 발생하는 동기전동기와; 상기 동기전동기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상기 인버터를 통해 전달받아 충전한 후 그 충전전압을 다시 인버터의 구동전압으로 공급하는 충전수단과; 정상운전모드에서 전류검출기와 속도 및 위치검출기의 출력신호를 공급받고 콘트롤러의 제어명령을 공급받아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을 발생하며 d,q축 전류연산 및 좌표변환과정을 통해 각 상전압의 지령치를 발생한 후 이들을 합성하여 상기 인버터측에 펄스폭변조신호를 출력하고, 비상운전모드에서는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전압이 일정 레벨로 상승될 때 상기 정상운전모드와 같이 펄스폭변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및 토오크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카의 비상운행을 제어하되, 동기전동기가 일정속도로 가속되기 전까지는 그의 회전속도 또는 기동 후의 경과시간에 따라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의 출력치를 적절히 제한하는 인버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버터 제어장치는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각 theta _m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상전류 i_a , i_b , i_c를 동기좌표계상의 여자성분전류 i_d와 토오크성분의 전류i_q로 변환하는 좌표변환기(301)와; 상기 동기전동기의 속도 omega _m과 속도지령 {omega _m} ^ *을 입력받아 토오크성분의 전류지령 {i_q} ^ *를 연산하는 속도제어기(302)와; 전류지령{i_d} ^ *와 상기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q를 근거로 d축 전압지령{v_d} ^ *를 발생하는 d축전류 제어기(303)와; 상기 속도제어기(302)에서 출력되는 전류지령{i_q} ^ *와 좌표변환기(301)에서 변환된 전류 i_d를 근거로 q축 전압지령{v_q} ^ *를 발생하는 q축전류 제어기(304)와; 상기 d,q축 전압지령{v_d} ^ * , {v_q} ^ *를 상기 회전각 theta _m을 기준으로 좌표변환하여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를 출력하는 좌표변환기(305)와; 상기 좌표변환기(305)에서 출력되는 상전압의 지령치 {v_a} ^ * , {v_b} ^ * , {v_c} ^ *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의 펄스폭을 연산하여 펄스폭변조신호를 생성하는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속도 제어기(302)는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또는 기동후의 경과시간에 따라 전류지령 {i_q} ^ *의 출력 제한치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d축전류 제어기(303)는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또는 기동후의 경과시간에 따라 d축 전압지령{v_d} ^ * 의 출력 제한치를 달리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q축전류 제어기(304)는 상기 동기전동기의 회전속도 또는 기동후의 경과시간에 따라 q축 전압지령{v_q} ^ * 의 출력 제한치를 달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펄스폭변조신호 출력부(306)는 상기 충전수단의 충전전압 레벨에 따라 펄스폭변조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제어장치.
KR1019980054649A 1998-12-12 1998-12-12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303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49A KR100303011B1 (ko) 1998-12-12 1998-12-12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US09/457,363 US6264005B1 (en) 1998-12-12 1999-12-09 Method for controlling rescue operation of elevator car during power failure
JP35201399A JP3338680B2 (ja) 1998-12-12 1999-12-10 停電時のエレベータ救出運転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649A KR100303011B1 (ko) 1998-12-12 1998-12-12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332A KR20000039332A (ko) 2000-07-05
KR100303011B1 true KR100303011B1 (ko) 2002-05-09

Family

ID=1956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6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3011B1 (ko) 1998-12-12 1998-12-12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64005B1 (ko)
JP (1) JP3338680B2 (ko)
KR (1) KR100303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326A (ja) * 2000-02-28 2001-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347982B2 (ja) * 2000-02-28 2009-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283963B2 (ja) * 2000-02-28 2009-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302847B2 (ja) * 2000-02-28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S2231529T3 (es) * 2000-07-29 2005-05-16 Alpha Getriebebau Gmbh Cabina de ascensor con una maquina de accionamiento de polea de arrastre integrada en la misma.
KR100656650B1 (ko) * 2000-08-02 2006-12-1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엘리베이터 캐빈 비상정지용 안전장치
US6516922B2 (en) * 2001-05-04 2003-02-11 Gregory Shadkin Self-generating elevator emergency power source
KR100421373B1 (ko) * 2001-06-20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 릴럭턴스 모터의 회전 속도 제어장치
JP2003037990A (ja) * 2001-07-24 2003-02-07 Hitachi Ltd モータ制御装置
KR100509146B1 (ko) * 2001-10-17 2005-08-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003219691A (ja) * 2002-01-17 2003-07-31 Meidensha Corp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駆動システム及びその試験方法
WO2004007333A1 (ja) * 2002-07-10 2004-0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7025179B2 (en) * 2003-08-12 2006-04-11 Kuei-Tang Shih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an elevator
CN1878716B (zh) * 2003-10-07 2011-11-30 奥蒂斯电梯公司 电梯和用于执行电梯援救操作的方法
US20070282548A1 (en) * 2004-03-10 2007-12-06 Shih-Fu 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ondition of Motor-Driven Mechanical System
JP4075863B2 (ja) * 2004-06-07 2008-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トルク使用型車両
US7859217B2 (en) * 2004-09-03 2010-12-28 Siemens Industry, In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oft starter in conjunction with a single to three phase static converter
US7268514B2 (en) * 2004-11-30 2007-09-11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Motor control for stopping a load and detecting mechanical brake slippage
FR2880009B1 (fr) * 2004-12-27 2008-07-25 Leroy Somer Moteurs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US7690483B2 (en) * 2005-01-11 2010-04-0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including elevator rescue system
US7434664B2 (en) 2005-03-08 2008-10-14 Kone Corporation Elevator brake system method and control
JP4856383B2 (ja) * 2005-03-18 2012-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7013141A1 (ja) * 2005-07-26 2007-02-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7540356B2 (en) * 2005-10-18 2009-06-02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Method and apparatus to prevent or minimize the entrapment of passengers in elevators during a power failure
EP2102962A4 (en) * 2006-12-14 2013-05-15 Otis Elevator Co ELEVATOR DRIVE SYSTEM WITH A RESCUE OPERATION CIRCUIT
FI119508B (fi) * 2007-04-03 2008-12-15 Kone Corp Vikaturvallinen tehonohjauslaitteisto
CN101743187B (zh) * 2007-07-17 2012-11-28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电梯轿厢的电梯设备、用于使电梯轿厢在特殊运行中停运的制动装置以及用于使电梯轿厢在特殊运行中停运的方法
JP4975103B2 (ja) * 2007-07-25 2012-07-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331442B1 (en) * 2008-09-04 2013-10-23 Otis Elevator Company Management of power from multiple sources based on elevator usage patterns
JP5526975B2 (ja) * 2009-05-13 2014-06-18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動機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780906B (zh) * 2010-01-30 2014-04-09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电梯应急运行自适应控制方法
DE102010003595A1 (de) * 2010-04-01 2011-10-06 Robert Bosch Gmbh Wechselrichter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Wechselrichters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FI122125B (fi) * 2010-04-07 2011-08-31 Kone Corp Säätölaite ja hissin sähkökäyttö
US9719569B2 (en) * 2011-05-19 2017-08-01 Otis Elevator Company Brake for electric motor
CN102351121B (zh) * 2011-10-01 2013-09-25 西子联合控股有限公司 一种电梯应急疏散装置及电梯应急疏散方法
GB2507304B (en) * 2012-10-25 2020-02-12 Eaton Intelligent Power Ltd A tracking circuit and method for tracking an orientation of a rotor of a motor during a loss of source power to a motor drive
EP2774885B1 (en) * 2013-03-04 2016-05-1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performing a balance check with an elevator
FI124268B (fi) * 2013-05-29 2014-05-30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pelastusajon suorittamiseksi
US10063181B2 (en) * 2014-07-14 2018-08-28 Nidec Mo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oss of input phase by sensing after power rectifier
CN104150294A (zh) * 2014-08-05 2014-11-19 苏州德朗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
JP6193831B2 (ja) * 2014-09-19 2017-09-0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機械の保護動作開始判定機能を有するモータ制御装置
US11014778B2 (en) * 2015-08-07 2021-05-25 Otis Elevator Company Rescue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PM) synchronous motor drive system
HK1253718A1 (zh) 2015-08-07 2019-06-28 Otis Elevator Company 包括永磁體(pm)同步電機驅動系統的電梯系統
US10427908B2 (en) * 2016-04-15 2019-10-01 Otis Elevator Company Emergency mode operation of elevator system having linear propulsion system
CN109167339B (zh) * 2018-09-25 2024-12-03 北京卓立汉光仪器有限公司 自动失电抱闸控制器、设备及控制方法
MX2021007348A (es) 2018-12-20 2021-09-21 Inventio Ag Metodo para mover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ascensor para la evacuacion de los pasajeros y dispositivo de liberacion de freno para mover una cabina de ascensor de un ascensor para la evacuacion de los pasajeros.
CN112850407B (zh) * 2021-01-25 2023-01-06 广东寰宇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应急情况下控制电梯轿厢移动的方法及系统
WO2024261922A1 (ja) * 2023-06-21 2024-12-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6866A (ja) * 1981-08-25 1983-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S5836867A (ja) * 1981-08-25 1983-03-03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エレベ−タの非常時運転装置
JPS58135075A (ja) * 1982-02-08 1983-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終端階減速装置
AU570439B2 (en) * 1983-03-28 1988-03-17 Compression Labs, Inc. A combined intraframe and interframe transform coding system
JPS602075A (ja) * 1983-06-15 1985-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S6015379A (ja) * 1983-07-04 1985-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US4779709A (en) * 1985-09-02 1988-10-25 Hitachi, Lt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 elevators
US4785914A (en) * 1987-06-19 1988-11-2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leveling safeguard control and method
JPH0659985B2 (ja) * 1988-11-07 1994-08-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2628397B2 (ja) * 1990-04-25 1997-07-09 回生工業株式会社 インバータ電源を用いた油圧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方法
KR100202709B1 (ko) * 1996-11-04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비상 운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38680B2 (ja) 2002-10-28
KR20000039332A (ko) 2000-07-05
JP2000211838A (ja) 2000-08-02
US6264005B1 (en) 2001-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3011B1 (ko)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KR100204523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KR100237611B1 (ko) 엘리베이터의 인버터 이상동작 방지장치
JP3023335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運転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0219445A (ja) エレベ―タシステムのレベリング制御装置
JPS6315231B2 (ko)
KR20070064726A (ko) 전동지게차 구동용 모터 제어장치
JP4111599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S61258695A (ja) エレベ−タの速度制御装置
JP352186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7079A (ja) エレベータ用インバータの速度制御装置
JP2001309694A (ja) エレベータ用永久磁石同期電動機の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134976A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JP2000211829A (ja) エレベ―タ制御装置
JP3260070B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9287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136104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4211127B2 (ja) 永久磁石式同期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装置
JPH0747425Y2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240935A (ja) 交流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628884B2 (ja) インバータの調整方法
JP2004256239A (ja) 油圧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H0321647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9990043552A (ko) 엘리베이터 제어방법 및 장치
JPH04371470A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