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02680B1 - 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2680B1
KR100302680B1 KR1019990036620A KR19990036620A KR100302680B1 KR 100302680 B1 KR100302680 B1 KR 100302680B1 KR 1019990036620 A KR1019990036620 A KR 1019990036620A KR 19990036620 A KR19990036620 A KR 19990036620A KR 100302680 B1 KR100302680 B1 KR 10030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vibration motor
present
commutator
rotat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942A (ko
Inventor
정성종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이노텍(주)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90036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26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268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코일과 정류자를 포함하여 불평형 질량을 가지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수단 아래에 있어 일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밀착 고정되는 요크와 상기 정류자와 대향되게 설치된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류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의하면, 마그네트의 절개부분을 극경계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몫은 극히 미비하게 되고, 회전력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Vibration Mo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트와 회전자 사이의 높이 불균일을 해소하여 일정적으로 진동력을 확보하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모터는, 호출기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호출음이나 전화기 신호음을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도 호출 상황이나 전화 수신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진동모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회전자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모터는 덮개(10) 및 요크(60)에 각각 회전 저항을 줄이기 위한 베어링(12)을 설치하고, 상기 요크(60)에는 입력전원을 정류자(40)에 전달하는 인쇄회로기판(70)에 형성된 블러쉬(72) 및 와이어(74)와 마그네트(5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자(20)는 코일(22)과 정류자(40)를 포함하는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이 진동모터는 3상 구동방식으로 구동되고 있다. 이때 상기 덮개(10)와 요크(60)의 각 베어링(12)에는 회전자(20)를 설치한 회전축(30)이 설치되어 전체적인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회전자(20)의 회전시 나타나는 그 궤적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에 진동모터의 회전자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진동모터의 토크리플을 나타낸 특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모터는 마그네트(50)의 일단면이 인쇄회로기판(70)에 중첩되어 조립됨에 따라 회전자 코일과의 공극(A'),(B')이 360도 회전시 계속 변화 된다. 상기 진동모터의 회전력인 토크리플(Torque Ripple)은 코일(22)에서 흐르는 전류와 마그네트(50)에서 발생되는 자속의 곱으로 나타내는 것을 플레밍의 왼손법칙, F=Bil과 T=F·r에 의해 T=Bil·r로서 익히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진동모터에서는 공극(A'),(B')의 변화에 따라 F가 변화하므로 회전 각도별 토크리플의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발생은 회전자(20) 사출물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회전시 불평형력에 의해 발생되며 이때의 진동량은 mrw2으로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동모터에 의하면, 전원선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은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일부에만 중첩되기 때문에 요크와 마그네트 상면과의 평행도가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마그네트와 대향하여 회전자 코일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또한 요크 중심에 배설된 회전축과 직각으로 연결되므로 요크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와의 평행도가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진동모터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트와 회전자 사이의 높이 불균일을 해소하여 일정한 진동력을 확보하는 진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진동모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진동모터의 회전자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에 진동모터의 토크리플을 나타낸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과 마그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토크리플을 나타낸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그네트의 절개부에 의한 자속밀도를 나타낸 특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덮개 12 : 베어링
20 : 회전자 22 : 코일
30 : 회전축 40 : 정류자
50 : 마그네트 52 : 절개부
60 : 요크 70 : 인쇄회로기판 72 : 브러쉬 74 : 와이어
A', B' : 공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는, 코일과 정류자를 포함하여 불평형 질량을 가지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수단 아래에 있어 일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밀착 고정되는 요크와 상기 정류자와 대향되게 설치된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류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의하면, 마그네트의 절개부분을 극경계로 하기 때문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몫은 극히 미비하게 되고, 회전력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종래 설명과 같은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상의 번잡함을 피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과 마그네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72)를 형성한 인쇄회로기판(70)이 통과되는 일부에는 마그네트(50)가 배치되지 않는 것으로, 마그네트(50)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52)가 형성된다. 이때 전원선이 연결된 인쇄회로기판(70)은 마그네트(50)의하부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회전자 궤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50)의 일부를 절개하므로 회전자(20)의 회전시 마그네트(50)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 값(A')=(B')이 일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의 절개부분을 극경계로 하기 때문에 자속밀도의 특성상에는 전혀 영향이 미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마그네트의 절개부에 의한 토크리플의 변화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의 토크리플을 나타낸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마그네트의 절개부에 의한 자속밀도를 나타낸 특성도이다.
상기 도면 중 도 5에서 설명하였듯이 마그네트(50)에서 발생되는 자속밀도 값은 절개(52)부를 극경계로 하였기 때문에 특성상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유는 상기 극경계부분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몫(Portion)이 극히 미미하기 때문이다. 결국 3상 120도 통전방식의 경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속밀도 파형의 전기각 120도 부분이 궁극적으로 토크리플에 기여하기 때문에 극경계부분에 영향이 거의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진동모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50)를 2개 이상의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장착하는 것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70)과의 중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동모터에 의하면, 마그네트의 절개부분을 극경계로 하였기 때문에 회전력이 작용하는 몫은 극히 미비하게 되고, 회전력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진동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코일과 정류자를 포함하여 불평형 질량을 가지는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을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수단 아래에 있어 일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에 밀착 고정되는 요크와 상기 정류자와 대향되게 설치된 브러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류 통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상기 정류자는 2상 또는 3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KR1019990036620A 1999-08-31 1999-08-31 진동모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30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620A KR100302680B1 (ko) 1999-08-31 1999-08-31 진동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620A KR100302680B1 (ko) 1999-08-31 1999-08-31 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942A KR20010019942A (ko) 2001-03-15
KR100302680B1 true KR100302680B1 (ko) 2001-11-01

Family

ID=1960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6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302680B1 (ko) 1999-08-31 1999-08-31 진동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2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536B1 (ko) * 2005-09-13 2007-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슬림형 진동 모터
KR100901117B1 (ko) * 2008-09-24 2009-06-05 영백씨엠 주식회사 코인형 진동모터
JP5538740B2 (ja) * 2009-03-18 2014-07-02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熱処理装置
KR20160033407A (ko) 2014-09-18 2016-03-28 주식회사 오리엔텍 진동모터
KR20160046442A (ko) 2014-10-21 2016-04-29 주식회사 오리엔텍 모터 조립 방법
CN106208613B (zh) * 2016-07-21 2018-09-2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线性振动电机
CN113977736B (zh) * 2021-12-28 2023-03-21 常州智砼绿色建筑科技有限公司 用于叠合板加工生产的输送机构及其加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2878U (ko) * 1981-09-01 1982-05-22
JPS5831756U (ja) * 1981-08-25 1983-03-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軸方向空隙型無鉄心直流電動機
JPH09285091A (ja) * 1996-04-12 1997-10-3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薄型偏平コアレス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756U (ja) * 1981-08-25 1983-03-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軸方向空隙型無鉄心直流電動機
JPS5782878U (ko) * 1981-09-01 1982-05-22
JPH09285091A (ja) * 1996-04-12 1997-10-31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薄型偏平コアレス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942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0261A1 (en) Flat type vibrating motor
KR100302680B1 (ko) 진동모터
JP3322954B2 (ja) 小型モータの組立式整流子
JP2872623B2 (ja) 出力軸のない振動モータ
KR100377562B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KR20010082106A (ko) 직경 방향 공극식 회전 요크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JP2001104882A (ja) 扁平型振動モータ
JPS589563A (ja) トランジスタモ−タ
JP2000224805A (ja) 扁平型振動モータ
JP3618950B2 (ja) 偏心コアード振動モータ
JPH0681443B2 (ja) 出力軸のない振動モータ
JP3776656B2 (ja) 直流振動モータ及びその電機子構造
JP2001211625A (ja) 直流モータ及びその電機子構造
KR200225225Y1 (ko) 무정류자 직류모터
JP2000069733A (ja) 扁平型振動発生モータ
KR100432608B1 (ko) 코인형 진동 모터 및 정류자와 코일의 결선 방법
KR100307739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2001062394A (ja) 扁平型振動モータ
KR100454660B1 (ko) 코인형 진동 모터 및 정류자와 코일의 결선 방법
KR19990050518A (ko) 평편형 브러시리스 진동 모터
KR100519812B1 (ko) 편심 중량 마그네트를 갖는 브러쉬리스 진동모터
KR200222022Y1 (ko) 편평형 코아리스 진동 모터
KR200368795Y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100593164B1 (ko) 편평형 진동 모터
JP3049615U (ja) 振動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