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9082B1 - 천공장치및그장치를이용한천공방법 - Google Patents

천공장치및그장치를이용한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9082B1
KR100299082B1 KR1019960706342A KR19960706342A KR100299082B1 KR 100299082 B1 KR100299082 B1 KR 100299082B1 KR 1019960706342 A KR1019960706342 A KR 1019960706342A KR 19960706342 A KR19960706342 A KR 19960706342A KR 100299082 B1 KR100299082 B1 KR 10029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layer
inner layer
container
layer
pun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기오 노모토
타까유끼 고토
마사시 요네야마
요시오 시바노
요시오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8855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556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010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915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793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31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03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5631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546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650175B2/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쇼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요시노 쇼이치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08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77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fluent contents by means of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1/00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 G01F11/02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11/021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 G01F11/025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with manually operated pistons
    • G01F11/028Apparatus requiring external operation adapted at each repeated and identical operation to measure and separate a predetermined volum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from a supply or container, without regard to weight, and to deliver it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of the piston type with manually operated pistons the dosing device being provided with a dip tube and fitted to a container, e.g. to a bottle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45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54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partially cutting through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94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preform having at least partially loose components, e.g. at least partially loo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29L2009/001Layered products the layers being lo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3/00Cutting
    • Y10S83/914Flash trim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16To punch and cut punched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적층박리용기(A)는 공기도입구멍(10)을 갖는 합성수지제의 외측층(1)과 외측층의 내측에 박리가능하게 적층된 합성수지제의 내측층(2)을 구비하고, 공기도입구멍 근처의 내측층만 미리 부분적으로 외측층으로부터 박리되어 있다.
공기도입 구멍은 적층박리용기의 주둥이부(4)에 외측층의 외측에서 펀치를 박아넣어 내측층을 남기고, 외측층만 오려내어 형성할 수 있다. 외측층으로부터 미리 부분적으로 박리시킨 내측층을 안쪽으로 팽창시켜도 좋다.
내측층은 굽힘 탄성율이 1000㎏/㎠이하의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천공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천공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내용액의 감소에 따라 내측층이 외측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에 공기도입 구멍을 뚫는 천공장치 및 그 천공장치를 이용한 적층박리용기의 공기도입 구멍의 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적층박리용기는 합성 수지제의 외측층의 내측에 합성 수지제의 내측층이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고, 통상은 적층박리용기의 주둥이부에 펌프를 장착하여 밀폐되어 사용된다. 이 펌프에 의해 용기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하면, 내용액의 감소에 따라 내측층이 외측층으로 부터 박리되어 수축하게 되어 있다. 이 내측층의 수축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서, 외측층에는 공기도입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도입 구멍의 형성방법으로서, 적층박리용기의 외측층을 부분적으로 용융하여 구멍을 뚫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6-345069호공보참조). 이 방법에서는 적층용기의 내측층에 외측층보다 융점이 높은 수지재료를 사용하고, 외측층의 수지 융점보다 높고 내측층의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범위로 설정한 용융수단을 사용하여, 외측층의 수지만을 용융하여 공기도입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공기도입 구멍의 형성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내측층과 외측층의 수지 융점에 온도차가 적은 경우에는 외측층만을 용융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내측층과 외측층의 수지 융점에 소정의 온도차가 필요하나, 이것은 내측층과 외측층에 사용하는 수지의 선택에 제약을 받는다.
용융수단에 의해 외측층의 수지를 용융하여 공기도입 구멍을 뚫고 있으므로, 공기도입 구멍을 소정 형상으로 샤프하게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고, 말끔한 구멍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마무리 가공이 필요하다.
용융수단을 일정한 온도범위로 유지하도록 온도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장치가 복잡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외측층에 소망하는 형상으로 공기도입 구멍을 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적층박리용기로는 일본국 특개평4-339759호 공보나 특개평 5-31O265호공보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층과 내측층의 일부가 접합된 것이 있다. 외측층과 내측층을 접합하는 접합부의 설치위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고려되고 있지만, 그 한가지 형태로서, 적층박리용기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일직선으로 접합부를 설치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 적층박리용기는 통상, 이하에 기재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먼저, 제조 할 적층박리용기에 대응하는 적층구조를 구비한 적층파리손(parison:용융예비성형물) 또는 적층 프리폼(이하, 적층파리손등이라함)을 압출성형 수단으로 성형하고, 이러한 성형시에 축선방향을 따라서 뻗어있는 접합부를 소정 위치에 설치하고, 접합부 이외에서는 외측층과 내측층을 박리가능하게 해 놓는다. 다음에, 이 적층파리손등을 금형에 셋트하고, 블로우성형법에 의해서 소망하는 용기형상으로 성형하여, 외측층에 공기도입 구멍을 뚫어 설치한다.
여기서 공기도입 구멍으로부터 확실히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도입 구멍의 위치를 접합부에서 어긋나게 해놓을 필요가 있다. 공기도입 구멍의 직경이 접합부의 횡폭과 같은 수 또는 그 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접합부와 공기도입 구멍을 중복시키면, 결과적으로 공기도입 구멍이 막히는 상태가 되어, 외측층과 내측층사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내측층을 수축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는 특히 접합부의 위치를 나타낸 표지가 없어, 공기도입 구멍을 접합부에 중복시켜 뚫어 설치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도입 구멍을 접합부에서 어긋난 위치에 확실히 설비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런데,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는 사용시에 내용물의 주출에 따라서 내측층이 외측층으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내용물을 충전하기 전에 미리, 예를들어 특개평 6-345069호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예비박리처리를 행하였다. 종래의 예비박리처리에서는 적층박리용기의 공기도입 구멍으로부터 강제로 공기를 불어 넣어 외측층으로부터 내측층을 박리시키고, 박리후에 주둥이부에서 용기내로 공기를 불어 넣고, 먼저 양층사이에 불어 넣은 공기를 공기도입 구멍으로부터 배출하여, 내측층을 재차 복귀시켜 외측층에 따르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박리용기는 내측층에 외측층의 재질보다 융점이 높고, 또 굽힘 탄성율이 10,000㎏/㎠ ~ 50,000㎏/㎠(ASTM D 790 측정법에의함)의 범위에 있는 굽힘 변형이 적은 소위 유연성이 큰 합성 수지재료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내용물의 주출에 따라 내측층을 원활하게 박리시키기 위해서는 예비박리 처리를 행하여 적층면을 전체에 걸쳐 완전히 박리시켜야 했다.
이 때문에 용기의 크기에 따라서 소정량의 공기를 양층 사이에 불어 넣어야 하므로, 불어 넣을때 조절을 잘 못하면 적층면 전체를 완전히 박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또 공기량을 조절하기위한 조절장치도 필요하여 장치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 외측층과 내측층을 박리시키는 목적을 위해서는 접착성이 약한 수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않되나, 적층박리용기를 압출 블로우성형 한 경우, 저부에 형성되는 핀치오프부에서 내측층과 외측층이 완전히 접착되지 않고, 핀치오프부의 바닥이 균열되어, 층간박리에 의해 슬릿이 형성되어 밀봉결함이 생기는 것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같이 내측층에 굽힘 변형이 적게 소위 유연성이 큰 합성 수지재료를 채용한 경우에는 이 결함을 극복할 수 없을 뿐아니라 더 조장하게 되어, 온수가 있는 곳에서 용기를 사용할 때에는 내용물의 주출시에 저부의 밀봉결함부에서 온수등이 내측층과 외측층의 사이로 침입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예비박리처리에 있어서는 일단 외측층으로부터 내측층을 박리시킨 후에 용기내에 공기를 넣고 내측층을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나, 이때에 내측층이 외측층에 눌려 접합되므로, 내외층의 박리성이 약하게 되어 버린다.
또, 종래의 예비박리처리에 있어서는 일단 외측층으로부터 박리시킨 내측층을 다시 원래상태로 복귀시켜 외측층의 내면에 따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박리처리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여부가 외관상 불분명하고, 그것을 검사하기도 곤란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비박리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액체를 넣는 용기에서 용기에 대한 내용액의 충전비율은 일반적으로 거의 일정하므로, 용기의 용량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내용액 충전후의 상부공간이 커져, 액면이 용기의 어깨부의 아랫쪽, 또는 몸통부상단 근처까지 내려 가는 일이 있다. 또, 용기의 주둥이부에 펌프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펌프삽입에 의해서 상승하는 액면 및 펌프삽입시의 문제를 고려하여, 내용액충전후의 상부공간을 크게 취하도록 하고 있고, 이 때문에 액면이 저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내용액충전 후의 상부공간이 커져, 액면이 용기의 주둥이부 보다도 내려가고, 용기의 어깨부아래쪽에서 몸통부상단 근처까지 저하하면, 용기 운반시에 액면이 흔들려, 내용액의 요동등이 심하게 되어, 그 결과, 내용액의 종류에 따라서는 거품이 일어나거나 가스의 발생등의 원인이 되었다.
또, 액면이 용기의 몸통부근까지 내려가 있으면, 표시된 소정량의 내용액이 충전되어 있더라도, 투명 또는 반투명 용기에서는 그 외관으로는 충전량이 불충분하게 보여 표시보다도 적은 인상을 소비자에게 준다는 문제가 있다. 불투명한 용기의 경우에도 용기를 흔든때의 내용액의 요동 크기로부터 동일한 인상을 소비자에게 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특징은, 서로 박리가능하게 적층되는 합성 수지의 내측층과 외측층으로 형성된 적층박리용기의 주둥이부의 밖깥쪽에서 펀치를 박아넣어, 주둥이부의 내측층을 남기고 외측층을 상기 펀치 날로 오려 내 공기도입 구멍을 형성하는 적층박리용기의 공기도입 구멍의 천공방법에 있다.
이 특징을 구비한 천공방법에 있어서는 펀치 날로 내측층의 두께를 남기고 외측층을 오려 내도록 했기 때문에, 외측층만에 공기도입 구멍을 천공할 수 있어, 대기도입 구멍을 매우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펀치 날로 천공하기 때문에, 통상의 펀치 날 형상대로 공기도입 구멍이 형성되어, 천공가공만으로 마무리함으로서, 마무리하여 가공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성형용기가 블로우 성형후에 소정 온도에 있는 사이에 이와 같은 천공방법을 실시하면, 공기도입 구멍의 형성 이 한층 더 용이하고 또한 정확히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 a ) 서로 박리가능하게 적층되는 합성 수지의 내측층과 외측층으로 형성된 적층박리용기의 주둥이부에 삽입되어 주둥이부의 내측층에 접촉시키는 받침대와, ( b ) 상기 받침대에 대해서 접근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어 받침대에 대향하는 통형상의 날을 갖는 펀치와, ( c ) 상기 펀치가 받침대에 가장 접근한 때의 통형상 날과 받침대의 이간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극유지기구를 구비한 천공장치에 있다.
이 특징을 구비한 천공장치는 상기 특징을 구비한 천공방법의 발명을 실시하는데 바람직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한 천공장치에 있어서는 장치구조가 간단하고, 또 공기도입 구멍의 형성을 간단하게 할수 있다. 또, 외측층을 오려내는 동시에 펀치가 내측층을 압압하기 때문에, 천공시에 공기도입 구멍의 주위에서 층간박리를 유발하여, 내측층이 외측층으로부터 매우 박리되기 쉽다.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한 천공장치에는 상기 펀치가 받침대에 가장 접근할 때의 통형상날과 받침대의 이간치수를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절기구에 의해 통형상날과 받침대의 간극을 조절함으로서, 외측층의 두께가 두껍워 불균형을 이루더라도 외측층에만 공기도입 구멍을 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적층박리용기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천공장치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구체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1은 실시예의 적층박리용기(A)의 정면도이다. 적층박리용기(A)는 외측층(1)과 내측층(2)을 갖고, 블로우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것으로서, 몸통부(3), 주둥이부(4), 저부(5)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층(1)은 고밀도폴리에틸렌수지제로 용기의 외관형상을 유지하는 것이고, 내측층(2)은 나일론수지제로서 외측층으로부터 박리가 자유롭고, 또 변형이 자유로운 내장백이다. 외측층(1)과 내측층(2) 사이에는 박리부(8)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층(1)과 내측층(2)의 일부는 종으로 접착되어 접착층(9)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A)의 저부(5)에는 성형시에 금형의 핀치오프부에 의해 성형된 돌출조(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조(6)에는 대향하는 융착층에 압입하는 물림부(7)가 다수 교대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조(6)를 구비함으로서, 내측층(2)을 나일론등의 접착성이 약한 수지로 구성하더라도 외측층(1)에 강력하게 융착할 수 있고, 층간박리에 의한 슬릿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용기저부에서 온수를 침입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
주둥이부(4)에 있어서의 내측층(2)의 상단에는 블로우성형시에 공기를 불어 넣는 부재에 의해서 형성된 계지부(10)가 구비되어 있다.
주둥이부(4)의 외측층(1)에, 본 발명의 천공방법 및 장치에 의해 형성된 공기도입구멍(11)이 구비되어 있다. 이 공기도입 구멍(11)은 내측층(2)과 외 측층(1) 사이에 대기를 도입하기위한 구멍이고, 용기(A)의 외관형상을 유지하면서 내측층(2)의 박리의 진행을 원활하게 행하여, 내용물을 완전히 주출하기 위해서 구비된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공기도입 구멍을 천공하는 방법과 천공하는 장치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천공장치(B)는 블로우성형된 용기(A)의 냉각공정구간에 배치설비되어 있고, 상하 움직임과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어 있다.
천공장치(B)는 지지부재(20)에 장착된 수납부재(B1)와 커터부재(B2)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0)는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되어 있고, 지지축(21)과, 지지축(21)에 평행하게 배치설비되고, 선단에 스토퍼(23)를 갖는 안내레버(22)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부재(B1)는 지지축(21)에 고정되어 아랫쪽으로 직하 하는 지지레버(24)와, 지지레버(24)의 선단에 구비된 받침대(25)로 구성되어 있다.
커터부재(B2)는 지지축(21)과 안내레버(22)에 회동불능 또한 좌우로 접동가능하게 지지된 접동부재(30)와, 접동부재(30)로부터 아랫쪽으로 직하 하는 지지레버(31)와, 지지레버(31)의 선단에 구비되어 받침대(25)에 대향하도록 배치설비된 펀치(32)로 되어 있다.
펀치(32)에는 선단에 원통상의 통형상날(33)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절출편을 도출하는 투공(34)이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레버(31)의 기단측에는 암나사(35)가 뚫어 설치되어 있고, 암나사(35)에는 스토퍼 부재로서 볼트(36)가 나사부착되어, 로크 너트(37)에 의해서 정위치로부터 어긋나지 않도록 고착되어 있다.
볼트(36)의 선단(38)이 수납 부재(B1)의 지지레버(24)에 닿을 경우, 통형상날(33)과 받침대(25)의 수납면(26)의 사이에 간극(t)이 형성된다. 이 간극(t)의 치수는 암나사(35)에 대한 볼트(36)의 나사 맞춤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조정할 수 있다. 또, 볼트(36)와 지지레버(24)는 간극유지기구를 구성하고, 암나사(35)와 볼트(36)와 로크 너트(37)는 조절기구를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에는 접동부재(30)를 좌우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이 장착되어 있고(도시하지 않음), 접동부재(30)를, 접동부재(30)가 안내레버(22)의 선단의 스토퍼(23)에 닿는 대기위치와, 볼트(36)의 선단(38)이 수납 부재의 지지레버(24)에 접촉하는 천공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작동수단으로서, 상기 스토퍼부재에 관련하여 구동제어되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작동원과, 적당한 전달수단을 선택할 수 있고, 또 수동적인 기구를 채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동부재(30)의 대기위치와 천공위치를 스토퍼부재에 의해서 규제하도록 하고 있으나, 스토퍼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작동수단의 작동범위를 제어함으로서 규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이 천공장치(B)의 작동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천공장치(B)는 냉각공정구간에 배치되어 있고, 천공가공은 천공 전의 용기(A)가 상온으로 복귀할때 까지 사이의 소정 온도상태에 있을 때에 행한다.
천공장치(B)의 비작용상태에 있어서는 지지대는 용기(A)를 이동할 수 있도록 윗쪽에 위치하고 있어, 지지부재(20)와 함께 수납 부재(B1), 커터부재(B2)도 용기(A)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접동부재(30)는 지지부재(20)로부터 소정 거리를 둔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천공 전의 용기(A)가 소정 위치로 이동되어 오면, 용기(A)에 대해서 지지대가 상대적으로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지지부재(20)에 구비된 지지레버(24)가 용기(A)의 주둥이부(4)내에 삽입되어, 받침대(25)가 용기(A)의 내측층(2)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부재(20)와 함께 접동부재(30)에 구비된 커터부재(B2)도 하강하여, 받침대(25)와 펀치(32)의 통형상날(33)이 용기(A)의 주둥이부(4)의 내측층(2), 외측층(1)을 사이에 끼워 대향하여 위치한다.
다음에, 작동수단에 의해 접동부재(30)가 X 방향으로 이동되고, 펀치(32)는 볼트(36)의 선단(38)이 지지레버(24)와 맞부딪 칠때까지 이동한다.
이때 우선, 펀치(32)가 용기(A) 주둥이부(4)의 내측층(2)을 받침대(25)의 수납면(26)으로 누르고, 이어서 통형상날(33)이 용기(A)의 주둥이부(4)의 외측층(1)으로 눌려 넣져, 내측층(2)을 남기고 외측층(1)을 오려내고, 외측층(1)에 공기도입구멍(11)을 천공한다.
천공가공은 용기(A)가 블로우성형 후 일정한 온도상태에 있을 때 행해지므로, 펀치(32)로 오려 내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다.
천공가공이 종료하면, 접동부재(30)는 Y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까지 복귀하는 동시에, 지지부재(20)는 다음 용기의 천공을 준비하기 위해 윗쪽으로 이동한다.
펀치(32)선단의 통형상날(33)과 수납면(26)의 간극(t)을 내측층(2)의 두께로 조절하면, 외측층(1)만에 공기도입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블로우성형에 있어서는 내측층(2)의 두께에 종종 불균형이 발생하지만, 간극(t)을 내측층(2)의 최소두께로 해 놓으면, 두께의 불균형이 있더라도 외측층(1)에만 공기도입구멍(11)을 천공 할 수 있다.
천공가공후의 용기(A)에는 다음공정에서, 외측층(1)과 내측층(2)을 미리 층간박리시키기 위해서, 천공된 공기도입구멍(11)으로부터 공기를 취입하여, 내측층(2)과 외측층(1) 사이에 공기를 도입한다.
이 때에 천공가공시에 공기도입구멍(11)의 주연에서 층간박리가 발생하므로, 매우 적은 공기를 도입하기만 해도 전체의 층간박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천공방법 및 장치에의해서, 용기(A)의 주둥이부(4)의 외측층(1)에 매우용이하게 공기도입 구멍(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통형상날에 의해 도입 구멍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공가공만으로 훌륭하게 마무리 되기 때문에, 후가공의 필요성이 없다. 또, 천공장치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박리용기는 내측층이 외측층으로부터 확실히 또한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어, 화장품액이나 샴푸액이나 린스액등의 각종의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이용할 수 있고, 특히 펌프부착용기로 바람직하다.

Claims (3)

  1. 서로 박리가능하게 적층되는 합성수지의 내측층과 외측층으로 형성된 용기본체의 주둥이부의 바깥쪽에서 펀치를 밖아넣고, 주둥이부의 내측층을 남기고 외측층을 상기 펀치 날로 오려 내 공기도입구멍을 형성하는 적층박리용기의 공기도입 구멍의 천공방법.
  2. ( a ) 서로 박리가능하게 적층하는 합성 수지의 내측층과 외측층으로 형성된 용기본체의 주둥이부에 삽입되어 주둥이부의 내측층에 접촉시키는 받침대와,
    ( b ) 상기 받침대에 대해서 접근분리 가능하게 지지되고, 받침대에 대향하는 통형상날을 갖는 펀치와,
    ( c ) 상기 펀치가 받침대에 가장 접근할때의 통형상날과 받침대의 간극치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극유지기구를 구비한 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가 받침대에 가장 접근할 때의 통형상날과 받침대의 떨어지는 치수를 조절하는 조절기구를 구비한 천공장치.
KR1019960706342A 1995-03-10 1996-03-06 천공장치및그장치를이용한천공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99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88558 1995-03-10
JP08855895A JP3455606B2 (ja) 1995-03-10 1995-03-10 積層剥離ブロー容器における大気導入孔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JP95-140105 1995-05-16
JP14010595A JP3915933B2 (ja) 1995-05-16 1995-05-16 積層剥離容器および初期デラミ形成方法
JP95-177936 1995-06-22
JP17793695A JP3563158B2 (ja) 1995-06-22 1995-06-22 積層剥離容器
JP95-232038 1995-08-18
JP23203895A JP3563172B2 (ja) 1995-08-18 1995-08-18 積層剥離容器における初期デラミ空気の排出方法と排出装置
JP95-235463 1995-09-13
JP23546395A JP3650175B2 (ja) 1995-09-13 1995-09-13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PCT/JP1996/000543 WO1996028353A1 (en) 1995-03-10 1996-03-06 Laminated peel container and associated technology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090A Division KR100338994B1 (ko) 1995-03-10 1996-03-06 적층박리용기와 그 관련기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082B1 true KR100299082B1 (ko) 2001-11-22

Family

ID=275253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42A Expired - Lifetime KR100299082B1 (ko) 1995-03-10 1996-03-06 천공장치및그장치를이용한천공방법
KR1020007013090A Expired - Lifetime KR100338994B1 (ko) 1995-03-10 1996-03-06 적층박리용기와 그 관련기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090A Expired - Lifetime KR100338994B1 (ko) 1995-03-10 1996-03-06 적층박리용기와 그 관련기술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6266943B1 (ko)
EP (5) EP1092633B1 (ko)
KR (2) KR100299082B1 (ko)
CN (3) CN1059398C (ko)
AU (1) AU717067B2 (ko)
CA (1) CA2189989C (ko)
DE (5) DE69632354T2 (ko)
TW (1) TW358074B (ko)
WO (1) WO19960283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86B1 (ko) * 2013-07-09 2014-12-03 (주)영진팩 백인 바틀의 내층 백 예비 박리방법 및 그 예비 박리장치
KR20150145547A (ko) * 2014-06-20 2015-12-30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가진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6968A1 (de) * 1996-07-04 1998-01-15 Gaplast Gmbh Behälter mit Druckausgleichsöffnung
DE19626967C2 (de) * 1996-07-04 1999-08-12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sowie Behälter mit Druckausgleichsöffnungen
DE19737964C1 (de) * 1997-08-30 1998-10-08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sowie Behälter mit Druckausgleichsöffnungen
JP3303234B2 (ja) * 1997-09-17 2002-07-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ブロー成形壜体の内容器リーク検査方法
US6503440B2 (en) * 2000-04-07 2003-01-0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Kg Process for making a container with a pressure equalization opening and containers produced accordingly
CN1122626C (zh) * 2000-10-05 2003-10-01 佳能株式会社 液体容器及其制造方法,以及用于液体容器制造方法的金属模具
FR2820121B1 (fr) * 2001-01-30 2003-06-13 Oreal Flacon pompe a utilisation multidirectionnelle
JP3938300B2 (ja) * 2001-11-30 2007-06-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JP2003205973A (ja) * 2002-01-16 2003-07-22 Canon Inc 液体収納容器及び該容器の製造方法
US6719173B2 (en) 2002-03-25 2004-04-13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Multilayer container package for dispensing a liquid product
NL1021710C2 (nl) * 2002-10-21 2004-04-22 Airspray Nv Afgifte-inrichting voor schuim.
DE10256015B4 (de) * 2002-11-30 2005-04-14 Gaplas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hälters mit wenigstens einer Druckausgleichsöffnung
JP4357183B2 (ja) * 2003-02-14 2009-11-04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10335842C5 (de) * 2003-08-05 2011-04-28 Seaquist Perfect Dispensing Gmbh Abgabepackung
CA2455834C (en) * 2004-01-21 2006-05-23 Ryan Alexander Gardiner Liquid dispenser
US7084702B1 (en) * 2005-01-19 2006-08-01 Micro Mobio Corp. Multi-band power amplifier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580687B2 (en) * 2005-01-19 2009-08-25 Micro Mobio Corporation System-in-packa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prepackaged power amplifier
ES2389089T3 (es) * 2005-02-25 2012-10-23 Nova Chemicals Inc. Paneles de edificación preformados compuestos, una edificación y un montante de entramado
DE102005000056A1 (de) * 2005-05-10 2006-11-16 Hilti Ag Kartusche
US20080258356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comprising an inner layer and an outer layer comprising energy absorbing additives, and preform for making it
US20080257847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for
US20080257883A1 (en)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US9944453B2 (en) 2007-04-19 2018-04-17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n inner layer and the outer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preform for making it
US9919841B2 (en) 2007-04-19 2018-03-20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US20150266231A1 (en) 2007-04-19 2015-09-24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a bag anchoring poi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ool thereof
US20080260978A1 (en) * 2007-04-19 2008-10-23 Inbev S.A. Integral two layer preform,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process for producing a blow-moulded bag-in-container, and bag-in-container thus produced
FR2917650B1 (fr) * 2007-06-20 2011-03-18 Valois Sas Procede et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e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JP2009022935A (ja) * 2007-07-23 2009-02-05 Cany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NL1034419C2 (nl) * 2007-09-22 2009-03-24 Dispensing Technologies Bv Houder met vervormbare binnenhouder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daarvan.
KR20100074209A (ko) * 2007-09-22 2010-07-01 디스펜싱 테크놀로지스 비.브이. 변형가능한 내부용기를 구비한 용기 및 그 제조방법
ITMI20071936A1 (it) * 2007-10-08 2008-01-07 Lumson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dispositivo per contenere a tenuta d'aria e per erogare sostanze fluide e dispositivo cosi' ottenuto
NL1034895C2 (nl) * 2008-01-08 2009-07-13 Dispensing Technologies Bv Samengestelde houder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JP5227346B2 (ja) * 2009-01-30 2013-07-03 株式会社 資生堂 二重容器
IT1394925B1 (it) * 2009-04-30 2012-07-27 Patrini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associabile a pompe airless
NL2003132C2 (en) *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preform assembly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tainers.
IT1395126B1 (it) * 2009-07-30 2012-09-05 Lumson Spa "contenitore perfezionato associabile a pompe airless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IT1397891B1 (it) * 2010-01-15 2013-02-04 Lumson Spa Contenitore decorato associabile a pompe airless e metodo per la sua realizzazione.
IT1398945B1 (it) * 2010-03-17 2013-03-28 Lumson Spa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ontenitore da utilizzare con una pompa ermetica.
PL2558252T3 (pl) 2010-04-15 2015-12-31 Gillette Co Urządzenie do usuwania włosów z możliwością podawania płynu
DE102010024980B4 (de) * 2010-06-24 2012-04-26 Gaplast Gmbh Behälter mit Innenbeutel
JP5979467B2 (ja) * 2011-08-31 2016-08-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ブロー成形容器及び吸気孔の形成方法
NL2009237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necting device and tapping assembly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234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ssembly and connecting device,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NL2009235C2 (en) *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NL2009236C2 (en) 2012-07-26 2014-02-06 Heineken Supply Chain Bv Container and set of preforms for forming a container.
KR101673830B1 (ko) * 2012-10-31 2016-11-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이중 용기
KR20150104227A (ko) 2013-03-28 2015-09-14 미쯔비시 가스 케미칼 컴파니, 인코포레이티드 적층박리용기의 내층용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층박리용기
DE102013105760A1 (de) * 2013-06-04 2014-12-04 Krones Ag Getränkeflasche mit Zuführmöglichkeit für gasförmiges Medium
DE102013106421A1 (de) * 2013-06-19 2014-12-24 Kh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ildung von Verpackungseinheiten
EP2823949A1 (de) * 2013-07-08 2015-01-14 ISP Technology AG Kunststoffverbindungsnaht, Kunststoffflasche mit Verbindungsnaht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3050815B1 (en) * 2013-09-27 2019-11-20 Kyoraku Co., Ltd. Layer separating container
CN105793162B (zh) 2013-11-27 2019-07-02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及其制造方法
ES2674380T3 (es) 2013-11-27 2018-06-29 Kyoraku Co., Ltd. Recipiente deslaminable
AU2014355545B2 (en) * 2013-11-27 2018-02-08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US10427821B2 (en) * 2014-10-07 2019-10-01 Kyoraku Co., Ltd. Delaminated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air leak inspection method for delaminated container
EP3220852A1 (en) 2014-11-20 2017-09-27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Container for an inhaler
JP6352160B2 (ja) * 2014-11-27 2018-07-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の液体ブロー成形方法
CN107108066B (zh) * 2014-12-19 2019-09-27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对层叠剥离容器安装盖的方法、层叠剥离容器的制造方法
ES2654389T3 (es) 2014-12-24 2018-02-13 Lumson S.P.A. Dispositivo para contener y distribuir sustancias fluidas
US10202218B2 (en) 2015-01-23 2019-02-12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JP6489851B2 (ja) * 2015-01-30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EP3359461A1 (en) 2015-10-07 2018-08-15 Unilever Plc. Device
EP3369669B1 (en) 2015-10-30 2022-02-2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CN106809461A (zh) * 2015-12-01 2017-06-09 威玛精密化学科技股份有限公司 双层容器及其制法
US10822135B2 (en) 2015-12-03 2020-11-03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JP6737590B2 (ja) * 2015-12-09 2020-08-12 株式会社平和化学工業所 二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594771B2 (ja) * 2015-12-25 2019-10-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USD807195S1 (en) * 2016-04-27 2018-01-09 The Boots Company Plc Bottle with cap
USD813049S1 (en) * 2016-04-27 2018-03-20 The Boots Company Plc Bottle with cap
USD810582S1 (en) * 2016-07-13 2018-02-20 Lisa Lee Shampoo bottle
US10472162B2 (en) 2016-09-09 2019-11-12 The Clorox Company Continuous spray dispenser for highly corrosive and other low compatibility products
PL3299144T3 (pl) 2016-09-26 2020-05-1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Sposób sprawdzania szczelności torebki w przestrzeni wewnętrznej pojemnika
JP6912697B2 (ja) * 2016-10-14 2021-08-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CN110770133B (zh) * 2017-04-05 2021-11-05 龟甲万株式会社 排出容器
JP6906844B2 (ja) * 2017-04-28 2021-07-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DE102017004657B4 (de) * 2017-05-16 2021-09-23 Gaplast Gmbh Behälter mit Innenbeutel
IT201700056451A1 (it) * 2017-05-24 2018-11-24 Lumson Spa Contenitore di sostanze fluide con sistema di chiusura ermetica e metodo di utilizzo
US10559153B2 (en) 2017-06-30 2020-02-1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window assembly with integrated touch/proximity sensor
DE102017121702B4 (de) * 2017-09-19 2019-07-1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Spenderbehäl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Spenderbehälters
CN108058471B (zh) * 2017-12-16 2024-05-07 烟台金蕊女性用品有限公司 一种汗布剥离装置及其使用方法
JP6910735B2 (ja) * 2017-12-28 2021-07-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7014628B2 (ja) * 2018-02-16 2022-0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TWI658970B (zh) * 2018-08-07 2019-05-11 臺三榮實業有限公司 積層剝離容器及其製法
TWI674998B (zh) 2018-08-29 2019-10-21 黃偉倫 採用真空原理的環保汲取裝置
JP7208481B2 (ja) * 2018-10-30 2023-01-1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7072999B2 (ja) * 2018-11-30 2022-05-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CN110356702B (zh) * 2019-07-09 2020-11-27 精英模具制品(上海)有限公司 一种带袋的按压瓶
JP7524312B2 (ja) * 2020-04-06 2024-07-29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剥離容器および剥離容器の製造方法
USD1012718S1 (en) * 2020-12-21 2024-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for hair care product
IT202100018110A1 (it) 2021-07-09 2023-01-09 Lumson Spa Dispositivo per contenere ed erogare sostanze fluide
IT202100018116A1 (it) 2021-07-09 2023-01-09 Lumson Spa Dispositivo di ricarica di sostanze fluid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830A (en) * 1973-08-10 1977-02-22 Philip Meshberg Liquid dispenser using a non vented pump and a collapsible plastic bag
US4311255A (en) * 1979-10-30 1982-01-19 Philip Meshberg Hand held container and dispenser assembly
US4898708A (en) * 1986-05-02 1990-02-06 Wheeling Stamping Company Method for shaping closed bottom of tubular container
JPS6345069A (ja) * 1986-07-15 1988-02-26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感熱記録装置
US4816093A (en) * 1987-09-25 1989-03-28 Robbins Edward S Iii Separable laminate container
JP2987892B2 (ja) 1990-07-10 1999-12-0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溶存酸素の除去方法
JP2525996Y2 (ja) * 1990-11-05 1997-02-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容器
US5344045A (en) * 1990-12-17 1994-09-06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US5242085A (en) * 1990-12-17 1993-09-07 The Coca-Cola Company Liquid container system
JPH06211243A (ja) * 1990-12-28 1994-08-02 Yoshino Kogyosho Co Ltd 農薬用積層ボトル
JP3014058B2 (ja) 1990-12-28 2000-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CA2093320C (en) * 1991-08-05 2005-02-01 Akira Nishigami Multilayer bott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24620B2 (ja) 1992-05-11 2001-01-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2579322Y2 (ja) * 1992-09-04 1998-08-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US5449094A (en) * 1992-05-18 1995-09-12 Sofab Dispenser with plunging sleeve
US5667104A (en) * 1992-05-22 1997-09-16 Meshberg; Philip Directional dispenser and method of its use
JPH0627523A (ja) 1992-07-13 1994-02-04 Olympus Optical Co Ltd データ写し込み装置
US5339596A (en) * 1992-11-04 1994-08-23 Cohen Zev B Toner cartridge recharging tool
JP3419503B2 (ja) 1993-06-02 2003-06-23 株式会社クラレ 2−ホルミル−1,4−ブタ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JP2586294B2 (ja) 1993-06-14 1997-02-26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FR2723356B1 (fr) * 1994-08-08 1996-10-18 Innovation Rech Plastique Sa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produit avec pompe manuelle de distribution en doses unitaires
JP3367222B2 (ja) * 1994-09-09 2003-01-14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とその製造方法
FR2738222B1 (fr) * 1995-09-05 1997-11-07 Labcatal Flacon de distribution de fluide comprenant une poche souple et procede de fabrication
US5682804A (en) * 1995-10-20 1997-11-04 Graham Engineer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rimming the neck of blow molded plastic bottles and method
FR2776628B1 (fr) * 1998-03-27 2000-05-12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e distribution d'un produit liquide
US6648244B2 (en) * 2001-12-18 2003-11-18 Lung-You Yu Atomizer with a bellows-shaped container body
JP4071681B2 (ja) * 2003-07-24 2008-04-02 株式会社東芝 電圧制御発振器、周波数シンセサイザ及び通信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386B1 (ko) * 2013-07-09 2014-12-03 (주)영진팩 백인 바틀의 내층 백 예비 박리방법 및 그 예비 박리장치
KR20150145547A (ko) * 2014-06-20 2015-12-30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가진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
KR101588526B1 (ko) 2014-06-20 2016-01-27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가진 잔량방지 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91494B2 (en) 2004-02-17
EP1092632B1 (en) 2003-11-19
EP0759399A4 (en) 2000-01-12
EP1092633B1 (en) 2004-04-28
CA2189989A1 (en) 1996-09-19
DE69618399T2 (de) 2002-09-26
CN1059398C (zh) 2000-12-13
TW358074B (en) 1999-05-11
DE69632354D1 (de) 2004-06-03
CN1328120C (zh) 2007-07-25
WO1996028353A1 (en) 1996-09-19
DE69630822D1 (de) 2003-12-24
US20040112921A1 (en) 2004-06-17
EP1266698B1 (en) 2006-05-24
DE69634313D1 (de) 2005-03-10
AU717067B2 (en) 2000-03-16
CA2189989C (en) 2003-08-19
US6266943B1 (en) 2001-07-31
EP1092633A1 (en) 2001-04-18
DE69632354T2 (de) 2005-05-04
EP1266698A1 (en) 2002-12-18
CN1150782A (zh) 1997-05-28
AU4889296A (en) 1996-10-02
US7055719B2 (en) 2006-06-06
DE69634313T2 (de) 2005-12-22
EP1266697A1 (en) 2002-12-18
EP1266697B1 (en) 2005-02-02
EP0759399A1 (en) 1997-02-26
EP0759399B1 (en) 2002-01-09
KR100338994B1 (ko) 2002-06-01
DE69630822T2 (de) 2004-09-23
US20010027154A1 (en) 2001-10-04
DE69636181D1 (de) 2006-06-29
EP1092632A3 (en) 2001-04-25
CN1618704A (zh) 2005-05-25
DE69618399D1 (de) 2002-02-14
EP1092632A2 (en) 2001-04-18
CN1251933C (zh) 2006-04-19
CN1277134A (zh) 2000-12-20
DE69636181T2 (de)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082B1 (ko) 천공장치및그장치를이용한천공방법
US20070040306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ventilation in a multi-walled container
US6319453B1 (en) Method of making a multiple neck spray bottle
EP0596142B1 (en) Laminated bottle
US5665285A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foam article with an integral skin
US4966543A (en) Apparatus for forming a vented recyclable multilayer barrier container
CA2686500C (en)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JP3328276B2 (ja) 分離可能な内側層を有する容器
US5765710A (en) Packaging contain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EP0249939A2 (en) Method for press molding thermoplastic resins
JPH0716915A (ja) 二重壁ボトルとその成形方法及び装置
CA2162458A1 (en) Liquid container system
CA2690157C (en) Container with recessed removable venting tab
US10730664B2 (en) Integrally blow-moulded bag-in-container having interface vents opening to the atmosphere at location adjacent to bag's mouth; preform for making it; and processes for producing the preform and bag-in-container
JPH08244102A (ja) 積層剥離ブロー容器における大気導入孔の形成方法および形成装置
US6764639B1 (en) Drum-like container out of plastic and process and device for its production
JPH081761A (ja) 二層ブロー成形壜体の空気取り入れ孔形成方法
US20050051928A1 (en) Method of producing a compression-moulded plastic part comprising a neck which is equipped with a dispensing orifice
JP3957901B2 (ja) 二重容器の成形方法
CN1539623B (zh) 带孔的吹塑成型容器及便于制备该容器的方法及装置
US7141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a bottle with a punched hole in a molded neck recess
KR100473289B1 (ko) 튜브용기의제조방법과제조장치
JP3368484B2 (ja) 壜体およびその成形方法
WO2002014047A2 (en) Molded article having hollow rim por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rticles
JP4392702B2 (ja) ブロー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0011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