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8347B1 -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 Google Patents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347B1
KR100298347B1 KR1019980020390A KR19980020390A KR100298347B1 KR 100298347 B1 KR100298347 B1 KR 100298347B1 KR 1019980020390 A KR1019980020390 A KR 1019980020390A KR 19980020390 A KR19980020390 A KR 19980020390A KR 100298347 B1 KR100298347 B1 KR 10029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base stations
station controller
packet
packe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647A (ko
Inventor
박도준
김병철
박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20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8347B1/ko
Priority to CNB991095103A priority patent/CN1173584C/zh
Publication of KR2000000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3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2Feedback error handling
    • H04B7/0656Feedback error handling at the transmitter, e.g. error detection at bas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시험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통해 서로간에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입력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자신에게로 수신되는 패킷만을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에게 바이패스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들의 시험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기지국들로 전송하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이 시험을 위한 패킷을 루프백시킴으로써 중계선에 대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중계선의 낭비를 줄이고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시험방법{A COMMUNICATION SYSTEM USING DAISY CHAINED BASE STATIONS AND A TES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개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다수개의 기지국들을 연결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정 영역(셀)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과,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및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를 다른 가입자 시스템으로 연결하는 이동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로 구성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BSC)(100)는 중계선을 사용하여 다수의 기지국들(10 내지 90)과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망은 다수개의 기지국이 각각 중계선(Trunk)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는 방사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00)는 중계선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채널화되지 않은 E1(Unchannelized-E1) 방식의 패킷화된 IPC(Packetized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기지국 제어기와 다수의 기지국 사이를 각각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경우, 특히 통화 용량이 매우 작은 기지국의 경우에는 중계선의 용량에 비하여 중계선의 낭비가 매우 커진다. 예를 들어, 단지 하나의 주파수 채널만을 지원하는 소용량 기지국은 약 20 트래픽 채널을 필요로 하는데, 하나의 E1 중계선이 수용가능한 트래픽 패킷은 신호 패킷(Signalling packet)을 제외하고라도 90채널 정도이다. 그러므로 소용량 기지국의 경우, 각 기지국마다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게 되면 중계선의 용량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소용량 기지국을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함으로써 중계선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각각의 기지국을 시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입력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신에게로 수신되는 패킷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에게 바이패스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해 방사형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해 중계선을 공유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과 가상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을 위한 HINA의 노드 할당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4개의 기지국(60)(70)(80)(90)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기지국 제어기(1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기지국(20)(30)과 기지국(40)(50)도 각각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기지국 제어기(100)에 연결되어 있다. 즉, 본 방법은 소용량의 기지국들을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함으로써 중계선의 사용효율을 높인다.
하나의 E1 중계선의 트래픽 용량은 90채널 정도이고 소용량 기지국의 용량은 약 20 채널 정도이므로,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르면 최대 4개의 기지국을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트래픽 채널/기지국·링크) × 4 (기지국)
= 80(트래픽 채널/링크) ≤ 90(트래픽 채널/링크)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기(100)(110)는 하나의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BSM)(200)에 의하여 관리되는데, 기지국 제어기(100)(110)는 각각 LCIN(Link Communication Interface Node assembly)(410)(400)를 통해 이동통신 망을 구성하며 기지국 관리 시스템(200)은 GCIN(Gateway Communication Interface Node assembly)(30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을 구성한다. 상기 LCIN(410)(400)은 중계선을 통해 상기 GCIN(300)에 연결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100)(110)와 직접 연결되는 가장 앞단의 기지국들(10)(60)은 각각 BCIN(Base station Communication Interface Node assembly)(500)(51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망을 구성한다. 상기 BCIN(500)(510)은 중계선을 통해 상기 LCIN(410)에 연결된다.
기지국(10)은 데이지 체인을 구성하지 않지만 기지국들(60)(70)(80)(90)은 데이지 체인을 구성한다.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지국들(70)(80)(90)은 자신의 BCIN(520)(530)(540)를 통해 각각 앞단 기지국의 BCIN(510)(520)(530)과 연결된다.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지국들(60 내지 90)은 하나의 중계선을 공유하는 것뿐 논리적으로는 독립적으로 운용된다. 즉, 기지국들(60 내지 90)은 각각 가상경로(Virtual Path)를 통해 기지국 제어기(100)와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다. 도 4 는 기지국 제어기(100)와 기지국들(60 내지 90)간의 가상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0(60)은 실제 경로0(Path0)(1)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100)와 연결되고 기지국1(70)은 실제 경로1(2)을 통해 기지국0(60)과 연결되고 기지국2(80)는 실제 경로2(3)를 통해 기지국1(7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중계선의 용량이 허락하는 한 다수개의 기지국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에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각 기지국의 운용은 일반적인 기지국의 운용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기지국 제어기(100)는 데이지 체인을 구성하는 다수의 기지국들(60 내지 90) 중 원하는 하나의 기지국에게 메시지 패킷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 제어기(100)는 공유된 하나의 포트를 통해 데이지 체인으로 묶여있는 기지국들(60 내지 90)에게 메시지 패킷을 전송한다. 데이지 체인으로 묶여있는 기지국들(60 내지 90)은 상기 전송된 메시지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분석하여 자신에게 해당하는 메시지 패킷만을 받고 나머지 패킷들은 다음 단의 기지국에게 바이패스한다.
기지국 제어기(100)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지국들(60 내지 90)에게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기지국 제어기(100)는 데이지체인을 구성하는 기지국들(60 내지 90)로 전해지는 메시지 패킷들의 주소를 다중화하여 가상 주소(Virtual address)로 바꾸어 준다. 기지국들(60 내지 90)은 중계선을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자신의 메시지 패킷만을 받기 위해 다중화된 주소들 중 자신의 주소만을 선택한다. 이러한 다중화를 위해서는 기지국 제어기(100)의 LCIN(410)에 별도의 다중화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기지국 제어기(100)가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지국들(60 내지 90)에게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데이지 체인을 구성하는 기지국들(60 내지 90)의 주소가 일정한 형태를 가지면 별도로 주소를 다중화하지 않고도 기지국들(60 내지 90) 각각이 주소 마스킹을 통해 자신의 메시지 패킷을 선별해낼 수 있다. 마스킹이 가능한 형태의 기지국 주소의 형태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기지국 주 소
BTS #0 XXX00XX
BTS #1 XXX01XX
BTS #2 XXX10XX
BTS #3 XXX11XX
상기 표 1과 같이 8비트 형태의 기지국 주소 중 어느 특정 비트들(하위 3,4번째 비트)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4개의 기지국을 구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면, 각 기지국에서는 상기 하위 3,4번째 비트들만을 마스킹함으로써 해당 패킷이 자신의 패킷인지를 알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메시지 패킷을 수신할 뿐만 아니라 기지국 제어기로 메시지 패킷을 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메시지 패킷은 다른 기지국으로 보내져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각 기지국의 BCIN은 중계선을 통해 입력되는메시지 패킷에 대하여 자신이 수신할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마스킹과 자신이 생성하여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할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혼합 마스킹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
기지국 제어기와 기지국 간 또는 기지국과 기지국간에 전송되는 주소 마스킹의 형태를 하기의 표 2 와 표 3에 각각 나타내었다.
노드A(BSC↔BTS)
NA(Node Address) 0x 080CC0
MA(Masking Address) 0x FC3FFF
CMA(Composite Masking Address) 0x 003F
노드B(BTS↔BTS)
NA(Node Address) 0x 080CC0
MA(Masking Address) 0x 0BFFFF
CMA(Composite Masking Address) 0x 000F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기지국들(60 내지 90)의 시스템 초기화 로딩(System Start up Loading) 절차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 기지국(60 내지 90)은 앞단의 기지국이 먼저 초기화된 후에 초기화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 로딩은 가장 앞단의 기지국(60)부터 순서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 로딩은 BCIN, LCIN 및 GCIN 등에서 로딩을 담당하는 HIPA(High capacity IPC Processor board Assembly)에 의하여 수행된다.
가장 앞단에 위치한 기지국 BCIN(510)의 HIPA(514)가 LCIN(410)의 HIPA(414)로부터 시스템 프로그램을 로딩받아 노드 할당 및 연결을 담당하는 HINA(Highspeed IPC Node board Assembly)(512)의 노드를 다음 단의 BCIN(520)에게 열어주면, 다음 단 기지국(70)의 HIPA(524)가 시스템 프로그램을 로딩받고, 이어서 순서대로 HINA(532)(542)의 노드를 열어주게 된다. 이렇게 노드들이 열린 후에는 기지국들(60 내지 90)을 제어하는 주 프로세서(BTS Control Processor: BCP)의 로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는 순서에 상관없이 로딩이 가능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들은 앞단의 기지국을 통해서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므로, 어느 한 기지국의 중계선에 문제가 생기면 다음 단의 기지국들이 모두 동작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해 데이지 체인을 구성하는 기지국들을 연결하는 중계선을 이중화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중계선 시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중계선 시험방식은 하나의 중계선을 구성하는 32개의 채널 중 마지막 채널을 시험을 위한 채널로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중계선의 채널들이 각각 다른 기지국에 할당되므로 상기의 방식은 사용할 수 없다.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 링크(Base Station Link: BLNK)에 대한 온라인 시험은 기존의 온라인 기지국 링크 시험(TST_BLNK)으로 대체한다. 즉, LCIN(410)의 HIPA(414)가 시험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하면, 각 BCIN(510) (520)(530)(540)의 HIPA(514)(524)(534)(544)에서 해당 패킷을 루프백(Loop-back)하여 중계선 및 노드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중계선 시험은 시스템초기화(Start-up)시와, 운용자가 지정한 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계선의 시험방식은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 번째로 전체 루프에 의한 시험방식은 기지국 제어기(100)에서 발생된 시험 패킷을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기지국들(60 내지 90) 중 가장 다음 단(90) 또는 가장 앞단(60)부터 순서대로 루프백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개별 루프에 의한 시험 방식은 기지국 제어기(100)에서 발생된 시험 패킷을 정해진 하나의 기지국에서만 루프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4 에서 기지국1(70)에 대한 개별 루프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시험 패킷은 기지국0(60)을 통해 기지국1(70)에서 루프백되고 다시 기지국0(60)을 통해 기지국 제어기(100)로 돌아온다.
기지국 제어기(100)는 루프백된 시험 패킷에 에러가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중계선의 장애를 감지한다.
상기의 시험을 통해 장애가 발생된 중계선이 발견되면, 이중화되어 있는 다른 경로를 사용해야 한다. BCIN(510)(520)(530)(540)의 HINA(512)(522)(532)(542)는 이중화되어 있는 중계선을 2개의 브리지(Bridge)로 관리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해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을 위한 HINA의 노드 할당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선0과 중계선2는 브리지0을 구성하며 중계선1과 중계선3은 브리지1을 구성한다. 브리지0과 브리지1은 이중화되어 있으며 어느 한 브리지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브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소용량을 지원하는 다수의 기지국을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중계선의 낭비를 줄인다. 또한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연결된 기지국들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어느 한 기지국에 장애가 발생하면 바로 이중화되어 있는 다른 중계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중계선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8)

  1.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패킷들의 주소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며,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입력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자신에게로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을 역다중화함으로써 자신의 주소를 가지는 메시지 패킷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으로 바이패스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입력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자신에게로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들의 주소 중 미리 정해진 부분을 마스킹함으로써 자신의 주소를 가지는 메시지 패킷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으로 바이패스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패킷들의 주소는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을 서로간에 구분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은, 상기 메시지 패킷들 중 자신이 생성한 패킷을 제외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으로 바이패스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은, 상기 메시지 패킷들의 주소를 마스킹함으로써 자신이 생성한 패킷을 선별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연결하는 상기 중계선은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 이중화되어 있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선을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메시지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자신의 주소를 가지는 패킷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에게 바이패스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이 시험을 위한 메시지 패킷이면 수신된 메시지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중계선 시험방법.
  8.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중계선을 시험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정 영역 내의 이동 단말기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나의 중계선을 사용하여 데이지 체인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과, 상기 다수의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 메시지 패킷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 패킷들을 수신하는 기지국 제어기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다수의 기지국들 중 특정 기지국의 시험을 위한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다수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기지국 각각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들 중 자신의 주소를 가지는 패킷만을 선택하여 수신하고 나머지 패킷들을 다음 단의 기지국에게 바이패스하는 단계;
    상기 특정 기지국이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패킷이 시험을 위한 메시지 패킷이면 상기 시험을 위한 패킷을 상기 기지국 제어기로 루프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지 체인 방식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중계선 시험방법.
KR1019980020390A 1998-06-02 1998-06-02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9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390A KR100298347B1 (ko) 1998-06-02 1998-06-02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CNB991095103A CN1173584C (zh) 1998-06-02 1999-06-02 使用菊花链的通信系统及其测试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0390A KR100298347B1 (ko) 1998-06-02 1998-06-02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47A KR20000000647A (ko) 2000-01-15
KR100298347B1 true KR100298347B1 (ko) 2001-08-07

Family

ID=1953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390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8347B1 (ko) 1998-06-02 1998-06-02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98347B1 (ko)
CN (1) CN1173584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6069A (ko) 2023-05-16 2024-11-26 손영옥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면서 안정성을 겸비한 이동형 무대장치용 바텀
KR102750236B1 (ko) 2024-05-09 2025-01-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노이즈가 없는 무대장치의 통신케이블 무접점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5270A (ja) * 2001-04-26 2002-11-0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無線システム
CN1306843C (zh) * 2003-12-26 2007-03-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市话系统的基站捆绑关系的智能维护方法
CN100450074C (zh) * 2004-06-04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链形组网时共享式高层数据链路控制链路传输数据的方法
KR102649291B1 (ko) 2023-08-30 2024-03-19 차오석 아스팔트 혼합물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337A (ko) * 1995-12-14 1997-07-3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가입자 선로 루프백 시험 방법
KR19990004345A (ko) * 1997-06-27 1999-01-15 송재인 기지국의 데이지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타흐름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6337A (ko) * 1995-12-14 1997-07-31 양승택 전전자 교환기의 패킷 가입자 선로 루프백 시험 방법
KR19990004345A (ko) * 1997-06-27 1999-01-15 송재인 기지국의 데이지체인을 구성하기 위한 데이타흐름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66069A (ko) 2023-05-16 2024-11-26 손영옥 원활한 제어가 가능하면서 안정성을 겸비한 이동형 무대장치용 바텀
KR102750236B1 (ko) 2024-05-09 2025-01-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노이즈가 없는 무대장치의 통신케이블 무접점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47A (ko) 2000-01-15
CN1173584C (zh) 2004-10-27
CN1243401A (zh)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7905A (en) Mutli-site group dispatch call method
EP1430656B1 (en) Network with several subnetworks
CN100375450C (zh) 用于核实冗余备用分组转发器的功能的方法
JPH07508379A (ja) マイクロ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
US20020118636A1 (en) Mesh network protection using dynamic ring
JPH08511922A (ja) セルラー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EP1518352A1 (en) Redundancy and load balancing in a telecommunication unit and system
EP20026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tive geographic redundancy
US6404740B1 (en) System for testing internal connectivity in ATM switching equipment
US5107493A (en) High-speed packet data network using serially connected packet and circuit switches
KR20010033362A (ko) 비동기 전송 모드 스위치의 프로세서 자기 구성배치
FI106767B (fi) Menetelmä yhteyden luomiseksi verkkoelementtien välille radiojärjestelmässä ja radiojärjestelmä
AU1049300A (en) Method for configuring cross-connections of a radio system and radio system
EP1446906A1 (en) Method for multiplexing data streams onto a transport bearer between an originating network node and a receiving network node
US7170892B2 (en) Network element,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elemental devices
KR100298347B1 (ko) 데이지체인방식의기지국을사용하는통신시스템및그시험방법
WO1999000951A1 (en) Circuit and packet switched network interconnection
US5936951A (en) Dynamic infrastructure
US6463045B1 (en) Mobile communication capable of avoiding congestion of call processing
FI112154B (fi) Parannuksia matkaviestinverkoissa tai niihin liittyen
FI104593B (fi) Hierarkkinen synkronointimenetelmä
AU6164300A (en) Method for routing messages between two access points
US6469999B1 (en) Method for connecting daisy chained base transceiver stations by utilizing a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and the apparatus thereof
CA2058654C (en) Data transport for internal messaging
KR97003148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다중화된 중계선 경로 구성 및 그 제어 방법(Methods for structuring and controling routing of multiple trunk between BSC and BTS in CDMA mobi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