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4070B1 -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070B1
KR100294070B1 KR1019990023731A KR19990023731A KR100294070B1 KR 100294070 B1 KR100294070 B1 KR 100294070B1 KR 1019990023731 A KR1019990023731 A KR 1019990023731A KR 19990023731 A KR19990023731 A KR 19990023731A KR 100294070 B1 KR100294070 B1 KR 100294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opping
frequency
code
primary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434A (ko
Inventor
조형원
박종현
김제우
Original Assignee
박태진
삼성탈레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진, 삼성탈레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태진
Priority to KR101999002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070B1/ko
Priority to GB0014256A priority patent/GB2355150B/en
Priority to CNB001096788A priority patent/CN1186883C/zh
Priority to US09/602,201 priority patent/US6658044B1/en
Publication of KR2001000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07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e.g. multi-use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신호를 이중으로 주파수도약하여 전송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하여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1차주파수 도약부와,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반송파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DOUBLE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신호를 이중으로 주파수도약하여 전송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도약(FH: Frequency Hopping) 통신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송신단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101)가 신호변조부(102)로 입력되면 통신시스템에서 미리 규정한 변조방식, 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를 수행하면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변조수행되어 변조된 데이터 dm(t)가 출력된다.
dm(t) = Km = K (단, d(t) = 0 일 경우)
dm(t) = Km = -K (단, d(t) = 1 일 경우 )
상기와 같이 변조된 데이터 dm(t)는 믹서(Mixer)(103)로 입력되어 주파수 합성부(105)에서 출력한 합성 반송파 주파수로 믹싱하여 전송데이터 s(t)(106)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합성부(105)에서 출력한 합성 반송파 주파수는 주파수 도약 코드 발생기(104)에서 발생한 주파수도약코드 c(t)를 입력하여 해당하는 반송파 주파수를 합성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전송데이터 s(t)(106)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발생한다.
s(t) = dm(t)e(jWct)f
여기에서, 상기 합성 반송파 주파수 Wc는 고정된 주파수가 아니라, 상기 주파수도약코드발생부(104)에서 발생한 주파수도약코드(c(t))에 근거한 서로 상이한 주파수이다.
도 2a는 도1의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송신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의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통신방식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면 예를 들어 시간 t = t0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1으로, 시간 t = t1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5으로, 시간 t = t2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4으로, 시간 t = t3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6으로, 시간 t = t4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3으로, 시간 t = t5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0으로, 시간 t = t6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7으로, 시간 t = t7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W2으로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런, 주파수 도약 시스템은 반송파 주파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속적으로 도약하여 변화함으로써 재밍(jamming) 환경에서 적응하여 통신보안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도 2b는 도 2a의 송신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2a의 송신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에서 도 2a와 같은 주파수도약된 전송데이터를 수신단으로 전송한 후 그 전송데이터에 재밍이 발생하였을 경우, 즉 도 2b와 같이 고정 톤 재밍(Fixed Tone Jamming)(201)이 발생하거나 도 2c와 같이 연속주파수 톤재밍(Frequency Follow Tone Jamming)(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이 발생할 경우 그 각각의 반송파 주파수대에 존재하는 재밍으로 인해 수신측에서는 데이터 복원이 난이하여 통신시스템의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반송파를 1차주파수도약한 후 다시 2차주파수도약하여 전송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하여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1차주파수 도약부와,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반송파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 제어방법은,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하여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반송파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도1의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송신신호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도 2a의 송신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도 2a의 송신신호에 에러가 발생할 경우의 또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부의 내부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부의 내부구성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a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의 내부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6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의 내부구성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7a-7h는 1차주파수도약된 부반송파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a-7h의 부반송파의 1차도약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주파수도약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서 송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401)이 입력되면, 그 데이터 d(t)(401)은 1차주파수 도약부(400)로 입력된다. 상기 1차 주파수 도약부(400)는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와, 1차 주파수도약 코드발생부(402)와, OFDM 변조부(405)로 구성된다. 상기 1차 주파수도약부(400)로 입력된 데이터 d(t)(401)는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로 입력된다.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는 1차 주파수도약 코드발생부(402)에서 발생한 주파수코드 c(t)를 입력하여 상기 주파수코드 c(t)에 상응한 주파수를 합성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 d(t)(401)와 믹싱하여 주파수도약한 dh(t)(404)를 출력한다.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에서 출력한 dh(t)(404)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방식) 변조부(405)로 입력되며, 상기 OFDM 변조부(405)는 상기 입력된 dh(t)(404)를 소정개수의 부반송파 변조하여 그 변조된 신호 do(n)(406)을 보호구간 삽입부(Guard Insertion)(40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OFDM 변조부(405)에서 부반송파 변조시 1차 주파수 도약 코드 발생부(402)에서 발생한 1차 주파수도약 코드 c(t)에 상응하여 OFDM 변조한다. 상기 보호구간 삽입부(407)는 상기 OFDM변조부(405)에서 출력한 신호 do(n)(406)를 입력하여 상기 소정개수의 부반송파간 심벌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및 프레임 간섭(IFI: Interframe Interference)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을 삽입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408)로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408)는 상기 보호구간 삽입부(407)에서 출력한 신호를 무선 아날로그 변환하여 그 아날로그 변환된 신호 da(t)(409)를 2차 주파수 도약부(450)로 출력한다. 상기 2차 주파수 도약부(450)는 2차 주파수도약 신호생성부(411)와, 2차 주파수도약 코드생성부(410)로 구성된다. 상기 2차 주파수 도약부(450)로 입력된 신호 da(t)는 상기 2차 주파수도약 신호생성부(411)로 입력되어 상기 2차 주파수도약 코드 발생부(410)에서 발생한 2차 주파수 도약코드 c'(t)를 입력하여 상기 2차 주파수도약코드 c'(t)에 상응한 주파수를 합성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 da(t)(409)와 믹싱하여 2차 주파수도약한 전송신호 s(t)(412)를 출력한다.
여기서, 최종적으로 이중 주파수도약된, 즉 2차주파수도약후의 전송신호인 s(t)(412)는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s(t)(412) = da(t)(409)e(jWct)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부의 내부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 주파수도약부(400)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송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401)가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로 입력되면, 그 입력된 데이터 d(t)(401)는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501)로 입력된다. 여기서,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는 1차주파수도약 코드발생부(402)에서 발생한 1차 주파수도약 코드 c(t), 즉 상기 전송데이터 d(t)(401)를 소정개수, 예를 들어 N개의 부반송파로 OFDM 변조할 경우 주파수도약된 부반송파로 변조하기 위한 도약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1차 주파수도약코드 c(t)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직/병렬 변환부(501)는 상기 입력받은 데이터 dh(t)(404)(d(t)(401)와 동일한 신호)를 소정개수로 병렬변환한 후 그 병렬변환된 데이터 dp(t)(504)를 N-point Complex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역고속 푸리에 변환부)(502)로 출력한다. 상기 N-point Complex IFFT(502)는 상기 병렬데이터 dp(t)(504)를 입력하여 소정개수, 즉 N개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으로 변조하게 되는데, 그 부반송파 변조는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에 저장되어 있는 1차 주파수도약코드 c(t)에 상응한 주파수로 도약하여 변조되며, 그 주파수도약 변조된 N개의 부반송파 di(n)(505)를 병/직렬변환부(Parallel To Serial Convertor)(50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N-point Complex IFFT(502)에서 출력한 신호 di(n)(505)은 하기의 수학식 4와 같다.
n = 1, 2, 3, ......, N
상기 병/직렬변환부(503)는 상기 N-point Complex IFFT(502)에서 출력한 N개의 부반송파 di(n)(505)를 입력하여 직렬변환한 신호 do(n)(406)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은 1차주파수도약부(400)의 내부구성에 근거하면 입력된 전송데이터에 대한 1차 주파수도약 코드를 발생한 후 OFDM 변조되어 부반송파를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코드에 상응한 주파수로 도약하여 변조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부의 내부구성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 주파수도약부(400)의 내부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송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401)가 직/병렬변환부(501)로 입력되면, 상기 직/병렬변환부(501)는 상기 입력된 d(t)(401)를 소정개수의 데이터로 병렬변환하여 그 병렬변환한 신호 dp'(t)(510)를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403)는 1차주파수도약 코드발생부(402)에서 발생한 1차 주파수도약 코드 c(t)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1차주파수도약신호 저장부(403)로 병렬데이터 dp'(t)(510)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병렬데이터 dp'(t)(510)는 N-point Complex IFFT(502)로 출력된다. 상기 N-point Complex IFFT(502)는 상기 병렬데이터 dp(t)(504)(dp'(t)(510)와 동일한 신호)를 입력하여 소정개수, 즉 N개의 부반송파로 상기 1차 주파수도약코드 c(t)에 상응하여 주파수도약하여 역고속푸리에 변환하여 그 변조된 N개의 부반송파 di(n)(505)를 병/직렬변환부(Parallel To Serial Convertor)(503)로 출력한다. 상기 병/직렬변환부(503)는 상기 N-point Complex IFFT(502)에서 출력한 N개의 부반송파 di(n)(505)를 입력하여 직렬변환한 신호 do(n)(406)를 출력한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1차주파수도약부(400)의 내부구성에 근거하면 먼저 입력된 전송데이터가 병렬변환된 후 1차 주파수도약코드를 발생하여 그 1차 주파수도약코드에 근거한 주파수로 부반송파 주파수도약 변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6a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 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의 내부구성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송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401)가 메모리(601)로 입력됨과 동시에 PN(Pseudorandom-Noise) 코드 발생부(603)에서는 주파수도약을 위한 주파수 합성을 위한 PN 코드를 발생하여 어드레스(Address) 발생부(602)로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602)는 상기 PN코드 발생부(603)에서 출력한 PN 코드에 상응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601)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메모리(601)는 전송하고자하는 데이터 d(t)(401)와 1차 주파수도약하기 위한 1차주파수도약코드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OFDM 변조부(405)에서는 상기 메모리(601)를 억세스하여 그로부터 전송데이터 d(t)(401) 및 1차주파수도약코드를 검출하여 소정개수, 예를 들어 N개의 부반송파를 변조할 경우 순차적으로, 즉 f0, f1, f2, f3, f4, f5, f6, f7과 같이 순차적으로 부반송파 변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1차주파수 도약코드에 상응하게, 예를 들어 f2, f7, f4, f6, f1, f3, f5, f0로 도약하여 부반송파 변조된 신호 do(n)(406)을 출력하는 것이다.
도 6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1차주파수도약 신호저장부의 내부구성의 또 다른 일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상기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의 송신단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d(t)(401)가 메모리(601)로 입력되어 저장된다. 이에 PN 코드 발생부(603)에서는 주파수도약을 위한 주파수 합성을 위한 PN 코드를 발생하여 어드레스(Address) 발생부(602)로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 발생부(602)는 상기 PN코드 발생부(603)에서 출력한 PN 코드에 상응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여 상기 메모리(601)로 출력한다. 이에, OFDM 변조부(405)는 상기 메모리(601)를 억세스하여 그로부터 전송데이터 d(t)(401) 및 1차주파수도약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도 6b와 동일한 방식으로 OFDM 변조하는 것이다.
즉, 도 6a 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의 입력과 동시에 1차주파수도약코드를 발생하여 1차주파수도약 가능하도록 하는 반면, 도 6b는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를 일단 저장한 후 발생하는 1차 주파수도약코드를 발생하여 1차주파수도약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a-7h는 1차주파수도약된 부반송파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a-7b는 1개의 심벌(Symbol)을 소정개수, 예를 들어 8개의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OFDM 변조할 경우, 즉 8-point Complex IFFT를 수행할 경우를 예로 하여 1차주파수도약한 후의 신호를 예시한 것으로서, 데이터 d2가 시간영역상에서, 즉 t0에서 t7까지의 시간변화시 주파수도약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 3의 1차 주파수도약부(400)를 거친 후 출력되는 신호, 즉 do(n)(406)은 8개의 부반송파로 1차 주파수도약된 OFDM 변조된 신호이다. 그래서, 시간 t = t0에서는 주파수도약된 부반송파 주파수 Wc=f2로(701), 시간 t = t1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7로(702), 시간 t = t2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4으로(703), 시간 t = t3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6으로(704), 시간 t = t4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1로(705), 시간 t = t5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3으로(706), 시간 t = t6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5으로(707), 시간 t = t7에서는 주파수 도약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Wc=f0으로(708) 주파수도약이 된다.
도 8은 도 7a-7h의 부반송파의 1차도약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a-7h의 부반송파가 1차 주파수도약된 d2의 시간에 따른 도약은 도 8t = t7에서 최초로, 그리고 t= t1에서 최후로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주파수도약된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개수, 예를 들어 8개의 부반송파 주파수가 1차 주파수도약된 신호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2차 주파수도약부(450)를 통해 2차 주파수도약되어, 즉, t = t0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1로, t = t1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5로, t = t2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4로, t = t3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6로, t = t4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3로, t = t5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0로, t = t6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7로, t = t7일 경우에는 주파수 Wc= W2로 도약되어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송하고자 하는 전송데이터를 1차로 다수개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분할 다중방식으로 변조할 경우 그 다수개의 부반송파 각각을 주파수도약한 후, 다시 상기 다수개의 협대역 부반송파가 합성된 하나의 광대역 반송파를 2차로 주파수 도약하여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이중 주파수 도약으로 인한 통신상의 은닉성이 증가하며, 또한 부반송파로 변조함으로 인한 전송효과의 향상이 있으며, 또한 전송한 전송데이터에 재밍이 발생하였을 경우 재밍발생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파수가 협대역이므로 데이터 복구가 용이하고, 또한 부반송파간 주파수스펙트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통신시스템의 성능향상을 가져온다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12)

  1.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하여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1차주파수 도약부와,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반송파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파수 도약부는;
    상기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 변조시 발생되는 소정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도약하기 위한 1차주파수 도약코드를 발생하는 1차주파수 도약 코드 발생부와,
    상기 발생한 1차주파수 도약코드 및 상기 입력된 전송신호를 저장하는 1차 주파수도약 신호 저장부와,
    상기 전송신호를 상기 1차주파수 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 방식 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주파수분할 다중방식 변조부는;
    상기 전송신호를 소정개수의 신호로 병렬변환하는 직/병렬변환부와,
    상기 소정개수의 병렬신호를 상기 1차주파수 도약코드에 따른 주파수로 주파수도약한 후 역고속푸리에변환하여 소정개수의 부반송파 변조하는 역고속푸리에변환부와,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를 직렬변환하는 병/직렬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주파수 도약코드 발생부는;
    상기 부반송파가 주파수도약할 주파수정보인 1차주파수도약 코드에 해당하는 피엔코드를 발생하는 피엔코드발생부와.
    상기 발생한 피엔코드를 상기 1차주파수 도약 신호저장부로 라이트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주파수 도약부는;
    상기 1차주파수 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 도약하기 위한 2차 주파수도약 코드를 발생하는 2차주파수 도약코드 발생부와,
    상기 1차 주파수 도약된 신호를 상기 2차주파수 도약코드에 해당하는 반송파주파수와 믹싱하여 2차 주파수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 신호생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6.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1차 주파수 도약한 후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1차주파수 도약부와,
    상기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상응하여 합성된 반송파주파수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파수 도약부는;
    상기 전송신호를 1차주파수 도약하기 위한 1차주파수 도약코드를 발생하는 1차주파수 도약 코드 발생부와,
    상기 발생한 1차주파수 도약코드와 상기 전송신호를 저장하는 1차 주파수도약 신호 저장부와,
    상기 1차 주파수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된 신호를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변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변조부는;
    상기 1차주파수 도약된 전송신호를 소정개수의 신호로 병렬변환하는 직/병렬변환부와,
    상기 소정개수의 병렬신호를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로 역고속푸리에변환하는 역고속푸리에변환부와,
    상기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를 직렬변환하는 병/직렬변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주파수 도약코드 발생부는;
    상기 전송신호가 주파수도약할 주파수정보인 1차주파수도약 코드에 해당하는 피엔코드를 발생하는 피엔코드발생부와.
    상기 발생한 피엔코드를 상기 1차주파수 도약 신호 저장부로 라이트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 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도약 통신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주파수 도약부는;
    상기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변조된 신호를 2차 주파수 도약하기 위한 2차 주파수도약 코드를 발생하는 2차주파수 도약코드 발생부와,
    상기 2차주파수 도약코드에 해당하는 반송파주파수를 합성하여 상기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된 신호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2차주파수 도약 신호생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11.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개수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주파수 도약하여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1차주파수도약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따라 합성된 반송파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 방법.
  12.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송신호가 입력되면 1차 주파수 도약 코드에 따라 1차 주파수 도약한 후 소정개수의 부반송파로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변조된 신호를 2차 주파수도약코드에 상응하여 합성된 반송파주파수와 믹싱하여 2차주파수 도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주파수 도약 통신시스템 제어방법.
KR1019990023731A 1999-06-23 1999-06-23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294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31A KR100294070B1 (ko) 1999-06-23 1999-06-23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GB0014256A GB2355150B (en) 1999-06-23 2000-06-13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 hopping method
CNB001096788A CN1186883C (zh) 1999-06-23 2000-06-20 跳频通信装置和方法
US09/602,201 US6658044B1 (en) 1999-06-23 2000-06-22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 hopp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31A KR100294070B1 (ko) 1999-06-23 1999-06-23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34A KR20010003434A (ko) 2001-01-15
KR100294070B1 true KR100294070B1 (ko) 2001-06-15

Family

ID=1959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731A Expired - Lifetime KR100294070B1 (ko) 1999-06-23 1999-06-23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58044B1 (ko)
KR (1) KR100294070B1 (ko)
CN (1) CN1186883C (ko)
GB (1) GB23551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5128T2 (de) * 2001-10-19 2006-05-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preizspektrumübertragung
JP4295112B2 (ja) * 2001-11-16 2009-07-15 テンソルコム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ード化信号処理エンジンのための干渉行列の構成
DE10213873A1 (de) * 2002-03-27 2003-10-09 Siemens Ag Kombination des Frequenzsprungverfahrens mit OFDM
US7224712B2 (en) * 2002-03-28 2007-05-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terrogator and tag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979246B2 (ja) * 2002-09-30 2007-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の応答器及び質問器
US7317680B2 (en) * 2002-10-01 2008-01-08 Nortel Networks Limited Channel mapping for OFDM
US7154933B2 (en) * 2003-09-25 2006-12-26 Avneesh Agrawal Interference management for soft handoff and broadcast services in a wireless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99905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고속 주파수 도약을위한 송수신 장치
KR20050099906A (ko) * 2004-04-12 2005-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순환 주파수 패턴에따른 고속 주파수 도약을 위한 송수신장치
CA2506267A1 (en) * 2004-05-04 2005-11-04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s Research Centre Multi-subband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09691B1 (ko) 2004-12-08 2007-04-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기 및 송신기의 주파수 도약 방법
US7483671B2 (en) * 2005-05-19 2009-0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rocessor based frequency selective jamm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US8670493B2 (en) 2005-06-22 2014-03-11 Eices Research, Inc. Systems and/or methods of increased privacy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087289B (zh) * 2006-06-09 2010-10-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正交频分复用的跳频通信方法
US10334633B2 (en) * 2016-01-07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Narrow band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frequency hopping patterns and detection schemes
CN107465463A (zh) * 2017-09-18 2017-12-12 贵州航天天马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抗干扰装置及方法
KR102367836B1 (ko) * 2021-10-07 2022-02-25 한화시스템(주) 주파수 도약 순차 생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4699A (en) 1988-10-11 1990-04-03 Itt Corporation High frequency anti-jam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US5166953A (en) 1990-10-30 1992-11-24 General Electric Company Technique for frequency-hoppe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5259030A (en) 1991-07-17 1993-11-02 Harris Corporation Antijam improvement method and apparatus
US5235613A (en) * 1992-03-02 1993-08-10 The Boeing Company Frequency hopp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46217A (ja) 1993-07-26 1995-02-14 Sony Corp ディジタル復調装置
US5812522A (en) * 1995-03-31 1998-09-22 Airtouch Communications, Inc. Location-ruled radio-integrated network
US5822362A (en) * 1996-03-15 1998-10-13 Aironet Wireless Communications, Inc. Sinusoidal phase modulation method and system
US5793795A (en) 1996-12-04 1998-08-11 Motorola, Inc.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from a jamming signal in a frequency hoppe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5867478A (en) 1997-06-20 1999-02-02 Motorola, Inc. Synchronous coheren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KR100365789B1 (ko) * 1998-01-20 2003-05-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병렬도약직접시퀀스/느린주파수도약복합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34A (ko) 2001-01-15
GB2355150B (en) 2002-02-20
CN1283900A (zh) 2001-02-14
CN1186883C (zh) 2005-01-26
GB2355150A (en) 2001-04-11
GB2355150A8 (en) 2001-09-11
GB0014256D0 (en) 2000-08-02
US6658044B1 (en)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070B1 (ko) 이중주파수도약 통신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5682376A (en) Method of transmitt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signal,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employed therefor
CN101675638B (zh) 用于同时进行多模蓝牙和wlan操作的方法和装置
US7865359B2 (en) Waveform modulated wireless rural area network (WRAN) systems and modulation and multiple access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111834B1 (en) Assignment and generation of hop sequences, in multicarrier spread spectrum systems
KR20000062825A (ko) 셀룰러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동작 방법
JP3539522B2 (ja) 直交周波数分割多重信号の伝送方法ならびにその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20040044267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방식 시스템에 있어서 측부엽억제신호 발생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상향링크 통신장치
JP2007295219A (ja) マルチキャリア変調方式による通信装置
KR20040077301A (ko) 동일 심볼을 다수의 채널에 중복적으로 전송하여 통신거리를 확장시킨 무선 랜 시스템의 직교 주파수 분할다중화 송수신 장치 및 그 송수신 방법
KR20000074899A (ko) 주파수도약/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 통신시스템
US20050047444A1 (en) TFI-OFDM transmission/reception systems for UWB communication and methods thereof for mitigating interference from simultaneously operating piconets
US7227903B2 (en) OFDM transmitter for generating FSK modulated signals
RU2754429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труктура, приемо-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точка доступа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сигнала двухпозиционной манипуляции с несколькими несущими
JP2010538562A (ja) 放送システム内でサービス受信を保証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56423A (ko) 셀 탐색을 위한 참조 신호의 구성 방법
KR20040056473A (ko) 다중반송파 코드분할 다중접속에서의 스크램블링 시스템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JP4871925B2 (ja) 信号送信装置及び方法
KR20000024709A (ko) 대역저감 다반송파 무선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JP2005192000A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
US5497397A (en) Parallel dataword modulation scheme
CN1957552B (zh) 调制装置以及调制方法
CN113055048A (zh) 一种基于线性调频信号的扩频通信调制方法
JP6497825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19990025729A (ko) 이중 직교부호 도약 다중 접속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005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91223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