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92037B1 -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2037B1
KR100292037B1 KR1019980063504A KR19980063504A KR100292037B1 KR 100292037 B1 KR100292037 B1 KR 100292037B1 KR 1019980063504 A KR1019980063504 A KR 1019980063504A KR 19980063504 A KR19980063504 A KR 19980063504A KR 100292037 B1 KR100292037 B1 KR 100292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concrete
cement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284A (ko
Inventor
박유창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주식회사 정원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주식회사 정원에너지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19980063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0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2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0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04B24/026Fatty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식물성 기포제 0.1∼0.2 중량%, 시멘트 62∼65 중량%, 나머지가 물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경량으로 단단하고 균일한 기포군을 형성시키므로써 시멘트의 침전을 방지하고 단열 효과가 우수하며 시멘트 자재를 대폭 절감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물성 기포제, 시멘트, 물의 배합비를 최적화하여 단열콘크리트의 단열효과를 극대화한 신규한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단열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이 공지된 바 있으나, 대부분이 시멘트에 동물성 기포제를 배합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식물성 기포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균일한 기포형성을 기대하지 못하고 단열효과도 적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단열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침하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 제결함 및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가장 적합한 식물성 기포제를 선택하고 이를 시멘트와 물의 가장 적절한 조성비를 찾아 본 발명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제품으로 타설된 경량 단열 콘크리트에 비하여 단단한 기포군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콘크리트의 침하가 없으며 따라서 시멘트를 절약함과 동시에 열전도율이 낮은 개선된 단열 콘크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단열 콘크리트 자재로서 식물성 기포제 0.1∼0.2 중량%, 시멘트 62∼65 중량%, 나머지는 물로 조성하므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 경량 단열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는 자재로서 식물성 기포제는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야자유(Coconut oil)로부터 얻은 지방알콜(Fatty Alcohol)이 적합하다. 본 발명 지방알콜은 야자유에서 지방을 분리하여내고 지방산만을 증류시켜 정제한 후 수소화시켜 얻은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시멘트는 가급적 제조후 2개월 이내의 제품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아파트 온돌바닥의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 공사를 위하여 자재는 제조 후 2개월이 되지 않은 시멘트(쌍룡제품)와 식물성 기포제 및 물의 배합비를 다음 표 1과 같이 조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로 타설장소를 청소하고 사면을 먹멕임으로 표시하여 타설레벨을 설정한 다음 먼저 물에 기포제를 희석하여 발포기를 통하여 기포를 만든다(이때 경험에 의하면 기포군의 상태에 있어서 1L의 용기에 거품을 담아 거품의 무게가 35∼40g이면 최적의 배포상태임이 확인되었다). 다음에 시멘트를 첨가하여 슬러리를 만든다음 기포군과 혼합하여 1㎥ 용적의 제품을 제조한다.
상기 제품(종래기존제품 1∼2 및 본 발명 조성예 제품 1∼2)을 모노펌프로 타설장소로 이동하여 제몰수평작업으로 마무리하며 슬럼프의 값은 27㎝로 하였다.
타설 후 36시간의 출입을 통제한 후 타설된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가 갖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표 2와 같은 실험결과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당 시멘트 1.5∼2포를 절감하므로써 5,000∼6,000원/㎥의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단열 기포 콘크리트의 강도도 기존제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고 열전도율을 낮추어서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자원 및 에너지를 현저하게 절약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종래 제품에 비하여 본 발명제품의 조성물을 콘크리트 타설시 단단한 기포군을 형성하여 품질이 향상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실시예는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 공사시에 원가의 절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 기포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키므로서 국가와 기업에 자원 및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건설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식물성 기포제 0.1∼0.2 중량%, 시멘트 62∼65 중량%, 나머지는 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포제는 야자유 유래의 지방 알콜(Fatty alcohol)인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KR1019980063504A 1998-12-31 1998-12-31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Expired - Fee Related KR10029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04A KR100292037B1 (ko) 1998-12-31 1998-12-31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504A KR100292037B1 (ko) 1998-12-31 1998-12-31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84A KR19990024284A (ko) 1999-03-25
KR100292037B1 true KR100292037B1 (ko) 2001-09-17

Family

ID=3752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5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292037B1 (ko) 1998-12-31 1998-12-31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0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55A (ko) * 2000-10-09 2001-02-05 남기열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기포제의 제조
KR100545158B1 (ko) * 2002-08-30 2006-02-22 (주)건설티앤씨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기포제 조성물
KR101580795B1 (ko)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건설자재산업 침하량 저감 및 기포 균일성이 개선된 기포 시멘트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77B1 (ko) * 2022-01-20 2022-11-21 주식회사 솔패이브 친환경 자기치유 경량기포 그라우팅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855A (ko) * 2000-10-09 2001-02-05 남기열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기포제의 제조
KR100545158B1 (ko) * 2002-08-30 2006-02-22 (주)건설티앤씨 경량기포 콘크리트용 기포제 조성물
KR101580795B1 (ko) 2015-08-11 2015-12-29 주식회사 건설자재산업 침하량 저감 및 기포 균일성이 개선된 기포 시멘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284A (ko)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3955A (en) Lightweight insulating concrete
CN112851259A (zh) 自密实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1306934A (zh) 陶粒加气混凝土砌块及其制造方法
CN108558295A (zh) 一种轻质高强度混凝土
GB2162506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ellular concrete
CN102887720B (zh) 含有秸秆的轻质保温墙体材料的制备方法
CN104496340B (zh) 一种以贝壳类动物壳体为粗集料的混凝土砖体及其制备方法
CN103467008B (zh) 一种添加竹碳粉的加气混凝土砌块
CN104230270A (zh) 一种低黏度活性粉末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2194417B (zh) 一种基于煤气化渣的发泡免蒸砌块及其制备方法
CN108503285A (zh) 一种轻质高强度混凝土的制备方法
CN102964084A (zh) 泡沫混凝土发泡剂
KR100292037B1 (ko) 경량 단열 기포 콘크리트용 조성물
CN107759128A (zh) 一种泡沫混凝土用矿物浆体造孔剂及其制备方法
CN104496339B (zh) 一种原料含有贝壳类动物壳体为集料的混凝土砌块及其制备方法
CN112456908A (zh) 一种使用石灰石粉的机制砂清水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5884295B (zh) 一种地暖用高强泡沫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RU2150447C1 (ru) Пенообразователь
RU94023149A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CN109650802A (zh) 一种加气混凝土板材及制作工艺
RU2205162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енобето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елкового пенообразователя
US5091014A (en) Strengthened cellular concre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CN107266119A (zh) 一种保温隔热的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US5087287A (en) Strengthened cellular concret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CN108640578A (zh) 一种防渗透加气块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1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